KR101577290B1 -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 Google Patents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290B1
KR101577290B1 KR1020150109023A KR20150109023A KR101577290B1 KR 101577290 B1 KR101577290 B1 KR 101577290B1 KR 1020150109023 A KR1020150109023 A KR 1020150109023A KR 20150109023 A KR20150109023 A KR 20150109023A KR 101577290 B1 KR101577290 B1 KR 10157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unger
normal pressure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경
이상로
위형철
구자송
이진수
문백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방폭인증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방폭인증센터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3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actuated by diaphrag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4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actuated by devices allowing continual flow of fluid, e.g. v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압(weak pressure)의 압력에 의해 산업용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성 가연성 물질이나 먼지등이 상기 압력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에서 전기 스파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산업 현장에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하우징 본체(21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측으로 상부 다이아프램(260a)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으로 하부 다이아프램(260b)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미압 입력부(270) 및 1차 압력 입력부(280); 상기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290) 및 하부 플런저(300);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본체(240); 상기 밸브본체(240) 상측으로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공급되는 연결구(310)가 연통되어 설치되는 정상압력 연결관(320); 및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측으로 누름 버튼(B)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 for weak pressure of recognize}
본 발명은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미압(weak pressure)의 압력에 의해 산업용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성 가연성 물질이나 먼지등이 상기 압력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압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에서 전기 스파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산업 현장에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산업용 모터는 실, 내외에 전기배선 및 가스배관이 연결되어 화재가 상존하는 작업현장, 정유공장 또는 화학공장 등의 화재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는 산업현장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석유제품, 석유 화학제품, 화약류, 가연성 가스, 폭발성 가스 등의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정유공장, 화학공장은 물론, 주위에 복잡한 전기배선 및 가스배관등이 널려있는 작업장 등의 산업 현장에서 상기 산업용 모터를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의 작동시 전기 스파크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같이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시 발생되는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산업용 모터의 내부에 일정 시간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산업용 모터 내부에 각종 화재 발생용 위험 물질인 가스, 먼지 등이 산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정유공장, 화학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상기 산업용 모터의 내부에 일정시간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한 소형모터, 타이머, 스위치 등이 사용 되는바, 이와 같은 전기를 이용한 소형모터, 타이머, 스위치의 경우에는 약시 전원의 접속시 발생되는 전기 스파크에 의해, 산업용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 등에 의해 폭발 및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압의 에어 압력에 의해 산업용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성 가연성 물질이나 먼지등이 상기 압력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압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에서 전기 스파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산업 현장에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미압 압력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 유닛 하우징 본체의 미압 입력부 내부로 유입되는 미압은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러저를 거쳐 리미트 스위치를 간편하게 온(ON) 및 오프(OFF) 작동을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정상압력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배출부를 통하여 장비의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여 외부의 장비를 손쉽고,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미압 압력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측으로 상부 다이아프램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측으로 하부 다이아프램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미압이 공급되는 미압 입력부 및 정상 압력이 공급된 밸브 본체 내부의 1차 압력이 공급되는 1차 압력 입력부; 상기 상부 플런저 하우징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미압 입력부를 통해 유입되는 미압에 의해 승강 작동을 수행하는 상부 플런저 및 상기 1차 압력 입력부를 통해 유입되는 1차 압력에 의해 하강 작동을 수행하는 하부 플런저; 상기 상부 플런저의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정상압력 공급부의 정상 압력이 유입되는 밸브본체; 정상압력 공급부를 통하여 정상 압력이 밸브 본체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본체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와 연통되어 연결 설치되는 정상압력 연결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1차 압력으로 하강하는 하부 플런저에 의해 눌려져 작동 되도록 상측으로 누름 버튼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미압 입력부의 미압 에어가 유입되는 미압 유입로 및 상기 미압 유입로 상측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입력부의 1차 압력이 형성된 에어가 유입되는 1차 압력 유입로 및 상기 1차 압력 유입로 하측으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 플런저 하우징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탄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런저의 하측에는 상기 미압 유입로를 통하여 미압의 에어가 저장되는 미압 저장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런저의 상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유입로를 통하여 1차 압력의 에어가 저장되는 1차 압력 저장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를 각각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밸브본체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플런저의 승강시 내부에 유입된 정상압력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로 유입되도록 1차 압력 유입관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와 연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연결관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 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정상압력 공급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의 작동으로 정상 압력을 장비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기 위한 정상압력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런저의 상단부가 미압의 작동으로 승,하강시 밸브 본체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플런저 관통홀 하부 주연으로 밀폐용 O링이 설치되며,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와 밸브본체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와 연결되는 정상압력 연결관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구로 유입되는 정상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에어압력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에 의하면, 미압의 에어 압력에 의해 산업용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성 가연성 물질이나 먼지등이 상기 압력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압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에서 전기 스파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산업 현장에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 유닛 하우징 본체의 미압 입력부 내부로 유입되는 미압은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러저를 거쳐 리미트 스위치를 간편하게 온(ON) 및 오프(OFF) 작동을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정상압력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배출부를 통하여 장비의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여 외부의 장비를 손쉽고,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단면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정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작동유닛(200)은, 하우징 본체(2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상부 다이아프램(260a)(diaphragm)과 하부 다이아프램(260b)을 개재하여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이 결합구(K)로서 결합하여 밀폐되는 상태로 고정토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일측에는 미압 입력부(270)와 1차 압력 입력부(280)가 각각 형성되어, 외부로 부터 미압의 에어가 상기 미압 입력부(270)를 통하여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미압 입력부(270)의 미압 에어가 유입되는 미압 유입로(211) 및 상기 미압 유입로(211) 상측으로 관통홀(212)이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의 1차 압력이 형성된 에어가 유입되는 1차 압력 유입로(213) 및 상기 1차 압력 유입로(213) 하측으로 관통홀(21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스프링(S)에 탄력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29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하측에는 상기 미압 유입로(211)를 통하여 미압의 에어가 저장되는 미압 저장 공간부(2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는 스프링(S)에 탄력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300)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플런저(300)의 상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유입로(213)를 통하여 1차 압력의 에어가 저장되는 1차 압력 저장 공간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290) 및 하부 플런저(300)를 각각 승,하강 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본체(240)는 상측으로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공급되는 연결구(310)가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연통되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승강시 내부에 유입된 정상압력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유입되도록 1차 압력 유입관(321)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와 연통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누름 버튼(B)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이 연결 설치되며, 이때 상기 누름 버튼(B)은 상기 하부 플런저(3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유입되는 1차 압력이 1차 압력 저장 공간부(231)를 거쳐 하강 작동되는 하부 플런저(300)와 접촉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을 온(ON) 및 오프(OFF) 작동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일측에는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내부로 공급되는 정상압력 공급부(251)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작동으로 정상 압력을 장비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기 위한 정상압력 배출부(252)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단부가 미압의 작동으로 승,하강시 밸브 본체(240)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플런저(290) 관통홀 하부 주연으로 밀폐용 O링(340)이 설치되며,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와 밸브본체(240)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310)와 연결되는 정상압력 연결관(320)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구(310)로 유입되는 정상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에어압력 조절밸브(33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의 작동유닛(200)은, 하우징 본체(210)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밀폐를 위하여 상,하부 다이아프램(260a)(260b)(diaphragm)을 개재하여,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과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이 결합구(K)로서 결합하여 고정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일측에는 미압의 에어가 유입되는 미압 입력부(270)와 상기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을 통과한 1차 압력 에어가 유입되는 1차 압력 입력부(28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스프링(S)에 탄력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29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는 스프링(S)에 탄력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3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브본체(240)는 상측으로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공급되는 연결구(310)가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연통되어 설치되고, 이때 상기 연결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승강시 내부에 유입된 정상압력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유입되도록 1차 압력 유입관(321)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와 연통되어 설치토록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공급되는 0.2 ~ 0.3MPa의 정상압력은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연결구(310)와 상기 밸브본체(240)의 상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미압 입력부(270)를 통하여 유입되는 80Pa ~ 3.5KPa의 미압은 미압 유입로(211) 및 상기 미압 유입로(211) 상측으로 형성되는 관통홀(212)을 거쳐서 상부 플런저(290)의 하측에 형성되는 미압 저장 공간부(221)에 일시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미압 저장 공간부(221)에 저장되는 미압은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290)를 승강시켜 상기 밸브본체(240) 내부에 유입된 정상압력을 강하게 밀어주어 상기 밸브본체(240) 및 그 상측에 연통되어 설치되는 연결구(310) 내부의 정상압력을 1차 압력 유입관(321)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를 통하여 하우징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500 ~ 2500KPa의 1차 압력은 1차 압력 유입로(213) 및 상기 1차 압력 유입로(213) 하측에 형성되는 관통홀(214)을 통하여 하부 플런저(300)의 상측에 형성되는 1차 압력 저장 공간부(231)로 유입되어 저장 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1차 압력 저장 공간부(231)에 일시 저장되는 500 ~ 2500KPa의 1차 압력은 상기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 스프링(S)을 통하여 탄력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300)를 하강 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 플런저(3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상측 누름 버튼(B)을 눌러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은 온(ON) 및 오프(OFF) 작동 되도록 한다.
따라서, 산업용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을 상기와같이 미압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성 가연성 물질이나 먼지등이 압력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에서 전기 스파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산업 현장에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일측에는 정상압력 공급부(251)이 형성되어,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런저(300)의 하강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가 온(ON)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하여 유입되는 0.2~0.3MPa의 정상압력은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정상압력 공급부(251) 일측에 형성되는 정상압력 배출부(252)를 통하여 정상 압력을 장비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장비를 손쉽고,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밸브 본체(240)의 관통홀 하부 주연으로 밀폐용 O링(340)이 착설되어, 상부 플런저(290)의 상단부가 미압의 작동으로 승,하강시 밸브 본체(240)가 밀폐되며, 이에따라 상기 밸브 본체(240) 내부의 정상압력이 1차 압력 유입관(321)을 거쳐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와 밸브본체(24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구(310)와 연결되는 정상압력 연결관(320)의 중앙에는 에어압력 조절밸브(330)가 설치되어,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상 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하우징 본체 211...미압 유입로
212, 214...관통홀 213...1차 압력 유입로
220...상부 플런저(plunger)하우징 221...미압 저장 공간부
230...하부 플런저 하우징 231...1차 압력 저장 공간부
240...밸브본체 250...리미트 스위치 유닛
251...정상압력 공급부 252...정상압력 배출부
260a, 260b...상부 및 하부 다이아프램(diaphragm)
270...미압 입력부 280...1차 압력 입력부
290...상부 플런저 300...하부 플런저
310...연결구 320...정상압력 연결관
321...1차 압력 유입관
330...에어압력 조절밸브 340...밀폐용 O링
B...누름 버튼 K...결합구
S...스프링 P...정상압력 공급부

Claims (8)

  1. 하우징 본체(21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상측으로 상부 다이아프램(260a)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으로 하부 다이아프램(260b)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미압이 공급되는 미압 입력부(270) 및 정상 압력이 유입된 밸브 본체 내부의 압력이 1차 압력으로 공급되는 1차 압력 입력부(280);
    상기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미압 입력부(270)를 통해 유입되는 미압에 의해 승강 작동을 수행하는 상부 플런저(290) 및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를 통해 유입되는 1차 압력에 의해 하강 작동을 수행하는 하부 플런저(300);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정상압력 공급부의 정상 압력이 유입되는 밸브본체(240);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 압력이 밸브 본체(240)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본체(240)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310)와 연통되어 연결 설치되는 정상압력 연결관(320); 및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1차 압력으로 하강하는 하부 플런저(300)에 의해 눌려져 작동 되도록 상측으로 누름 버튼(B)이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미압 입력부(270)의 미압 에어가 유입되는 미압 유입로(211) 및 상기 미압 유입로(211) 상측으로 관통홀(212)이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의 1차 압력이 형성된 에어가 유입되는 1차 압력 유입로(213) 및 상기 1차 압력 유입로(213) 하측으로 관통홀(2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런저(290) 및 하부 플런저(300)는 스프링(S)에 의해 상부 플런저 하우징(220) 및 하부 플런저 하우징(230)의 내부에 각각 탄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하측에는 상기 미압 유입로(211)를 통하여 미압의 에어가 저장되는 미압 저장 공간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런저(300)의 상측에는 상기 1차 압력 유입로(213)를 통하여 1차 압력의 에어가 저장되는 1차 압력 저장 공간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290) 및 하부 플런저(300)를 각각 승,하강 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40)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31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승강시 내부에 유입된 정상압력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로 유입되도록 1차 압력 유입관(321)이 상기 1차 압력 입력부(280)와 연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일측에는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를 통하여 정상압력이 정상압력 연결관(320)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내부로 공급되는 정상압력 공급부(251)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 유닛(250)의 작동으로 정상 압력을 장비 구동압력 으로 배출하기 위한 정상압력 배출부(25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런저(290)의 상단부가 미압의 작동으로 승,하강시 밸브 본체(240)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플런저(290) 관통홀 하부 주연으로 밀폐용 O링(3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압력 공급부(P)와 밸브본체(240)의 상측으로 연결된 연결구(310)와 연결되는 정상압력 연결관(320)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구(310)로 유입되는 정상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 하도록 에어압력 조절밸브(3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KR1020150109023A 2015-03-12 2015-07-31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KR101577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4367 2015-03-12
KR1020150034367 2015-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290B1 true KR101577290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23A KR101577290B1 (ko) 2015-03-12 2015-07-31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669B2 (ja) 1991-01-28 2001-05-28 ドワイヤー、インストゥ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差動圧力スイッチ装置
JP2008282732A (ja) 2007-05-11 2008-11-20 Omron Corp リミットスイッチ
KR101068236B1 (ko) 2010-10-07 2011-09-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테스트 수단이 구비된 공압식 알람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669B2 (ja) 1991-01-28 2001-05-28 ドワイヤー、インストゥ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差動圧力スイッチ装置
JP2008282732A (ja) 2007-05-11 2008-11-20 Omron Corp リミットスイッチ
KR101068236B1 (ko) 2010-10-07 2011-09-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테스트 수단이 구비된 공압식 알람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8877B1 (en) Inline plug flame arrestors
MX2018013834A (es) Método para manipular un pozo utilizando un contenedor de presión subequilibrada.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EP3315793B1 (en) Cylinder apparatus
WO2016167169A1 (ja) シリンダ装置
JP2016534850A (ja) 消火システム
CN101778546A (zh) 电器防爆箱
KR101577290B1 (ko) 미압 인식용 압력 스위치
CN203761722U (zh) 电器呼吸式防爆柜
CN106313121A (zh) 一种基于一体化气密通道的防爆型工业机器人
US1007790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leak
CN100403472C (zh) 电子式数字压力开关
CN203624264U (zh) 空气炮设备
CN105547579A (zh) 一种具有防爆功能的变送器
WO2015089635A1 (en) Combustible fluid cutting safety system
CN107887817A (zh) 一种防爆配电箱
CN104088706A (zh) 应用于燃气轮机防喘放气的气动控制器
CN201361877Y (zh) 喷涂机器人防爆装置
CN105927541A (zh) 用于易燃易爆腐蚀气体增压的鼓风或引风装置
CN205779703U (zh) 用于易燃易爆腐蚀气体增压的鼓风或引风装置
CN107606274A (zh) 一种用于检查侧漏的阀门装置
CN212986211U (zh) 一种防爆执行器机构
CN203756650U (zh) 磁力气动显示器
CN105277318B (zh) Led防爆灯腔室测试方法及其结构
CN206009018U (zh) 氮气保护控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