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11B1 -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11B1
KR101573211B1 KR1020150011832A KR20150011832A KR101573211B1 KR 101573211 B1 KR101573211 B1 KR 101573211B1 KR 1020150011832 A KR1020150011832 A KR 1020150011832A KR 20150011832 A KR20150011832 A KR 20150011832A KR 101573211 B1 KR101573211 B1 KR 10157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rimary
pattern paper
glaze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유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욱 filed Critical 유상욱
Priority to KR102015001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에 의해 문양 표출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가 혼합된 염료나 유약에 패턴지(11)를 담그거나 도포하거나 접착시켜 이루어지는 패턴염색과정(S1)과, 상기 패턴지(11)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거나 패턴지(11)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패턴지(11)가 건조되도록 하는 패턴지건조과정(S2)을 갖는 패턴지준비단계(S)를 포함하고, 경사진 성형판재(20)에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성형판재(20) 위에 1차슬립점토층(12)을 얻게 하는 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1)과, 상기 1차슬립점토층(12) 위에 패턴지(11)가 얹혀지게 하는 패턴지삽입과정(T2)과, 상기 패턴지(11) 상부 쪽으로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2차슬립점토층(13)을 얻게 하는 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3) 및 상기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이 서로 붙고 겉면에 물기가 빠질 정도로만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고 절단하여 판 형태의 기물(14)이 되도록 하는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T4)과, 상기 판 형태의 기물(14)을 지그(21)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말아서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되게 하는 형상가공과정(T5)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상온에서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2차자연건조과정(T6)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소성로에서 390-4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한 후에 다시 890-9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하는 1차소성과정(T7)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 표면에 유약을 스프레이 도포하는 유약도포과정(T8)과,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14)이 소성로에서 890-910℃에서 6시간 동안 소성 되게 한 후에 다시 1200-1300℃에서 4시간 동안 더 소성 되게 하여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있는 패턴지(11)가 소성열기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어 패턴지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남도록 하는 2차소성과정(T9)과, 상기 소성 된 기물(14)이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자연냉각과정(T10)과,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된 기물(14)에 장식물(15)을 부착하고 조명등(15')을 부착하는 부착물부착과정(T11)을 갖는 도자기제조단계(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Ceramic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exposed by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attern and color}
본 발명은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투과에 의해 문양이 표출되는 도자기가 이미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도자기 내부에 단지 문양층이 내장되게 하는 것이므로 도자기와 문양층 재질이 상이하므로 재질 특성인 팽창률 및 수축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자기 전체가 취약해지고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KR 10-0840704 B1 2008.06.24
본 발명은 광투과에 의해 문양 표출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가 혼합된 염료나 유약에 패턴지를 담그거나 도포하거나 접착시켜 이루어지는 패턴염색과정과, 상기 패턴지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거나 패턴지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패턴지가 건조되도록 하는 패턴지건조과정을 갖는 패턴지준비단계를 포함하고, 경사진 성형판재에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성형판재 위에 1차슬립점토층을 얻게 하는 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과, 상기 1차슬립점토층 위에 패턴지가 얹혀지게 하는 패턴지삽입과정과, 상기 패턴지 상부 쪽으로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2차슬립점토층을 얻게 하는 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과, 상기 1차 및 2차슬립점토층이 서로 붙고 겉면에 물기가 빠질 정도로만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고 절단하여 판 형태의 기물이 되도록 하는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과, 상기 판 형태의 기물을 지그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말아서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되게 하는 형상가공과정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이 상온에서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2차자연건조과정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이 소성로에서 390-4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한 후에 다시 890-9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하는 1차소성과정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 표면에 유약을 스프레이 도포하는 유약도포과정과,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이 소성로에서 890-910℃에서 6시간 동안 소성 되게 한 후에 다시 1200-1300℃에서 4시간 동안 더 소성 되게 하여 1차 및 2차슬립점토층 내부에 있는 패턴지가 소성열기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어 패턴지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 내부에 남도록 하는 2차소성과정과, 상기 소성 된 기물이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자연냉각과정을 갖는 도자기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고 1,2차 소성 된 기물에 장식물을 부착하고 조명등을 부착하는 부착물부착과정이 더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점토원료는 흙 70.9중량%, 물 29.03%중량%, 규산소다 0.07중량%으로 이루어지고, 염료나 유약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를 1:10∼2:10 중량비율로 혼합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은 상온에서 5∼10분간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1차 및 2차슬립점토층 내부에 있는 패턴지가 소성열기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고 패턴지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 내부에 남도록 이루어지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물 내부의 패턴지가 소실되고 염료나 또는 유약만이 존재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내 온도나 기온에 의해 열팽창이나 수축이 크게 작용 되지 않기 때문에 광투과에 의해 문양이 표출되면서도 견고한 도자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투과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자기 본연의 색채를 갖게 되고 광투과를 할 경우에는 도자기 내부에 은폐되어 있는 무늬와 같은 문양 및 색상이 은은하게 보여 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슬립점토층성형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패턴지삽입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판 형태의 기물을 나타낸 도 5의 X-X'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형상가공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착물부착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패턴지준비단계(S)가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단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패턴지(11)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물이나 종이 섬유, 구슬유약 등과 같은 패턴지(11)를 원하는 형태와 치수에 맞도록 준비하게 된다.
다음, 패턴염색과정(S1)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작업자가 원하는 색의 고화도 안료에 물 또는 투명유를 1: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서 된 염료나 유약에 원하는 패턴지(11)를 담가서 염색되게 하거나 패턴지(11) 표면에 염료나 유약를 도포하거나 접착시키는 과정이다.
즉, 패턴염색과정(S1)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가 혼합된 염료나 유약에 패턴지를 담그거나 도포하거나 접착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진한 색을 원할 때에는 안료 비율을 더 높일 수도 있는 것으로서 염료나 유약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를 1:10∼2:10 중량비율로 혼합되게 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료는 열에 의해 변색 가능한 모든 염료나 유약이 사용 가능하다.
다음, 패턴지건조과정(S2)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염료가 충분히 마를 때까지 상온에서 자연건조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패턴지(11)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 도자기제조단계(T)가 실시되는 것으로서, 먼저 준비된 액상점토원료를 이용하여 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1)이 실시된다.
상기 액상점토원료(G)는 도자기용으로 쓰이는 진흙을 물에 풀어서 액상의 묽은진흙상태가 되도록 한 원료이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원료라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광성이 있는 캐스팅용 소지(진흙)와 물, 규산소다를 혼합하여 액상점토원료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액상점토원료는 흙 70.9중량%, 물 29.03%중량%, 규산소다 0.07중량%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성형판재(20)에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성형판재(20) 위에 1차슬립점토층(12)을 얻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성형판재(20)는 석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패턴지삽입과정(T2)이 실시되며, 이 과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슬립점토층(12) 위에 패턴지(11)을 얹혀지게 하는 과정이다.
다음, 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3)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패턴지(11) 상부 쪽으로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2차슬립점토층(13)을 얻게 하는 과정이다.
다음,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T4)이 실시된다. 상기 과정은 작업자의 판단이 중요한 것으로서, 너무 건조하면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이 굳어서 다음에 성형시 갈라질 수 있고 너무 빨리 성형할 경우에는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이 묽어서 기물이 망가지므로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이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붙고 겉면에 물기가 빠질 정도로만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한 다음에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과정이다. 부호 P는 절단선을 나타낸다.
상기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T4)에서 자연건조는 상온에서 5∼10분간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완료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슬립점토층(12)과 2차슬립점토층(13) 내부에 패턴지(11)가 내장된 상태의 판 형태로 된 기물(14)이 된다.
따라서, 다음에는 형상가공과정(T5)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21) 외주면에 기물(14)이 밀착되도록 말아서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되게 하는 과정이다.
다음, 2차자연건조과정(T6)이 실시되는 것이며, 이 과정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상온에서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다음, 1차소성과정(T7)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소성로에서 390-4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한 후에 다시 890-910℃에서 5시간 동안 더 소성 되게 하는 과정이다.
다음, 유약도포과정(T8)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 표면에 유약을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과정이다.
다음, 2차소성과정(T9)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조금 더 밝은 색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환원 소성을 하는 것으로서, 소성로에서 890-910℃에서 6시간 동안 소성 되게 한 후에 다시 1200-1300℃에서 4시간 동안 더 소성 되게 하는 과정이다.
이때,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고온으로 소성 되므로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있는 패턴지(11)가 고온의 소성열기(불)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고 패턴지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이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남아서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소성 된 기물(14)이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자연냉각과정(T10)이 실시된다.
다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된 기물(14)에 장식물(15)를 부착하고 조명등(15')을 부착하는 부착물부착과정(T11)이 실시되는 것이다. 부호 14'는 덮개 형태로 제조된 기물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냉각과정(T10)까지만 실시하여 일반 도자기 형태로 제조 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 부착물부착과정(11)까지 실시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외 인테리어용 도자기(10)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자기(10) 내부에 조명빛이 발산하게 되면 기물(14,14') 내부에 남아 있는 염료나 또는 유약(11')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투광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물 내부의 패턴지(11)가 소실되고 염료나 또는 유약(11') 만이 존재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내 온도나 기온에 의해 열팽창이나 수축이 크게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광투과에 의해 문양이 표출되면서도 견고한 도자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도자기 11:패턴지
11':염료나 유약 12:1차슬립점토층
13:2차슬립점토층 14:,14':기물
20:성형판재 21:지그
15:장식물 15':조명등
S:패턴지준비단계 S1:패턴염색과정
S2:패턴지건조과정 T:도자기제조단계
T1: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 T2:패턴지삽입과정
T3: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 T4:자연건조 및 절단과정
T5:형상가공과정 T6:2차자연건조과정
T7:1차소성과정 T8:유약도포과정
T9:2차소성과정 T10:자연냉각과정
T11:부착물부착과정 G:액상점토원료

Claims (5)

  1.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가 혼합된 염료나 유약에 패턴지(11)를 담그거나 도포하거나 접착시켜 이루어지는 패턴염색과정(S1)과;
    상기 패턴지(11)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거나 패턴지(11)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패턴지(11)가 건조되도록 하는 패턴지건조과정(S2)을 갖는 패턴지준비단계(S)를 포함하고;
    경사진 성형판재(20)에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성형판재(20) 위에 1차슬립점토층(12)을 얻게 하는 1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1)과;
    상기 1차슬립점토층(12) 위에 패턴지(11)가 얹혀지게 하는 패턴지삽입과정(T2)과;
    상기 패턴지(11) 상부 쪽으로 액상점토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2차슬립점토층(13)을 얻게 하는 2차슬립점토층성형과정(T3)과;
    상기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이 서로 붙고 겉면에 물기가 빠질 정도로만 상온에서 자연 건조되게 하고 절단하여 판 형태의 기물(14)이 되도록 하는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T4)과;
    상기 판 형태의 기물(14)을 지그(21)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말아서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되게 하는 형상가공과정(T5)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상온에서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2차자연건조과정(T6)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이 소성로에서 390-4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한 후에 다시 890-910℃에서 5시간 동안 소성되게 하는 1차소성과정(T7)과;
    상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기물(14) 표면에 유약을 스프레이 도포하는 유약도포과정(T8)과;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14)이 소성로에서 890-910℃에서 6시간 동안 소성 되게 한 후에 다시 1200-1300℃에서 4시간 동안 더 소성 되게 하여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있는 패턴지(11)가 소성열기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어 패턴지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남도록 하는 2차소성과정(T9)과;
    상기 소성 된 기물(14)이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자연냉각과정(T10)을 갖는 도자기제조단계(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을 갖도록 성형 된 기물(14)에 장식물(15)을 부착하고 조명등(15')을 부착하는 부착물부착과정(T11)이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점토원료는 흙 70.9중량%, 물 29.03중량%, 규산소다 0.07중량%으로 이루어지고, 염료나 유약은 안료에 물이나 투명유를 1:10∼2:10 중량비율로 혼합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건조 및 절단과정(T4)은 상온에서 5∼10분간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5.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있는 패턴지(11)가 소성열기에 의해 소실되어 없어지게 되고 패턴지(11)에 증착된 염료나 유약(11') 성분의 문양만 1차 및 2차슬립점토층(12,13) 내부에 남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KR1020150011832A 2015-01-26 2015-01-26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7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832A KR101573211B1 (ko) 2015-01-26 2015-01-26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832A KR101573211B1 (ko) 2015-01-26 2015-01-26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211B1 true KR101573211B1 (ko) 2015-12-11

Family

ID=5502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832A KR101573211B1 (ko) 2015-01-26 2015-01-26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2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728A (ja) 2004-02-13 2005-08-25 Kenhiko Yamashita 蓄光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0704B1 (ko) 2008-01-16 2008-06-24 김명효 광투과에 의한 3차원 입체문양 표출이 가능한 도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728A (ja) 2004-02-13 2005-08-25 Kenhiko Yamashita 蓄光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0704B1 (ko) 2008-01-16 2008-06-24 김명효 광투과에 의한 3차원 입체문양 표출이 가능한 도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3395A (zh) 一种陶瓷制品的制作方法
KR20160073367A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CN102795861A (zh) 一种制作陶瓷薄胎的成型工艺
CN102584173A (zh) 多道雕刻绞泥彩填的紫陶制造工艺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20000036284A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573211B1 (ko) 광투과에 의해 문양과 색이 표출되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JP5776040B2 (ja) セラミックス工芸品用の成形材料
CN1051066C (zh) 釉面开片的陶瓷器皿及其制作方法
KR20100138230A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20200016575A (ko) 무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 무궁화 도자기를 이용한 무궁화 공예품 제조방법
KR101915877B1 (ko) 축광파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2500A (ko)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100508854B1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348814B1 (ko) 마졸리카 기법용 유약 제조방법 및 이 유약을 이용한 그림타일 제조방법
KR101552458B1 (ko) 내부에 탄화층이 형성되고 외면에 양각문양을 갖는 다양한 색상의 세라믹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6543913B2 (en) Porcelain object and fabrication method
KR20050110382A (ko) 조명투과 도자판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제조되는 도자판넬 및 그 도자판넬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0675409B1 (ko) 벽화용 타일의 제조방법
US6066363A (en) Method for forming a coating of glass over a ceramic
KR970015528A (ko) 도자기 제조 방법
JP2651360B2 (ja) ぼかし模様を有するセラミックタイルの製造方法
KR20190083798A (ko) 채색 도자기 제조 방법
KR200235090Y1 (ko) 도자칠보
KR930021578A (ko)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