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812B1 -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12B1
KR101576812B1 KR1020120145545A KR20120145545A KR101576812B1 KR 101576812 B1 KR101576812 B1 KR 101576812B1 KR 1020120145545 A KR1020120145545 A KR 1020120145545A KR 20120145545 A KR20120145545 A KR 20120145545A KR 101576812 B1 KR101576812 B1 KR 10157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es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944A (ko
Inventor
김미량
Original Assignee
김미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량 filed Critical 김미량
Priority to KR102012014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시장 중 특히 피부보습과 관련된 분야로서, 제주도의 천연자원 중 해조류를 이용하여 피부보습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rateloupia lanceolata}
본 발명은 화장품 시장 중 특히 피부보습과 관련된 분야로서, 제주도의 천연자원 중 해조류를 이용하여 피부보습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지난 20년 동안 해양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해양 동식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많은 생리활성 천연물의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으며, 해조류의 추출물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여 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 화장품의 용도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상해를 직접 받는 부위인 동시에 또한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조직이다. 인간의 피부는 환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예를 들어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자외선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손상은 노화와 더불어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피부는 거칠게 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은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력을 잃게 되어 결국 피부는 건조하게 되고 투명성(translucency)을 잃게 된다. 한편 피부의 보습 작용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피부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노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수분균형은 표피(epidermis)에 의해 조절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이 쌓여 있는 것이지만 피부의 수분유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생체는 생명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정상피부에서의 수분은 체내에 0%, 각질층에 20%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준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20%를 유지한다.
현재 화장품에 배합되는 보습제에는 다가 알코올 계의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히아루론산 등 외에 유산 나트륨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가려움, 홍반 등의 피부자극이라는 부작용을 수반하게 되어 화장품이 추구하는 제품의 안전성 측면을 만족시킬 수 없어 화장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화장료의 성분은 대개 인공으로 합성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건강하고 윤택한 피부로 재생시키는 효과는 뒤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인공합성 조성물은 심한 경우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장품에 보습효과가 있는 우수한 천연물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3-0039389는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를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배합하고 끓여서 얻은 추출액과 국화와 배를 배합하고 이를 끓여서 얻은 추출액을 1:1로 혼합하여서 얻은 50중량%의 추출액과,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와, 송진 10중량%를 함유하는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기와 같은 천연물들은 어느 정도의 피부보습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수분흡수력 및 점도의 측면에서는 그리 만족할 만한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강화가 요구되고 있고, 나아가, 피부보습 뿐만 아니라 피부모공을 축소시켜 건강한 모공관리를 위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보습제가 가지는 부작용 없이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피부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는개도박의 학명은 Grateloupia lanceolata 으로 북태평양 서안에 서식하며, 식물체는 적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막질이며 넓은 댕기모양이고 두 갈래로 갈라지는 경우가 있다. 줄기가 없이 식물체의 아랫부분이 단추모양으로 두꺼워지면서 부착기로 된다. 부착기 가까이에는 갑자기 좁아져서 줄기처럼 보이 기도한다. 갸름한 세포가 4~5개씩 길이로 연결되어 막대모양으로 된 것이 식물체의 표면에 수직으로 빽빽하게 들어차 피층을 이루며 그 안에는 긴 막대모양의 세포가 길이로 연결된 실이 엉성하게 있어서 수조직을 이룬다. 사분포자낭은 피층조직에 만들어지며 갸름한 구슬모양으로 T자모양으로 나누어진다. 낭과는 수조직에 만들어지며 양쪽으로 볼록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미아베모자반의 학명은 Sargassum miyabei 으로 북태평양 서안에 서식하며, 식물체는 흑갈색이며 방석 모양의 뿌리에서 원기둥모양의 줄기가 여러 개 나오고 줄기는 길어지면서 짧은 가지를 낸다. 잎은 가죽질이고 좁은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무딘 거치가 있거나 매끈하다. 기포는 북 모양이며 끝에 가시 모양의 잎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모자반의 학명은 Sargassum fulvellum 으로 갈조식물로서 모자반목 모자반과의 바닷말이며, 주로 조간대 하부에서 자란다. 흔히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 갈조류를 통칭하는 말로도 쓰이며, 짙은 황갈색(黃褐色)을 하고 한국의 전 해안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자반은 때때로 해안가에 대량으로 밀려들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구멍갈파래의 학명은 Ulva pertusa Kjellman 으로 식물체는 녹색이며 식물체의 기부는 물결모양으로 꾸불꾸불하게 휘었지만 위로 갈수록 넓게 펼쳐진다. 식물체의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식물체의 표면에서 볼 때 세포는 모서리가 없는 다각형으로 둘씩 짝을 이루고 엽록체는 짝을 이룬 세포의 반대쪽에 있다. 단면에서 세포는 네모꼴이며 엽록체는 보통 세포의 허리부분에 있고 드물게 식물체의 표면 쪽에 있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주도의 천연자원 중 해조류를 이용하여 피부보습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가는개도박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아베모자반 추출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구멍갈파래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상기 가는개도박추출물은 0.1~10%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상기 미아베모자반추출물은 0.1~5%, 모자반추출물은 0.1~5%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상기 톳추출물은 0.1~5%, 감태추출물은 5~40%, 구멍갈파래추출물은 5~15%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주도의 천연자원 중 해조류를 이용하여 피부보습이 뛰어나고, 모공을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은 피부보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는개도박 추출물, 미아베모자반추출물, 모자반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구멍갈파래추출물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보습 향상을 위해서 가는개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피부보습을 더욱 향상 시키기 위해서 미아베모자반, 모자반, 톳, 감태, 구멀갈파래 추출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 할 수 있다.
가는개도박 , 미아베모자반, 모자반, 톳, 감태, 구멍갈파래를 각각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각각의 해조류를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추출물은 여과되고,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 10 배로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탕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침적 온도는 30 ~ 7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침적 시간은 5 ~ 20 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시간이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 시키고, 상층액을 감압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70℃에서 감압농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중, 화장료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상기 가는개도박 추출물은 0.1~10%로 함유되고, 상기 미아베모자반추출물은 0.1~5%, 모자반추출물은 0.1~5로 함유되며, 상기 톳추출물은 0.1~5%, 감태추출물은 5~40%, 구멍갈파래추출물은 1~20%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도 통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가능한 것으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점증제, 보습제, pH 조절제, 유화제, 색소, 향료, 방부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점증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공지의 무기물 또는 곡물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젠탄검,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실리카, 카올린, 탈크, 황토,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마린, 맥반석, 칼슘 카보네이트, 쌀겨, 보리, 밀, 메밀, 현미, 콩, 팥, 녹두 및 옥수수의 분말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레할로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연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피이지-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색소 및 향료는 라벤다, 로즈마리 등 통상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천연방부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 히단토인,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구체적으로 정제수, 에탄올,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시리진산디칼륨과 같은 소염제, 토코페릴아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유도체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모공 수축효과가 뛰어난 작용효과가 있고, 피부보습 및 염증 완화 및 예방에 뛰어난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뤼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데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1,3-부틸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족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테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가는개도박 추출물의 제조
가는개도박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미아베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미아베모자반을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모자반을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톳 추출물의 제조
톳을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감태 추출물의 제조
감태를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구멍갈파래 추출물의 제조
구멍갈파래를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기 제조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가는개도박 추출물 2 2 2 2 0
미아베모자반추출물 0 2 2 2 0
모자반추출물 0 2 2 2 0
톳추출물 0 0 0 2 0
감태추출물 0 0 0 10 0
구멍갈파래추출물 0 0 0 5 0
젠탄검 1 1 1 1 1
카보머 0.1 0.1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 2 2 2 2 2
구연산 0.1 0.1 0.1 0.1 0.1
향,방부제 2 2 2 2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보습능력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보습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병력조사 및 피부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만 18세 이상의 건강한 남성 및 여성 피험자 50명을 각각 10명씩으로 대상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 동안 항온항습 조건(22± 2℃, 50± 5%)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4와 비교예 1의 조성물 적당량을 취하여 얼굴에 바른후 10~15분간 두고, 따뜻한 물로 얼굴을 가볍게 세안하는 방식으로 2주 동안 1일 1회 적용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 (25 ℃, 습도 45%)에서 수분보유측정기 (corneometer CM825,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1주, 2주 경과 후 및 도포 중지 후 2주 경과(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 보습의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1주 (%) 2주 (%) 4주 (%)
실시예 1 7.4 7.1 16.2
실시예 2 9.2 13.2 22.4
실시예 3 9.5 13.4 28.2
실시예 4 10.6 15.2 32.4
비교예 1 0.2 0.8 0.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보였다.

Claims (7)

  1. 가는개도박 추출물을 함유하며, 피부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아베모자반 추출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구멍갈파래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상기 가는개도박추출물은 0.1~10%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상기 미아베모자반추출물은 0.1~5%, 모자반추출물은 0.1~5%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서, 상기 톳추출물은 0.1~5%, 감태추출물은 5~40%, 구멍갈파래추출물은 5~15%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45545A 2012-12-13 2012-12-13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545A KR101576812B1 (ko) 2012-12-13 2012-12-13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545A KR101576812B1 (ko) 2012-12-13 2012-12-13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944A KR20140076944A (ko) 2014-06-23
KR101576812B1 true KR101576812B1 (ko) 2015-12-14

Family

ID=5112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545A KR101576812B1 (ko) 2012-12-13 2012-12-13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636A1 (en) * 2003-03-10 2006-07-27 Kouhei Hasebe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hair cosmetic for damaged 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636A1 (en) * 2003-03-10 2006-07-27 Kouhei Hasebe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hair cosmetic for damaged 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944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362B1 (ko)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WO20070047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vailable ingredient the extracts of equisetum arvense l.
KR101083030B1 (ko) 파피루스 추출물과 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1387B1 (ko) 용설란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497191B1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9111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576812B1 (ko) 가는개도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54B1 (ko) 함초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병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550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7649B1 (ko) 블랙헤드 제거 및 피지 조절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