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090B1 - 방사용 응고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용 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090B1
KR101577090B1 KR1020110028645A KR20110028645A KR101577090B1 KR 101577090 B1 KR101577090 B1 KR 101577090B1 KR 1020110028645 A KR1020110028645 A KR 1020110028645A KR 20110028645 A KR20110028645 A KR 20110028645A KR 101577090 B1 KR101577090 B1 KR 10157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gulation
annular plates
coagulation bath
holes
coa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646A (ko
Inventor
한인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0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방사용 응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사용 응고장치는 내부 공간에 응고액이 제공되는 응고조; 및 상기 응고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용 응고장치{Coagulation Appartus for Spinning}
본 발명은 방사용 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방사용 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제조를 위해서는 방사 공정이 요구된다. 방사 공정을 위해서 방사 도프(방사 용액)가 먼저 제조된다. 이어서 방사 도프는 구금을 통해 압출된다. 구금으로부터 압출된 방사 도프는 응고 공정을 거치면서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가 된다.
상기 응고 공정은 다양한 방식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들 중에는 구금으로부터 압출된 방사 도프(또는 중간에 공기층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응고된 필라멘트)를 응고액을 이용하여 응고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응고액이 저장될 수 있는 응고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응고장치는 장치 별로 1 개의 필라멘트만을 응고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해당 개수 만큼의 응고장치가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응고장치 별로 롤(roll) 및 와인더(winder)가 각각 제공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방사용 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방사용 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최종 제품의 물성 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방사용 응고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내부 공간에 응고액이 제공되는 응고조; 및 상기 응고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을 포함하는 방사용 응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내부 공간에 응고액이 제공되는 응고조; 상기 응고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ring-shaped plates)을 포함하는 방사용 응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사용 응고장치는 제1 환형 플레이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그리고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환형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함으로써, 응고액이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들의 제2 관통홀들 및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들의 제1 관통홀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방사 튜브들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응고조는 그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버퍼부 및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버퍼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버퍼부를 통해 응고액이 내측 방향(inward direction)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 버퍼부를 통해 응고액이 외측 방향(outward direction)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사용 응고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장비의 풋프린트(footprint) 감소를 통한 제조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필라멘트들 간은 물론이고 개별 필라멘트 자체에 대해서도 응고액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최종 제품인 섬유의 물성 저하를 전혀 야기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대하여 응고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용 응고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용 응고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용 응고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용 응고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용 응고장치를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방사용 응고장치가 다른 종류의 섬유들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먼저, 무기염이 첨가된 유기 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킴으로써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혼합용액에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첨가함으로써 중합용액을 제조한다. 중합용액은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중합용액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외에 중합반응의 부산물인 산도 포함하기 때문에, 알칼리 화합물로 중합용액을 중화시킨다. 이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분쇄 및 용매 추출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용매 추출은 통상적으로 물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용매 추출이 수행될 경우, 용매 추출 후에 탈수 및 건조 공정이 수행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아미드 제조를 완료한다.
이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방사 도프를 제조한다. 방사 도프 내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농도는 10 내지 25 중량%이다.
제조된 방사 도프에 대하여 건습식 방사(dry jet-wet spinning), 수세, 중화, 및 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아라미드 섬유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건습식 방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방사 도프가 방사구금(spinneret), 에어 갭(air gap), 및 응고장치(coagulation apparatus)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방사구금은 0.1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모세관들(capillary tubes)을 갖는다. 일정 압력 하에서 방사구금의 모세관들을 통과한 방사 도프가 에어 갭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응고됨으로써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들을 형성하고, 이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들은 하나의 필라멘트를 이루게 된다. 에어 갭은 방사구금과 응고장치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일반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 갭의 길이, 즉 방사구금과 응고장치 사이의 거리는 제조되는 섬유의 종류에 의존하는데,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 2 내지 20 mm이다.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진 필라멘트는 응고장치로 인입되고, 그 안에서 2차적으로 응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응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용 응고장치는 응고조(coagulating bath)(100) 및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을 포함한다.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에는 응고액(coagulating liquid)(10)이 제공되며, 이 응고액(10)은 필라멘트(미도시)와 함께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에는 응고액(10)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응고액(10)의 종류는 제조되는 섬유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 5 내지 15 중량%의 황산을 포함하는 용액이 응고액(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응고조(1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응고조(100)의 외형과 관계 없이,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이 상기 응고조(100) 높이에 수직인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응고조(100)는, 그 내부 공간으로의 지속적인 응고액(10) 공급을 위하여, 그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버퍼부(110)를 포함한다. 펌프(300)에 의해 가해진 압력 하에 응고액(10)이 응고조(100)의 유입구(inlet)를 통해 제1 버퍼부(110)로 유입되고(introduced), 제1 버퍼부(110)는 응고액(10)을 내측 방향으로(inward direction) 배출함으로써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에 응고액을 제공한다.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이 그 높이에 수직인 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상기 제1 버퍼부(110)는 응고액(10)을 방사상 내측 방향(radially-inward direction)으로 배출함으로써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에 응고액(10)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응고액(10)의 균일한 공급은 양질의 섬유를 제조하는데 필수적 요건이다. 따라서,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응고액(10)을 난류(turbulence)의 형성 없이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버퍼부(110)의 측부에는 다수의 홀들(h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버퍼부(110)는 홀들(h1)을 통해 응고액(10)을 내측 방향으로 배출한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은 응고조(100)의 하부에 방사상 대칭으로 위치하며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한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를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즉, 제1 버퍼부(110)로부터 배출된 응고액(10)은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과 접촉하고 이들과 함께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을 통해 배출된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이 응고조(100)의 하부에 방사상 대칭으로 위치하는 이유는,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을 통과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 간에 응고액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 간의 물성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1개의 응고조(100)에 4개의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필라멘트들이 동시에 응고될 수 있다. 4개의 구금들을 통해 4개의 필라멘트들이 형성될 수 있지만, 하나의 구금으로부터 압출된 복수 개의 모노필라멘트들이 4개로 그룹핑됨으로써 4개의 필라멘트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동시에 응고된 4개의 필라멘트들은 롤(roll) 및 와인더(winder)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양의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풋프린트(footprint)의 감소, 제조 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방사 튜브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이 하나의 응고조에 연결되는 구조라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개의 응고조에 4개의 방사 튜브들이 연결된 구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방사용 응고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각각에는 분사부(210a, 21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부(210a, 210b)를 통해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을 통과하는 필라멘트들에 응고액이 분사된다. 응고액의 분사 각도(θ)는 필라멘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20° 내지 40°이다.
복수 개의 분사부들이 방사 튜브의 둘레에 형성되거나, 하나의 분사부가 방사 튜브의 둘레를 감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분사부로부터 분출되는 응고액이 해당 방사 튜브를 통과하는 필라멘트에 대하여 대칭으로 균일하게 분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는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ring-shaped plates)(400a, 400b, 400c, 400d)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중 그 어느 것도 응고조(100)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버퍼부(110)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배출되는 응고액(10)이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내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내로의 불균일한 응고액(10) 공급은 제조되는 섬유의 물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 내로의 불균일한 응고액(10) 공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는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ring-shaped plates)(400a, 400b, 400c, 400d)을 더 포함한다.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은 0.2 내지 5 mm의 두께(t1) 및 5 내지 50 mm의 높이(H1)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에는 1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h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은 60 내지 90 %의 개구율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구율은 환형 플레이트의 외표면적에 대한 관통홀들의 총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제1 버퍼부(110)로부터 배출된 응고액(10)은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의 제1 관통홀들(h2)을 통해서만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로 제공된다.
이 때,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제1 관통홀들(h2)을 통과한 응고액(10)은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중심으로 균일하게 흐르게 된다.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중심에는 방사 튜브(200a, 200b, 200c, 200d)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제1 관통홀들(h2)을 통과한 응고액(10)이 방사 튜브(200a, 200b, 200c, 200d) 측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는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과 마찬가지로,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에도 1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h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은 0.2 내지 5 mm의 두께(t2), 5 내지 50 mm의 높이(H2), 및 60 내지 90 %의 개구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 안에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이 위치하되 이들 사이의 거리(d)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이 응고조(100) 안에 장착된다. 즉, 내측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과 외측의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은 상기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환형 플레이트 쌍들을 각각 이루게 된다. 각각의 환형 플레이트 쌍을 이루는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 및 제2 환형 플레이트(500a, 500b, 500c, 500d) 사이의 거리(d)는 5 내지 50 mm일 수 있다.
제1 버퍼부(110)로부터 배출되는 응고액(10)은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의 제2 관통홀들(h3) 및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의 제1 관통홀들(h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로 공급된다.
이 때,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의 제2 관통홀들(h3)을 통과한 응고액(10)은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의 중심을 향한 1차적으로 균일화된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을 통해 1차적으로 균일화된 흐름을 갖게된 응고액(10)은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제1 관통홀들(h2)을 통과하면서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중심을 향한 2차적으로 균일화된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제1 환형 플레이트(400a, 400b, 400c, 400d)의 중심에 위치한 방사 튜브(200a, 200b, 200c, 200d) 측에 두 차례에 걸쳐 균일화된 응고액(10)이 공급되게 되고, 그 결과, 응고조(100) 및 방사 튜브(200a, 200b, 200c, 200d)를 통과하는 필라멘트에 응고액이 균일한 속도로 고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방사용 응고장치의 응고조(100)는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버퍼부(12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은 응고조(100)의 하부에 방사상 대칭으로 위치하고, 각각의 방사 튜브들(200a, 200b, 200c, 200d)에 대응하는 환형 플레이트 쌍들이 응고조(100) 내에 장착된다.
응고조(100) 내에 응고액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제1 버퍼부(110)만이 존재할 경우, 제1 버퍼부(110)가 존재하는 응고조(100)의 둘레부를 향하는 제2 환형 플레이트(500a, 500b, 500c, 500d)의 부분과 응고조(100)의 중심을 향하는 제2 환형 플레이트(500a, 500b, 500c, 500d)의 부분에 각각 공급되는 응고액(10)의 흐름 속도 및 양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은 개별 필라멘트의 물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응고조(100)는 그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버퍼부(110) 외에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버퍼부(1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버퍼부(110)를 통해 응고액(10)이 내측 방향(inward direction)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 버퍼부(110)를 통해 응고액이 외측 방향(outward direction)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이 그 높이에 수직인 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상기 제1 버퍼부(110)는 응고액(10)을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고, 상기 제2 버퍼부(120)는 응고액(10)을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응고조(100)의 내부 공간에 응고액(10)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응고조(100)의 둘레부를 향하는 환형 플레이트의 부분과 응고조(100)의 중심을 향하는 환형 플레이트의 부분에 각각 공급되는 응고액(10)의 흐름 속도 및 양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응고액(10)을 난류(turbulence)의 형성 없이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제2 버퍼부(120)의 측부에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제2 버퍼부(120)는 제2 환형 플레이트들(500a, 500b, 500c, 500d) 없이 제1 환형 플레이트들(400a, 400b, 400c, 400d)만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의 응고장치는 물론이고 환형 플레이트들을 전혀 구비하지 않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응고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0: 응고조 110: 제1 버퍼부
120: 제2 버퍼부
200a, 200b, 200c, 200d: 제1 내지 제4 방사 튜브들
300: 펌프
400a, 400b, 400c, 400d: 제1 환형 플레이트
500a, 500b, 500c, 500d: 제2 환형 플레이트

Claims (10)

  1. 내부 공간에 응고액이 제공되는 응고조; 및
    상기 응고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방사 튜브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ring-shaped plates)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상기 응고액은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1 관통홀들을 통해서 상기 방사 튜브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조는 그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응고액을 내측 방향(inward direction)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에 상기 응고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관통홀은 1 내지 5 mm의 직경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는 0.2 내지 5 mm의 두께, 5 내지 50 mm의 높이, 및 60 내지 90 %의 개구율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환형 플레이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환형 플레이트들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에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버퍼부로부터 배출된 응고액은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2 관통홀들 및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1 관통홀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방사 튜브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들과 함께 상기 방사 튜브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환형 플레이트 쌍들을 이루고,
    각각의 상기 환형 플레이트 쌍을 이루는 제1 환형 플레이트 및 제2 환형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 각각은 1 내지 5 mm의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플레이트들 각각은 0.2 내지 5 mm의 두께, 5 내지 50 mm의 높이, 및 60 내지 90 %의 개구율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조는 그 중심에 형성된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부는 응고액을 외측 방향(outward direction)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에 상기 응고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조의 내부 공간은 상기 응고조 높이에 수직인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응고액을 방사상 내측 방향(radially-inward direction)으로 배출하고,
    상기 제2 버퍼부는 응고액을 방사상 외측 방향(radially-outward direction)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방사 튜브에는 분사부(jetting unit)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용 응고장치.
KR1020110028645A 2011-03-30 2011-03-30 방사용 응고장치 KR10157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45A KR101577090B1 (ko) 2011-03-30 2011-03-30 방사용 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45A KR101577090B1 (ko) 2011-03-30 2011-03-30 방사용 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46A KR20120110646A (ko) 2012-10-10
KR101577090B1 true KR101577090B1 (ko) 2015-12-11

Family

ID=4728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645A KR101577090B1 (ko) 2011-03-30 2011-03-30 방사용 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497B1 (ko) * 2014-03-27 2019-1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1881827B1 (ko) * 2016-12-27 2018-07-26 주식회사 휴비스 다단 응고조로 구성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아라미드 섬유
CN110093677B (zh) * 2019-05-20 2021-08-31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聚丙烯腈纤维、聚丙烯腈基碳纤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2298B1 (de) 1999-11-10 2004-03-03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fasern und cellulosefilamentgarnen
US6887409B2 (en) 2000-03-11 2005-05-03 Thuringishces Institut Fu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ellulose fibers and cellulose filament yarns
KR100924905B1 (ko) * 2008-03-31 2009-11-03 주식회사 코오롱 파라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2298B1 (de) 1999-11-10 2004-03-03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fasern und cellulosefilamentgarnen
US6887409B2 (en) 2000-03-11 2005-05-03 Thuringishces Institut Fu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ellulose fibers and cellulose filament yarns
KR100924905B1 (ko) * 2008-03-31 2009-11-03 주식회사 코오롱 파라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4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9767B2 (ja) 芳香族コ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装置
CN102413910B (zh) 复合多孔质膜的制造方法
KR101577090B1 (ko) 방사용 응고장치
KR101908705B1 (ko) 중공사의 제조장치
JPS6197417A (ja) 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法
CN204570108U (zh) 一种多孔喷丝板
CN110747518A (zh) 基于溶液纺丝技术的纺丝系统及纺丝设备
CN1283872C (zh) 处理纤维材料的方法和设备
KR101203000B1 (ko) 아라미드 필라멘트 수세 및 건조 방법
KR101562080B1 (ko) 방사용 응고장치
WO2016086821A1 (zh) 弹性纤维干法纺丝用控温箱
KR101544617B1 (ko) 방사팩 및 그를 이용한 방사 방법 및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1192918B1 (ko)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95296B1 (ko) 흡입 및 분사를 위한 다중 방사 노즐 장치 및 방법
KR101489408B1 (ko) 컨디셔닝부를 구비한 건식 방사장치
CN211713264U (zh) 基于溶液纺丝技术的纺丝系统及纺丝设备
CN211713265U (zh) 一种基于溶液纺丝技术的纺丝组件及纺丝设备
JP4053471B2 (ja) 乾湿式紡糸用口金
KR101506662B1 (ko) 컨디셔닝부를 구비한 건식 방사장치
CN205258678U (zh) 一种化纤生产过程中的化纤丝冷却装置
KR101536435B1 (ko) 비직선형 경로를 갖는 건식 방사장치
KR102394145B1 (ko) 섬유 방사 장치
KR101975889B1 (ko) 합성섬유 방사구금
JP2013000619A (ja) 多孔質中空糸膜の製造方法
CN110735189A (zh) 一种基于溶液纺丝技术的纺丝组件及纺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