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31A -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31A
KR20160063131A KR1020140166742A KR20140166742A KR20160063131A KR 20160063131 A KR20160063131 A KR 20160063131A KR 1020140166742 A KR1020140166742 A KR 1020140166742A KR 20140166742 A KR20140166742 A KR 20140166742A KR 20160063131 A KR20160063131 A KR 2016006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tem
control screen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임경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131A/ko
Priority to US14/952,552 priority patent/US20160147390A1/en
Publication of KR2016006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은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는 TV와 같은 사용자 장치의 제어 화면을 통해 제어 동작을 간단히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아주 다양하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연락처에 새로운 주소가 등록되면 "만나서 반갑습니다"라는 이메일을 자동으로 보내주는 것'과 같은 동작을 실행해 주는 서비스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반복적이거나 중요한 많은 사건을 놓치지 않고 뭔가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이프트(IFTTT, IF This, Then That) 서비스가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초기에 온라인 생산성 강화용 서비스로 알려졌는데, 이러한 서비스가 주목하는 것은 다름 아닌 '사물 인터넷(IoT)' 시대를 대비한 매우 의미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태스크(task)를 정하는 것은 레시피라고 부른다. 조합할 수 있는 서비스 대상은 채널이다. 현 채널에 페이스북, 트위터, 에버노트, 지메일, 드랍박스, 인스타그램, 텀블러 등 68개가 있다. 즉 68개의 채널을 각종 조합하여 정의한 어떤 태스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스마트 기기에 활용하면 기온이 내려갈 때 히터를 켜도록 한다든지, 빈집에 사람 움직임이 있으면 알람이 오도록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기기들을 이프트에 연결하기 위해 이프트는 기기를 채널로 사용할 수 있는 API를 공개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서드파티(3rd party) 업체들과 연동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상기의 통합 서비스, 가령 기온이 내려갈 때 히터를 켜도록 하는 등의 현재 방식은 많은 한계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프트는 서드파티 업체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또는 기능)에 대하여 텍스트 리스트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텍스트를 일일이 읽어서 기능을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서드파티 업체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사물 기기는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는 TV와 같은 사용자 장치의 제어 화면을 통해 제어 동작을 간단히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icon),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시각적 기호를 상기 제어 항목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에 의해 위치시킨 상기 시각적 기호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제어 화면상의 상기 시각적 기호를 드래그하여 복수의 제어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모든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온 및 오프시켜 일괄 제어하기 위한 조절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제어 화면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생성정보 확인 항목을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더 표시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icon),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시각적 기호를 상기 제어 항목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시킨 시각적 기호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상기 시각적 기호를 드래그하여 선택되는 복수의 제어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을 더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모든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온 및 오프시켜 일괄 제어하기 위한 조절 항목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제어 화면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생성정보 확인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정보 확인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영상표시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c) 화면에서, 생성정보 확인항목을 선택할 때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기생성된 모드의 목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어 화면에서 제어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제어 정보로서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어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시 설정값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90)은 영상표시장치(100), 사용자 장치(110), 통신망(120), 서비스제공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와 같은 구성요소가 사용자 장치(110)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가령 자신이 소지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110), 예를 들어 스마트폰, 에어컨이나 TV, 난방장치, 조명장치, 잠금장치 등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가 가능한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며, PMP, MP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의 경우에는 셋탑박스(STB)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는 하나의 사용자 장치(110)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 즉 동작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며, 복수의 사용자 장치(110)에 대하여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복수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와 TV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면 조명장치의 조명을 켜고, TV를 켤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장치에 대하여 통합 제어 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는 사용자 장치(110)에 대하여 통합 제어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서비스를 설정하는 그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하여도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의 경우, 영상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통합 제어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는 그 장치에 대하여도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면 내부의 와이파이 모듈을 자동으로 온(ON) 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영상표시장치(100)의 경우에는 자신의 장치에 대하여도 동작 설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는 자기 지정이 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는 사용자 장치(100)로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실행될 수 있다. 이의 실행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비스제공장치(130)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통합 서비스를 요청하였다면,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Trigger) 및 실행(Action)에 해당되는 동작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내가 집에 도착하면, 조명을 켜라"라고 동작을 설정한 경우, 집에 도착하고, 조명을 켰다는 이벤트의 발생 사실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인 경우, 사용자는 그 모바일 장치를 동작 수행 장치로 지정하고, "내가 집에 도착하면"이라는 조건에 해당하는 동작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의 경우 모바일 장치는 가령 센싱부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는지 감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내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동작이 감지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감지 이벤트가 발행하였다는 사실을 서비스제공장치(13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물론 주변의 사용자 장치(110)로 직접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살펴보기로 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가령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110)들을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하여 자기 지정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지정한 사용자 장치(110)들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모드(mode)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 또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1과 모드 2는 동작 방식이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방식이 상이하다는 것은 곧 제어 정보가 상이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1(110-1)이 에어컨이고, 사용자 장치 2(110-2)가 조명장치인 경우, 사용자는 이의 장치들을 지정하고, 이들을 통합 제어하는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의 생성을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근거하여 사용자 장치 1(110-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 명령에 근거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장치 2(110-2)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 화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어 화면은 서드파티 업체에서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기 서드파티 업체에서 제작한 화면의 형태 그대로 제어 화면이 제공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동일한 제어 항목을 포함하되, 제어 화면을 다른 포맷으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상에 사용자 장치(110)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추가로 표시된 가령 아이콘(icon), 표시 버튼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시각적 기호(혹은 시각적 표식)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에 형성되는 버튼(혹은 물리적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 화면상의 각 동작 관련 항목과 연계되는 제어 정보를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버튼과 구별하기 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화면상의 특정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각적 기호를 드래그(drag)하여 해당 항목의 선택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 이동시킨 시각적 기호를 터치, 즉 누름(press)으로써 해당 항목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모드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의 항목에 대하여는 시각적 기호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영역을 설정한 후, 손을 뗌으로써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일괄적으로 모드에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 화면에 표시된 전체 항목을 제어 정보로서 모드에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물리적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좀더 살펴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각적 기호를 특정 제어 항목에 위치시키거나,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을 드래그하여 설정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패널을 통해 이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저항막이나 정전 용량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싱된 영역의 좌표값을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봄으로써 어떠한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하여 매칭되는 제어 정보를 모드에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 화면에서 센싱된 곳의 좌표값이 에어컨을 제어하는 제어 화면의 "cool"에 해당되는 제어 항목이었다면, 이에 대한 대상(object) 또는 대상의 상태를 제어 정보로서(혹은 제어 명령으로서) 모드에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에 표시되는 시각적 기호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 항목들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그 지정한 영역 내에 시각적 기호가 위치할 때, 시각적 기호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해당 항목이 선택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항목들간의 경계 영역에 시각적 기호가 위치한다면, 시각적 기호의 상태가 변경되지는 않겠지만, 선택 가능한 특정 항목의 영역으로 치우치거나 해당 영역에 포함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표시 상태를 변경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 화면에서 시각적 기호가 위치한 곳의 좌표값을 얻고, 얻은 좌표값이 어느 항목의 선택 가능한 영역에 해당되는지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변경 가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각 항목이 어떠한 제어 항목에 해당되고, 또 그 항목에 대한 선택 가능한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기저장함으로써 이를 판별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의 지정이 완료되거나, 지정한 장치를 이용해 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설정한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제공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장한 관련 정보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의 과정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정보에 대하여 언제든지 편집 및 삭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생성한 모드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서는 사용자 장치 1(110-1) 및 사용자 장치 2(110-2)가 조명장치와 TV인 것을 가정하였지만, 사용자 장치 1(110-1)은 스마트폰이 되고, 사용자 장치 2(110-2)는 자동차의 잠금장치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가령 "사용자 장치 1(110-1)이 사용자 장치 2(110-2)에 근접하면, 사용자 장치 2(110-2)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면 도어 잠금을 설정하라"라고 어떤 규칙(rule)을 지정한 경우, 사용자 장치 2(110-2)는 사용자 장치 1(110-1)의 근접 여부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1(110-1)과 사용자 장치 2(110-2)는 다이렉트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장치 2(110-2)는 사용자 장치 1(110-2)이 근접했음을 인식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 장치 1(110-1)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도어 잠금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 장치 1(110-1)로부터 더 이상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장치 2(110-2)는 도어의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영상표시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장치(110)들에 대한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통합 제어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제어 화면에서 설정한 모드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한 후 편집 및 삭제 등을 요청하는 경우, 이에 대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저장된 모드의 제어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의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1(110-1)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장치 2(110-2)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장치 1(110-1)이 조명장치이고, 사용자 장치 2(110-2)가 TV인 경우, 사용자 장치 1(110-1)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명을 켠 후, 조명을 켰다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사용자 장치 2(110-2)로 TV를 켜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송된 신호에 근거해 사용자 장치 2(110-2)는 TV를 켜게 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서드파티장치(140)에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서드파티장치(140)의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서드파티장치(14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가령 사용자 장치 1(110-1) 및 사용자 장치 2(11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에 관련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업체 외에 중소규모의 개발자들이 운영하는 장치로서, 서비스제공장치(130)에서 요청하는 주어진 규격에 맞추어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서드파티장치(140)는 사용자 장치 1(110-1) 및 사용자 장치 2(110-2)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화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드파티 업체는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장치들이 본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도록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의 마켓에 등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와 비교해 볼 때, 도 1B의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90')은 서비스제공장치(130')가 도 1A의 서비스제공장치(130)와 같이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마켓 등의 단순한 역할만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30')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한 규칙 정보를 주변의 사용자 장치(110)로 직접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집에 도착하면, 조명을 켜고 TV를 켜라"라고 사용자가 규칙을 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규칙에 대한 정보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를 통해 집에 도착한 것이 감지되면, 주변의 조명장치로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정보와 함께 규칙 정보를 직접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는 수신된 규칙 정보에서 자신의 동작을 판단한 후 조명을 켤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다이렉트 통신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얼마든지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 1(110-1)이 도어락 장치이고, 사용자 장치 2(110-2)가 조명장치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이용해 "내가 집에 도착하면 조명을 켜고 TV를 켜라"라는 규칙을 설정한 경우, 설정한 규칙 관련 정보는 도어락 장치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규칙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 있지만, 통신망(120')을 통해 제공되거나 서비스제공장치(130')를 더 이용함으로써 도어락 장치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규칙 정보에 지정된 사용자 장치(110)의 장치 정보를 기초로 위치 주소를 알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는 내부의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사람이 감지되면 조명을 켤 수 있도록 조명장치로 규칙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TV로 규칙 정보를 함께 전송해 주어 TV를 켜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 시스템(90')은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1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 화면과 함께 화면에 표시된 시각적 기호,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물리적 버튼을 이용하여 간단히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제어 화면은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장치(11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으로 화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포맷이란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들을 제외하면, 도 1B의 영상표시장치(100'), 사용자 장치(110'), 통신망(120'), 서비스제공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는 도 1A의 영상표시장치(100), 사용자 장치(110), 통신망(120), 서비스제공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200), 기기통합 처리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인터페이스부(200) 또는 저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인터페이스부(200) 또는 저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기기통합 처리부(2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주변의 사용자 장치(110)와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서비스제공장치(130)로부터 사용자 장치(11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화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기기통합 처리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전원을 온 및 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 버튼은 제어 화면의 특정 제어 항목, 더 정확하게는 전체 항목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모드로 설정할 때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기통합 처리부(21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인터페이스부(20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저장부(230)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수신된 제어 화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230)에 저장시킨 후, 이를 불러내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기통합 처리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설정되는 모드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가령 기기통합 처리부(210)는 제어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항목의 센싱값, 가령 좌표값을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킴으로써 특정 제어 항목을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를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모드 설정을 위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기기통합 처리부(210)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만 구성되거나, 이들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만 구성되는 경우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내에 제어 화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이를 CPU의 제어 하에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은 물론 하드웨어의 형태로도 얼마든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형태로만 구성되는 경우는, 마스크 롬, EPROM, EEPROM을 이용하여 내부에 제어 및 제어 화면에 관련된 프로그램(또는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이를 실행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20)는 기기통합 처리부(2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해서는 우선적으로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제어 화면상의 특정 제어 항목을 모드에 설정하기 위해 버블 아이콘 등의 시각적 기호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저장부(23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230)가 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기기통합 처리부(210)에 의해 처리되는 전반적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제어 화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내부에 저장한 후, 저장부(230)는 기기통합 처리부(210)의 요청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기기통합 처리부(210)가 내부 메모리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결과만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저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기기통합 실행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2와 비교해 볼 때, 도 3의 제어부(310)와 기기통합 실행부(340)는 도 2의 기기통합 처리부(2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기기통합 실행부(340)는 사용자 장치(110)의 제어 화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기통합 실행부(340)는 제어부(310)의 요청시 내부에 저장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실행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물론 기기통합 실행부(340)는 위에서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프트웨어 전체 또는 그 일부 모듈에 대하여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특정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 도 3의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저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기기통합 실행부(340)와 관련해서는 도 2의 인터페이스부(200), 기기통합 처리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저장부(23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 화면에서, 생성정보 확인항목을 선택할 때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바탕화면(또는 홈 화면)에 표시된 기기통합 서비스 항목(또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110)들을 이미 지정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장치 항목(400)들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장치(110)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장치(110)를 지정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b)는 사용자 장치(110)의 지정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도 4의 (b)에서 에어컨에 대한 장치 항목(400)을 선택한 경우, 에어컨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이 도 4의 (c)에서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화면은 도 1A의 서드파티장치(140)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화면과 함께, 또는 제어 화면의 일부로서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모드를 생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드 생성 정보(410) 및 생성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생성정보 확인항목(430)을 영상표시장치(100)는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 화면과 함께 '+' 버블 아이콘(bubble icon) 등의 시각적 기호(420)를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버블 아이콘은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는 데에서 명명된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 기호(420)는 버블 아이콘이 아닌 하이라이트 표시나 표시 버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화면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에어컨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항목에는 예를 들어,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 항목, 또는 팬의 속도를 어떠한 상태로 가동할지에 대한 팬 속도 항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드(Mode #1)를 생성하기 위하여, 즉 에어컨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하여 시각적 기호(420)를 제어 화면의 특정 항목에 위치시킨다. 이때 시각적 기호(420)는 특정 항목의 선택 가능한 영역에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표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항목의 선택이 가능함을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각적 기호(420)를 터치, 즉 누르게 된다. 그 결과 해당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가 모드에 설정되게 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가령 대상은 팬의 속도이고, 구체적인 값은 "Low"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 항목을 나타내는 각 대상과 구체적인 값은 2진 비트 정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에어컨의 동작 설정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도 4의 (d)에서와 같이 기기의 통합 제어를 위하여 램프 또는 멀티탭에 대하여도 동작의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에어컨의 동작 설정을 완료한 후, 다시 도 4의 (b) 화면으로 돌아가 램프 또는 멀티탭에 해당하는 장치 항목(400)의 선택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과정이 에어컨과 함께 동일 모드에 포함되도록 별도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드를 선택하는 별도의 화면을 추가로 보여주어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의 (d)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4의 (e)에서와 같이 온 상태로 전환한 후, 생성 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드를 생성하고, 모드가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드가 생성되어 있는 모드 생성 화면을 표시해 주거나, 팝업 창의 형태로 모드가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간단히 통지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것에 해당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4의 (c) 화면에서, 생성정보 확인항목(430)을 선택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현재 생성 중인 모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장치(110)들의 제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기생성된 모드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1A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도면에 별도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도 4의 (b) 화면에는 기생성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드 확인 항목이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모드 확인 항목이 팝업 창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해당 모드 확인 항목이 선택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6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기생성된 모드들에 대한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생성된 특정 모드에 대하여 목록에서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조절 항목(또는 모드 조절 항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의 (b)에서와 같이 특정 모드를 온 시킴으로써 해당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제어 화면에서 제어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도 1A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제어 화면을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시각적 기호(42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어 항목에 대해 일괄적으로 제어 정보로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시각적 기호(42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길게 누른 다음 드래그 동작을 통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이 설정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드래그된 영역을 센싱하여 어떠한 항목이 그 범주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제어 화면에 표시된 전체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영역을 드래그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영역을 지정할 수 있겠지만, 도 8에서와 같이 간단히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드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가령 홈 버튼(800)과 전원 버튼(810)이 눌린 경우, 전체 제어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홈 버튼(800)과 전원 버튼(810)을 누른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 화면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설계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조사 또는 프로그램 설계자 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9는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제어 정보로서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4의 (c)에서와 같이 제어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온도 조절 항목(900)에 대하여는 설정값이 미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후,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항목의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어 항목을 일괄적으로 제어 정보로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온도 조절 항목(900)은 72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팬 속도 항목(910)은 가령 손가락 터치나 시각적 기호(420)를 이용해 선택하여 High 상태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완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제어 항목에 대한 상태를 제어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온도 조절 항목(900)으로 표시된 설정값과 하이라이트 표시된 팬 속도 항목(910)의 정보를 제어 정보로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메모리에는 온도 조절 항목(900)에서 대한 조절값을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조절값이 조정되면, 내부에 저장된 조절값을 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제어 항목의 조절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들을 모드의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값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지 않아도 무관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도 조절 항목(900)으로 표시된 설정값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 상태에서 완료 버튼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은 제어 화면을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제어 항목임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제어 항목을 선택 불가능한 항목과 구분하기 위하여 글자의 색(color)이나 글자체 등을 변경해 줄 수 있다. 가령, 선택 불가능한 항목은 흑색이라면, 선택 가능한 항목은 적색이나 청색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또는 제어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와 다른 농도를 갖는 흐릿한 하이라이트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나아가, 선택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 버튼이나 아이콘 등을 제어 항목 상에 또는 근처에 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어 항목의 테두리 부분에 모양의 변형을 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해당 항목이 선택 가능한 제어 항목임을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0은 제어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시 설정값의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도 1A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제어 화면상에서 제어 항목을 선택할 때, 제어 항목에 대한 좌표값을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어 화면은 사용자가 어떠한 서드파티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어 화면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 제어 항목의 좌표값이 아니라, 제어 항목에 대한 정보, 즉 모드가 'cool'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즉 출력 표시상태가 변경된다 하더라도 기저장된 제어 정보를 계속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정보는 2 비트 정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기기 통합 제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00). 가령, 영상표시장치(100)는 바탕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영상표시장치(100)는 기기통합 제어 모드 생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장치(110)에 해당되는 장치 항목을 화면에서 선택하는 경우 모드 생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모드 확인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드 생성 과정으로 판단하지 않을 것이다.
모드 생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 화면과 함께 사용자 장치(11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시각적 기호를 화면에 더 표시한다(S1120).
이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시각적 기호를 제어 화면의 특정 제어 항목에 위치시킨 후 누름으로써 해당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를 모드에 설정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해 제어 항목을 선택하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1130). 제어 항목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를 도 1A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S1200).
예를 들어, 기기의 통합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장치의 장치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장치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장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장치 항목에 대응하는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 화면은 사용자 장치(110)의 동작 제어에 관련된 제어 항목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장치 항목이 선택되면, 제1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제2 장치 항목이 선택되면 제2 제어 화면과 포맷이 다른 제2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제어 화면 및 제2 제어 화면은 도 1A의 서비스제공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어 화면 및 제2 제어 화면은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레이아웃 즉 출력 화면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어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에 표시된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S1210).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되는 제어 항목을(또는 제어 항목에 대한 제어 정보를) 통합 제어를 위한 모드로 생성하여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시각적 기호, 가령 앞서 언급한 버블 아이콘과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도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 영상표시장치 110, 110': 사용자 장치
120, 120': 통신망 130, 130': 서비스제공장치
140, 140': 서드파티장치 200: 300: 인터페이스부
210: 기기통합 처리부 220, 330: 디스플레이부
230, 320: 저장부 310: 제어부
340: 기기통합 실행부

Claims (20)

  1. 영상표시장치의 영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icon),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시각적 기호를 상기 제어 항목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에 의해 위치시킨 상기 시각적 기호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상의 상기 시각적 기호를 드래그하여 복수의 제어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모든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온 및 오프시켜 일괄 제어하기 위한 조절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제어 화면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생성정보 확인 항목을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0.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제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더 표시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icon),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시각적 기호를 상기 제어 항목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시킨 시각적 기호가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상기 시각적 기호를 드래그하여 선택되는 복수의 제어 항목을 포함하는 영역을 더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되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모든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온 및 오프시켜 일괄 제어하기 위한 조절 항목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제어 화면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생성정보 확인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정보 확인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영상표시장치의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상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명령으로서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제어 항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복수의 기능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상의 제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각적 기호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아이콘(icon), 표시 버튼, 하이라이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 항목의 선택 가능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시각적 기호의 표시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166742A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60063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42A KR2016006313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4/952,552 US20160147390A1 (en) 2014-11-26 2015-11-25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742A KR2016006313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31A true KR20160063131A (ko) 2016-06-03

Family

ID=5601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42A KR20160063131A (ko) 2014-11-26 2014-11-26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47390A1 (ko)
KR (1) KR201600631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5820B2 (ja) * 2015-08-28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US11109335B2 (en) * 2015-12-03 2021-08-31 Mobile Tech, Inc. Wirelessly connected hybrid environment of different types of wireless nodes
US10251144B2 (en) 2015-12-03 2019-04-02 Mobile Tech, Inc. Location tracking of products and product display assembli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10728868B2 (en) 2015-12-03 2020-07-28 Mobile Tech,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ver wireless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10517056B2 (en) * 2015-12-03 2019-12-24 Mobile Tech, Inc. Electronically connected environment
EP3403146A4 (en) * 2016-01-15 2019-08-2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KR20180055364A (ko) * 2016-11-17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497248B2 (en) * 2017-10-13 2019-12-03 Aj1E Superior Solutions, Llc Remote water softener monitoring system
US20220070620A1 (en) 2018-10-25 2022-03-03 Mobile Tech, Inc Proxy nodes fo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959B2 (en) *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7913168B2 (en) * 2007-05-25 2011-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US9268345B2 (en) * 2008-10-27 2016-02-2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JP5471850B2 (ja) * 2010-06-02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20046071A1 (en) * 2010-08-20 2012-02-23 Robert Craig Brandis Smartphone-based user interfaces, such as for browsing print media
US8429566B2 (en) * 2010-11-09 2013-04-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grammable HVAC controller with cross column selection on a touch screen interface
US8375118B2 (en) * 2010-11-18 2013-02-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mart home device management
US9075419B2 (en) * 2010-11-19 2015-07-0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controller for an energy-consuming system having spatially related discrete display elements
KR20130080179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US9432210B2 (en) * 2012-09-12 2016-08-30 Zuli, Inc. System for monitor and control of equipment
US9542665B2 (en) * 2012-10-25 2017-01-10 Interactive Intelligence Group, Inc. Methods for creating, arranging, and leveraging an ad-hoc collection of heterogeneous organization components
WO2014128800A1 (ja) *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25463B2 (en) * 2013-09-18 2018-07-17 Vivi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scene control
US10554439B2 (en) * 2014-05-01 2020-02-04 Belkin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settings and attributes related to operation of devices in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7390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131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353956B2 (en) Methods of direct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user interfaces
US9857944B2 (en) User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ntrol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 system of controlled device
US201600981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544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CN105191330A (zh) 显示装置及其图形用户界面屏幕提供方法
JP58361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952760B2 (en) Mobile terminal,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bination control method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663365B (zh) 基于用户输入获得控制系统的手势区域定义数据的方法
CN108266960B (zh) 食物储存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000972B (zh) 通过键入电梯呼叫来启动电梯服务的系统和方法
US113726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203269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coordin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124235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2295628B1 (ko) 식품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91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EP2899986B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CN113253897A (zh) 一种应用窗口切换方法、装置及设备
KR101916907B1 (ko)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695438B2 (ja) 感圧タッチスクリーン上で複数の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8026117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704314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778000A (zh) 方向标记显示方法及方向标记显示系统
KR20150008958A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