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284B1 - 전자 책갈피 - Google Patents

전자 책갈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284B1
KR101576284B1 KR1020140012503A KR20140012503A KR101576284B1 KR 101576284 B1 KR101576284 B1 KR 101576284B1 KR 1020140012503 A KR1020140012503 A KR 1020140012503A KR 20140012503 A KR20140012503 A KR 20140012503A KR 101576284 B1 KR101576284 B1 KR 10157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canner
unit
contro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821A (ko
Inventor
진경복
변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2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 책갈피의 한 예는 본체에 위치하여 책장에 삽입되는 클립부, 스캐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 구동 스위치, 원하는 부분을 스캔하여 스캔한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 구동 스위치와 상기 스캐너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캐너부를 동작시켜 상기 스캐너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스캔 영상을 판독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책갈피{ELECTIRONIC BOOKMARK}
본 발명은 전자 책갈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갈피는 책의 읽을 부분을 표시하는 기구로서, 책갈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책장을 넘겨가면서 읽을 페이지 부분을 찾아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이러한 책갈피는 일반적으로 바(bar)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는 책의 읽을 부분에 삽입되고, 종이, 비닐류, 금속류 등과 같이 재료 또한 다양하다.
이러한 종래의 책갈피에는 별도의 전자적인 기능이 전혀 부여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단순히 읽을 부분의 책장에 삽입되어 사용되므로, 책갈피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에 책갈피 기능을 추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이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 책갈피 번호를 부여한 후, 책갈피 번호로 촬영된 영상을 손쉽게 간편하게 검색할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책갈피 기능은 실제 책에는 적용할 수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26537(공개일자: 2000년 05월 15일, 발명의 명칭: 책갈피 기능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책갈피에 다양한 가능을 추가하여 독서를 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본체에 위치하여 책장에 삽입되는 클립부, 스캐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 구동 스위치, 원하는 부분을 스캔하여 스캔한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 구동 스위치와 상기 스캐너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캐너부를 동작시켜 상기 스캐너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스캔 영상을 판독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날짜를 입력하는 독서 완료 날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동작 모드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로 판정되면, 상기 독서 완료 날짜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입력된 독서 완료 날짜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책 읽기 속도를 측정하는 스톱워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동작 모드가 스톱워치 모드로 판정될 때, 상기 스톱 워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정해진 기간의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책 읽기 속도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문자 입력을 행하는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자음이 결정되고, 상기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모음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제어 방법은 스캐너 구동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스캐너 구동 스위치의 상태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스캐너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캐너에서 입력되는 입력되는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자 책갈피는 책장에 삽입되는 클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제어 방법은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동작 모드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일 경우, 독서 완료 날짜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입력된 독서 완료 날짜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독서 완료 날짜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제어 방법은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동작 모드가 스톱워치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스톱워치 모드일 경우, 스톱워치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기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시간을 책 읽기 속도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책 읽기 속도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제어 방법은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동작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문자 입력 모드일 경우,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문자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자음이 결정되고, 상기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모음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책을 읽다고 필요한 경우 원하는 문장이나 그림 등에 대한 스캔 동작을 실시하여 스캔된 영상을 저장하므로, 독서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메모를 실시하게 된다.
또한, 원하는 내용이나 독서 완료 날짜를 입력하여 저장하므로, 저장하여 현재 읽고 있는 책에 대한 기록을 실시하고 자신의 독서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사시도로서, (a)는 전자 책갈피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전자 책갈피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책갈피(100)는 원하는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 원하는 내용을 스캔(scan)하는 스캐너(scanner)부(20), 입력부(10)와 스캐너부(20)에 연결되어 있고 메모리(31)를 구비한 제어부(30),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있는 계수 및 타이머부(40), 제어부(30)에 연결된 표시부(50), 제어부(30)와 연결된 통신부(60), 그리고 제어부(30)와 연결된 외부 인터페이스부(7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자 책갈피(10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본체(110)에 연결된 원형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한 장의 책장에 삽입되어 전자 책갈피(100)의 삽입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립(clip)(130)가 위치한다.
이 클립부(13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0)는 전자 책갈피(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1), 스캐너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캐너 구동 스위치(12), 입력부(1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13), 그리고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상태에 따라 날짜나 문자를 입력하는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를 구비한다.
이들 스위치(11-15)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가 변하는 버튼 스위치일 수 있거나 이들 스위치(11-15)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터치 스위치(touch switch)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 중 하나의 기능 스위치(예, 14)는 책 읽기 속도를 측정하는 스톱 와치(stopwatch) 기능을 위해 사용된다.
스캐너 구동 스위치(12)가 동작되면 해당 상태의 스캐너 구동 신호가 제어부(20)로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스캐너 구동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여 스캐너 구동 스위치(12)가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스캐너부(2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스캐너부(20)를 동작시킨다.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는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 스톱워치 모드, 문자 입력 모드, 저장 내용 확인 모드로서, 판정된 모드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에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스위치, 스톱워치 스위치, 문자 입력 스위치, 저장 내용 확인 스위치로 작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스위치(13)가 한번 온 되면 제어부(30)는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는 독서 완료 날짜를 입력하는 독서 완료 날짜 입력 스위치로 기능하고, 이때 제1 기능 스위치(14)는 온 될 때마다 숫자가 '1'씩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2 기능 스위치(15)는 온 될 때마다 숫자가 '1'씩 감소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의 역할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스위치(13)가 설정 시간 내의 간격으로 연속해서 두 번 온되면, 제어부(20)는 스톱워치 모드로 동작하여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중 하나의 기능 스위치(예, 14)는 책 읽기 속도를 측정하는 스톱워치 스위치로 동작하여 제1 기능 스위치(14)가 온된 후 다시 온 상태로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톱워치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의 판독 시간을 측정하여 자신의 책 읽기 속도를 계수하게 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13)가 설정 시간 내의 간격으로 연속해서 세 번 온되면, 제어부(30)는 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하여,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는 각각 문자를 입력하는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기능 스위치(14)가 온 될 때마다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의 순서가 변경되고, 제2 기능 스위치(15)가 온 될 때마다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가 온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의 각 온 횟수에 따라 정해진 최종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으로 하나의 글자가 이루어질 때, 제1 기능 스위치(14)의 동작 횟수에 따라 자음이 결정되고, 제2 기능 스위치(14)의 동작 횟수에 따라 모음이 결정된다.
본 예에서, 제1 기능 스위치(14)의 온 횟수에 따른 자음 변경 순서는 ㄱ →ㄲ → ㄴ → ㄷ → ㄸ → ㄹ → ㅁ → ㅂ → ㅃ → ㅅ → ㅆ → ㅇ → ㅈ → ㅉ → ㅊ → ㅋ → ㅌ → ㅍ → ㅎ이고, 제2 기능 스위치(15)의 온 횟수에 따른 자음 변경 순서는 ㅏ→ ㅓ → ㅗ → ㅜ→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ㅑ → ㅕ → ㅛ → ㅠ → ㅒ → ㅖ → ㅘ → ㅝ → ㅙ → ㅞ → ㅢ이다
이들 자음과 모음은 메모리(31)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한 예로, '사'이라는 문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설정 간격 내로 연속해서 제1 스위치(14)를 열 번을 눌러야 되고 제2 스위치(15)를 한 번 눌러야 된다.
또한, 모드 선택 스위치(13)가 설정 시간 내의 간격으로 연속해서 네 번 온 되면, 제어부(30)는 저장 내용 확인 모드로 동작하여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 중 하나의 기능 스위치(예, 15)는 저장 내용 확인 스위치로 기능하여 제2 기능 스위치(15)가 온 됨에 따라 메모리(31)에 저장된 내용을 표시부(50)를 통해 확인하는 저장 내용 확인 기능을 갖게 된다.
이럴 경우, 제어부(30)는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시간 순서대로 표시부(50)로 출력하고, 한 예로, 제1 기능 스위치(14)를 동작시켜 표시부(50)의 화면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제2 기능 스위치(15)를 동작시켜 표시부(50)의 화면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부(50)에 출력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스위치(11-15)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 책갈피(100)의 일측 측면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캐너부(20)는 예를 들어 광전 변환 기구를 이용하며, 광원의 빛을 스캔을 원하는 부분에 조사하면 거울에 반사되는 빛이 광학 렌즈를 통하여 전하 결합 소자(CCD)와 같은 광전변환 소자로 입력되어 이미지 형태를 보여주고, 광전 변환 소자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스캔된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스캐너부(2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를 거쳐 표시부(50)로 출력한다.
이러한 스캐너부(2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 책갈피(10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제어부(3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입력부(10)의 각 스위치(11-15)의 동작 상태에 따라 스캐너부(2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날짜나 문자를 저장하고 필요할 경우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표시부(50)로 출력한다.
계수 및 타이머부(50)는 제어부(3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날짜를 계수하거나 시간을 계수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액정 표시 장치(LCD)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와 같은 표시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본 예에서, 이들 스위치(11-15)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터치 스위치일 때, 표시부(50)의 적어도 일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제어부(30)는 손가락 등에 의해 정해진 영역의 터치 여부에 따라 해당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 책갈피(100)의 원형부(120)에 원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배치 위치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6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실행한다.
따라서, 전자 책갈피(100)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예,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와 접속이 되면, 제어부(30)는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신부(60)를 통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70)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USB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과 같은 마이크로 SD 메모리 등과 같은 외부 메모리와의 정보 공유를 위해 사용된다.
이로 인해, 메모리(31)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자 책갈피(100)의 일측 측면에는 외부 메모리의 삽입을 위한 커넥터(71)가 위치한다.
제어부(30), 계수 및 타이머부(40), 통신부(6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70)는 전자 책갈피(100)의 본체(110) 내에 내장되어 있다.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자 책갈피(100)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 스위치(11)가 동작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를 통해 전자 책갈피(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 책갈피(100)의 동작이 시작되고, 이로 인해 제어부(30)이 동작 또한 시작된다(S10).
이처럼, 제어부(30)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30)는 먼저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판독하여(S11) 입력부(1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S12).
입력 신호의 판정 동작에 의해 스캐너 구동 스위치(12)가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3), 제어부(30)는 스캐너부(20)로 스캐너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스캐너부(20)를 동작시킨다(S14).
그런 다음, 스캐너부(20)의 동작에 의해 스캔되는 영상을 판독하여 메모리(31)에 저장한다(S15).
이러한 스캔 동작은 스캐너 구동 스위치(12)가 오프될 때까지 행해진다(S16-S17).
이처럼, 스캐너부(20)의 동작에 의해, 책을 읽다가 마음에 드는 문장이나 중요한 도면 또는 기억하고자 하는 정보가 발견되면 원하는 부분을 스캔하여 메모리(31)에 저장한다. 이때, 스캔 동작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스캐너 구동 스위치(12)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행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독서에 크게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하는 부분에 내용을 바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하지만, 판정된 입력부(10)의 동작 상태가 모드 선택 스위치(13)가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8), 제어부(30)는 계수 및 타이머부(40)를 이용하여 정해진 간격 이내로 연속해서 동작되는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횟수를 이용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
따라서,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이면(S19), 제어부(30)는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의 동작 횟수에 따라 계수 및 타이머부(40)를 이용하여 '월'과 '날짜'를 결정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독서 완료 날짜를 판정한다(S20).
이때, 제1 기능 스위치(14)의 동작 횟수에 따라 현재 숫자에서부터 '1'씩 31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되고, 제2 기능 스위치(15)의 동작 횟수에 따라 현재 숫자에서분터 '1'씩 '1'까지 숫자가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의 동작에 따라 각각 마지막 변화값(31, 1)까지 변하게 되면 다시 초기값(1, 31)에서부터 다시 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판정된 독서 완료 날짜를 메모리(31)에 저장한 후 표시부(50)로 출력한 후(S21),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횟수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S22).
이러한 독서 완료 날짜의 입력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독서를 완료하고자 하는 날짜를 입력하게 되어 정해진 기한 내에 책을 읽어야 하는 의무감이 발생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성실하게 독서를 행하게 된다.
하지만, 판정된 동작 모드가 스톱워치 모드일 때(S23), 제어부(30)는 계수 및 타이머부(40)를 동작시켜 본 예에서 스톱워치 스위치로 동작하는 제1 기능 스위치(14)가 온 된 후 다시 온 상태로 될 때까지 시간을 측정한다(S24).
그런 다음, 계수된 시간을 메모리(31)에 책 읽기 속도로 저장한 후 표시부(50)를 통해 출력하여(S25), 사용자는 원하는 페이지의 내용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므로 자신의 독서 능력을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30)는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횟수를 '0'으로 초기화시켜(S26), 제어부(30)가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상태를 정확히 판정하도록 한다.
하지만,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상태가 문자 입력 모드로 판정되면(S27), 제어부(30)는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의 설정 간격 내에 동작하는 각 동작 횟수와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판정한다(S28).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로 원하는 문자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 즉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가 설정 간격 내로 온 동작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30)는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로 입력된 문자를 저장하고 표시부(50)로 출력한 후(S29),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횟수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S30),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기능 스위치(14, 15)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 내용이나 등장인물 등과 같은 메모를 저장하게 된다.
하지만,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상태가 저장 내용 확인 모드로 판정되면(S31), 제어부(30)는 본 예에서 저장 내용 확인 스위치로 기능하는 제2 기능 스위치(15)가 동작됨에 따라 입력부(10)와 스캐너부(20)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 예를 들어, 스캔 영상, 독서 완료 날짜, 책 읽기 속도, 입력된 문자를 시간 순서대로 표시부(50)에 출력한 후(S32), 모드 선택 스위치(13)의 동작 횟수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S33).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메모리(31)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저장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입력부(10)의 스위치(11-1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된 내용 중 원하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 책갈피(100)에 의해, 클립부(130)를 이용하여 원하는 책장에 전자 책갈피(100)를 삽입하거나 고정하여 자신이 읽어야 될 부분이 표시될 뿐만 아니라 스캔 기능, 문자 입력 기능, 스톱와치 기능, 독서 완료 날짜 입력 기능 등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필기 도구나 시간 등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예에서, 입력부(10)에 구비된 스위치(11-15)는 개수는 다섯 개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치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입력부 11: 전원 스위치
12: 스캐너 구동 스위치 13: 모드 선택 스위치
14: 제1 기능 스위치 15: 제2 기능 스위치
20: 스캐너부 30: 제어부
31: 메모리 40: 계수 및 타이머부
50:표시부 60: 통신부
70: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본체에 위치하여 책장에 삽입되는 클립부,
    스캐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 구동 스위치,
    원하는 부분을 스캔하여 스캔한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스캐너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스캐너 구동 스위치, 상기 스캐너부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캐너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캐너부를 동작시켜 상기 스캐너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스캔 영상을 판독하여 출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자 책갈피.
  2. 제1항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날짜를 입력하는 독서 완료 날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동작 모드가 독서 완료 날짜 입력 모드로 판정되면, 상기 독서 완료 날짜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입력된 독서 완료 날짜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전자 책갈피.
  3. 제1항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책 읽기 속도를 측정하는 스톱워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동작 모드가 스톱워치 모드로 판정될 때, 상기 스톱 워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정해진 기간의 시간을 계수하여 상기 책 읽기 속도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전자 책갈피.
  4. 제1항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와 문자 입력을 행하는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전자 책갈피.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자음이 결정되고, 상기 제2 문자 입력 스위치의 동작 횟수에 따라 상기 문자의 모음이 결정되는 전자 책갈피.
  6. 삭제
  7. 제1항에서,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책갈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12503A 2014-02-04 2014-02-04 전자 책갈피 KR10157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503A KR101576284B1 (ko) 2014-02-04 2014-02-04 전자 책갈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503A KR101576284B1 (ko) 2014-02-04 2014-02-04 전자 책갈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821A KR20150091821A (ko) 2015-08-12
KR101576284B1 true KR101576284B1 (ko) 2015-12-09

Family

ID=5405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503A KR101576284B1 (ko) 2014-02-04 2014-02-04 전자 책갈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842A (ja) 2008-09-17 2010-04-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010178B1 (ko) * 2008-08-05 2011-01-20 조창휘 펜 스캐너를 구비한 스캐너 계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78B1 (ko) * 2008-08-05 2011-01-20 조창휘 펜 스캐너를 구비한 스캐너 계산기
JP2010072842A (ja) 2008-09-17 2010-04-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821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1066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ртат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я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KR10214793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1646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270133B2 (ja) 情報読取装置
US976665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guide function of gesture command and method thereof
US100637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function setting buttons and switch display mode between first display mode and second display mode and image recording medium
JP4867812B2 (ja) 画像選択装置および画像選択プログラム
US20150310766A1 (en) Portable Multilingual Braille Reader With Words Translator Device And Method
CN102073447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5877272B2 (ja)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RU201710720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цифровое перо
CN103488388A (zh)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15621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508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50304A5 (ko)
KR102221223B1 (ko) 필기 컨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KR101576284B1 (ko) 전자 책갈피
JP2008116791A (ja) 電子書籍装置のページめくり方法
KR1016443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25557A (ko) 이북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294157A1 (en) Image display device
JP615589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293739B2 (ja) 採点装置及び採点プログラム
CN103019834A (zh) 一种基于录入设备的扫描模式切换方法和录入设备
KR20140104305A (ko)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