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057B1 -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057B1
KR101573057B1 KR1020140076754A KR20140076754A KR101573057B1 KR 101573057 B1 KR101573057 B1 KR 101573057B1 KR 1020140076754 A KR1020140076754 A KR 1020140076754A KR 20140076754 A KR20140076754 A KR 20140076754A KR 101573057 B1 KR101573057 B1 KR 10157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display
coupled
main bod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희
정근영
황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엘
Priority to KR102014007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권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승 작동에 의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차폐하고, 하강 작동시 상기 본체에 수납되도록 하는 스크린;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며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고, 영상을 시청할때만 스크린을 전개시켜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차폐함으로써 전면에는 선명한 화질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때는 스크린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Screen is equipped with a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액정 화면을 구비한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스크린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영상을 시청할때는 스크린을 상승시키고 그외에는 스크린을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의 기능을 가지면서 영상 디스플레이를 병행할 수 있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이하 'TV'라 한다)은 음극선관(CRT:Cathod Ray Tube)(발명자의 이름을 따서 브라운관이라고도 함)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TV의 수상관으로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유리로 된 진공용기, 전자 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편향기, 표시부인 형광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총은 음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들을 집속하여 전자 빔을 만들어 주사하게 되는데, 상기 전자 빔은 편향 코일에 가해진 전기신호에 따라 편향되면서 형광면 위에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한 음극선관은 TV 수상관 뿐만 아니라, 측정용 브라운관, 레이더에 이용하는 레이더관, 파형이나 화상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축적관, 컴퓨터의 모니터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음극선관을 이용한 TV는 점차 사라져 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얇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평판 TV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평판 TV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화면이 점점 대형화 되고 있으며, 그 두께는 벽걸이 타입의 TV가 선호됨으로 인하여 점차 얇아져 가고 있다.
현재 평판 TV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Plasma Disply Panel),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액정표시장치(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는 액정 표시 패널의 내부에 주입된 액정 물질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근래에는 TV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 각종 정보화기기 및 통신기기에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LCD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액정제어용 신호로 변환한 후, 액정을 통해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전기적 형태의 영상신호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액체상태의 소자로 이루어진 액정에 뒤에서부터 비추는 빛을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화면이 선명하고 뚜렷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위치에 따라 선명도가 크게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LCD는 스스로 발광할 수 없는 이른바 수광형 디스플레이이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별도의 광원을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라 한다.
최근에는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엘이디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통상 LED TV라 부른다.
LED TV는, LCD TV에서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것이다.
LED는, 광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적고,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는, 수명이 길고 가스나 필라멘트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며, 수은이나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PDP 및 LCD에 비해 친환경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LED는, 고속 응답이 가능하고, 적색, 녹색, 청색 엘이디의 광량을 조절하면 휘도나 색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색재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공개 특허 10-2014-0032353호에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평판 TV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이 점점 대형화 되면서 두께는 점차 얇아지는 추세이므로 벽걸이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하여 마치 투명한 유리판과 같은 형상을 갖는 TV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영상을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를 흑색으로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는 실내에 거치했을때 실내 인테리어를 훼손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흑색의 스크린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영상을 시청할때만 스크린을 전개시켜 선명한 화질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때는 스크린을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투명한 디스플레이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액정 화면을 구비한 영상 디스플레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권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승 작동에 의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차폐하고, 하강 작동시 상기 본체에 수납되도록 하는 스크린;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며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는 원형의 파이프이고, 외주면에 스크린의 하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권취부의 양단부는 본체의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권취부의 일단에 구동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 권취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 권취부의 일측과 상기 상부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된 V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V 벨트에 스크린이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V 벨트의 상승위치를 감지하여 모터를 오프시키는 감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부는, 스크린의 상단에 부착된 바; 상기 바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편과, 상기 제1링크편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편으로 구성되어 절첩 작동되는 링크부재; 상기 제2링크편의 하단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편 및 제2링크편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고, 영상을 시청할때만 스크린을 전개시켜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차폐함으로써 전면에는 선명한 화질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때는 스크린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면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스크린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스크린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스크린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스크린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1)는, 투명한 액정 화면을 구비한 영상 디스플레이(100);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2); 상기 본체(2) 내에 형성되는 권취부(200)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승 작동에 의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을 차폐하고, 하강 작동시 상기 본체(2)에 수납되도록 하는 스크린(4); 상기 권취부(200)에 연결되며 스크린(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한 영상 디스플레이(100)는 최근에 기술 개발되고 있는 투명 TV를 의미한다.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는 액정 화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마치 유리창과 같이 반대편이 보이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를 실내에 비치해둠으로써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배가될 수 있다.
한편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를 구동시켜 TV 시청과 같은 영상을 표출하면 투명성으로 인해 색감이나 영상이 선명하게 표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 흑색의 스크린(4)을 펼쳐서 차폐함으로써 영상이 보다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 본체(2)는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4)은 본체(2)의 권취부(200)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작동되고, 상승시 투명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을 차폐시켜 검은색 화면으로 변환되도록 하며, 하강시에는 본체(2) 내에 수납되어 외관상 미려해질 수 있다.
스크린(4)은 검은색을 갖는 암막, 즉 검은색 커튼으로 이루어져 차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크린(4)은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었을때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취부(200)는 2가지 실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첫번째는 모터 구동에 의해 권취되거나 전개되는 롤 타입이고, 두번째는 관절 힌지로 결합되는 링크 타입인 것이다.
먼저, 롤 타입의 권취부(200)에 대해 설명하면, 원형의 파이프이고, 외주면에 스크린(4)의 하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권취부(200)의 양단부는 본체(2)의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권취부(200)의 일단에 구동부(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방에 프레임부재(6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62)는 본체(2)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프레임(621)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621)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6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수평프레임(623)에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64); 상기 본체(2)에 매립되며 스크린(4)의 하단이 권취되어 결합되는 권취부(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모터(68); 상기 상부 샤프트(64)와 권취부(200)를 연결하는 V 벨트(69);로 구성된다.
상부 샤프트(64)와 권취부(200)에는 각기 풀리가 설치되고, 이들 각각의 풀리에 V 벨트(69)가 연결됨으로써 모터(68)의 회전력이 V 벨트(69)를 통해 상부 샤프트(64)에 전달된다.
V 벨트(69)는 양측에 배치되고, 이들 양측에 배치된 V 벨트(69)에 스크린(4)의 측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모터(68)의 작동은 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는데, 스위치는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스크린(4)을 펼칠때는 모터(68)를 구동시켜 V 벨트(69)가 회전됨으로써 스크린(4)이 상승되도록 하고, 스크린(4)을 접을때는 모터(68)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스크린(4)이 권취부(200)에 권취되어 접히는 것이다.
상기 V 벨트(69)의 상승위치를 감지하여 모터(68)를 오프시키는 감지수단(S)이 포함된다.
감지수단(S)은 위치감지센서,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이 채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를 조작하여 스크린(4)의 오프 상태로 조작하면, 모터(68)가 회전되고, 이에 종동되어 V 벨트(69)가 회전됨으로써 스크린(4)이 권취부(200)에 감겨지면서 본체(2) 내에 수납된다.
반대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스크린(4)의 온 상태로 조작하면, 모터(68)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V 벨트(69)가 스크린(4)을 끌어 올려 펼치게된다.
이렇게 스크린(4)이 펼쳐지면 투명의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이 흑색으로 차폐됨으로써 영상이 선명하게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한 액정 화면을 구비한 영상 디스플레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2); 상기 본체(2) 내에 형성되는 권취부(200')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승 작동에 의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을 차폐하고, 하강 작동시 상기 본체(2)에 수납되도록 하는 스크린(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200')는 스크린(4)의 상단에 부착된 바(210); 상기 바(2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230); 상기 본체(2)의 중앙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240)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재(230)는 상기 바(2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편(231)과, 상기 제1링크편(23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편(232)으로 구성되어 절첩 작동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40)는 모터 또는 실린더 유닛이며 양측으로 로드(244)가 동일한 길이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출몰작동하게 되며, 상기 로드(244)의 선단에 제2링크편(232)의 하단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편(231) 및 제2링크편(232)은 스프링(260)으로 연결되어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펼쳐질때 링크부재(230)가 거의 수직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40)가 구동되어 양측 로드(244)가 인출되면 제2링크편(232)이 선회운동하고, 이때 스프링(260)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이에 종동되어 제1링크편(231)이 선회운동하면서 제1링크편(231)과 제2링크편(232)은 거의 수직된 상태가 되면서 스크린(4)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액츄에이터(240)가 구동되어 양측 로드(244)가 인입되면 제1링크편(231)과 제2링크편(232)이 접히면서 스크린(4)이 접혀 하강하게 된다.
하강한 스크린(4)은 본체(2) 내에 수납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스크린
6 : 구동부 62 : 프레임부재
64 : 상부 샤프트 68 : 모터
69 : v 벨트 100 : 영상 디스플레이
200 : 권취부 210 : 바
230 : 링크부재 240 : 액츄에이터

Claims (7)

  1. 투명한 액정 화면을 구비한 영상 디스플레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권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승 작동에 의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차폐하고, 하강 작동시 상기 본체에 수납되도록 하는 스크린;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며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원형의 파이프이고, 외주면에 스크린의 하단이 결합되어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권취부의 양단부는 본체의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프레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
    권취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
    권취부의 일측과 상기 상부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된 V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V 벨트에 스크린이 연결되어 승강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V 벨트의 상승위치를 감지하여 모터를 오프시키는 감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스크린의 상단에 부착된 바;
    상기 바의 양측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바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편과, 상기 제1링크편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편으로 구성되어 절첩 작동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는 양측으로 출몰 작동하는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양측의 로드는 링크부재의 제2링크편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검은색의 암막이며,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76754A 2014-06-23 2014-06-23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54A KR101573057B1 (ko) 2014-06-23 2014-06-23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54A KR101573057B1 (ko) 2014-06-23 2014-06-23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057B1 true KR101573057B1 (ko) 2015-11-30

Family

ID=5486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754A KR101573057B1 (ko) 2014-06-23 2014-06-23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0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30B1 (ko) * 2016-03-29 2017-09-27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광고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집진장치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49850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WO2024010104A1 (ko) * 2022-07-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4571A1 (ko) * 2022-07-13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03Y1 (ko) 2000-02-09 2000-07-15 전성호 투명창 광고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903Y1 (ko) 2000-02-09 2000-07-15 전성호 투명창 광고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30B1 (ko) * 2016-03-29 2017-09-27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광고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집진장치
WO2021149850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527188B2 (en) 2020-12-09 2022-12-13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driving member to pull up a display panel within a housing
WO2024010104A1 (ko) * 2022-07-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4571A1 (ko) * 2022-07-13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057B1 (ko)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5284616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見かけサイズが拡大された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見かけサイズを拡大させる方法
TWI553608B (zh) 多屏顯示器中之表框像素層
EP1981015A3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thereof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WO2005024501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EP2113904A3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EP2079072A3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060294A (ko) 투명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장치
CN101079212A (zh) 一种以半导体红外二极管激光器阵列作为激发源的显示平板
KR2012006649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03384A (ko) 화상 및 미러 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EP3594934A3 (en)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7340615A (zh) 调光幕墙与投影机开关机互动系统
CN105531983B (zh) 移动终端
KR100819899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차양 이동구조
CN203241667U (zh) 一种直下式灯条出线结构及背光模组
CN215642131U (zh) 一种液晶显示屏色偏检测器
CN105278126A (zh) 一种用于液晶显示屏上的异物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40005283A (ko) 시인성을 개선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214315426U (zh) 显示器及电视机
CN216900255U (zh) 一种笔记本外壳的ai外观检查装置
CN203276742U (zh) 一种像素传导板
CN217878926U (zh) 一种视像检测装置
CN209657691U (zh) 一种基于光学改进面板的小间距led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