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473B1 -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473B1
KR101574473B1 KR1020150107377A KR20150107377A KR101574473B1 KR 101574473 B1 KR101574473 B1 KR 101574473B1 KR 1020150107377 A KR1020150107377 A KR 1020150107377A KR 20150107377 A KR20150107377 A KR 20150107377A KR 101574473 B1 KR101574473 B1 KR 10157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lorine dioxide
sodium chlorite
solidified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택형
Original Assignee
류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택형 filed Critical 류택형
Priority to KR102015010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부,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액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반응물질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용액을 발생시키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기화부를 포함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APPARATUS FOR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SODIUM CHLORITE BLOCK}
본 발명은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온에서 안정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반응과정 및 제어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저농도의 이산화염소의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할 수 있는 안전성 및 수율이 높은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람들의 업무환경 및 생활환경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짐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유해 물질 제거, 살균 및 탈취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살균과 탈취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기존의 염소(Cl2)산화제를 대신할 새로운 화학물질로서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ClO2)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는 유독성 무기물의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의류표백, 악취제거 등 다양한 방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유기물을 산화시키지 않으며 넓은 PH범위에서 살균 효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발암성 소독 부산물의 생성이 없으며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그 상업적 가치 및 산업적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염소는 우수한 살균력과 탈취력, 그리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공기 중에 일정 농도 이상으로 노출 시 높은 폭발성을 지니게 되어 운송이나 장기간 저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압축하여 대량으로 저장하기가 어렵고 상온에서 외부환경에 노출 시 시간경과에 따른 상태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보관 또한 까다롭기 때문에, 생산을 위한 제법 및 분석도 용이하지 않아, 순도 높은 이산화염소의 획득 및 수율이 높은 생산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염소산염(chlorate)와 환원제(SO2, HCl, CH3OH 등)를 이용한 대량생산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대량생산 방식에 따른 대규모 설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반시설 확보에 높은 비용이 발생하며 응용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소량생산 방식의 경우, 무기산(inorganic acid)과 아염소산염(salt chlorite)을 산화시켜 이산화염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를 통해 생산되는 이산화염소는 순도가 낮고 불순물의 생성량이 많기 때문에 수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도 아염소산염과 염산 및 차아염소산염(hypochlorite)을 이용한 생산 방식이 존재하나, 이 경우에는 세 가지 이상의 원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반응이 복잡하고 원료의 저장 및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이산화염소는 그 용도의 다양함과 환경적 안전성으로 인해 매우 활용도가 높은 물질이지만, 상온에서 불안정하다는 특성으로 인해 제조방법이 까다롭고 운반 및 유통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함에 있어서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시트르산의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저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반응과정 및 생산량의 제어가 매우 간단하며 생산설비를 마련함에 있어 저비용, 소형화가 가능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시트르산 블록을 전구물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의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생산되는 이산화염소를 기체상태로 회수하기 때문에, 순도 높은 이산화염소의 획득이 가능하여 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때 생성되는 반응물 또한 환경적으로 매우 안전한 친환경적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부;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액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반응물질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용액을 발생시키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기화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은, 씨엠씨 칼슘(CMC calcium; CarboxylMethyl Cellulose calcium),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화 물질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단계;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에 아염소산나트륨을 넣고 함께 융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이 함께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물질은,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으로 형성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때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함께 융해되어 상기 반응부에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반응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고체화된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씨엠씨 칼슘(CMC calcium; CarboxylMethyl Cellulose calcium),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화 물질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단계;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에 시트르산을 넣고 함께 융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트르산이 함께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을 액화시키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로부터 열원을 받아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을 상기 가열기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반응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는, 타공되어 있는 배출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판은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판의 기설정된 각도를 조절하여,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부는, 상기 기화부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가 상기 반응부의 일측에 마련된 통로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 및 상기 기화부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를 상기 통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유도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화부는,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시킬 수 있도록,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판일 수 있다.
나아가,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이 발생되는 양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발생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화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가열부에 의해 모두 액화된 이후에 새로운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이산화염소를 생성함에 있어서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시트르산의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생산시스템을 취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응과정 및 생산량의 제어가 매우 간단하며 저비용, 소형화가 가능한 생산설비를 마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시트르산 블록을 전구물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의 안정성이 높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생산된 이산화염소를 기체상태로 회수하기 때문에 순도 높은 이산화염소의 획득이 가능하여 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때 생성되는 반응물 또한 환경적으로 매우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열부에서, 가열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열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열부에서 가열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용부(100), 가열부(200), 반응부(300), 기화부(400) 및 제어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반응물질(예컨대,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C)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일종의 틀로써,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2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속적인 이산화염소의 생성을 위해,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C)이 가열부(200)에 의해 모두 액화된 이후에는, 새로운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은 상기 도어(120)를 통해 수용부(1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0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어(120)가 수용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도어(120)는 수용부(100)의 어느 위치라도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및 형상은 제한없이 다양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또한, 수용부(100)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는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가이드(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40)는,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이 가열부에 의해 액화될 때, 고체화된 블록 부분이 점차 줄어듬에 따라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40)는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에 미리 마련된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틱(stick)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부(10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레일(rail)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등 그 형태에 대하여는 제한없이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은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전구물질(前驅物質, precursor)이다.
이때,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시키는 반응물질은 시트르산 블록(C)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말론산, 타르타르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말산(사과산), 숙식산 및 벤조산(안식향산) 등을 포함한 각종 유, 무기 고체산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아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ite)은, 대표적인 이산화염소를 생성하기 위한 원료물질로서 산(acid)과의 반응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생성하게 되며, 후술할 일련의 단계를 거쳐 고체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씨엠씨 칼슘(CMC calcium; CarboxylMethyl Cellulose calcium),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화 물질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상기 단계를 통해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에 아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ite, NaClO2)을 투입하여 함께 융해시킨다.
끝으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이 함께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시트르산(citric acid)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함께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게 되며,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C)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과정을 통해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함께 수용부(100)에 수용되고,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될 때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함께 융해되어 반응부(300)에서 융해된 아염소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트르산 블록(C) 역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마찬가지로, 전술했던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의 생성 과정과 동일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은 서로 접촉하여 맞닿은 상태로 수용부(100)에 투입될 수 있으며, 투입된 후에는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액체(L) 상태로 융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은 직접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수용부(100)에 투입될 수도 있지만,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의 접촉면에 사이에 PVA 멤브레인(PolyVinyl Alcohol Membrane)이 끼워진 상태로 상호 접착되어 수용부(100)에 투입될 수 있다.
이처럼 PVA 멤브레인을 통해 상호 접착되어 수용부(100)에 투입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은 물질적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부(200)에 의해 융해되기 전에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 사이의 물질적 접촉으로 인해 수용부(1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원치 않는 화학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200)는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을 가열하여 액화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100)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이 고체상태로는 반응부(300)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액화된 상태로만 반응부(3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을 액화시키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기(220)와, 상기 가열기(220)의 열원으로부터 가해지는 열에 의해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을 가열기(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반응부(300)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40)와, 가열기(220)가 반응부(30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열기(220)와 반응부(300)를 연결하는 연결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기(220)는 열과 전기적 전도성이 높은 구리판으로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의 액화 정도 및 속도를 조절하여 이산화염소의 생성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배출구(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이 반응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서브배출홀(246)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타공되어 있는 배출판(24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판(242)은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기울기를 갖고 마련된 배출판(242) 중 반응부(300)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일측에는 메인배출홀(244)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가열기(220)를 통해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이 배출판(242)상에 떨어져 흘러내릴 시, 전술한 서브배출홀(246)을 통해 일정량이 꾸준하게 반응부(300)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판(242)의 기울기, 즉 기설정된 각도를 조절하여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이 메인배출홀(244)를 통해 반응부(300)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반응부(300)는 앞서 언급했듯이 가열부(200)에 의해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과 시트르산 블록(C)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용액(L)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아염소산나트륨(NaClO2)과 시트르산(C6H8O7)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염소(ClO2)의 생성은 아래와 같은 화학식을 따를 수 있다.
[ 3NaClO2 + C6H8O7 -> 3ClO2 + C6H8O7Na3 ]
이처럼, 아염소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의 화학양론적인 반응 몰비가 3:1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아염소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이 3:1로 반응할 경우에 이산화염소의 최대 생성량을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경우에는 저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장시간 생성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반응 몰비 및 그에 따른 생성량에 제한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반응부(300)는 후술할 기화부(400)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G)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로(340)가 일측에 마련되며, 기화된 이산화염소(G)가 상기 통로(340)로 향할 수 있도록 반응부(3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L) 및 기화부(400)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G)를 통로(340)를 향해 이동시키는 유도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화부(400)는 상기 반응부(3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L)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반응부(300)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기화부(400)는, 반응부(3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L)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시킬 수 있도록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발생판은 미세진동을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가 이산화염소 용액(L)에 가해짐으로써 이산화염소 용액(L)이 기화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액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B) 및 시트르산 블록(C)이 반응부(300)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이산화염소 용액(L)이 발생되는 양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발생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화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술했던 바와 같이 가열부(200)의 가열기(220)의 온도 제어 및 배출판(242)의 기울기 조절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되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종래 천장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수용부
120: 도어
140: 가이드
200: 가열부
220: 가열기
240: 배출구
242: 배출판
244: 메인배출홀
246: 서브배출홀
260: 연결구
300: 반응부
320: 유도기
340: 통로
400: 기화부
500: 제어부

Claims (12)

  1.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부;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액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반응물질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용액을 발생시키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기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물질은,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으로 형성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때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함께 융해되어 상기 반응부에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과 반응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을 발생시키고,
    상기 가열부는,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은,
    씨엠씨 칼슘(CMC calcium; CarboxylMethyl Cellulose calcium),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화 물질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단계;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에 아염소산나트륨을 넣고 함께 융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이 함께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고체화된 상기 시트르산 블록은,
    씨엠씨 칼슘(CMC calcium; CarboxylMethyl Cellulose calcium),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젤라틴(gelat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화 물질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단계;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에 시트르산을 넣고 함께 융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트르산이 함께 융해된 상기 블록화 물질을 건조시켜 고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을 액화시키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로부터 열원을 받아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을 상기 가열기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반응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타공되어 있는 배출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판은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의 기설정된 각도를 조절하여,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기화부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가 상기 반응부의 일측에 마련된 통로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 및 상기 기화부에 의해 기화된 이산화염소를 상기 통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유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부는,
    상기 반응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용액에 진동을 가하여 기화시킬 수 있도록,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액화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반응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이 발생되는 양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발생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화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상기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이 상기 가열부에 의해 모두 액화된 이후에 새로운 고체화된 아염소산나트륨 블록 및 고체화된 시트르산 블록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KR1020150107377A 2015-07-29 2015-07-29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KR10157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77A KR101574473B1 (ko) 2015-07-29 2015-07-29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77A KR101574473B1 (ko) 2015-07-29 2015-07-29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473B1 true KR101574473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77A KR101574473B1 (ko) 2015-07-29 2015-07-29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422A (ko) 2019-12-10 2021-06-18 방지철 광촉매 작용의 나노용액 전구체 타블렛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10148780A (ko) * 2020-06-01 2021-12-08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522A (ja) 2002-12-10 2004-07-08 Daiichi Seidenki Kk 二酸化塩素ガス発生装置
JP2006290717A (ja) 2005-04-10 2006-10-26 Taiko: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JP2014159360A (ja) * 2013-01-24 2014-09-0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二酸化塩素ガス発生システム、及び二酸化塩素ガス分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522A (ja) 2002-12-10 2004-07-08 Daiichi Seidenki Kk 二酸化塩素ガス発生装置
JP2006290717A (ja) 2005-04-10 2006-10-26 Taiko:Kk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方法
JP2014159360A (ja) * 2013-01-24 2014-09-04 Takasago Thermal Eng Co Ltd 二酸化塩素ガス発生システム、及び二酸化塩素ガス分解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422A (ko) 2019-12-10 2021-06-18 방지철 광촉매 작용의 나노용액 전구체 타블렛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10148780A (ko) * 2020-06-01 2021-12-08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WO2021246705A1 (ko) * 2020-06-01 2021-12-09 ㈜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KR102437033B1 (ko) * 2020-06-01 2022-08-26 (주)푸르고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2232B2 (ja) 二酸化塩素製造用の安定化組成物
KR102171841B1 (ko) 스파클링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캡슐
JP5592903B2 (ja) 五フッ化リン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反応器のデザイン
KR101574473B1 (ko) 아염소산나트륨 블록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US20050224750A1 (en) Simple apparatus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gas
JP3949088B2 (ja) 二酸化塩素製造装置
JP2011508718A (ja) 二酸化塩素製造装置
Huang et al. CuS nanostructures prepared by a hydrothermal method
Choi et al. Scalable continuous solvo-jet process for ZIF-8 nanoparticles
KR100884330B1 (ko) 순수한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 및 이산화염소수 제조 방법
Reardon et al. Mesoporous calcium phosphate bionanomaterials with controlled morphology by an energy‐efficient microwave method
EP2226291B1 (en) Process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US11407646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ammonia, and apparatus for said method
Smith et al.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anhydrous sodium sulfide
Gonzalez et al. Hydroxyapatite crystals grown on a cellulose matrix using titanium alkoxide as a coupling agent
JP4125103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装置
Zhang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γ-MnOOH nanowires and α-MnO2 sea urchin-like clusters
Castillo-Blas et al. The role of defects in the properties of functional coordination polymers
Skorokhod et al. Decomposition activation of hydroxyapatite in contact with β-tricalcium phosphate
Manongdo Facile Amine-Surfactant Thermal Syntheses,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Novel Crystalline Silver Thioantimonates
KR20020050194A (ko) 이산화염소의 장기 보존 및 미량 서방형 발생 장치 및제조 방법
EP2962988A1 (en) Compositions, preparation for production of chloride dioxide and final presentation forms
Baitahe et al. Study on thermal transformation of CuHPO 4· H 2 O obtained by acetone-mediated synthesis at ambient temperature
JP5055005B2 (ja) 水素豊富水生成方法及び水素豊富水生成器
Bracken et al. Analysis of OxiClean: an interesting comparison of percarbonate stain rem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