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44B1 - 사격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사격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44B1
KR101574744B1 KR1020130152947A KR20130152947A KR101574744B1 KR 101574744 B1 KR101574744 B1 KR 101574744B1 KR 1020130152947 A KR1020130152947 A KR 1020130152947A KR 20130152947 A KR20130152947 A KR 20130152947A KR 101574744 B1 KR101574744 B1 KR 10157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gun
laser
target
trigg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844A (ko
Inventor
김병기
최주현
황진섭
정현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5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탄 사격 훈련을 대신하여 사격술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사격훈련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장치는 총기에 결합되는 격발 스위치부, 격발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레이저가 조사되며 총기의 총열에 결합되는 레이저 조사부,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표적이 되는 타깃, 타깃에 레이저가 조사된 상태의 영상을 스캐닝하는 카메라, 그리고 격발 스위치부, 레이저 조사부를 제어하며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격결과를 점수로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격발 스위치부는 상기 총기의 방아쇠울에 결합되며 총기의 방아쇠 뒤편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사격훈련장치{Apparatus to exercise shooting}
본 발명은 실탄 사격 훈련을 대신하여 사격술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사격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제 총기를 이용하여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실탄소모와 소음, 그리고 안전 등의 문제로 자주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제 총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모의사격훈련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모의사격훈련 시스템은 레이저를 타깃에 발사한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타깃을 촬영하여 사격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실탄소모와 소음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실제 총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격발감과 같은 사격감이 떨어져 숙달된 사격술을 익히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보 제10-0674629호(2007. 01. 19.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총기에 장착하여 격발감과 같은 사격 감각을 지속적으로 익히면서도 실탄소모를 줄이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격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총기에 탈, 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사격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총기에 결합되는 격발 스위치부, 상기 격발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레이저가 조사되며 상기 총기의 총열에 결합되는 레이저 조사부,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표적이 되는 타깃, 상기 타깃에 레이저가 조사된 상태의 영상을 스캐닝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격발 스위치부,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격결과를 점수로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격발 스위치부는 상기 총기의 방아쇠울에 결합되며 상기 총기의 방아쇠 뒤편에 배치되는 사격훈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격발 스위치부는 상기 방아쇠울의 측면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방아쇠 뒤편에 배치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 끼워지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의해 온, 오프 작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총기의 총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총기의 가늠자를 투시할 수 있는 가늠자 투시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제공되며 측면을 관통하여 장홈이 제공되고 볼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감싸면서 끼워져 상, 하, 좌, 우로 일부 구간을 회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장홈을 관통시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에 제공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나비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방아쇠와 같은 형태의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끼움홈이 측면을 향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레이저를 발사시키는 격발 스위치부가 방아쇠울의 측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방아쇠의 뒤편에 배치되어 사격자가 실제 개인 총기의 방아쇠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레이저를 발사시키는 스위치가 작동하므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의 사격훈련을 통해서도 격발감을 그대로 느끼면서 사격연습을 숙달시킬 수 있어 실제 사격과 동일한 사격감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격발 스위치부와 레이저 조사부를 간단하게 끼움 결합으로 총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부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켜 세팅하여 영점 조준 상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조사부를 총기에 설치한 후에도 나비너트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레이저 조사부가 총열에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할 때 마다 레이저의 영점 조준을 반복할 필요가 없고 사격 연습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격훈련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레이저 조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 2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격발 스위치부가 총기의 방아쇠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격발 스위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사격훈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격훈련장치는 격발 스위치부(1), 레이저 조사부(3), 타깃(5), 카메라(7), 그리고 컨트롤러(9)를 포함한다.
격발 스위치부(1)는 컨트롤러(9)에 연결되어 격발 스위치부(1)가 작동할 때 레이저 조사부(3)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부(3)는 역시 컨트롤러(9)에 연결되어 격발 스위치부(1)가 작동할 때 레이저를 발생시켜 타깃(5)으로 조사할 수 있다. 타깃(5)은 레이저 조사부(3)에 조사된 레이저가 부딪히는 부분으로 일종의 표적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카메라(7)는 타깃(5)의 앞쪽 하단에 설치되어 타깃(5)에 부딪힌 레이저의 위치 영상을 스캐닝(또는 촬영)하여 컨트롤러(9)에 전송한다. 컨트롤러(9)는 카메라(7)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사격점수를 환산하여 디스플레이장치(도시생략)에 디스플레이하고 기록장치(도시생략)에 기록할 수 있다.
격발 스위치부(1)는 총기(11)의 방아쇠울(11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격발 스위치부(1)는 방아쇠울(11a)에 측면에서 끼워지며 총기(11)의 방아쇠(11b)의 뒤편(방아쇠가 당겨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을 의미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발 스위치부(1)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13), 연장부(15), 그리고 스위치(17)를 포함한다.
고정부(13)에는 방아쇠울(11a)에 끼워지는 끼움홈(13a)이 측면(방아쇠울의 측면)방향으로 제공된다. 즉, 고정부(13)의 끼움홈(13a)은 방아쇠울(11a)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방아쇠울(11a)에 고정부(13)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13)의 일측에는 연장부(15)가 제공된다. 연장부(15)는 방아쇠(11b)와 동일한 모양으로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5)는 고정부(13)에서 연장되어 방아쇠(11b)의 뒤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장부(15)에는 스위치(17)가 끼워질 수 있는 스위치 삽입홈(15a)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 스위치 삽입홈(15a)에 스위치(17)가 끼움 결합된다. 스위치(17)에는 방아쇠(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스위치가 동작할 수 있는 버튼(17a)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튼(17a)은 방아쇠(11b)의 뒷부분과 접촉하여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17)는 온, 오프 작동 신호를 컨트롤러(9)에 전송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는 총기의 총열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3)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9), 가늠자 투시부(21), 제1 연결부(23), 제2 연결부(25), 고정부재(27), 그리고 레이저부(29)를 포함한다.
결합부(19)는 레이저 조사부(3)를 총기(11)의 총열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총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홈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19)는 총열에 억지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9)의 위쪽 부분에는 공간을 마련하여 가늠자 투시부(21)가 제공된다. 가늠자 투시부(21)는 일종의 공간으로 실사격시에 총기(11)의 가늠자(도시생략)를 사격자가 볼 수 있도록 관통된 부분이다.
결합부(19)의 상부에는 제1 연결부(23)가 제공된다. 제1 연결부(23)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부(19)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23)의 측면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장홈(23a)이 제공된다. 제1 연결부(23)의 장홈(23a)은 측면에서 총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 연결부(23)의 중심부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23)의 장홈(23a)의 형상은 고정부재(27)를 끼워 좌, 우측(총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함)으로 고정부재(2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연결부(25)는 제1 연결부(23)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연결부(25)는 제1 연결부(23)가 삽입되는 내측면에 구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연결부(25)는 제1 연결부(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25)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고정부재(27)가 삽입될 수 있는 또 다른 구멍(25a, 도 3 참조)이 제공된다.
제2 연결부(25)는 제1 연결부(23)에 밀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7)는 볼트와 나비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연결부(23)와 제2 연결부(25)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27)는 제2 연결부(25)의 구멍(25a)과 제1 연결부(23)의 장홈(23a)을 관통해서 제1 연결부(23)와 제2 연결부(25)를 고정한다.
제2 연결부(25)의 상부에는 레이저부(29)가 제공된다. 레이저부(29)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장치가 수납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격자는 총기(11)의 방아쇠울(11a)에 격발 스위치부(1)를 설치한다. 격발 스위치부(1)의 고정부(13)에 제공된 끼움홈(13a)을 단지 방아쇠울(11a)의 측면에 밀어 넣어 끼우는 것에 의해 격발 스위치부(1)가 방아쇠울(11a)에 고정된다. 물론, 격발 스위치부(1)의 연장부(15)가 방아쇠(11b)의 뒤편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스위치(17)가 방아쇠(11b)의 뒤편에 배치되고, 스위치(17)에 제공된 버튼(17a)도 방아쇠(11b)의 뒤편에 배치된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부(3)를 총기(11)의 총열에 결합한다. 사격자는 레이저 조사부(3)의 결합부(19)를 총열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재(27)를 느슨하게 풀고 레이저부(29)를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점과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한다. 이때 제1 연결부(23)와 제2 연결부(25)는 서로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7)를 조인다. 그러면 제1 연결부(23)와 제2 연결부(25)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총기(11)를 조준하여 타깃(5)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사격자는 방아쇠(11b)를 당긴다. 그러면 방아쇠(11b)의 뒷부분이 버튼(17a)을 누르면서 스위치(17)가 작동한다. 스위치(17)가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컨트롤러(9)에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9)는 레이저 조사부(3)의 레이저부(29)를 제어하여 레이저는 타깃(5)으로 조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9)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7)는 타깃(5)에 레이저가 조사된 상태(레이저가 타깃에 일정한 위치에 부딪힌 상태)를 스캐닝(또는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다시 컨트롤러(9)에 전송한다. 그리고 컨트롤러(9)는 카메라(7)에서 전달받은 영상 신호를 제어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동시에 저장장치에 기록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격훈련장치는 기존의 총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모의사격훈력을 실시함으로써, 사격자의 격발감을 그대로 유지하여 사격 훈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격발 스위치부(1)와 레이저 조사부(3)를 실제 총기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실사격시에는 용이하게 격발 스위치부(1)와 레이저 조사부(3)를 총기에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격발 스위치부, 3. 레이저 조사부,
5. 타깃, 7. 카메라,
9. 컨트롤러, 11. 총기,
11a. 방아쇠울, 11b. 방아쇠,
13. 고정부, 13a. 끼움홈,
15. 연장부, 15a. 스위치 삽입홈,
17. 스위치, 17a. 버튼,
19. 결합부, 21. 가늠자 투시부,
23. 제1 연결부, 23a. 장홈,
25. 제2 연결부, 25a. 구멍,
27. 고정부재, 29. 레이저부

Claims (7)

  1. 총기에 결합되는 격발 스위치부,
    상기 격발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레이저가 조사되며 상기 총기의 총열에 결합되는 레이저 조사부,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표적이 되는 타깃,
    상기 타깃에 레이저가 조사된 상태의 영상을 스캐닝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격발 스위치부,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스캐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격결과를 점수로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격발 스위치부는
    상기 총기의 방아쇠울에 결합되며 상기 총기의 방아쇠 뒤편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총기의 총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총기의 가늠자를 투시할 수 있는 가늠자 투시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제공되며 측면을 관통하여 장홈이 제공되고 볼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감싸면서 끼워져 상, 하, 좌, 우로 일부 구간을 회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장홈을 관통시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에 제공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
    를 포함하는 사격훈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발 스위치부는
    상기 방아쇠울의 측면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방아쇠 뒤편에 배치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 끼워지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의해 온, 오프 작동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사격훈련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사격훈련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방아쇠와 같은 형태의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사격훈련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끼움홈이 측면을 향하여 제공되는 사격훈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타깃의 앞쪽 저면에 설치되는 사격훈련장치.
KR1020130152947A 2013-12-10 2013-12-10 사격훈련장치 KR10157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47A KR101574744B1 (ko) 2013-12-10 2013-12-10 사격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947A KR101574744B1 (ko) 2013-12-10 2013-12-10 사격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44A KR20150067844A (ko) 2015-06-19
KR101574744B1 true KR101574744B1 (ko) 2015-12-07

Family

ID=5351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947A KR101574744B1 (ko) 2013-12-10 2013-12-10 사격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374B1 (ko) 2020-07-13 2020-11-26 (주)피닉스스튜디오 사격술 자동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8001B (zh) * 2018-10-12 2024-01-23 西桥自动化(厦门)有限公司 一种枪支的激光射击装置以及模拟激光射击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64B1 (ko) * 2012-06-08 2013-01-17 이대진 소총사격 연습용 방아쇠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64B1 (ko) * 2012-06-08 2013-01-17 이대진 소총사격 연습용 방아쇠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374B1 (ko) 2020-07-13 2020-11-26 (주)피닉스스튜디오 사격술 자동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44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US5823779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eapons range with return fire
WO2005045573A3 (en) Training simulator for sharp shooting
US20160138895A1 (en) Projectile weapon training apparatus using visual display to determine targeting, accuracy, and/or reaction timing
TW201038912A (en) Shooting training systems using an embedded photo sensing panel
CN109780940B (zh) 一种基于拟态射击训练靶场的射击训练方法
US20070160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KR101574744B1 (ko) 사격훈련장치
US7621747B1 (en) Laser stabilization assembly for weapon simulators
CN111750736A (zh) 一种识别追踪目标的方法以及激光对抗装置
KR101488080B1 (ko) 시뮬레이션 사격용 총
JP4785503B2 (ja) 映像射撃シミュレータ
US8613619B1 (en) Hunter training system
RU152571U1 (ru) Имитатор переносного зенитного раке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US20050034596A1 (en) Locking assembly for firearm simulators
JP2010210149A (ja) 標的装置
US20070287132A1 (en)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firing of immobilization weapons
KR101196672B1 (ko) 시뮬레이션 사격용 총
JP2009168332A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KR20090100658A (ko) 모의 교전용 전차
KR970070940A (ko) 광선을 이용한 사격훈련방법 및 장치
JP5342854B2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KR102661130B1 (ko) 맞춤형 온오프라인 사격 교육 시스템
JP2010210148A (ja) 標的装置
KR200415376Y1 (ko) 영점조정용 모의 사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