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618B1 -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618B1
KR101576618B1 KR1020140008395A KR20140008395A KR101576618B1 KR 101576618 B1 KR101576618 B1 KR 101576618B1 KR 1020140008395 A KR1020140008395 A KR 1020140008395A KR 20140008395 A KR20140008395 A KR 20140008395A KR 101576618 B1 KR101576618 B1 KR 10157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unit
underground facilit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046A (ko
Inventor
송병훈
권영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6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81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addresses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or wireless sensor networks, e.g. Zigbee addresses

Abstract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는, 유선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계측기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계측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2 통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지원부, 통신 지원부로부터 전송된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제1 통신부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변환하도록 통신 지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ATHERING UNDERGROUND FACILITY DATA}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 송유관 및 난방열관 등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시설물을 의미한다.
지하시설물은 한정된 지하 공간 내에 다수의 시설을 매설해야 하는 특성상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고, 사고 발생시 많은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감시 및 점검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지하시설물은 지하에 시설되어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특성상 이를 감시하기 위한 장비를 육상에 설치하여 감지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초음파식 유량계 구성이다.
도 1에서 보면, 종래의 상수도 및 하수도에 설치되는 유량계의 경우 전자식 초음파 유량계, 전자유량계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취득한 데이터는 유선 라인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장치(유량계 제어판넬)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장소에 제약이 있으며,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지하시설물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적용하여 시설물을 지능화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유량계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한 전자식 배터리 유량계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반의 전자식 유량계는 전원과 유선 통신 배선에 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통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계측 및 점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되는 유량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어장치의 위치 제약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의 경우 주위 환경의 영향에 의해 신뢰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존재하고 유량계실 또는 맨홀의 침수로 인해 무선 전송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수도 및 하수도 유량계는 도시의 기반 시설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나, 무선 통신 기술만으로는 완벽하게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 많은 전자식 유량계들은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유선 설비가 갖추어져 있으므로, 앞으로 적용되는 유량계의 경우 종래 유선 설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을 혼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없이 광범위한 지역에 매설된 지하시설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선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계측기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2 통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지원부, 상기 통신 지원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변환하도록 상기 통신 지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계측기는 상수도의 상태를 측정하고,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 네트워크(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의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유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선 통신부는 직류형 전력선 통신모듈(DC-PLC) 또는 직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또는 IEEE802.15.4 기반의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역망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계측 데이터를 상기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계측기로부터 제1 통신방식으로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방법을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직류형 전력선 통신(DC-PLC) 또는 직렬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IEEE802.15.4 기반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방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역망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방식에 상관없이 지하시설물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종래 유선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하게 매설되어 있는 지하시설물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비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초음파식 유량계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유량계 관리 시스템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방법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유량계 관리 시스템 구성이다.
도 2에서 상수도 유량계 관리 시스템은 상수도의 상태를 측정하는 계측장치(100), 계측장치(100)로부터 상수도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200), 그리고 데이터 수집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수도를 제어 및 관리하는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계측장치(100)는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 네트워크(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의 유량계, 온도계, 또는 압력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장치(200)로 계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계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광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계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계측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을 바탕으로 데이터 수집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성이다.
도 3의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 통신 지원부(220), 제2 통신부(230), 제어부(240), 배터리부(250), 그리고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10)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량계(100)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부(211)와 무선 통신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211)는 유량계(100)의 유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유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유선 통신모듈은 직류형 전력선 통신모듈(DC-PLC) 또는 직렬 통신모듈(RS-232 또는 RS4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모듈이 직류형 전력선 통신모듈(DC-PLC)일 경우 전원 공급과 계측 데이터 전송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2)는 유량계(100)의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유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구체적으로,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또는 IEEE802.15.4 기반의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EEE802.15.4 기반의 통신모듈은 ISA 100 통신모듈 또는 Wireless HART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량계(100)는 계측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온도계 또는 압력계 등과 같이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지원부(220)는 서로 상이한 통신모듈을 구비한 유량계(100) 간 또는 유량계(100)와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유량계(100)와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유량계(1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계측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계측 데이터를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유량계(100)로부터 수신된 유선통신 기반의 데이터를 IEEE802.15.4 통신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30)는 통신 지원부(220)에서 변환된 계측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제2 통신부(230)는 광역망 통신모듈(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계측 데이터를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하며, 광역망 통신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데이터를 통신 지원부(220)를 통해 LTE 통신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계측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통신 지원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계측 데이터와 통신 지원부(220)를 통해 변환된 계측 데이터를 저장부(2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저전력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할 수 있다.
배터리부(250)는 데이터 수집장치(200)의 구동을 위하여 제어부(2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부(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는 메인 전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방법이다.
먼저, 데이터 수집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로부터 유량계(100)를 통해 계측된 유량 데이터를 수신한다(S10). 이때, 유량계(100)는 유선 통신모듈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210)는 유량계(100) 각각에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유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1 통신부(210)로부터 전송된 유량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제2 통신부(230)의 통신방식과 비교하고(S20), 통신방식이 상이할 경우 통신 지원부(220)를 통해 유량 데이터를 변환한다(S30).
제2 통신부(230)는 통신 지원부(220)를 통해 변환된 유량 데이터를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40).
만일, 통신방식 비교결과, 통신방식이 동일할 경우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유량 데이터의 변환 없이 지하시설물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시설물로 상수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수도, 가스, 통신, 전기, 송유관 및 난방열관 등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시설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계측장치(100)와 하나의 데이터 수집장치(200)를 포함하는 상수도 유량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수도 유량계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계측장치(100)와 다수의 데이터 수집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광역망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별도의 게이트웨이 장치 없이 지하시설물의 계측 데이터를 지하시설물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지역(예를 들어, 1km 이상)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계측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변환을 지원함으로써 종래 계측장치(일례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기반의 전자식 배터리 유량계)와 향후 개발될 계측장치(무선통신 기반의 계측장치)와의 호환이 가능하며,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계측장치를 대상으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계측장치 증가 또는 종래 계측장비 활용에 따른 추가 장비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유량계 200 : 데이터 수집 장치
210 : 제1 통신부 220 : 제2 통신부
230 : 통신 지원부 240 : 제어부
250 : 배터리부 260 : 저장부
300 : 시설물 관리 장치

Claims (7)

  1. 유선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계측기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계측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1 통신부 또는 제2 통신부로 전송하는 통신 지원부,
    상기 통신 지원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변환하도록 상기 통신 지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지원부는 상기 통신방식 감지 결과,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이 상기 제2 통신부의 통신방식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된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과 상이한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하시설물의 다른 계측기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 상기 계측 데이터를 변환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중 하나의 광역망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계측 데이터를 상기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계측기는 상수도의 상태를 측정하고,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 네트워크(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의 유량계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유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선 통신부는 직류형 전력선 통신모듈(DC-PLC) 또는 직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또는 IEEE802.15.4 기반의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4. 삭제
  5. 지하시설물의 계측기로부터 제1 통신방식으로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측 데이터의 통신방식을 감지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상기 지하시설물의 다른 계측기 또는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방식 변환 단계는,
    상기 통신방식 감지 결과, 상기 제1 통신방식과 상이한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하시설물의 다른 계측기 또는 상기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 전송 단계는,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변환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중 하나의 광역망 통신을 통해 상기 지하시설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직류형 전력선 통신(DC-PLC) 또는 직렬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IEEE802.15.4 기반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방법.
  7. 삭제
KR1020140008395A 2014-01-23 2014-01-23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57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95A KR101576618B1 (ko) 2014-01-23 2014-01-23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95A KR101576618B1 (ko) 2014-01-23 2014-01-23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46A KR20150088046A (ko) 2015-07-31
KR101576618B1 true KR101576618B1 (ko) 2015-12-10

Family

ID=5387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95A KR101576618B1 (ko) 2014-01-23 2014-01-23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6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05B1 (ko) 2011-12-28 2013-01-09 전자부품연구원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05B1 (ko) 2011-12-28 2013-01-09 전자부품연구원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연욱 외 3인,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기 구현’, 2009년도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제32권 2호, 2009, pp.465-4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46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624B2 (ja) 地中施設物管理のための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454288B1 (ko) 누수 탐지 시스템
KR101219205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06270A1 (en) Manhole cover type sensor node apparatus
KR100865794B1 (ko) Usn 기반 수도정보 통합관리방법
JP5673593B2 (ja) 漏水検知方法および漏水検知装置
KR20120088201A (ko) 맨홀관리를 위한 맨홀뚜껑
KR20090028222A (ko)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교량 상태 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140063380A (ko)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20190043781A (ko) 상하수도의 관로누수 감시를 위한 IoT 장치 및 방법
KR101382232B1 (ko)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JP5801227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及び雨水処理方法
Sempere-Payá et al. ICT as an enabler to smart water management
Granlund et al. Smart city: the smart sewerage
CN103294017A (zh) 一种基于Zigbee的家居漏湿监测装置
KR100901176B1 (ko) 지중 유체 관로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90102656A (ko) 멘홀 수위 측정 시스템
KR20020045430A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1576618B1 (ko) 지하시설물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10030735A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1858569B1 (ko) 복수의 수처리 시설에 대한 통합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KR101192745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101689735B1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중선로 표지기 및 상기 지중선로 표지기의 관리시스템
JP2014074611A (ja) 上水道管の振動検知装置及び上水道管の振動検知方法
Drenoyanis et al. Wastewater Management: An IoT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