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73B1 -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73B1
KR101574573B1 KR1020140101249A KR20140101249A KR101574573B1 KR 101574573 B1 KR101574573 B1 KR 101574573B1 KR 1020140101249 A KR1020140101249 A KR 1020140101249A KR 20140101249 A KR20140101249 A KR 20140101249A KR 101574573 B1 KR101574573 B1 KR 10157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astening portion
rear end
circumferential surface
e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스텍
Priority to KR102014010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10Metals, alloys or intermetallic compounds
    • F05D2300/12Light metals
    • F05D2300/121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하여 이들을 다양한 각도로 결합시켜 제작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형상을 변경한 개선된 블레이드 모델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풍력발전의 알루미늄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제1키홈이 형성된 전단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체결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등간격으로 제2키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의 외주면이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움직여서 제1 및 제2키홈을 맞춰 키(key)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결합시켜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Assembling type aluminum blade of wind power apparatus}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장치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하여 이들을 다양한 각도로 결합시켜 제작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형상을 변경한 개선된 블레이드 모델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재질로는 알루미늄, FRP(섬유강화 플라스틱), 탄소, 스테인레스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상용되고 있는 제품의 95% 이상은 알루미늄과 FRP 소재를 사용한 것이다. 한편, 풍력발전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벽 두께가 얇아서 무게가 가볍고 크기는 커야 하는데, 같은 크기의 블레이드라고 할지라도 무게가 가벼우면 출력 효율이 10~15% 증가된다.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벽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무게가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벽 두께를 얇게 하면 크기를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블레이드는 대량생산과 표준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알루미늄 블레이드 압출 제조공정에서는 코드(cord) 크기에 비례해서 벽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데, 이는 제조상 처짐과 수축율을 고려할 때 어쩔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무게 경감을 위해서 벽 두께를 줄이는 데 있어서 한계이고 단점이다. 또, 블레이드는 용융상태의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실제 제작에 앞서 시뮬레이션을 완벽하게 한 후에 제작하더라도 압출기 출구에서 급냉시키면서 캠버 선형의 변화가 발생하여 원래의 금형에 비해 약간 변형된 형상의 블레이드가 제작되게 되는데, 일단 제작된 블레이드는 형상 수정이 불가하므로 금형부터 다시 수정하여 생산해야 하므로, 원래 의도했던 블레이드를 제작한다는 자체가 매우 어렵다.
풍력발전의 블레이드는 회전중에 발생되는 관성력과 블레이드에서 발생되는 양항력(Lift & drag force)에 의해 비틀림 모멘트(torsional moment)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생기는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지금까지 풍력발전의 블레이드에 관하여 특허등록 제816851호 "풍력발전용 터빈 블레이드", 특허등록 제981839호 "풍력발전용 수직 터빈 블레이드", 특허등록 제1097401호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등 많은 기술이 출현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출현한 대부분의 풍력발전 블레이드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블레이드 회전시 난류(turbulent flow)가 발생되어 진동이 발생하면서 출력의 저하는 물론 풍력발전기에 무리를 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에 층류 유도홀을 형성한다든가,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197700과 같이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별도의 선행부를 부착하여 최대한 난류를 억제하고 층류(laminar flow)를 유도하도록 하는 기술이 출현했다. 하지만, 상기 기술들도 알루미늄 블레이드가 갖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장치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전단부와 후단부 또는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한 다음 이들을 다양한 각도로 변경시켜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형상을 변경하여 성능이 향상된 블레이드 모델을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간편하며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제1키홈이 형성된 전단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체결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등간격으로 제2키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의 외주면이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움직여서 제1 및 제2키홈을 맞춰 키(key)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결합시켜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1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제1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1요부(凹部)가 형성된 전단본체;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제1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내부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1철부(凸部)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내부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2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제2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2요부가 형성된 중단본체; 단면이 원형 형상인 제2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내부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2철부가 각각 형성된 후단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외부체결부의 제1요부에 제1내부체결부의 제1철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외부체결부의 제2요부에 제2내부체결부의 제2철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어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단부와 후단부, 또는, 전단본체와 중단본체 및 중단본체와 후단본체가 각각 결합된 부분에는 표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결합되어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층류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가 구비된 전단부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의 외주면을 삽입시켜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블레이드를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전단부와 후단부 또는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한 다음 각도를 변경하여 이들을 결합시켰기 때문에 각도가 변경된 부분에서 약간의 간격이 발생하면서 결합되게 되므로, 이러한 간격으로 인하여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이음부위의 배면에서는 항력이 증가되고, 전면에서는양력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이음부위 공간에서 발생되는 양항력 증가로 출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출력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풍력발전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벽 두께가 얇아서 가벼우면서도 크기가 커야 하는데,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압출기는 크기를 크게 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블레이드를 제작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는 블레이드를 전단부와 후단부 또는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한 다음 이들을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에서 최대한 벽 두께를 줄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코드(cord) 크기 제약을 완화할 수 있어서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다단으로 된 블레이드의 일부 형상을 변경하여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블레이드 모델을 제작할 때도 전체가 아닌 블레이드의 다단 중 수정된 일부만 제작하여 결합시키면 되므로 저렴한 비용을 들여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제1실시예를 결합시킨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키(key)의 삽입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 선형의 각도를 변형시키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제2실시예를 결합시킨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제3실시예를 결합시킨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블레이드를 다단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작한 다음 이들을 다양한 각도로 결합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블레이드를 가벼우면서도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일부 형상을 변경한 모델을 개발하더라도 전체가 아닌 다단 중 일부만 새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면 되므로 저비용으로 새로운 모델을 제작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블레이드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두께가 얇은 벽으로 둘러쌓인 에어포일(airfoil) 형상과 같은 구조인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블레이드 결합구조는 블레이드(10)를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전단부(11)와 후단부(12)로 분리 제작하여 이들을 결합시켜 일체로 된 하나의 블레이드(10)를 형성한 구조이다.
전단부(11)는 에어포일 형상에서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전단부 본체(111)의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112)가 구비되며, 외부체결부(112)의 내주면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제1키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12)는 에어포일 형상에서 후방에 위치하면서 전단부(11)의 후방에 결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122)가 후단부 본체(12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체결부(122)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등간격으로 제2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단부(11)와 후단부(12)를 결합시킬 때는 전단부(11)의 외부체결부(111) 내주면에 후단부(12)의 내부체결부(122) 외주면을 삽입시킨 다음, 전단부(11) 또는 후단부(12)를 움직여서 제1 및 제2키홈(113, 123)을 맞춰 키(key)(13)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전단부(11)와 후단부(12)를 결합시켜 전체 블레이드(10)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 및 제2키홈(113, 123)은 각각 반원 형상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특정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키홈이 마주하여 키(13)의 형상과 동일하면 된다. 외부체결부(112)의 내주면과 내부체결부(122) 외주면에 각각 등간격의 키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외부체결부(112)의 내주면과 내부체결부(122)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키홈들은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전단부(11)와 후단부(12)이므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키홈끼리만 위치를 맞추어 키(13)를 삽입하면 나머지 키홈들은 위치가 약간씩 어긋나게 되므로(도 3 참조), 블레이드의 캠버 선형이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본체(111)의 후단에 위치한 개구(開口)된 양단 사이의 간격이 후단부 본체(121) 전단의 양단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크므로(즉, 전단부 본체와 후단부 본체가 결합되면서 이어지는 부분에서 앞쪽에 있는 edge line이 결합부 뒤쪽에 있는 edge line보다 낮음), 전단부(11)와 후단부(12)가 결합된 부분에는 블레이드의 표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표면에 형성된 간격은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의 표면에서 난류(turbulent 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층류(laminar flow)가 발생하도록 하는 층류 유도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난류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면서 출력의 저하하고 풍력발전기에 무리를 주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결합구조의 제2실시예는,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를 전단본체(21)와 중단본체(22) 및 후단본체(23)의 3부분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것이다. 물론 더 이상으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전단본체(21)는 에어포일 형상의 블레이드에서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1외부체결부(211)가 구비되며, 제1외부체결부(211)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1요부(凹部)(211a, 2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요부(凹部)(211a, 211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하나씩만 형성할 수도 있고, 등간격으로 다수개씩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중단본체(22)는 블레이드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제1내부체결부(22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내부체결부(221)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1철부(凸部)(221a, 2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이 개구(開口)된 후방 내부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2외부체결부(222)가 구비되며, 제2외부체결부(222)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2요부(222a, 2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요부(222a, 222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하나씩만 형성할 수도 있고, 등간격으로 다수개씩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후단본체(23)는 블레이드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단면이 원형 형상인 제2내부체결부(23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내부체결부(231)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2철부(231a, 23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단본체(21)와 중단본체(22) 및 후단본체(23)를 결합시킬 때는 전단본체(21)의 제1외부체결부(211) 내주면에 중단본체(22)의 제1내부체결부(221) 외주면을 삽입시켜 제1요부(211a, 211b)와 제1철부(221a, 221b)를 결합시키고, 중단본체(22)의 제2외부체결부(222) 내주면에 후단본체(23)의 제2내부체결부(231) 외주면을 삽입시켜 제2요부(222a, 222b)와 제2철부(231a, 231b)를 결합시키면 전체 블레이드(20)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본체(21)와 중단본체(22) 및 후단본체(23)가 각각 결합되는 부분에는, 각 결합된 부분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즉, 결합부에서 앞쪽에 있는 edge line이 결합부 뒤쪽에 있는 edge line보다 낮음), 결합부에서 블레이드의 표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표면에 형성된 간격은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의 표면에서 난류(turbulent flow)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층류(laminar flow)가 발생하도록 하는 층류 유도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난류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면서 출력의 저하하고 풍력발전기에 무리를 주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결합구조의 제3실시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311)가 구비된 전단부(31)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32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단부(3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단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체결부(311)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321)의 외주면을 삽입시켜 전체 블레이드(30)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키홈을 없앤 것인데, 외부체결부(311)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321)의 외주면을 삽입했을 때 전단부(31)의 후방 개구된 부분의 벽을 이루는 지지부(313)가 후단부 본체(322)와 내부체결부(321)를 연결하는 연결부(323)의 양측 외면을 지지해 주면서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0, 20, 30)를 처음부터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작하면, 블레이드(10, 20, 30)를 벽 두께가 얇으면서도 크기가 큰 블레이드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10, 20, 30)의 일부 형상을 변경하여 새로운 모델을 제작하려고 할 때 블레이드 전체를 다시 제작하지 않고 수정된 부분만 제작하여 조립하면 되므로 비용도 훨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블레이드
11 : 전단부 111 : 전단부 본체
112 : 외부체결부 113 : 제1키홈
12 : 후단부 121 : 후단부 본체
122 : 내부체결부 123 : 제2키홈
13 : 키(key)
20 : 블레이드
21 : 전단본체 211 : 제1외부체결부
211a, 211b : 제1요부(凹部)
22 : 중단본체 221 : 제1내부체결부
221a, 221b : 제1철부(凸部) 222 : 제2외부체결부
222a, 222b : 제2요부(凹部)
23 : 후단본체 231 : 제2내부체결부
231a, 231b : 제2철부(凸部)
30 : 블레이드
31 : 전단부 311 : 외부체결부
313 : 지지부
32 : 후단부 321 : 내부체결부
322 : 후단부 본체 323 : 연결부

Claims (5)

  1.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한쌍의 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제1키홈이 형성된 전단부;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체결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등간격으로 제2키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 내부체결부의 외주면이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움직여서 제1 및 제2키홈을 맞춰 키(key)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결합시켜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블레이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후방이 개구(開口)되고, 내부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1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제1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1요부(凹部)가 형성된 전단본체;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인 제1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내부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1철부(凸部)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이 개구된 내부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제2외부체결부가 구비되며, 제2외부체결부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2요부가 형성된 중단본체;
    단면이 원형 형상인 제2내부체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내부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를 향해 제2철부가 각각 형성된 후단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외부체결부의 제1요부에 제1내부체결부의 제1철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외부체결부의 제2요부에 제2내부체결부의 제2철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전체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본체와 중단본체 및 중단본체와 후단본체가 각각 결합된 부분에는 표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1020140101249A 2014-08-06 2014-08-06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10157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49A KR101574573B1 (ko) 2014-08-06 2014-08-06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49A KR101574573B1 (ko) 2014-08-06 2014-08-06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73B1 true KR101574573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49A KR101574573B1 (ko) 2014-08-06 2014-08-06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10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US10087912B2 (en) Vortex generator for a rotor blade
US2010013581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a rotor blade for use in a wind turbine
US9039378B2 (en) Marine propeller structure
CN104145118A (zh) 螺旋浆式风扇、流体输送装置以及成形用模具
CN105008668A (zh) 具有扭曲的肋的扭曲的燃气涡轮发动机翼面
CN106121746B (zh) 用于轴流涡轮机械压缩机的复合分流器唇边
JP2017089561A (ja) ボルテックスジェネレータ、風車翼および風力発電装置
TW201629336A (zh) 風力渦輪機轉子葉片之後緣段
CN102767469A (zh) 用于风力涡轮机转子叶片的小翼
KR101574573B1 (ko) 조립식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US20180340512A1 (en) Blade Capable of Efficiently Utilizing Low-Velocity Fluid and Application Thereof
CN207110864U (zh) 一种新型暗装箱门框
JP7221384B2 (ja) 中空の翼弦方向に延在するピンを有する風力タービンのジョイントされたロータブレード
CN111396243A (zh) 一种三腹板结构的大型风电机组叶片及组装方法
CN116398470A (zh) 一种外转子轴流叶轮
CN114585808A (zh) 用于将弯曲物体联接到中心轴的联接系统
CN111379661A (zh) 风电叶片、风机及风电叶片制造方法
KR100535679B1 (ko) 터보팬
CN109505663B (zh) 一种涡轮增压器上用的喷嘴环
TWI634267B (zh) 風扇及其扇框
CN105697070A (zh) 一种组合结构的复合材料静子叶片
JPS61190173A (ja) 風車のロ−タブレ−ド構造
CN212615735U (zh) 一种燕尾榫条
CN217944263U (zh) 一种空间弯曲成圆形或弧形橡胶密封条生产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