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897B1 -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97B1
KR101576897B1 KR1020150096983A KR20150096983A KR101576897B1 KR 101576897 B1 KR101576897 B1 KR 101576897B1 KR 1020150096983 A KR1020150096983 A KR 1020150096983A KR 20150096983 A KR20150096983 A KR 20150096983A KR 101576897 B1 KR101576897 B1 KR 10157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nsmission
encoding
transmission 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섭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웨이브 filed Critical (주)하이웨이브
Priority to KR102015009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04N21/23655Statistical multiplexing, e.g. by controlling the encoder to alter its bitrate to optimize the bandwidth util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무선 통신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인코딩부; 및 무선 통신부를 통한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고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인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이 외부로 업로딩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EHICLE IMAGE}
본 발명은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의 블랙박스 내지 차량용 CCTV 장치가 보편화되면서, 점차 고사양화 내지 고화질 영상을 처리하고 있다. 차량 블랙박스 내지 차량 CCTV에 내장된 메모리 또는/및 전력 소모 등의 문제로 초기에는 저화질 영상을 제공하였으나, 근래에는 메모리와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는 등으로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단순히 차량 주변 또는 차량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무선통신 기술과 결합되어 차량 블랙박스 내지 차량 CCTV 장치에서 외부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는 기술들이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무선통신망으로 3G 기술인 W-CDMA, 4G 기술인 LTE 등에서 다운로드의 속도는 매우 빠르나 이에 비하여 업로드 속도는 낮다. 특히 업로드 속도가 일정 크기로 제한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은 통신모듈의 업로드 속도가 384Kbps ~ 1Mbps 라고 공개하더라도, 실제 무선통신망은 데이터 분배와 과부하 문제로 10kbps ~ 50kbps로 제한해놓고 있다. 이러한 실제 업로드 속도로는 차량 블랙박스 내지 차량 CCTV에서 획득된 영상과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기에 부족하다.
차량 블랙박스 내지 차량 CCTV의 고화질, 고사양화에 따라, 실제 촬영된 업로드가 진행되더라도 업로드 속도의 한계로 업로드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고화질의 영상을 그대로 외부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사용량이 많아 요금이 많이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7599호 (2011년 9월 27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469호 (2013년 6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결정되는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른 인코딩을 수행하여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무선 통신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인코딩부; 및 무선 통신부를 통한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고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인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이 외부로 업로딩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영상 예정전송률을 비트전송률, 또는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결정하되,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경우 전송될 영상 세그멘트 별로 동일 초당 프레임수를 갖도록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의 초기 인코딩을 제어하고, 초기 인코딩에 따른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인코딩부의 메인 인코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는 제어부의 제어 및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제어부의 제어 및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인코딩부에서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인코딩부에서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논-인코딩 수행된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인코딩부는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제어부는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는: 획득된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받아 영상 프레임에 따라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 영상 분리부에서 분리된 프레임별 영상을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결정화질에 따라 픽셀수를 조정하는 화질 변경부; 및 픽셀수 조정된 프레임별 영상을 병합하여 전송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는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프레임수에 따라 프레임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스킵하여 프레임수를 조정하는 프레임 스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무선 통신부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인코딩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획득된 영상 또는 저장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차량 영상 전송장치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하는 이벤트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벤트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의 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인코딩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이벤트 발생시점 기준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저장 영상, 및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획득된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키고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차량 영상 전송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을 포함한 이벤트 상황정보 및 GPS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의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는 전송률 결정단계;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단계; 및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외부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인코딩 단계에서는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기 인코딩을 수행하여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는 초기 인코딩 과정을 수행하고,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초기 인코딩 과정에서는 제어 및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의 결정 이후의 인코딩 단계에서는, 제어 및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전송률 결정단계에서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인코딩 단계에서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된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고,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 단계에서,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인코딩 단계에서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획득된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받아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하는 이벤트신호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이벤트신호 감지단계에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인코딩 단계에서는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저장 영상, 및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획득된 영상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외부 전송단계에서는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키고 동시에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결정되는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른 인코딩을 수행하여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로드 통신환경에 따른 과부하 내지 전송 끊김없이 원활한 영상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의 인코딩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의 인코딩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8은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의 영상 전송 방법에 해당되므로, 도 5 내지 8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함에 있어서 참조될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100, 100a, 100b)는 무선 통신부(110), 인코딩부(130, 130a, 130b)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100a)는 이벤트신호 감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100b)는 GPS 수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저장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차량 영상 전송 장치(100, 100a, 100b)의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200)로 업로딩시킨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3G, 4G, 5G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200)와 무선통신한다. 즉, 무선 통신부(110)에서의 외부(200)와의 무선 통신은 현재 일반적인 3G 데이터 통신(W-CDMA 통신)이나 4G LTE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상용화되거나 또는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되어 구현될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200a)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200a)는 일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예컨대 외부의 모바일 단말(200b)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0b)은 스마트폰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무선 통신부(110)는 3G, 4G, 5G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외에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는 예컨대 차량 내 등의 모바일 단말이나 기타 다른 전자 기기들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에서,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만을 수행하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된 예컨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예컨대 외부 서버(200a)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영상 전송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을 통한 외부 서버(200a)로의 연결 또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차량의 차량 영상 전송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데이터, 예컨대 전송 영상을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3G, 4G, 5G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200a)로 중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와 무선 통신 연결되는 외부 서버(200a)는 PC 등과 같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0b)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200a)로 제공된 전송 영상이 PC 등과 같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0b)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외부 서버(200a)와 접속된 PC 등과 같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0b)에서 차량영상을 전송요청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200a)는 PC 등과 같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0b)의 전송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차량 영상 전송장치의 무선 통신부(110)로 차량영상 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200a)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200b)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다음에 설명될 제어부(150)에서 인코딩부(130, 130a, 130b) 및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획득된 영상 또는 저장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외부 서버(200a)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200b)에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로 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200b), 예컨대 스마트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정된 외부 서버(200a),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접속하고, 접속에 따라 외부 모바일 단말(200b)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외부 서버(200a)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영상 전송장치(100a), 예컨대 차량 블랙박스 내지 차량 CCTV장치 등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외부 모바일 단말(200b)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가 외부 서버(200a)를 거쳐 차량영상 전송장치(100a)의 무선 통신부(110)로 제공된다. 이때, 차량영상 전송장치(100a)는 무선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b)은 외부 서버(200a)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무선 통신부(110)으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b)은 외부 서버(200a)를 경유하여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부(110)으로 제공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200a)를 경유하거나 외부 서버(200a)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부(1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후술되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업로드 전송한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업로드 시킨다. 이때, 외부 서버(200a),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에 업로드 저장된 영상은 외부 서버(200a)에 접속한 다른 컴퓨터 또는 모바일 단말(200b), 예컨대 스마트폰 등에서 확인하거나 전송을 요청하여 받아 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0b)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외부 서버(200a)로 영상을 전송 요청하고 다운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인코딩된 전송 영상이 업로딩되는 경우, 업로딩 전에 전송파일에 대한 암호화 작업이 수행된 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업로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4b를 참조하여 인코딩부(130, 130a, 130b)를 살펴본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이하, '획득 영상') 또는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인코딩한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을 수행하므로, 획득 영상 또는 획득 영상의 저장 영상이 인코딩부(130, 130a, 130b)로 제공되며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 또는 업로딩 대상 소스가 된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을 제공받는다. 즉,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 영상을 제공받거나 획득 영상의 저장 영상을 제공받는다. 이때, 획득 영상의 저장 영상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영상저장부(1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영상저장부(120)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에 내장된 메모리이거나 착탈가능한 메모리, 예컨대 SD카드메모리 또는 USB메모리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 영상을 제공받거나 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즉 획득 영상의 저장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되는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획득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인코딩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영상의 화질은 영상프레임당 픽셀수 및 초당 프레임수에 의해 정해진다. 이때,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영상프레임당 픽셀수, 초당 프레임수 또는 양자 모두를 조정하여 영상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근래에 차량 카메라로 획득되는 영상들이 HD급 이상, 예컨대 FHD급 화질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화질 영상들은 무선 통신망을 통한 업로딩 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데이터 통신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특히 무선통신망이 과부하되는 경우 제대로 전송되지 않고 끊길 우려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같이 외부(200)로의 업로딩 상태에 따라 영상 화질을 다운시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즉, 본 구성인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업로딩상태에 따른 적절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받은 획득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인코딩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는데, 예컨대, 이때, 영상 예정 전송률은 비트전송률이나 또는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설정된 전송률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영상 예정 전송률이 비트전송률인 경우, 인코딩부(130, 130a)는 비트전송률에 따라, 제공받는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를 고려하여 화질을 예컨대 다운그레이드 인코딩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당 출력 픽셀수를 낮게 인코딩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예에서, 영상 예정 전송률이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를 포함하는 전송률인 경우, 인코딩부(130, 130a)는 정해진 픽셀수에 따라 영상 화질을 예컨대 다운그레이드 인코딩시킬 수 있다. 또는, 인코딩부(130, 130b)는 제공받는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보다 출력되는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가 작도록 프레임 스킵을 통해 영상 화질을 다운그레이드 인코딩시킬 수 있다. 또는, 인코딩부(130, 130b)는 초당 프레임수를 프렘 스킵을 통해 조정하고 프레임당 픽셀수를 다운그레이드시켜 다운그레이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초기 인코딩을 수행하거나 논(non)-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초기 인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때, 초기 인코딩은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수행되는 인코딩이다. 예컨대, 제어부(150)에서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기 인코딩을 수행한다.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초기 인코딩은 제어부(150)에서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사전 인코딩이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의 제어 및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더미 영상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영상저장부(120)로부터 별도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초기 인코딩에 따라 제어부(150)에서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이 결정되는 경우,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의 제어 및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 수행되는 경우에,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시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 전체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한편,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 전체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6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논(non)-인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때, 제어부(150)에서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논(non)-인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논(non)-인코딩에 따른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라 제어부(150)가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면,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전송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 수행되는 경우에,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고,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되는 경우에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에서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영상 분리부(131), 화질 변경부(133) 및 영상 병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130b)는 프레임 스킵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영상 분리부(131)는 획득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제공받아 영상 프레임에 따라 영상을 분리한다. 예컨대, 초당 프레임수가 예컨대 24f 또는 30f인 영상을 제공받아 1 프레임씩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분리부(131)는 제공받은 영상을 프레임별로 캡쳐하는 프레임 그래버와 캡쳐된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화질 변경부(133)는 영상 분리부(131)에서 분리된 프레임별 영상을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결정화질에 따라 픽셀수, 즉 영상프레임당 픽셀수를 조정한다. 예컨대, 화질 변경부(133)는 예컨대, FHD급 화질을 HD급 또는 SD급으로, HD급 화질을 SD급으로 각각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때, 가로x세로 화면비율을 유지한 채, 예컨대, 1920x1080 픽셀의 프레임 영상을 1280x720 픽셀 또는 960x540 픽셀 프레임 영상으로, 1280x720 픽셀 프레임 영상을 960x540 픽셀 또는 640x360 픽셀 영상으로 픽셀화질을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이때, 픽셀의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다른 예에서, FHD급 또는 HD급 화질을 HD급 또는 SD급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경우 가로x세로 화면비율 변경하며 다운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영상 병합부(135)는 픽셀수 조정된 프레임별 영상을 병합하여 전송 영상을 출력한다. 예컨대, 영상 병합부(135)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영상을 무선 통신부(110)로 스트리밍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10)는 전송 영상을 받아 패킷신호로 무선 전송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영상 병합부(135)는 병합시킨 영상을 영상 압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인코딩부(130b)는 프레임 스킵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스킵부(134)는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프레임수에 따라 프레임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스킵하여 프레임수를 조정한다. 즉, 프레임 스킵부(134)는 영상 예정전송률에 포함된 프레임수에 따라 프레임별 영상을 스킵하며 초당 프레임수를 조절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 스킵부는 영상 분리부(131)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들 중 설정에 따라 예컨대 설정 간격으로 프레임을 스킵시켜 영상 예정전송률에 포함된 초당 프레임수에 따른 프레임 영상들만 화질 변경부(133)로 전송시킬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스킵부(134)는 영상 분리부(131)를 거쳐 화질 변경부(133)에서 영상 화질 조정되어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들 중 예컨대 설정 간격으로 프레임을 스킵시켜(건너뛰어) 영상 예정전송률에 포함된 초당 프레임수에 따른 프레임 영상들만 영상 병합부(135)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어부(150)를 살펴본다.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외부(200)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이 외부(200)로 업로딩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에서 외부(200)로의 업로드 통신상태의 확인은 업로드 진행 중인 경우 실시간 확인한다.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150)는 주기적으로 외부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주기적으로 더미신호를 외부로 업로드시키며 실제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의 무선통신망은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는 매우 빠르나 업로드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나아가 업로드 시 데이터 분배와 과부하 문제로 실제 속도는 10kbps ~ 50kbps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 공시된 업로드 속도보다도 낮다. 이러한 업로드 속도로는 예컨대 고화질 영상과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 업로드하기에는 부족하다. 업로드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데이터 사용량이 많아 요금이 많이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업로드 상태에 따라 실시간 전송 데이터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 예정전송률을 비트전송률, 또는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결정한다. 예컨대,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전송될 영상 세그멘트 별로 동일 초당 프레임수를 갖도록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 이때, 영상 세그멘트란 물리적으로 분리된 영상 파일 단위를 말한다. 즉, 하나의 영상 파일이 전송되는 동안 동일 프레임 수로 무선 전송되도록 동일한 초당 프레임수를 포함한 영상 예상전송률이 결정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거나 또는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의 결정없이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의 논(non)-인코딩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추가로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라, 제어부(150)가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제어부(150)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초기 인코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은 이후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초기 인코딩 제어에 이용된다. 제어부(150)는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초기 인코딩에 따른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메인 인코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부(130, 130a, 130b)의 메인 인코딩을 거쳐 출력되는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라, 제어부(150)는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상태가 부하 상태가 되지 않으면서 최적의 전송이 가능한 범위인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가 부하상태인 경우 설정 단계별로 다운(down)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가 부하상태인지 여부는 실제 업로드 속도와 업로드되는 전송 영상의 프레임수 및 프레임당 픽셀수로부터 얻어지는 예정 업로드속도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의 실제 업로드 속도가 예정 업로드속도보다 예컨대 설정범위 이상으로 작은 경우 부하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영상 예상전송률의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는 프레임수 고정 시 픽셀화질 면에서 예시적으로 FHD급, HD급, SD급 등 각각에 상응하는 영상 예상전송률로, 예컨대, 1920x1080 픽셀, 1280x720 픽셀, 960x540 픽셀, 640x360픽셀 등 각각에 상응하는 영상 예상전송률로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가로x세로 화면비율을 유지한 채 픽셀수에 상응하는 영상 예상전송률을 단계별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가로x세로 화면비율을 변경시키며 픽셀수에 상응하는 영상 예상전송률을 단계별 다운그레이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 영상 예상전송률의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는 프레임수 면에서 예시적으로 30f, 24f 등으로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될 수 있다. 또는, 또 하나의 예에서, 영상 예상전송률의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는 전술한 픽셀화질 및 프레임수를 고려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이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 결정을 반복하며 전송 영상의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단계별 설정된 영상 예상전송률, 예컨대 설정된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150)는 실제 업로드 통신상태가 부하상태인 경우 설정 단계별로 다운(down)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업로드 통신상태가 여유상태인 경우 설정 단계별로 업(up)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영상 예상전송률 결정을 반복하며 전송 영상의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단계별 설정된 영상 예상전송률, 예컨대 설정된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영상의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라 함은 하나의 영상 세그멘트가 전송되는 동안의 실시간 업로드 상태를 말한다. 이때, 업로드 통신상태가 여유상태인지 여부는 현재의 실제 업로드 속도가 예정 업로드속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실제 업로드 속도가 예정 업로드속도보다 예컨대 설정범위 이상으로 큰 경우 여유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설정범위는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의 증가폭을 고려하여, 예컨대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의 증가폭에 따른 예정 업로드속도 증가폭에 상당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업로드 통신상태의 주기적 확인 또는 설정된 시간에서의 확인을 통하여 설정범위 이상의 실제 업로드 전송률이 확인되는 경우, 예컨대 도 2 및 3의 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고화질 영상, 예컨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되어 영상화질의 다운이 없는 고화질 영상을 화질 다운그레이드 없이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예컨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점 이전 소정기간을 포함한 이벤트 영상을 이벤트 발생시점의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이벤트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되어 영상화질의 다운이 없는 고화질의 이벤트 영상을 도 2 및 3의 영상저장부(120)에 저장시키고, 차후에 업로드 통신상태의 주기적 확인 또는 설정된 시간에서의 확인을 통하여 설정범위 이상의 실제 업로드 전송률이 확인되는 경우, 화질의 다운이 없는 고화질의 이벤트 영상을 화질 다운그레이드 없이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벤트 영상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되어 전송되는 것과 차후에 화질의 다운 없이 전송되는 것으로, 2회에 반복하여 다른 화질로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영상은 추돌, 충돌 등의 사고 이벤트 뿐만 아니라 파손, 손괘, 도난 등의 이벤트 영상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2회에 반복된 각기 다른 화질로의 외부 전송은 이벤트 영상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200a)나 외부 모바일 단말(200b)에서 요청되는 영상의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각기 다른 화질로 2회 반복하여 영상을 외부 전송하는 경우는 예컨대, 실시간 업로드 상태에 따라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이 설정범위보다 낮아, 추가적으로 고화질 영상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150)는 이벤트 발생 시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외부(200)로부터의 차량영상 전송요청 시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해당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된 전송 영상을 업로딩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별도로 주기적인 업로드 통신상태 확인에 따라 설정범위 이상의 전송률이 확인되는 경우 이전에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하여 전송된 영상에 관한 인코딩 수행 전 저장된 영상파일을 화질 저하없이 다시 외부, 예컨대 외부 서버(200a)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라,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에서의 논(non)-인코딩 제어 동작을 살펴본다. 이때,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는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논(non)-인코딩이 수행되어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논-인코딩 수행된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는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150)는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 예컨대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추가로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외부 서버(200a)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200b)로부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인코딩부(130, 130a, 130b) 및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획득 영상 또는 저장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가 실시간 영상에 관한 경우라면, 제어부(150)는 차량 카메라로부터 인코딩부(130, 130a, 130b)로 제공되는 실시간 획득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되도록 제어하고,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가 예컨대 도 2 및 3의 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에 대한 것이라면, 제어부(150)는 저장 영상을 제공받아 인코딩하도록 제어하고 인코딩된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장치들(100a, 100b)을 살펴본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차량 영상 전송장치(100a, 100b)는 이벤트신호 감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신호 감지부(140)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한다. 예컨대, 차량에 가해진 충격은 충격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고, 에어백 전개는 에어백 전개신호를 수신하여 감지하거나 에어백 전개 후 방출되는 가스를 감지하거나 또는 방출된 가스에 따른 차량 내 공기 성분의 비율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신호 감지부(140)는 추돌, 충돌 등의 사고 또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이벤트신호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송되어 제어부(150)에서 예컨대 해당 감지신호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로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도 8을 추가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이벤트신호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신호의 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인코딩부(130, 130a, 130b) 및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이벤트 발생시점 기준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저장 영상, 및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획득된 영상에 대한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시킬 수 있다. 이때, 이벤트 발생시점 기준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이란 예컨대 이벤트 발생시점 기준 5초 내지 10초 등 설정된 시간 동안 별도 버퍼장치에 버퍼링되거나 도 2 및 3의 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을 말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이벤트 발생 시 전송 영상과 함께 또는 별도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패킷신호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벤트신호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신호의 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b)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서버(200a)로 전송되는 이벤트 정보 또는/및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b)로 전송되는 이벤트 메시지는 이벤트 발생 시간을 포함한 이벤트 상황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정보는 후술되는 GPS 신호로부터 얻거나 차량 내 내비게이션 등으로부터 얻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송수신 신호로부터 산출되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송 영상과 함께 또는 별도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패킷신호를 수신한 외부 서버(200a)는 이벤트 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b)로 전송하거나 수신된 이벤트 정보 자체를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차량 영상 전송장치(100b)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6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50)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을 포함한 이벤트 상황정보 및 GPS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장문 메시지(MMS)일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200b)에서는 차량영상 전송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 및/또는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하나의 모습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장치의 실시예들 및 도 1 내지 4b가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에 다른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의 실시예들에서 구현되는 영상 전송방법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영상 전송방법의 구체적 동작들은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실시예들에 언급된 설명들을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은 전송률 결정단계(S100, S100a, S100b, S101, S103), 인코딩 단계(S300, S300a, S300b, S301, S303) 및 외부 전송단계(S500, S5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는 번호에 따른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단계 또는 과정과 구분짓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은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은 이벤트신호 감지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 내지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전송률 결정단계(S100, S100a, S100b, S101, S103)를 살펴본다. 전송률 결정단계(S100, S100a, S100b, S101, S103)에서는,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의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한다. 예컨대, 본 전송률 결정단계(S100, S100a, S100b, S101, S103)는 도 1 내지 3의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제어부(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제어부(150)에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각각의 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6a에 따르면, 전송률 결정단계(S100a)에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110a) 인코딩 단계(S300a)에서 초기 인코딩 과정이 수행되나(S310a), 반면 도 6b에 따르면, 전송률 결정단계(S100b)에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110b) 다만 인코딩 단계(S300b)에서 논(non)-인코딩 과정이 수행된다(S310b).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전송률 결정단계(S100a)에서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S110a).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이 결정되면, 인코딩 단계(S300a)에서는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기 인코딩을 수행하여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는 초기 인코딩 과정(S310a)이 수행된다.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가 이루어지면, 다시 전송률 결정단계(S100a)에서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S120a).
예컨대, 이때,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초기 인코딩 과정(S310a)에서는 제어 및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소스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의 결정 이후의 인코딩 단계(S300a)에서는, 제어 및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S320a). 또한,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전송률 결정단계(S100a)에서는,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예상전송률, 예컨대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S130a).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라, 인코딩 단계(S300b)에서 논(non)-인코딩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송률 결정단계(S100b)에서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S110b)에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의 결정없이 인코딩 단계(S300b)로 넘어간다. 인코딩 단계(S300b)에서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되어 초기 전송 영상이 출력된다(S310b). 이에 따라,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라 다시 전송률 결정단계(S100b)에서는,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S120b). 이때, 결정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 단계(S300b)에서,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전송 영상으로 출력한다(S320b). 계속하여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전송률 결정단계(S100b)에서는,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영상 예상전송률, 예컨대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S130b).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전송률 결정단계(S100)에서는, 외부 전송단계(S500)에서의 업로딩에 따른 업로드 통신상태가 부하상태인 경우 설정 단계별로 다운(down)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업로드 통신상태가 여유상태인 경우 설정 단계별로 업(up)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되,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상전송률 결정을 반복하며 외부 전송단계(S500)에서의 전송 영상의 실시간 업로딩 상태에 따른 단계별 설정된 영상 예상전송률, 예컨대 최적 범위의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인코딩 단계(S300, S300a, S300b, S301, S303)를 살펴본다. 인코딩 단계(S300, S300a, S300b, S301, S303)에서는,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이하, '획득 영상') 또는 획득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전송률 결정단계(S100, S100a, S100b, S101, S103)에서 결정된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본 인코딩 단계(S300, S300a, S300b, S301, S303)는 도 1 내지 3의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인코딩부(130, 130a, 130b)에서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외부 전송단계(S500, S503)를 살펴본다. 외부 전송단계(S500, S503)에서는 인코딩 단계(S300, S300a, S300b, S301, S303)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업로딩시킨다. 예컨대, 본 외부 전송단계(S500, S503)는 도 1 내지 3의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의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에서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인코딩된 영상의 업로딩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방법을 살펴본다. 이때,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S10)에서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200a)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200b)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전송률 결정단계(S101)에서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서버(200a)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 계속하여, 인코딩 단계(S301)에서는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획득된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을 받아 인코딩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 100a, 100b)에서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차량 영상 전송 방법은 이벤트신호 감지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신호 감지단계(S30)에서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한다. 이때, 전송률 결정단계(S103)에서는 이벤트신호 감지단계(S30)에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서버(200a)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인코딩 단계(S303)에서는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저장 영상, 및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여 출력한다. 계속하여, 외부 전송단계(S500)에서는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200a)로 업로딩시키고, 동시에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영상 전송장치(100a, 100b)에서의 이벤트신호 감지부(140)에서 신호 감지에 따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도 8의 이벤트신호 감지단계(S30)에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또는 도 7의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S10)에서의 외부(200)로부터의 차량영상 전송요청 시, 전송률 결정단계(S101, S103)에서 실시간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 예컨대 단계별 다운그레이드를 통한 반복으로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코딩 단계(S301, S303) 및 외부 전송단계(S500, S503)에서 해당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인코딩된 전송 영상을 업로딩하되, 이와 별도로 주기적인 업로드 통신상태 확인에 따라 설정범위 이상의 전송률이 확인되는 경우 기존에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인코딩하여 전송된 영상의 인코딩 미수행된 저장된 영상파일을 화질 저하없이 다시 외부(200), 예컨대 외부 서버(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0, 100a, 100b: 차량영상 전송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영상저장부
130, 130a, 130b: 인코딩부 131: 영상분리부
133: 화질 변경부 134: 프레임 스킵부
135: 영상병합부 140: 이벤트신호 감지부
150: 제어부 160: GPS 수신부
200: 외부 200a: 외부 서버
200b: 모바일 단말

Claims (16)

  1.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무선 통신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하기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상기 인코딩부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상기 인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송 영상이 외부로 업로딩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을 비트전송률, 또는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결정하되, 상기 초당 프레임수와 픽셀수로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경우 전송될 영상 세그멘트 별로 동일 초당 프레임수를 갖도록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2. 삭제
  3.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무선 통신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하기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상기 인코딩부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상기 인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송 영상이 외부로 업로딩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여 상기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상기 인코딩부의 초기 인코딩을 제어하고, 상기 초기 인코딩에 따른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인코딩부의 메인 인코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및 상기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상기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및 상기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상기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상기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상기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5. 외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전송 영상을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무선 통신부;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하기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라 상기 인코딩부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상기 인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송 영상이 외부로 업로딩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코딩부에서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상기 인코딩부에서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논-인코딩 수행된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인코딩부는 결정된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상기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상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6. 청구항 1, 3, 4,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저장 영상을 받아 영상 프레임에 따라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 상기 영상 분리부에서 분리된 프레임별 영상을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결정화질에 따라 픽셀수를 조정하는 화질 변경부; 및 상기 픽셀수 조정된 상기 프레임별 영상을 병합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영상 예정전송률에 따른 프레임수에 따라 상기 프레임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스킵하여 프레임수를 조정하는 프레임 스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8. 청구항 1, 3, 4, 5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인코딩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저장 영상에 대한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9. 청구항 1, 3, 4, 5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차량 영상 전송장치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하는 이벤트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의 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인코딩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기준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상기 저장 영상,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상기 획득된 영상에 대한 상기 전송 영상을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키고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차량 영상 전송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을 포함한 이벤트 상황정보 및 상기 GPS 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장치.
  11.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의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는 전송률 결정단계;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상기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외부 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설정에 따라 최근 또는 동시간대 업로드 통신상태를 기준으로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상기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초기 인코딩을 수행하여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는 초기 인코딩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서,
    상기 초기 인코딩 과정에서는 제어 및 상기 초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초기 인코딩하여 상기 초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의 결정 이후의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제어 및 상기 메인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상기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상기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메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메인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
  14.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의 외부로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에 따라 영상 예정전송률을 결정하는 전송률 결정단계;
    차량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저장 영상을 받아 상기 영상 예정 전송률에 따라 영상을 인코딩하여 화질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로 업로딩시키는 외부 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 현재의 업로드 통신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제공받은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의 초반부 영상 또는 별도 제공받은 더미 영상에 대해 논(non)-인코딩이 수행된 초기 전송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초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에 따라,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 상기 초반부 이후의 소스영상 또는 제공받은 상기 업로딩 대상 소스영상에 대해 인코딩하여 상기 전송 영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에 따른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전송 영상의 업로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설정 단계별 상기 영상 예상전송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
  15. 청구항 11, 13, 1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모바일단말로부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전송요청신호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상기 외부 서버로의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영상 전송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획득된 영상 또는 상기 저장 영상을 받아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
  16. 청구항 11, 13, 14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차량 영상 전송방법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전개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하는 이벤트신호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률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이벤트신호 감지단계에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외부 서버로의 상기 업로드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는 상기 감지결과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설정시간 동안의 버퍼링 영상 또는 상기 저장 영상, 및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이후 실시간 상기 획득된 영상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인코딩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외부 서버로 업로딩시키고 동시에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전송방법.
KR1020150096983A 2015-07-08 2015-07-08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57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83A KR101576897B1 (ko) 2015-07-08 2015-07-08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83A KR101576897B1 (ko) 2015-07-08 2015-07-08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897B1 true KR101576897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983A KR101576897B1 (ko) 2015-07-08 2015-07-08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71087A1 (en) * 2019-06-10 2019-12-05 Lg Electronics Inc. Vehicle device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for collecting learning data and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758A (ja) 2000-10-20 2002-05-10 Yazaki Corp 車載用映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車載用映像データ受信装置、車載用映像データ送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758A (ja) 2000-10-20 2002-05-10 Yazaki Corp 車載用映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車載用映像データ受信装置、車載用映像データ送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71087A1 (en) * 2019-06-10 2019-12-05 Lg Electronics Inc. Vehicle device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for collecting learning data and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815B2 (ja) 車々間通信装置、車々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動画情報のアプリケーション適用可否判断方法
US10447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experience in sharing screen among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1778426B (zh) 移动无线网络中视频数据流传输的方法及设备
US8154597B2 (en) On-vehicle emergency call apparatus
CN102377730A (zh) 音视频信号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576897B1 (ko) 차량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17588B1 (ko) 차량 관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CN104219437A (zh) 信息处理装置、摄像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CN104168445A (zh) 动态视频储存方法及网络安全监控装置
WO2019054070A1 (ja) 画像処理装置
EP2538670A1 (en) Data processing unit and data encoding device
US20150215522A1 (en) Imaging apparatus
US11010019B2 (en) Video data streaming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nd terminal device, and video data streaming monitoring system
JP2021158482A (ja)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72475A (ja) 情報通信装置
KR20140124497A (ko) 이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화질 영상을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03044B1 (ko) 복수 개의 단말기들 간의 화면 공유시 QoE(Quality of Experien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N108093209B (zh) 影像传输系统以及移动摄像机设备
KR101471060B1 (ko) 통합형 무선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1438645B1 (ko)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JP2011129995A (ja) 通信端末装置、通信端末装置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画像通信システム
US201302078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obtain and present information
US20180124409A1 (en) Image quality management
KR101604002B1 (ko) 모바일 단말 장치를 이용한 중계 방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4013925B2 (ja) 高品位映像伝送システム、高品位映像伝送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高品位映像伝送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