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015B1 -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015B1
KR101577015B1 KR1020140053347A KR20140053347A KR101577015B1 KR 101577015 B1 KR101577015 B1 KR 101577015B1 KR 1020140053347 A KR1020140053347 A KR 1020140053347A KR 20140053347 A KR20140053347 A KR 20140053347A KR 101577015 B1 KR101577015 B1 KR 10157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dering pattern
state
data
sensor
shape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466A (ko
Inventor
문두환
박찬석
차무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01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로부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기 상태 결정부;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렌더링 패턴 생성부;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QUIPMENT EMPLOYING CONDITION-BASED 3D RENDERING}
본 발명은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의 형태나 구조를 3차원으로 형상화하는 3D 모델링은 기기의 설계 및 제작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설계 단계에서 모델링을 통해 구현한 기기의 형상 및 구조는 제작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렌더링은 2차원의 화상에 광원, 위치, 색상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사물의 3차원 화상을 사실적으로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렌더링은 평면적으로 보이는 물체에 그림자나 농도의 변화를 주어 입체감을 표현하고 사실감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렌더링 역시 기기의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영화나 광고 등에서도 특수 효과 연출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의 3D 형상 모델과 렌더링을 이용하여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방법 그리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기기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로부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기 상태 결정부;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렌더링 패턴 생성부;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기에 장착되거나 상기 기기의 주변에 설치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를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처리하여 기 설정된 시각의 순간값,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값, 및 기 설정된 시각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간은: 상기 기기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상기 기기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기기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기기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을 좁히거나 상기 비정상 구간을 넓힐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기기의 상태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올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올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불러온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은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벨을 가지며,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상기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기기를 계측하는 센서가 다수인 경우,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각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각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파라미터가 둘 이상인 경우, 각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상기 3D 형상 모델에 중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센서 데이터 처리부, 기기 상태 결정부, 렌더링 패턴 생성부, 전처리부 및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가 기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기를 계측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반영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기기의 상태가 반영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기 상태 결정부;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렌더링 패턴 생성부;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파악된 기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간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정된 데이터 구간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의 일 예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레벨을 갖는 렌더링 패턴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3D 형상 모델의 일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센서(21),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21)는 기기(20)를 계측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1)는 상기 기기(20) 내에 설치되거나, 상기 기기(20) 상에 탑재되거나, 상기 기기(20)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기기(20)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센서(2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기기(20)의 계측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2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21)는 상기 기기(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상기 기기(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20)의 계측에 사용되는 센서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센서(21)가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기(20)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파악한 뒤,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렌더링 패턴을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기(20)의 상태가 반영된 3D 형상 모델은 상기 디스플레이(30)로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렌더링된 3D 형상 모델을 확인함으로써 기기(20)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 기기 상태 결정부(120),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 전처리부(140) 및 그래픽 가시화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는 프로세서, 예컨대 CPU, GPU 등으로 구성되며, 기기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 장치로부터 불러와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기(20)의 상태가 반영된 3D 형상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센서(21)로부터 기기(20)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가시화부(150)는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기기(20)에 장착되거나 상기 기기(20)의 주변에 설치된 상기 센서(21)로부터 기기(20)를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센서(21)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데이터 전달에 소정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21)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는 예시적으로 시간에 따른 압력 파라미터 P의 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파라미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압력 외에 온도, 전력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압력 센서로부터 기기(2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규칙적으로 입력받거나, 불규칙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21)로부터 입력되는 파라미터의 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산적으로 변할 수도 있으며, 수치적으로 표현되는 것 외에 온 또는 오프처럼 이진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처리하여 기 설정된 시각의 순간값,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값, 및 기 설정된 시각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기기(20)의 내부 압력에 대한 로(raw)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각 t1, t2 또는 t3에서의 순간 압력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기기(20)의 내부 압력에 대한 로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T 동안의 평균 압력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기기(20)의 내부 압력에 대한 로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각 t1, t2 또는 t3에서의 압력 변화율(즉, 도 3에 도시된 압력 곡선의 기울기)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입력받은 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파라미터의 순간값, 평균값 및 변화율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가 로 데이터로부터 얻는 데이터는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값들이 도출될 수도 있다.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20)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가 처리하여 얻은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구간은 상기 기기(20)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상기 기기(20)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간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간은 정상 구간과 그 외의 비정상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정상 구간은 주의 구간 및 위험 구간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간 세분화는 정상 구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예컨대, 제 1 정상 구간, 제 2 정상 구간 등).
상기 구간들은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20)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상 구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인 P2 및 P3는 상기 기기(20)의 설계 또는 제작 시 작성된 설계도 또는 사용 매뉴얼에 기재된 기기의 사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간은 해당 기기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에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20)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상 구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인 P2 및 P3는 상기 기기(20)의 시험, 조정 또는 수리에 의해 결정된 기기의 사양일 수 있다.
비록, 상기 기기(20)의 설계 및 제작 시에는 정상 구간의 하한 및 상한에 해당하는 값이 P2 및 P3보다 더 작거나 클 수 있으나, 상기 기기(20)의 수리 등으로 인해 상기 하한 및 상기 상한에 해당하는 값이 변경된 경우(예컨대, 제작할 때와 다른 부품으로 교체한 경우), 상기 변경된 값을 기준으로 정상 구간이 재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간은 기기(20)의 설계 및 제작 정보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기기(20)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정된 데이터 구간의 일 예이다.
상기 기기(20)가 제작되거나 수리된 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기(20)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성능, 내구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기기(20)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기기(20)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 구간을 좁히거나 비정상 구간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데이터 구간의 폭을 조절하는 것 외에 데이터 구간의 폭은 그대로 유지하되 상한 및 하한을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의 일 예이다.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는 기기(20)의 상태들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렌더링 패턴을 템플릿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는 기기(20)의 정상 상태에 매칭된 정상 상태 렌더링 패턴, 주의 상태에 매칭된 주의 상태 렌더링 패턴, 및 위험 상태에 매칭된 위험 상태 렌더링 패턴을 사전에 제작된 템플릿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는 HDD, SSD 등과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매칭되는 렌더링 패턴을 선택하여 불러올 수 있다.
기기(20)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이 사전에 제작되어 사용되는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불러온 기본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제공받은 기기(20)의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을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의 일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는 기기(20)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이 아닌, 서로 다른 종류의 렌더링 패턴, 예컨대 등고선 렌더링 패턴,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 및 특수 효과 렌더링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렌더링 패턴은 상기 센서(21)에 의해 계측되는 각종 파라미터에 매칭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고선 렌더링 패턴은 온도 파라미터에 매칭되고, 상기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은 압력 파라미터에 매칭되고, 상기 특수 효과 렌더링 패턴은 가스 누설량에 대한 파라미터에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센서(21)에 의해 제공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을 불러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로부터 압력 파라미터 P에 관한 값을 받는 경우,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렌더링 패턴들 중에서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선택하여 불러올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불러온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은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레벨을 갖는 렌더링 패턴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등고선 렌더링 패턴은 온도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 예컨대 정상 구간, 주의 구간 및 위험 구간에 대응하는 세 개의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레벨 1은 정상 구간에 대응하며, 레벨 2는 주의 구간에 대응하며, 레벨 3은 위험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온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온도 파라미터의 값이 주의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주의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 2로 상기 등고선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은 압력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 예컨대 정상 구간, 주의 구간 및 위험 구간에 대응하는 세 개의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압력 센서로부터 제공된 압력 파라미터의 값이 위험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위험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 3으로 상기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특수 효과 렌더링 패턴은 가스 누설량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 예컨대 주의 구간 및 위험 구간에 대응하는 두 개의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가스 센서로부터 제공된 가스 누설량 파라미터의 값이 위험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위험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 2로 상기 특수 효과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는 센서(21)에 의해 제공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와 해당 파라미터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렌더링 패턴을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상기 생성된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킴으로써 상기 3D 형상 모델에 렌더링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20)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3D 형상 모델의 일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기기(20)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용기로서, 유입 배관(201)을 통해 본체(202)로 유체가 유입되어 압력이 조절된 후, 유출 배관(203)을 통해 상기 본체(202)로부터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압력 용기의 본체(202)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로 내부 압력 값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 압력 값이 정상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압력 용기는 정상 상태로 유지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압력 용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센서(21)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기기(20)의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202)에 설치된 압력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내부 압력 값이 도 4의 P4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본체(202)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위험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 즉 도 9의 레벨 3에 해당하는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에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계측된 본체(202) 부위에 상기 레벨 3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2) 부위의 형상이 크게 변형된 모습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20)를 계측하는 센서(21)가 다수인 경우,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각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각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기기(2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상기 압력 센서가 본체(202) 뿐만 아니라 유입 배관(201) 및 유출 배관(203)에도 설치되어 각각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각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에 제공하고,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센서에 의해 계측되는 부위인 유입 배관(201), 본체(202) 및 유출 배관(203)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본체(202)에 설치된 압력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내부 압력 값이 도 4의 P4를 초과하고, 상기 유출 배관(203)에 설치된 압력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내부 압력 값이 도 4의 P3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상기 본체(202)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유출 배관(203)의 상태를 주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상기 위험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인 레벨 3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과, 상기 주의 상태에 대응하는 렌더링 패턴인 레벨 2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뒤,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에서 상기 본체(202) 부위에 상기 레벨 3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키고, 상기 유출 배관(203) 부위에 상기 레벨 2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2) 부위와 유출 배관(203) 부위의 형상이 함께 변형된 모습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부(14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가 둘 이상인 경우, 각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상기 3D 형상 모델에 중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태가 반영된 기기(2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3D 형상 모델이다.
상기 압력 용기에 압력 센서뿐만 아니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가스 누설량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가 더 제공된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110)는 총 3 개의 파라미터들, 즉 압력 파라미터, 온도 파라미터 및 가스 누설량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120)는 각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압력 용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각 파라미터에 관하여 결정된 압력 용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2)의 내부 압력이 위험 상태로 결정되고, 온도가 위험 상태로 결정되고, 가스 누설량이 위험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130)는 압력 파라미터에 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레벨 3의 형상 변형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고, 온도 파라미터에 관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레벨 3의 등고선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고, 가스 누설량에 관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레벨 2의 특수 효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전처리부(140)는 각 파라미터에 관한 렌더링 패턴을 상기3D 형상 모델에 중첩하여 정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력 용기의 3D 형상 모델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2) 부위의 팽창과 함께 등고선이 표시되고 연기와 같은 특수 효과가 추가된 모습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가시화부(150)는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을 그래픽으로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가시화부(150)는 그래픽 가시화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3D 형상 모델을 2차원 화면에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20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기기 모니터링 방법(2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장치(100)에 의해 실행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기기 모니터링 방법(200)은, 센서(21)로부터 기기(20)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S210),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20),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230),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S240),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21)로부터 기기(20)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S210)는, 상기 기기(20)에 장착되거나 상기 기기(20)의 주변에 설치된 상기 센서(21)로부터 상기 기기(20)를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21)로부터 기기(20)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S21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21)로부터 기기(20)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S210)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처리하여 기 설정된 시각의 순간값,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값, 및 기 설정된 시각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2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20)의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간은 기기(20)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기기(20)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20)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20)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기(20)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20)는, 기기(20)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20)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을 좁히거나 상기 비정상 구간을 넓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230)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230)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기(20)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230)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불러온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 패턴은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을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S240)는,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상기 센서(21)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상기 렌더링 패턴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을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S240)는, 상기 기기(20)를 계측하는 센서(21)가 다수인 경우,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각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각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렌더링 패턴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더링 패턴을 기기(20)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S240)는, 상기 센서(21)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가 둘 이상인 경우, 각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상기 3D 형상 모델에 중첩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2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20: 기기
21: 센서
30: 디스플레이
100: 기기 모니터링 장치
110: 센서 데이터 처리부
120: 기기 상태 결정부
130: 렌더링 패턴 생성부
140: 전처리부
150: 그래픽 가시화부
200: 기기 모니터링 방법
201: 유입 배관
202: 본체
203: 유출 배관

Claims (20)

  1. 센서로부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기 상태 결정부;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렌더링 패턴 생성부;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의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은:
    상기 기기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상기 기기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기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기에 장착되거나 상기 기기의 주변에 설치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를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파라미터의 값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입력받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입력받은 파라미터의 값을 처리하여 기 설정된 시각의 순간값,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평균값, 및 기 설정된 시각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기기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기기의 제작 또는 유지 보수 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정상 구간을 좁히거나 상기 비정상 구간을 넓히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기기의 상태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기 저장된 렌더링 패턴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불러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불러온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패턴은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다수의 구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벨을 가지며,
    상기 렌더링 패턴 생성부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렌더링 패턴을 변형시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상기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기기를 계측하는 센서가 다수인 경우, 상기 3D 형상 모델에서 각 센서에 의해 계측된 부위에 각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렌더링 패턴을 정합시키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파라미터가 둘 이상인 경우, 각 파라미터에 매칭된 렌더링 패턴을 상기 3D 형상 모델에 중첩하여 적용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18. 센서 데이터 처리부, 기기 상태 결정부, 렌더링 패턴 생성부, 전처리부 및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가 기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의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은:
    상기 기기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상기 기기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기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기 모니터링 방법.
  19. 기기를 계측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계측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반영하는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기기의 상태가 반영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부;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기기 상태 결정부;
    상기 기기의 상태에 따라 렌더링 패턴을 생성하는 렌더링 패턴 생성부;
    상기 렌더링 패턴을 상기 기기의 3D 형상 모델에 적용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렌더링 패턴이 적용된 상기 3D 형상 모델을 가시화하는 그래픽 가시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상태 결정부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간과 비교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구간에 속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상태를 상기 기기의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은:
    상기 기기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정상 구간, 및 상기 기기의 비정상 상태에 대응하는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정상 구간 및 상기 비정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의 설계 정보 및 제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기의 유지 보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20.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8 항에 따른 기기 모니터링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40053347A 2014-05-02 2014-05-02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57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47A KR101577015B1 (ko) 2014-05-02 2014-05-02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47A KR101577015B1 (ko) 2014-05-02 2014-05-02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66A KR20150126466A (ko) 2015-11-12
KR101577015B1 true KR101577015B1 (ko) 2015-12-15

Family

ID=5460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47A KR101577015B1 (ko) 2014-05-02 2014-05-02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2798A4 (en) * 2017-06-20 2020-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ATIONS OF SENSOR 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731A (ja) * 2003-03-14 2004-10-07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画像表示装置
JP2012001074A (ja) * 2010-06-16 2012-01-05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731A (ja) * 2003-03-14 2004-10-07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画像表示装置
JP2012001074A (ja) * 2010-06-16 2012-01-05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66A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281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equipment
EP3296830B1 (en) Plant state displaying apparatus, plant state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plant state
CA3057291C (en) Predictive integrity analysis
Pagani et al. Towards a new definition of areal surface texture parameters on freeform surface
JP6404909B2 (ja) 技術的な系の出力量のモデルを算出する方法
JP4852420B2 (ja) 成型技術における工具およびプロセスの設計
JP7239354B2 (ja) データ分類装置
KR20170053692A (ko) 커널 회귀 모델의 앙상블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582988B (zh) 航空发动机叶片的振动应力监测用应变片位置的确定方法
Dağ et al. The extended cubic B-spline algorithm for a modified regularized long wave equation
KR101577015B1 (ko) 상태 기반 3d 렌더링을 이용한 기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6630046B2 (ja) 疲労限度評価方法および疲労限度評価装置
CN109099877A (zh) 基于天牛须搜索算法的空间圆柱度误差评定方法
CN112228111A (zh) 衬砌混凝土温度控制方法及系统
CN107995943A (zh) 热声前驱波方法和装置
JP6184180B2 (ja) 部品選択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Zhang et al.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CFD uncertainty analysis based on SST k-ω model
CN106442407A (zh) 一种增材制造产品的可靠性验证方法
JP2005208735A (ja) 歯車形状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21005261A (ja) 処理システム監視装置、処理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Bartesaghi et al. Embedded CFD simulation for blood flow
JP2020118094A (ja) 学習装置、浸透率推定システム、学習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865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production lin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production line
US113883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asurable region simulation method
WO2019103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uggestion of additional sensors or inputs from equipment o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