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66B1 -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66B1
KR101573366B1 KR1020140045174A KR20140045174A KR101573366B1 KR 101573366 B1 KR101573366 B1 KR 101573366B1 KR 1020140045174 A KR1020140045174 A KR 1020140045174A KR 20140045174 A KR20140045174 A KR 20140045174A KR 101573366 B1 KR101573366 B1 KR 10157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ot
displaying
uis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988A (ko
Inventor
윤재석
김재호
원광호
이상신
안일엽
송민환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UI를 다운로드 받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포함시키고,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UI를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표시한다. 이에 의해, 각기 다른 디바이스들을 조작하기 위한 UI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IoT Device UI Collection/Provi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디바이스들의 UI(User Interface)들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는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things)을 인터넷으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다.
IoT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며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IoT 서비스를 위한 전제는, 세상에 널리 퍼져 있는 다양한 많은 IoT 디바이스들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하고 조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많은 IoT 디바이스들을 사용하게 될 것이므로,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의 UI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수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UI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UI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UI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상기 UI가 선택되면, 상기 디바이스를 토글 형식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상기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이면 상기 UI를 제1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이면 상기 UI를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의 내부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생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상기 UI가 선택되면, 상기 UI에 대한 확장형 디바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형 디바이스-UI는, 상기 UI와 상기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수단이 상기 UI의 주변에 더 배치된 형태의 UI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형 디바이스-UI는, 상기 UI 보다 크기가 크며, 상기 UI와 다른 구성을 갖는 형태의 UI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UI 제공방법은, 상기 UI가 선택되면, 상기 UI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터치 스크린; 및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다운로드 받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포함시키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UI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UI와 함께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기 다른 디바이스들을 조작하기 위한 UI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UI들을 그에 적합한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어, 최적의 디바이스-UI 제공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음성 입력을 통해 디바이스-UI 구현을 복잡하지 않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중요 정보에 대한 즉각적 확인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제2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제3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제4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제5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시스템은, IoT 서버(100)와 스마트폰(200)을 포함한다.
IoT 서버(100)는 IoT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로, 디바이스들(D1, D2, ..., DM)에 대한 정보들과 디바이스들을 조작하는데 이용되는 디바이스-UI들(UI1, UI2, ..., UIM)이 등록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개발자(10)는 자신이 개발한 디바이스(D1, D2, ..., DM)를 설치하고, 그에 대한 정보(ID, 명칭, 모델, 제조사, 설치 위치, IP 주소 등)를 IoT 서버(100)에 등록한다(①).
한편, 디바이스 개발자(10)는 설치한 디바이스(D1, D2, ..., DM)에 NFC 태그 또는 QR 코드를 부착하되, NFC 태그/QR 코드에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중 ID를 수록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디바이스 개발자(10)는 디바이스(D1, D2, ... DM)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UI(UI1, UI2, ..., UIM)를 IoT 서버(100)에 등록한다(②). 디바이스-UI(UI1, UI2, ..., UIM) 등록시, 어느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UI인지 알 수 있도록, 디바이스 ID를 함께 등록한다.
스마트폰(200)은 IoT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이다. 스마트폰(200)은 IoT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이다.
스마트폰(200)에는 UA(Universal App)이 설치되어 있는데, UA는 디바이스들의 디바이스-UI들을 통합 수집/저장/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IoT 서버(100)가 제공하는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UA를 스마트폰(200)에 설치할 것이 요구된다.
사용자는 IoT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디바이스-M(예를 들어, DM)에 부착되어 있는 NFC 태그 또는 QR 코드를 스마트폰(200)으로 인식하여 디바이스의 ID를 획득한다(③).
그러면, 스마트폰(200)은 획득한 디바이스의 ID를 이용하여, IoT 서버(100)에서 해당 디바이스-UI(예를 들어, UIM)를 검색한 후 다운로드 받아, UA 내에 추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UA에 총 5개의 디바이스들(전등, 온도계, DTV, 에어컨, MP3 플레이어)에 대한 디바이스-UI를 추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UA는 5개의 디바이스-UI들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UA의 우측 하단에 마련된 "음성 입력"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1) 사용자가 UI1과 "음성 입력"을 멀티 터치하면, 음성으로 전등에 대한 제어 명령이 가능하고,
2) 사용자가 UI2와 "음성 입력"을 멀티 터치하면, 음성으로 온도계에 대한 제어 명령이 가능하며,
...
5) 사용자가 UI5와 "음성 입력"을 멀티 터치하면, 음성으로 MP3 플레이어에 대한 제어 명령이 가능하다.
한편, 디바이스-UI들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갖는다. 이하에서, 도 1에 예시된 디바이스들(전등, 온도계, DTV, 에어컨, MP3 플레이어)의 디바이스-UI들로, 각기 다른 특징의 디바이스-UI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1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의 좌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UA가 실행된 스마트폰(200)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UA가 실행되면, 그에 포함되어 있는 디바이스-UI들이 함께 표시되어 나타난다.
도시된 디바이스-UI들 중, 전등-UI(UI1)는 사용자가 토글 방식으로 전등을 제어할 수 있는 타입의 디바이스-UI이다. 즉, 사용자가 전등-UI(UI1)를 터치하면 전등이 "on"되고, 사용자가 전등-UI(UI1)를 한번 더 터치하면 전등이 "off"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등-UI(UI1)를 터치하여 전등이 on/off됨에 따라 전등-UI(UI1)의 색상도 그에 따라 함께 변하면서, 전등의 on/off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토글 방식의 디바이스-UI는, 전등-UI(UI1) 처럼 반드시 2단계 토글일 필요는 없으며, 3단계 이상도 가능하다.
도 3은 제2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UA 내에 나타난 디바이스-UI들 중, 온도계-UI(UI2)의 내부에는 현재 온도인 "24도"가 표시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온도계-UI(UI2)를 터치하여 온도계의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명령 방식은 전술한 토글 방식은 물론 후술할 다른 종류의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디바이스-UI의 내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전등-UI(UI1) 처럼 반드시 디바이스가 생성한 정보일 필요는 없다.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물론 디바이스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정보가 디바이스-UI의 내부에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바이스-UI의 내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디바이스-UI가 UA 내에 나타나 있는 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시되는 정보이므로, 가장 중요한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on/off 상태, 디바이스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제3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사용자에 의해 UA에 포함된 디바이스-UI들 중, DTV-UI(UI3)이 터치된 결과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UI(UI3)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변모하는 확장형 디바이스-UI이다. 구체적으로, 원래의 디바이스-UI인 DTV-UI(UI3)와 함께 그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조작 수단들이 원래의 디바이스-UI 주변에 더 배치된 형태의 디바이스-UI이다.
DTV-UI(UI3)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조작 수단들로써, 도 4에는 채널 변경을 위한 방향키들(▲,▼)과 볼륨 변경을 위한 방향키들(◀,▶)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UI가 확장형 디바이스-UI로 변경되면, 다른 디바이스-UI들은 비활성화된다. 도 4에는 확장된 DTV-UI(UI3)를 제외한 모든 디바이스-UI들이 비활성화된 것을 상정하였는데, DTV-UI(UI3)의 확장에 의해 사용이 불가능한(가려지는) 디바이스-UI들만이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확장형 디바이스-UI의 표시 위치는 원래의 디바이스-UI의 위치로부터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형 디바이스-UI를 화면 중앙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확장형 디바이스-UI의 크기가 큰 경우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도 6은 제4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에는, 도 4나 도 5와 다른 종류의 확장형 디바이스-UI를 예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UI는 에어컨-UI(UI4)에 대한 확장형 디바이스-UI로, 원래의 디바이스 -UI 보다 크기가 훨신 커서 화면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UA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UI들은 모두 가려졌다.
또한, 확장형 디바이스-UI 내부 구성 역시, 원래의 디바이스-UI와 완전히 다름을,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제5 타입의 디바이스-UI에 대한 상세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화면은 MP3-UI(UIM)을 터치한 경우에 나타나는 결과로, 디바이스-UI 터치시 그에 링크되어 있는 App이 실행되는 것이다.
App 실행에 의해 UA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UI들이 모두 가려졌음은 물론, MP3-UI(UIM)의 경우도 확장형으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6에 예시된 타입의 디바이스-UI와 다르다.
도 6에 예시된 확장형 디바이스-UI로도 구성할 수 없을 만큼 내용이 복잡한 경우, 이와 같이 구현함이 유용하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통신부(210), 터치 스크린(220), 프로세서(230), 저장부(240), NFC 모듈(250), 카메라(260) 및 마이크(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스마트폰(200)과 IoT 서버(100) 간의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터치 스크린(220)은 UA와 그에 포함된 디바이스-UI들을 표시하며, 이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터치로 입력받아 프로세서(230)에 전달한다.
NFC 모듈(250)은 디바이스에 부착된 NFC 태그로부터 디바이스 ID를 획득하고, 카메라(260)는 디바이스에 부착된 QR 코드로부터 디바이스 ID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수단이다.
저장부(240)에는 UA, 디바이스-UI 및 App이 설치되어 있는 저장 매체이다. 마이크(270)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프로세서(230)에 전달한다.
프로세서(230)는 UA, 디바이스-UI 및 App이 실행하여 터치 스크린(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NFC 모듈(250) 또는 카메라(260)와 연동하여 획득한 디바이스 ID를 이용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IoT 서버(100)로부터 디바이스-UI를 획득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터치 스크린(200) 또는 마이크(2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실행한다.
스마트폰(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의 일종에 불과하다. 스마트폰(2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D1, D2, ..., DM : 디바이스
UI1, UI2, ..., UIM : 디바이스-UI
10 : 디바이스 개발자 100 : IoT 서버
200 : 스마트폰 220 : 터치 스크린
250 : NFC 모듈 260 : 카메라
270 : 마이크

Claims (9)

  1. 제2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제2 UI(User Interface)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제2 UI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제1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제1 UI와 함께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2 UI를 상기 제1 UI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이면 상기 제1 UI를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이면 상기 제1 UI를 제2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UI의 내부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생성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토글 형식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2 UI에 대한 확장형 디바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디바이스-UI는,
    상기 제2 UI와 상기 제2 UI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수단이 상기 제2 UI의 주변에 더 배치된 형태의 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디바이스-UI는,
    상기 제2 UI 보다 크기가 크며, 상기 제2 UI와 다른 구성을 갖는 형태의 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가 선택되면, 상기 제2 UI에 링크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UI 제공방법.
  9. 터치 스크린; 및
    제2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제2 UI(User Interface)를 다운로드 받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제1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제1 UI와 함께 포함시키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2 UI를 상기 제1 UI와 함께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이면 상기 제1 UI를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이면 상기 제1 UI를 제2 색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2 UI의 내부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생성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40045174A 2014-04-16 2014-04-16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10157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74A KR101573366B1 (ko) 2014-04-16 2014-04-16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74A KR101573366B1 (ko) 2014-04-16 2014-04-16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988A KR20150119988A (ko) 2015-10-27
KR101573366B1 true KR101573366B1 (ko) 2015-12-02

Family

ID=5442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74A KR101573366B1 (ko) 2014-04-16 2014-04-16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740A (ja) * 2003-06-30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インタフェース構築方法
KR101123527B1 (ko) 2003-11-03 2012-03-16 오픈픽 인크. 다수-장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740A (ja) * 2003-06-30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インタフェース構築方法
KR101123527B1 (ko) 2003-11-03 2012-03-16 오픈픽 인크. 다수-장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988A (ko) 201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5224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9773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environment for controll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CN106030487B (zh) 用于控制屏幕的组成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056481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2022002702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CN106605234B (zh) 使用近场通信与许可控制共享内容
WO2018040943A1 (zh) 显示数据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WO2022001899A1 (zh) 应用程序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300801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2022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content files
US201503394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home screen page
AU2015202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CN104899003A (zh) 终端控制方法和系统
CN103324436A (zh) 一种任务处理方法及装置
KR20160063131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4235412A2 (en) Desktop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W201627849A (zh) 應用介面處理方法及裝置
CN108921855A (zh) 基于信息的图片处理方法及系统
WO2022111397A1 (zh) 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70071654A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 장치
CN106649128A (zh) 一种自动控制终端运行的方法
WO2018133500A1 (zh) 一种基于微信公众号进行远程应用的推送系统及方法
KR101573366B1 (ko) IoT 디바이스의 UI 수집/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20150186038A1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CN108415745B (zh) 一种移动终端上ui控件操控智能设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