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054B1 -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054B1
KR101573054B1 KR1020130100702A KR20130100702A KR101573054B1 KR 101573054 B1 KR101573054 B1 KR 101573054B1 KR 1020130100702 A KR1020130100702 A KR 1020130100702A KR 20130100702 A KR20130100702 A KR 20130100702A KR 101573054 B1 KR101573054 B1 KR 10157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d lamp
led
substr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591A (ko
Inventor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스타
Priority to KR102013010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0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단위체인 LED 램프를 기호에 맞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타공구가 형성된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와, 상기 타공구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Lighting device using LED lamp}
본 발명은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체인 LED 램프를 기호에 맞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또는 실외에서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력소비가 적고 설치가 용이한 엘이디(LED)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엘이디(LED)가 적용되는 광고패널에는 백보드에 형성되는 광고문안 및 배경판에 엘이디가 설치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배경판이 배제된 상태에서 문자영역만 발광되도록 하는 문자간판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광고패널 또는 문자간판과 같이 LED 를 적용하게 되는 광고방식의 경우, 5~9V의 저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네온간판에 비해 전기소모량을 60%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수명이 길고, 잘 파손되지 않아 취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엘이디 광고간판 등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04-49697호에는 엘이디들을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각종 광고문안을 발광시키는 전광판 구조의 엘이디 광고간판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540592호에는, 광고도안 형태의 채널 내부에 그 도안 형태를 따라 다수 개의 엘이디들을 배열한 엘이디 광고간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엘이디 모듈은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평케이스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엘이디들이 배열되어 있으므로, 엘이디 모듈을 광고문안을 따라 굴곡할 수 없는바, 예컨대 L자형을 만들려면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에 대응하여 2개로 절단한 엘이디 모듈을 배치하여 전선들을 접속하여야 하므로, 광고간판을 만드는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꺾인 부위나 곡선 부위가 많은 광고문안을 가진 광고간판을 만들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에 단위체인 LED램프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가공성을 높인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복수의 타공구가 형성된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와, 상기 타공구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LED램프는 링 형태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부에 LED소자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하우징에 결합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 형태의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에 단위체인 LED램프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가공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LED램프에 방열판이 내장되어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LED램프와 패널부채의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상호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LED소자에서 발생한 빛을 LED램프에서 1차적으로 확산 시키고, 패널부재에서 반사시킴에 따라 조명장치의 밝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널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LED 램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LED 램프의 분리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단위체인 LED 램프를 기호에 맞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복수의 타공구(110)가 형성된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100)와, 상기 타공구(11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2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재(100)는 원형, 사각형, 열십자(十)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타공구(110)는 LED램프(2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간별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공구(110)는 복수의 타공구(110)가 조합될 때 'T'자와 같은 문자를 비롯하여 마크, 동물, 상표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재(100)의 전방의 표면은 후술되는 LED램프(200)에서 출력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갈은 반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LED램프(200)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타공구(1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LED소자(240)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한다. 상기 LED램프(200)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패널부재(100)에 여러가지 모양과 크기의 LED램프(2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부재(100)의 타공구(1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LED램프(200)는 링 형태의 측벽(210a)과 바닥면(210b)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내부공간(S)을 형성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S)에 설치되고 상부에 LED소자(240)가 실장되는 기판(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하우징(210)에 결합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 형태의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링 형태의 측벽(210a)과 바닥면(210b)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내부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100)에 형성된 타공구(110)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버(230)가 탄력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220)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S)에 설치되고 상부에 LED소자(240)가 실장된다. 상기 기판(220)은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외부의 전선(300)과 연결되어 LED소자(2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참고로 상기 기판(220)에는 LED소자(240)로 전류가 흐르도록 미세한 전극 패턴(222)이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ED소자(240)는 상기 전극패턴(2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220)의 전극패턴(222)과 LED소자(240)는 와이어 본딩(wire-bond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220)의 전면은 상기 LED소자(240)에서 출력된 빛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30)는 유리, 아크릴 등과 같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뤄지고, 상기 LED소자(240)에서 출력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버(230)는 반구 형태는 물론, 구 형상, 원주 형상, 육면체 등과 같은 다양한 입체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22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복수의 방열핀(251)이 돌출 형성된 방열판(250)이 설치된다. 상기 방열판(25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뤄진다. 상기 방열핀(251)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210b)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바닥면(210b)에는 상기 방열핀(251)이 외부로 노출될 때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구(216)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판(250)과 하우징(210)은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에는 바닥면(210b)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220)에는 상기 체결구(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연결구(22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10)과 기판(220)을 연결하도록 체결구(211)와 연결구(221)를 고정나사(260)로 체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구(221)는 상기 기판(220)의 전극패턴(222)이 형성된 위치에 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30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나사(260)는 도전체로서 상기 체결구(211)와 연결구(221)를 경유하여 상기 전선(30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300)의 전류가 고정나사(260)를 따라 기판(220)으로 흐르고, 기판(220)의 전류가 LED소자(2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에는 전선(300)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저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통로(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은 측벽(210a)의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요입된 체결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10a)에는 구간별로 복수의 슬릿(213)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3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홈(212)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환형의 체결돌기(231)가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측벽(210a)에 슬릿(21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벽(210a)의 직경은 일시적으로 확대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31)를 상기 측벽(210a)의 내부로 끼워 넣으면 상기 체결돌기(231)에 의해 슬릿(213) 간격이 벌어지면서 측벽(210a)의 직경이 확장된다. 이후 상기 체결돌기(231)가 체결홈(212)에 안착되면 상기 슬릿(213) 간격이 좁아지면서 측벽(210a)의 직경이 원래 상대로 축소되고, 커버(230)가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상기 측벽(210a)은 외측 하단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단턱(2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측벽(210a)은 상단에서 하부로 요입된 복수의 슬릿(213)을 형성하며,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탄성편(215)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215)은 볼록부(215a)와 오목부(215b)가 형성된 물결모양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릿(213)과, 탄성편(215)의 작용으로 상기 하우징(210)은 패널부재(100)의 타공구(110)에 탄력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이 패널부재(100)의 타공구(110)에 끼워질 때, 상기 슬릿(213)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측벽(210a)의 직경은 축소되고, 상기 탄성편(215)은 측벽(210a)과 나란하게 접혀지면서 타공구(110)를 통과한다. 이후, 타공구(110)에 탄성편(215)이 통과되면, 상기 슬릿(213)의 간격이 원래 상태로 벌어지면서 탄성편(215)은 측벽(210a)과 경사진 원상태로 펼쳐지고, 패널부재(100)가 상기 단턱(214)과 탄성편(215)사이에 끼워지므로, 상기 하우징(210)은 패널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230)의 외측 표면은 LED소자(240)에서 출력된 빛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다각형(polygon)의 측면(323)이 연속해서 형성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230)의 외측 표면이 다각형의 측면이 연속해서 형성된 다이아몬드의 형태를 취할 경우 LED소자(240)에서 출력된 빛을 사방으로 굴절시켜 광 조사영역이 넓어지도록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한 소비전력으로 조도를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패널부재
110 : 타공구
200 : LED램프
210 : 하우징
220 : 기판
221 : 연결구
222 : 전극패턴
230 : 커버
240 : LED소자
250 : 방열판
260 : 고정나사

Claims (8)

  1. 복수의 타공구가 형성된 평판 형태의 패널부재와상기 타공구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램프는, 링 형태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부에 LED소자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하우징에 결합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 형태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외측 하단에 상기 패널부재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과, 상단에서 하부로 요입된 복수의 슬릿과,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복수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방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기판을 연결하도록 체결구와 연결구를 고정나사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체결구와 연결구를 경유하여 상기 전선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요입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구간별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환형의 체결돌기가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 표면은 LED소자에서 출력된 빛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다각형(polygon)의 측면이 연속해서 형성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130100702A 2013-08-23 2013-08-23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57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702A KR101573054B1 (ko) 2013-08-23 2013-08-23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702A KR101573054B1 (ko) 2013-08-23 2013-08-23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91A KR20150022591A (ko) 2015-03-04
KR101573054B1 true KR101573054B1 (ko) 2015-11-30

Family

ID=5302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702A KR101573054B1 (ko) 2013-08-23 2013-08-23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01B1 (ko) 2019-01-24 2020-05-14 주식회사 삼원이앤씨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위한 엘이디 조명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61B1 (ko) * 2016-04-27 2018-05-15 성진현 장식캡이 부가된 직하형 led 면조명 장치
KR101858062B1 (ko) * 2016-05-17 2018-05-15 성진현 장식렌즈 및 이를 구비한 직하형 led 면조명 장치
KR20220032294A (ko) 2020-09-07 2022-03-15 김현우 led와 솜을 이용해 날씨를 알려주는 조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6B1 (ko) * 2007-06-25 2008-11-19 (주)아이닉스 발광다이오드 모듈
KR101052349B1 (ko) 2009-11-27 2011-07-27 주식회사 인터원 엘이디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6B1 (ko) * 2007-06-25 2008-11-19 (주)아이닉스 발광다이오드 모듈
KR101052349B1 (ko) 2009-11-27 2011-07-27 주식회사 인터원 엘이디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01B1 (ko) 2019-01-24 2020-05-14 주식회사 삼원이앤씨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위한 엘이디 조명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91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43498A (ja) Led照明装置
US20220107062A1 (en) Flexibly deformable hard linear lamp
US8888316B2 (en) Lenticular LED light source replacement for fluorescent in troffer
DK2378193T3 (en) Lighting apparatus utilizing light emitting diode
KR100657869B1 (ko) 광고내용을 확대 투사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US20100220497A1 (en) Luminaire having floating luminous light source
US20120033420A1 (en) Led lamp having broad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US9651238B2 (en) Thermally dissipated lighting system
KR101421407B1 (ko) Led 투광등
KR101573054B1 (ko)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장치
JP4740309B2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灯
JP2011028996A (ja) Led光源ユニット、面状照明装置及び看板
EP2610544A1 (en) Reflective LED Lighting Lamp Structure and Lighting Device
JP3176534U (ja) ウォールウォッシュライト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2008016554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condensing plate thereof
KR20130035385A (ko) 탈부착식의 고출력 독립형 단위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 분산 배열 구조의 패키지형태 광 확산 엘이디 조명장치
US8789976B2 (en)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unit and integrated multi-layered illuminating assembling unit
KR101058901B1 (ko) Led 경관 조명 장치
JP4783806B2 (ja) バックライト機構及びバックライト機構を備えた発光装置
KR1015117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휘도 엘이디 작업램프
JP2004103380A (ja) 照明器具
KR101185125B1 (ko) 엘이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CN108870135B (zh) 一种照明设备
KR101711019B1 (ko) 엘이디의 교체가 용이한 공용가로등
TWI396809B (zh) 發光二極體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