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67B1 -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 Google Patents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67B1
KR101575167B1 KR1020140047791A KR20140047791A KR101575167B1 KR 101575167 B1 KR101575167 B1 KR 101575167B1 KR 1020140047791 A KR1020140047791 A KR 1020140047791A KR 20140047791 A KR20140047791 A KR 20140047791A KR 101575167 B1 KR101575167 B1 KR 10157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service
tim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1807A (en
Inventor
금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67B1/en
Publication of KR2015012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버튼의 터치상태 유지 및 제스처 입력의 감지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면서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승객으로부터 소정 입력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버튼의 확장 기능 유무를 판단하고, 확장 기능이 없는 경우 기본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버튼의 확장 기능이 있는 경우,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른 버튼입력 유지시간이 설정된 경과시간을 지남에 따라, 해당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따른 유지시간 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유지의 해제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버튼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installed in an elevator platfo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routing layer reserva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a touch input.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input button is detected by a passenger, determining whether an extended function of the button is enabled in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basic service information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in the absence of the extended func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button, confirming the extension setting of the button and confirming the setting of the elapsed time of the button maintenance; A step of confirming a holding time of the input button as the button input holding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passes the set elapsed tim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aintenance time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When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ding time exists, a corresponding holding time 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release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utton maintenance is released in the control unit, th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tenance time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Description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a touch-

본 발명은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시, 버튼의 터치상태 유지 및 제스처 입력의 감지 여부에 따라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platform, Based reservation method for a touch-based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n extended service according to a touch-based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elevator device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by residential and commercial roads for smooth movement of passengers looking for build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최근들어 건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해당 건물에 설치된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이 보다 효율적으로 호출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해당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행선층 예약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building has been made larger and larger, various types of traveling floor reservation devices have been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passengers can more efficiently call and board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installed in the building. .

이에, 해당 건물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승강장에 구비된 행선층 예약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기반의 소정 입력버튼을 조작한 후 그에 따라 배정된 해당 호기에 탑승하여 입력한 행선층으로의 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 passenger who wishes to use the elevator of the building operates the touch-based predetermined input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provided in the platform, Movement can be performed.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의 서비스 구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입력 기능 이외에 탑승인원 입력 기능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이 서비스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과 매칭되는 입력버튼을 화면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시켜야만 한다.      Here, in the service implementation of the elevator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apparatus,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passenger capacity input function in addition to the destination function of the elevator, it is necessary to display all of the input buttons match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on the screen .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에서는 보다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버튼 개수의 확장 구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를 통한 입력 서비스의 제공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routing layer reservation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the buttons for providing more various services is not easily expande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input service through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79332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933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버튼의 터치상태 유지 및 제스처 입력의 감지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면서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rving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in an elevator platfor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button input of a touch-based routing layer reservation apparatus which can provide an extended service while expressing an interfa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은, 터치기반의 입력버튼을 갖는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소정 입력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버튼의 확장 기능 유무를 판단하고, 확장 기능이 없는 경우 기본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버튼의 확장 기능이 있는 경우,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른 버튼입력 유지시간이 설정된 경과시간을 지남에 따라, 해당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따른 유지시간 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유지의 해제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버튼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a touch-based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based input button,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button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input button is detected from the passenger and transmitting basic service information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when there is no extended func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button, confirming the extension setting of the button and confirming the setting of the elapsed time of the button maintenance; A step of confirming the holding time of the input button as the button input holding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passes the set elapsed time; Determining whether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ding time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exists; When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ding time exists, a corresponding holding time 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release the button maintenance, and transmits th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tenance time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when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cancel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스처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며, 그 판단결과, 제스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제스처 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승객으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 제스처 입력에 따른 서비스 정보가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confirms the extension setting of the button and confirms the setting of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gesture service is present is further performed. If the gesture service exists, The 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gesture input from the passenger is sensed, and th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존재 여부 판단 결과, 해당 유지시간에 정의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유지 해제여부를 판단한 결과, 버튼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설정된 최종 대기 시간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 그 결과에 따라 버튼유지 경과시간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 버튼의 기본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ding time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is present or not, if the service defined in the holding time does not exist o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hold the button, the button input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st waiting time has been reached, it is checked whether the last waiting time has been reached, and then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is checked repeatedly or the basic service information of the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

또한, 상기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승객으로부터의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는 행선층 선택 서비스이고, 확장 기능에 따른 서비스는 탑승인원 입력 서비스로 정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ser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from the passenger in the touch-based routing layer reservation device is a routing layer selection service, and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xtension function is defined as a passenger entry service.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 후 버튼입력의 유지 시에는 유지시간 이후의 시간 간격에 따른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각 유지시간의 간격마다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간격마다 정의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when the input button is operated after the input button is operated, a service according to a time interval after the holding time can be configured, and a service can be defined for each interval of the holding time , Information on a service defined for each of the input time intervals of the input butt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display unit.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 후 버튼입력의 유지 시에는 유지시간 이후의 제스처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각 제스처 마다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스처에 마다 정의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button input is maintained after the input button is operated, a service for the gesture after the holding time can be configured, and a service can be defined for each gestur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defined for each service is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display unit.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입력버튼의 입력유지 및 제스처 입력의 감지 여부에 따라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한 행선층 예약장치의 입력 방법 개선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ended ser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input of the input button and the gesture input are detected in the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elevator platform,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levator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put method of the travel floor reserv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행선층 예약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avel floor reservation apparatus to which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the touch-based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unit controlled according to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행선층 예약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avel floor reservation device to which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unit controlled according to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routing laye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승객으로부터의 입력버튼 터치상태 유지 및 제스처 입력의 감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면서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First, the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the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elevator platform, It is implemented to provide an extended service while expressing additional interface to the par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도록 해당 건물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예약장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입력버튼(20)과, 메모리부(40)와, 통신부(60) 및,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a traveling floor reservation apparatus for an elevator installed on a platform of a building to which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rises a display unit 30, an input button 20, A memory unit 40, a communication unit 60, a control unit 50,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10)를 구성하는 모니터로서 LCD 패널로 구현되되,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행선층 예약장치의 운용을 위한 각종 정보 및 승객의 버튼입력을 위한 입력버튼(20) 등이 터치기반으로 표시되는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승객의 입력버튼(20) 조작에 따라 행선층이 등록되는 기본 서비스 이외의 탑승인원 입력과 같은 확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그래픽이 인터페이스 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30 is implemented as an LCD panel that constitutes the elevator board layer reservation apparatus 10.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The input button 20 for the passenger is displayed on a touch-based basi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sion service such as a passenger input other than the basic service, Additional graphics are configured to interface and display.

그리고, 상기 입력버튼(20)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져 승객이 행선층 및 탑승인원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 상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The input button 20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30 so that the passenger can selectively input the passenger floor and boarding passenger information.

또한, 상기 메모리부(40)는 행선층 예약장치의 운용을 위한 소정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메모리부(40)에는 기본 서비스 이외의 확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버튼(20)의 버튼입력 유지시간 및 제스처의 방향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가 설정 저장됨과 아울러, 확장 서비스를 위한 그래픽이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 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40 is provided to store predetermined programs for operating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The memory unit 40 is provided with an input button 20 for providing an extension service other than the basic service. Vario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nput holding time and the direction of the gesture are set and stored,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is stored so that a graphic for the extended service can be further interfaced and output.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 제어하여 소정 화상이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되는 입력버튼(20)을 승객이 조작함에 따라, 그에 따른 기본 서비스 및 확장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한편, 승객의 입력버튼(20)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측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면서 행선층 예약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30 in response to a passenger operating the input button 20 displayed in a touch screen form, While th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basic service and the extended service is displayed while the passenger inpu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20 of the passenger, Control is performed.

참조부호 60은 행선층 예약장치(10)와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상호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10 and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of the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해당 건물의 승강장에 설치된 터치기반의 행선층 예약장치(10)를 통해 승객으로부터 소정 입력버튼(20)의 조작(행선층 버튼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면(S 1), 상기 제어부(50)는 입력버튼(20)의 조작에 따른 버튼의 기본 서비스(행선층 입력)를 확인함과 아울러(S 2), 추가적으로 탑승객의 인원수를 입력하는 버튼의 확장 기능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 3).First, when a predetermined input button 20 is operated (inputting a destination floor button) from the passenger through the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10 installed at the platform of the building (S 1),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extension function of a button for input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 addition to confirming the basic service (destination layer input) of the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20 (S 2) S 3).

그 판단결과, 행선층 입력장치(10)로부터 버튼의 기본 서비스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버튼 입력에 따른 행선층 입력 정보가 통신부(60)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S 3-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only the basic service of the button is provided from the destination layer input device 10,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destination layer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via the communication unit 60 (S3-1).

그러나, 상기 행선층 예약장치(10)에 버튼의 확장 서비스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S 4)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S 5)이 이루어지게 된다.However, if there is an extended service function of the button in the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device 10, the confirmation of the extension setting (S 4) of the button and the confirmation of the setting of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S 5) .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행선층 예약장치(10)에 기본 서비스인 행선층 입력 기능 이외에 탑승객의 인원수 입력 등과 같은 확장 서비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승객으로부터 입력버튼(20)의 누름 유지가 설정된 시간인 "t" 이상 감지되는 시점에서 확장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extended service such as the number of passengers is se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inputting the traveling floor, which is a basic service, to the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apparatus 10,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pressing of the input button 20 from the passenger And performs the control so that the extended service is executed at a point of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

상기 "t"는 수 초 범위 내에서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t" can be set by the administrator within a range of several seconds.

그 후, 상기 제어부(50)는 입력버튼(20)의 확정 서비스 방법에 제스처를 통한 확장 입력 기능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 6), 그 판단결과, 제스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스처 UI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단계(S 6-1)와,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제스처 UI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S 6-2)와, 상기 제스처 UI를 통한 입력에 따른 서비스 정보가 통신부(60)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S 6-3)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extended input function through the gesture in the confirmed service method of the input button 20 (S6). If the gesture service exists, A step (S6-1) of displaying the UI on the display unit (30), a step (S6-2) of detecting input from the passenger through the gesture UI, (S6-3), which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sequentially.

즉, 상기 입력버튼(20)을 통한 확장 서비스의 제공 시, 제스처에 대한 서비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제스처 마다 탑승객의 인원을 정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그에 대한 정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설정된 일정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a service for a gesture is configured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extended service through the input button 20, the number of passengers can be defined for each gesture, and information on the service is shown in FIG. 3B The display unit 30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int.

한편, 상기 'S 6'에서의 판단결과, 제스처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승객으로부터의 입력버튼 조작 유지에 따른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S 7), 상기 입력버튼의 유지시간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50)는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설정된 "t"에 해당하는 유지시간 서비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 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6, if the gesture service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50 performs a process of checking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operation from the passenger (S7) If the retention time of the input butt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tention tim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t button retention time (S8).

이때, 상기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정의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최종 대기 시간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S 8-1), 그 결과에 따라 버튼유지 경과시간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S 8-2), 또는 버튼의 기본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S 8-3).In this case, if there is no service defined in the confirmed button maintenanc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nal waiting time has been reached (S8-1), and then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is repeatedly (S8-2), or the basic service information of the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side (S8-3).

그러나, 상기 'S 8'에서의 판단결과,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그에 따른 유지시간 UI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S 9).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8 that there i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button maintenance time,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the maintenance time UI accordingly (S 9).

이때, 승객으로부터의 입력버튼(20) 조작에 따른 버튼입력의 유지 시에는 유지시간 이후의 시간 간격마다 서비스를 정의할 수가 있도록 설정되며, 상기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간격마다 정의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설정된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put of the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20 from the passenger is maintained, the service can be defined at every time interval after the maintenance tim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defined at each maintenance time interval of the input button As shown in FIG. 3A, control is performed so as to be displayed at the set point of the display unit 30. FIG.

예컨데, 상기 "t"가 2초로 설정된 경우, 승객의 버튼입력 유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정 지점에 표시되는 숫자는 2초 간격으로 '1명'부터 순차적으로 카운트 되게 되며, 이에 승객은 탑승인원이 3명인 경우 6초 경과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3명'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행선층 예약장치(10)에 탑승인원을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bove-mentioned "t" is set to 2 seconds, the numbers displayed at certain positions of the display unit 30 are sequentially counted from '1 person' When the passenger has three passengers, the passenger can enter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floor reservation apparatus 10 by releasing the touch state in the state of '3 pers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after 6 seconds have elapsed.

한편, 상기 'S 9'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정 지점에 유지시간 UI가 표시된 후에는 승객으로부터의 버튼유지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되게 되며(S 10), 이때 해당 버튼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가 통신부(60)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반(70) 측으로 전송됨에 따라, 행선층 예약장치(10)를 통한 승객의 행선층 정보 및 탑승인원 정보의 입력과정이 종료될 수 있게 된다(S 11).On the other hand, after the maintenance time UI is displayed at a certain point of the display unit 30 through the step S9,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release the button maintenance from the passenger is proceeded (S10) Th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tenance time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passenger The inputting of the destination layer information and the passenger number information can be terminated (S11).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행선층 예약장치, 20: 디스플레이부,
30: 입력버튼, 40: 메모리부,
50: 제어부, 60: 통신부,
70: 엘리베이터 제어반.
10: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device, 20: display part,
30: input button, 40: memory unit,
50: control unit, 60: communication unit,
70: Elevator control panel.

Claims (8)

터치기반의 입력버튼을 갖는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소정 입력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버튼의 확장 기능 유무를 판단하고, 확장 기능이 없는 경우 기본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버튼의 확장 기능이 있는 경우,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른 버튼입력 유지시간이 설정된 경과시간을 지남에 따라, 해당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확인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따른 유지시간 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유지의 해제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버튼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 후 버튼입력의 유지 시에는 유지시간 이후의 시간 간격에 따른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각 유지시간의 간격마다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A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a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based input button,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button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input button is detected from the passenger and transmitting basic service information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when there is no extended func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button, confirming the extension setting of the button and confirming the setting of the elapsed time of the button maintenance;
A step of confirming a holding time of the input button as the button input holding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passes the set elapsed tim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aintenance time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When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ding time exists, a corresponding holding time 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release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utton maintenance is canceled in the control unit, th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tenance time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Wherein when the button input is maintain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a service according to a time interval after the holding tim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fine a service for each interval of the holding time. A method of controlling button input of a floor reserv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의 확장 설정 확인 및 버튼유지 경과시간의 설정 확인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스처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며,
그 판단결과, 제스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제스처 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승객으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 제스처 입력에 따른 서비스 정보가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confirmation of the extension setting of the button and the confirmation of the setting of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are performed in the controller,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esture service is present is further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gesture service exists, the step of displaying the gesture UI on the display unit, the step of detecting the gesture input from the passenger,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side are performed A method of controlling a button input of a touch-based destination floor reserv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확인된 버튼 유지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존재 여부 판단 결과, 해당 유지시간에 정의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버튼유지 해제여부를 판단한 결과, 버튼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설정된 최종 대기 시간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 그 결과에 따라 버튼유지 경과시간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 버튼의 기본서비스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aintenance time is not pres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utton input is held,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et final waiting time is reached is repeated and then the button maintenance elapsed time is repeatedly checked or the basic service information of the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button input of a floor reservation devic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에서 승객으로부터의 입력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는 행선층 선택 서비스이고, 확장 기능에 따른 서비스는 탑승인원 입력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ic ser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from the passenger in the touch-based routing layer reservation device is a routing layer selection service and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xtension function is a passenger entry service. Button input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의 유지시간 간격마다 정의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defined for each of the input time intervals of the input butt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display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의 조작 후 버튼입력의 유지 시에는 유지시간 이후의 제스처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각 제스처 마다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uch-based destination layer reserv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configure a service for a gesture after a holding time when a button input is maintained after an operation of the input button, wherein a service can be defined for each gesture Button input control metho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에 마다 정의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정된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행선층 예약장치의 버튼 입력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defined for each gesture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display unit.
KR1020140047791A 2014-04-22 2014-04-22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KR101575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91A KR101575167B1 (en) 2014-04-22 2014-04-22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91A KR101575167B1 (en) 2014-04-22 2014-04-22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07A KR20150121807A (en) 2015-10-30
KR101575167B1 true KR101575167B1 (en) 2015-12-07

Family

ID=5443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791A KR101575167B1 (en) 2014-04-22 2014-04-22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67B2 (en) 2018-07-30 2022-09-13 Otis Elevator Company Dynamic assignment of selection buttons on a destination entry system of an ele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7823A (en) 2009-11-13 2011-06-02 Canon Inc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7823A (en) 2009-11-13 2011-06-02 Canon Inc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07A (en)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0270A1 (en) Device triggered elevator car call
KR102449601B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CN107298351B (en)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US20140299421A1 (en) Elevator passenger interface including special assistance features
JP2009501687A (en) Communication of elevator reassignment information in group elevator system
KR20170078767A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KR101754987B1 (en) Elevator operating panel apparatus for providing operation floor information
US201901062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an elevator
JP572322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8199539A (en) Portable terminal, program, group control system of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KR20180087230A (en) Elevator system
KR20180099181A (en) Elevator service system using iris recogni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6194061B1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1575167B1 (en) Button input control method for touch based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KR101314065B1 (en)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88647A (en) Elevator apparatus
US20180284704A1 (en) Multi-target dynamic ui action element
CN109715541A (en) It is the method for service mode by elevator setting
JP2009215002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6729619B2 (en) Elevator system
KR102107318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all with diaplay
KR101513391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6183044A (en) Elevator system
JP5208386B2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KR101227983B1 (en) Elevator with input output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