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68B1 -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68B1
KR101574768B1 KR1020140017638A KR20140017638A KR101574768B1 KR 101574768 B1 KR101574768 B1 KR 101574768B1 KR 1020140017638 A KR1020140017638 A KR 1020140017638A KR 20140017638 A KR20140017638 A KR 20140017638A KR 101574768 B1 KR101574768 B1 KR 10157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dy portion
cutting
medical treatment
stepp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844A (ko
Inventor
김성민
임홍석
김준홍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1Inserts in the coronary sinu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61B2017/00783Valvul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통형의 몸체부, 와이어가 몸체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구멍, 및 와이어가 몸체부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 탈출구멍을 포함하는 제1 부재; 와 제1 부재를 감싸면서 외삽되어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결합 시,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빠져 나온 와이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몸체부는 일측에 삽입구멍을 가지는 와이어 수용부, 및 와이어 수용부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수용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결합 시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탈출구멍은 삽입부의 외주면 또는 삽입부와 와이어 수용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WIRE LOCKING DEVICE FOR MEDICAL PROCEDURE}
본 발명은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클라지 시술 과정에서 와이어의 장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우리 몸에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혈액 펌프의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심장에는 혈액이 역류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판막(valve)이 존재한다. 심장 내부에 있는 판막 중에서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방실판으로 전첨과 후첨으로 이루어지는 2첨판을 승모판(mitral valve, MV)이라고 한다. 승모판은 좌심실의 확장기에 열려서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혈액을 유입시킨다. 좌심실의 수축기에는 닫혀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판막은 심장의 박동에 따라서 완전히 열리고 닫혀야 한다.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완전히 열리지 않는 등 잘 움직이지 못하면 혈액이 역류하거나 흐름이 나빠진다. 이것이 심장판막질환이다. 승모판 역류증이란 승모판이 닫혀야 할 때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혈액이 역류되고 이러한 결과가 심장에 부담을 줌으로써 심장 기능을 떨어뜨려 결국은 심부전을 야기하게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승모판 역류증 치료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환자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하는 수술을 하지 않고서도 카테터를 이용해 비교적 간단한 시술을 함으로써 승모판 역류증을 치료하는 경피적 승모판 성형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 일환으로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Mitral cerclage coronary sinus annuloplasty)(MVA)이 있으며, 이는 승모판륜(mitral annulus, MA) 주위로 원형의 압력을 가하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시술법이다.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경정맥을 통하여 우심방에 접근한 뒤 '관상 정맥동'으로 카테터를 위치 시키고 '근위부 심실 중격 정맥(proximal septal vein)' 으로 서클라지에 필요한 와이어를 통과 시킨다. 이러한 와이어는 '우심실의 페동맥 판막 하부(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의 한 곳으로 쉽게 나올 수 있다. 이 와이어는 손쉽게 우심방으로 잡아 낼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승모판륜(mitral annulus) 주위의 조직에 서클라지 와이어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 와이어에 장력을 가하면 승모판륜을 옥죄는 효과를 얻게 되며 이는 승모 판막의 두 판엽을 더욱 가까이 맞붙게 함으로써 판막의 불안전한 폐쇄(incomplete closure)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승모판막륜을 직접적으로 옥죄는 수술적 치료와 아주 유사한 효과를 얻게 되며 이는 곧바로 승모판막을 통한 혈액의 역류를 줄이는 치료효과로 나타난다. 도 1은 이러한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법에 있어서 승모판륜 주위 조직에 서클라지 와이어가 위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에서 서클라지 와이어에 적절한 장력을 시술의 현장에서 가할 수 있고 이를 유지시킬 수 있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개체 마다 차이가 나지만 대략 600g ~ 1kg 정도의 장력이 치료 효과를 얻는 데 필요하다. 각 개체에 맞는 장력은 시술 중 MRI 나 X-ray 투시 영상 혹은 심장 초음파 등을 통하여 승모판의 역류증이 줄어드는 지점까지 와이어를 조여준 후에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존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 또는 실을 매듭 짓는 것에 의하여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또는 실을 고정하고 장력을 유지시켰다. 하기에서 인용되는 특허문헌 1에 이러한 서클라지 실을 매듭짓는 기술에 관한 내용이 설명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이 과정에서 매듭 전달기구라는 도구를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매듭전달기구(3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체외로 나온 두 가닥의 서클라지 실(10)을 매듭 전달 기구(30)의 끝단에 형성된 통공에 넣어 매듭을 형성한, 써클라지 실(10)의 끝단을 매듭전달기구(30)의 내강으로 통과시킨다(a). 그런 다음. 매듭전달기구(30)를 심장 쪽으로 밀어 넣어, 매듭전달기구(30)의 끝단을 조직 보호 튜브(20)의 상단부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매듭전달기구(30)는 매듭이 꽉 조여지지 않게 유지하면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후 서클라지 실(10)에 장력을 가하여 승모판 역류증이 사라질 때까지 적절한 장력을 조절한다. 즉, 승모판 역류증이 사라질 때까지 체외에서 서클라지 실의 양 끝단을 적절히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서클라지 실의 장력을 조절한다(b). 적절한 장력에 도달하게 되면, 매듭전달기구(30)의 개폐부를 연다. 개폐부의 오픈(open)은 개폐부를 커터 등으로 커팅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개폐부에 의해 꽉 조이지 못하던 매듭이 조여지게 되면서 서클라지 실의 장력이 고정이 되게 된다(d). 즉, 서클라지 실(10)의 끝단은 매듭(12)으로 고정되게 된다(f).
그러나 매듭을 짓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효과적인 시술을 위해서는 시술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크기의 장력을 와이어에 가한 후 그 장력이 유지되도록 신속하게 고정 시켜야 하는데, 매듭을 짓는 방식은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매듭을 짓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서클라지 시술을 나일론 실이 아닌 최근 선호되는 금속 와이어로 할 경우에, 매듭 짓는 방식은 정확한 위치에 매듭을 짓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이는 신속한 시술을 방해하고, 효과적인 의료시술에 장애가 된다.
또, 매듭짓는 방식에 의할 경우 매듭이 풀릴 우려도 있다. 매듭이 풀릴 경우 판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심장 혈액이 역류하는 등 위험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한 와이어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30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시술 과정에서 의료 시술자가 의도하는 크기의 장력을 와이어에 가한 후 그 장력이 유지되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게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그리고 고정된 이후에는 장력이 풀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와이어를 고정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통형의 몸체부, 와이어가 몸체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구멍, 및 와이어가 몸체부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 탈출구멍을 포함하는 제1 부재; 와 제1 부재를 감싸면서 외삽되어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결합 시,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빠져 나온 와이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몸체부는 일측에 삽입구멍을 가지는 와이어 수용부, 및 와이어 수용부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수용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결합 시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탈출구멍은 삽입부의 외주면 또는 삽입부와 와이어 수용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에 외삽되어 결합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의료 시술용 와이어를 제1 부재 외부 면과 제2 부재 내부 면 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킴으로 인하여, 시술 과정에서 의료 시술자가 의도하는 크기의 장력을 와이어에 가한 후 그 장력이 유지되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게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된 이후에는 장력이 풀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와이어를 붙잡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법에 있어서 승모판륜 주위 조직에 서클라지 와이어가 위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매듭전달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3는 실시예 1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
도 4은 실시예 1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는 실시예 2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2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
도 9은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0는 실시예 3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
도 12은 실시예 3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E-E선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4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는 실시예 1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4은 실시예 1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에는 승모판 서클라지 시술법에서 승모판륜 주위 조직에 둘러지는 서클라지 와이어(100)가 도시되고 있다. 이 와이어(100)의 두 가닥 끝부분을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1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100)가 얇기 때문에 주위 장기를 훼손할 수가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100)는 일정 길이의 튜브(101)에 싸여져 있다.
실시예 1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이러한 와이어(100)의 두 가닥 끝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10)는, 몸체부(112), 몸체부(112)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멍(114), 및 몸체부(112)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탈출구멍(116)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멍(114)과 탈출구멍(116)은 몸체부(112) 내부의 내부 통로(115)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제1 부재(110)의 타측에는 나사산(11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부재(110)는 몸체부(112)에서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버클 고정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부재(130)는 일측에 제1 부재(110)의 몸체부(112)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되나, 다만, 버클 고정부(113)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중심부에 버클 고정부 삽입 구멍(137)을 가지고 있다. 버클 고정부 삽입 구멍(137)은 상기 제1 부재(110)의 몸체부(112)가 삽입되는 구멍 보다 내경이 더 작은 구멍이어야 한다.
두 가닥의 와이어(100)는 도 3에서 보듯이 원통형 몸체부(112)의 일측에 있는 삽입구멍(114)으로 삽입된다. 그 후 몸체부(112)의 내부 통로(115)를 지나서 몸체부(112)의 외주면으로 통하는 탈출구멍(116)으로 빠져 나온다. 와이어(100)가 제1 부재(110)를 통과하고 난 이후에, 제2 부재(130)가 제1 부재(110)를 감싸면서 제1 부재(110)에 결합된다. 제1 부재(110)의 외경과 제2 부재(130)의 내경은 끼워 맞춤 결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를 두고 형성된다. 이 경우 탈출구멍(116)으로부터 빠져 나온 와이어(100)는 제1 부재(110)의 외주면과 제2 부재(130)의 내부 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부재(110)의 외경과 제2 부재(130)의 내경 사이의 틈새가 와이어(100)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어(100)를 고정하게 되면, 시술 과정에서 의료 시술자가 의도하는 크기의 장력을 와이어(100)에 가한 후 그 장력이 유지되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게 와이어(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고정된 이후에는 장력이 풀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와이어(100)를 잡아줄 수 있다.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1 부재(110)에 나사산(118)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제2 부재(130)의 내부 면에 제1 부재(110)의 나사산(118)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있어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30)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나사 결합은 좀 더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와이어(100)를 몸체부(112)의 삽입구멍(114)으로 집어넣어 탈출구멍(116)으로 빼 내는 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부(112)의 축방향(X)과 같은 방향으로 몸체부(112)의 삽입구멍(114)으로 통하여 삽입된 와이어(100)가 축방향(X)과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탈출구멍(116)을 통하여 몸체부(112)의 외주면으로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삽입구멍(114)에서 탈출구멍(116)으로 이어지는 몸체 내부의 통로(115)가 90도보다 큰 각을 이루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각 θ1의 크기가 90도 보다 크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내부 통로(115)는 반드시 특정 각을 가지는 직선 통로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곡선 형상을 가지는 통로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속한다.
제1 부재(110)는 와이어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버클 고정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클 고정부(113)는 몸체부(112)에서 몸체부(112)의 축방향(X)으로 연장된다. 버클 고정부(113)는 연장부(191)와 걸림턱(194)을 가진다. 연장부(191)는 몸체부(112)에서부터 연장된다.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두 개의 부재가 몸체부(112)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 연장부(191)이고, 연장부(191) 축방향(X) 단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걸림턱(194)이다.
버클 고정부(113)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가 결합 시, 먼저 약간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137)으로 들어간다. 연장부(191)를 이루는 두 개의 부재가 제1 부재(110)의 중심축을 향하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그 결과 연장부(191)를 이루는 두 부재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버클 고정부(113)가 버클 고정부 삽입 구멍(137)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 결과 연장부(191)와 걸림턱(194) 모두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137)으로 삽입된다. 그 후 버클 고정부(113)가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137)으로부터 나올 때, 원래 자리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하여 버클 고정부(113)의 걸림턱(194)은 제2 부재(130)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버클 고정부(113)의 걸림턱(194)이 제2 부재(130)의 타측 단부에 걸리게 된다.
버클 고정부(113)에 의한 결합을 나사결합에 추가하게 되면, 나사결합 만에 의한 고정력 보다 더 큰 고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혹시라도 나사 결합이 느슨해 지거나 풀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와이어(100)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2)는 와이어(100)를 감싸는 튜브(101)가 몸체부(112)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장치는 혈관 내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 때 와이어 고정장치는 혈관 내에서 흔들리거나 혈관 벽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00)를 감싸는 튜브(101)를 적당한 깊이만큼 몸체부(112)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와 같이 와이어 고정장치가 혈관 내에서 흔들리거나 혈관 벽에 부딪히는 현상을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는 실시예 2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몸체부(212)가 와이어 수용부(252)와 삽입부(26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도 6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몸체부(212)는 일측 단부에 삽입구멍(214)을 가지는 와이어 수용부(252) 및 삽입부(262)를 포함한다. 삽입부(262)는 와이어 수용부(252)의 타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삽입부(262)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와이어 수용부(25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와이어 수용부(252)와 삽입부(262)의 경계에서 두 부분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에 의하여 몸체부(212)에서 형성되는 면이 단차면(271)이다.
삽입부(262)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가 결합 시 제2 부재(1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2 부재(130) 내부에는 삽입부(262)의 길이에 맞추어서 삽입부(262)가 들어갈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로 삽입부(262)가 들어가는 것이다. 이로써 삽입부(262)를 통하여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30)는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끼워 맞춤을 통하여 제1 부재(110)는 제2 부재(130)와 결합할 수 있지만,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1 부재(110)의 삽입부(262) 외주면으로 나사산(21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재(110)는 대응하는 나사산(228)을 가지는 제2 부재(13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30)가 결합 시 제1 부재(110)의 단차면(271)에 대응하여 제1 부재(110)의 단차면(271)과 만나는 제2 부재(130)의 면이 있는데, 이 면이 결합면(273)이다. 삽입구멍(214)으로 통하여 들어와서 탈출구멍(216)을 통하여 와이어(100)가 빠져 나간 후에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를 결합시키면, 와이어(100)는 제1 부재(110)의 단차면(271)과 제2 부재(130)의 결합면(273)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100)가 두 면 사이에 끼임으로써 와이어(100)가 고정되고, 와이어(10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단차면(271)을 형성하여 단차면(271)과 결합면(273) 사이에서 와이어(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더 큰 힘으로 와이어(1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나사 결합을 통하여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30)를 결합시키는 힘을 강하게 하면 할수록 그 힘이 곧바로 단차면(271)과 결합면(273) 사이에서 와이어(100)를 고정하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제1 부재(110)의 외주면과 제2 부재(130)의 내부 면 사이에 와이어(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실시예 1의 경우보다 더 큰 고정력으로 와이어(1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단차면(271) 및 결합면(2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차면(271) 및 결합면(273)을 제외한 다른 면보다 더 거칠게 가공할 수 있다. 표면에 미세한 홈을 만들거나 미세한 돌기를 만드는 등으로 표면을 더 거칠게 가공을 할 수 있다.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면 표면 마찰 계수가 증가하여, 와이어(100)를 고정하는 힘이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와이어(100)가 빠져 나오는 탈출구멍(216)은 삽입부(26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삽입부(262)와 와이어 수용부(252)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면(27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삽입부(262)의 외주면과 단차면(271) 둘 다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탈출구멍(216)이 삽입부(26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단차면(271)과 결합면(273) 사이에서 와이어(100)가 끼여서 고정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삽입부(262)의 외주면과 제2 부재(130)의 내부 면(233) 사이에 와이어(100)가 끼어서 고정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력은 좀 더 강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차면(271)은 제1 부재(110)의 축방향(X)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단차면(271)이 이렇게 축방향(X)과 수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다르게 단차면(271)이 제1 부재(110)의 축방향(X)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이 아닌 각으로 경사지는 경우, 와이어(100)와 단차면(271)이 접하는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접하는 면이 길어지면 좀더 안정적으로 와이어(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10는 실시예 3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은 실시예 3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E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2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버클 고정부(313)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실시예 3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서 제1 부재(110)는 와이어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버클 고정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클 고정부(313)는 삽입부(262)에서 삽입부(262)의 축방향(X)으로 연장된다.
버클 고정부(313)는 연장부(391)와 걸림턱(394)을 가진다. 연장부(391)는 삽입부(262)에서부터 연장된다.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네 개의 부재가 삽입부(262)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 연장부(391)이고, 연장부(391) 축방향(X) 단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걸림턱(394)이다.
버클 고정부(313)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가 결합 시, 먼저 약간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337)으로 들어간다. 연장부(391)를 이루는 네 개의 부재가 제1 부재(110)의 중심축을 향하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그 결과 연장부(391)를 이루는 네 부재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버클 고정부(313)가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337)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 결과 연장부(391)와 걸림턱(394) 모두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337)으로 삽입된다. 그 후 버클 고정부(313)가 제2 부재(130)의 버클 고정부 삽입구멍(337)으로부터 나올 때, 원래 자리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하여 버클 고정부(313)의 걸림턱(394)은 제2 부재(130)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버클 고정부(313)의 걸림턱(394)이 제2 부재(130)의 타측 단부에 걸리게 된다.
버클 고정부(313)에 의한 결합을 나사결합에 추가하게 되면, 나사결합 만에 의한 고정력 보다 더 큰 고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혹시라도 나사 결합이 느슨해 지거나 풀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와이어(100)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장치는 혈관 내에 삽입되는 장치로 그 질량이 무겁지 않은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장치의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장치가 몸 속에 있을 때에는 유관으로 쉽게 찾을 수 없으므로, X-ray 영상에 나타나는 금속 마커를 장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장치가 몸 속에 있더라도 그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14는 실시예 4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절단 부재(41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대해 상술한다.
실시예 4의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절단 부재(410)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10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고정에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필요 없는 부분을 절단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 경우 와이어(100)를 절단하는 수단으로 절단 부재(410)가 사용된다. 절단 부재(410)는 칼날을 포함하며, 칼날에 의하여 와이어(100)를 절단할 수 있다.
절단 부재(410)는 제1 부재(110)에 부착된 제1 절단 유닛(411) 및 제2 부재(130)에 부착된 제2 절단 유닛(413)을 포함한다. 제2 절단 유닛(413)은 와이어(100)를 절단하는 칼날을 포함하며, 제1 절단 유닛(411)은 칼날과 상호 작용하여 와이어(100)를 절단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30)가 결합할 시, 제1 절단 유닛(411)의 칼날이 제2 절단 유닛(413)과 만나면서 와이어(100)가 절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절단 부재(410)를 사용하여 와이어(100)를 절단하면,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30)를 결합하여 와이어(100)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절단 절차 없이 손쉽게 필요 없는 와이어(100) 부분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100: 와이어 101: 튜브
110: 제1 부재 112: 몸체부
113: 버클 고정부 114: 삽입구멍
115: 내부 통로 116: 탈출구멍
118: 나사산 130: 제2 부재
191: 연장부 194: 걸림턱
252: 와이어 수용부 262: 삽입부
271: 단차면 273: 결합면
313: 버클 고정부 410: 절단 부재
411: 제1 절단 유닛 413: 제2 절단 유닛

Claims (13)

  1. 원통형의 몸체부, 와이어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구멍,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 탈출구멍을 포함하는 제1 부재; 와
    상기 제1 부재를 감싸면서 외삽되어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빠져 나온 와이어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와의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 단부에 상기 삽입구멍을 가지는 와이어 수용부, 및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타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결합 시 상기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출구멍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제1 부재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빠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몸체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클 고정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결합 시 상기 제2 부재의 일측 단부로 들어가 상기 제2 부재의 타측 단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튜브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체결 시 상기 제1 부재의 단차면에 맞닿는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결합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 및 상기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차면 및 상기 결합면을 제외한 다른 면보다 더 거칠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은 상기 제1 부재의 축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X-ray 영상에 나타나는 금속 마커를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부착된 제1 절단 유닛 및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된 제2 절단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단 유닛 또는 상기 제2 절단 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칼날을 포함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칼날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0140017638A 2014-02-17 2014-02-17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157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38A KR101574768B1 (ko) 2014-02-17 2014-02-17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38A KR101574768B1 (ko) 2014-02-17 2014-02-17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44A KR20150096844A (ko) 2015-08-26
KR101574768B1 true KR101574768B1 (ko) 2015-12-04

Family

ID=5405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38A KR101574768B1 (ko) 2014-02-17 2014-02-17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679B1 (ko) * 2017-02-01 2017-12-06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002A (ja) 2002-11-28 2004-06-24 Terumo Corp 縫合糸留め具
JP2004530484A (ja) 2001-05-14 2004-10-07 カーディアック ディメ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僧帽弁治療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270907A1 (en) * 2006-05-19 2007-11-22 Stokes Michael J Suture 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0484A (ja) 2001-05-14 2004-10-07 カーディアック ディメ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僧帽弁治療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174002A (ja) 2002-11-28 2004-06-24 Terumo Corp 縫合糸留め具
US20070270907A1 (en) * 2006-05-19 2007-11-22 Stokes Michael J Suture l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44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515B2 (en) Mitral cerclage annuloplasty method
EP3547962B1 (en) Cinch and post for tricuspid valve repair
EP3158940B1 (en) Tissue protection device for tricuspid regurgitation surgery
US20220142781A1 (en) Valve clamping system capable of being independently controlled
JP5592016B2 (ja) 冠状静脈洞及び三尖弁膜の組織保護器具
KR101563172B1 (ko)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EP2465568B1 (en) Steerable guide catheter having preformed curved shape
JP2018061855A (ja) 心臓弁不全の治療器具および治療方法
AU20122380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vascular device
US8632588B2 (en) Mitral valve cerclarge annuloplasty appratus and method thereof
IL269673B2 (en) A device to improve heart function
US20110260449A1 (en) Apical access and control devices
US998713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unctional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KR20160011381A (ko) 승모판막 서클라지 와이어의 고정장치 및 방법
US20230320851A1 (en) Valve clip delivery device
KR101574768B1 (ko) 의료 시술용 와이어 고정장치
KR20150007557A (ko)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서클라지 로프
US20180303507A1 (en) Endoscope forceps and method for producing endoscope forceps
CN213156124U (zh) 可调式缝线锁扣
US9320596B2 (en) Dilator for inserting a voice prosthesis
KR102089363B1 (ko) 승모판막 시술용 와이어 연결장치
CA3163212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lamping a mitral valve
CN109953778B (zh) 夹合装置及固定组织的系统
CN113317832A (zh) 可调式缝线锁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