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58B1 -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58B1
KR101572858B1 KR1020140099578A KR20140099578A KR101572858B1 KR 101572858 B1 KR101572858 B1 KR 101572858B1 KR 1020140099578 A KR1020140099578 A KR 1020140099578A KR 20140099578 A KR20140099578 A KR 20140099578A KR 101572858 B1 KR101572858 B1 KR 10157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ody case
optical
optical connect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철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파이버스
Priority to KR102014009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4Measuring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Abstract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되 휴대가 가능한 바디 케이스; 일 영역이 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바디 케이스에 결합되며,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검사 작업을 진행하는 광학 현미경 모듈; 광학 현미경 모듈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바디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와이파이(WiFi)를 통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와이파이 모듈로 전송되도록 카메라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컨트롤하는 모듈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WiFi fiber optic inspector}
본 발명은,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여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도 와이파이에 의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전송시스템의 품질관리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은 반도체 레이저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빛에 신호를 실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전기 신호로 복귀시키는 통신 시스템이다.
광통신은 종래의 동(copper)과 같은 금속 매체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 비해 전송용량이 매우 크고, 전자파장애(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부피에 비해 무게가 작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광통신의 전송용량이 매우 크다는 점에 기해, 광통신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 키워드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국가마다 차이는 있지만 통신사업자들을 주축으로 각 가정까지 완전 광화(光化)하는 주거지역 광통신화(FTTH, Fiber to the home)가 멀지 않아 실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주거지역 광통신화가 실현되면, 고선명 텔레비전(UHDTV, IPTV, HDTV)과 같이 고정 미세 동화상의 실시간 전송을 요하는 서비스나 기존의 음성, 화상 및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의 등장 등 서비스 요구대역이 Gbps급에 달하는 초고속ㅇ대용량의 통신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기업적 측면에서도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간에 초고속ㅇ대용량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거나 복수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촉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ㅇ수신하는 통신망을 광통신망으로 구축해나가는 양상이 심화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광통신은 현재로서는 금속케이블에 의한 통신시스템을 대신하여 초고속ㅇ대용량의 통신서비스의 요구를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대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이러한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광섬유 간의 연결은 광커넥터와, 광커넥터가 접속되는 어뎁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수의 어뎁터가 구비된 광통신 디바이스(Optical communication device)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어뎁터와 이에 삽입되는 광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어뎁터의 일측면도이다.
이하, 광통신 디바이스(Optical communication device)는 광통신이 적용되며 광섬유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신 디바이스(10)에는 광섬유 간의 연결을 위해 다수의 어뎁터(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20)에는 광통신 디바이스(10)의 내부에서 하나의 광커넥터(30)가 삽입되며, 광통신 디바이스(10)의 외부에서 또 다른 하나의 광커넥터(40)가 삽입된다.
이들 광커넥터들(30,40)에는 원통형의 페룰(32,42, Ferrule)이 구비된다. 페룰(32,42)의 중앙에는 빛의 경로인 광섬유가 위치하며 광섬유의 외곽부는 지르코늄 재질로 이루어진 광섬유 보호층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광커넥터(30,40)가 어뎁터(20)에 삽입되는 경우, 광커넥터(30,40) 각각의 페룰(32,42)의 단부면(33,43, 이하 페룰면이라 함)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페룰(32,42)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광섬유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뎁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20)에 삽입되는 두 개의 광커넥터(30,40)의 페룰(32,42)들이 일직선으로 대향하며 접촉할 수 있도록 광커넥터(30,40)의 페룰(32,42)이 삽입되는 페룰하우징(21, Ferrule housing)을 포함한다.
페룰하우징(21)의 중앙에는 두 개의 페룰(32,42)이 각기 다른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페룰(32,42)의 형상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개구된 페룰삽입홈(22)이 마련된다.
이처럼 광통신 디바이스(10)에서의 광섬유의 연결은 광커넥터 페룰면(33,43)들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광커넥터 페룰면(33, 43)들은 상호 접촉되기에 앞서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광커넥터 페룰면(33,43)이 깨지거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직접적인 물리적인 손상이 있거나 아니면 광커넥터 페룰면(33,43)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광신호의 손실(loss) 또는 에러(error)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광신호의 손실 또는 에러가 이미 발생된 후에 조취를 취할 경우, 막대한 자금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산서버 등의 오류로 인한 기관과 사용자들의 2차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선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에 따라 광커넥터(30,40)를 어뎁터(20)에 삽입하기 이전에 미리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물리적 손상의 여부와 이물질 오염 여부 등을 면밀하게 검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종래 장비의 경우, 장비자체가 무겁거나 휴대성이 불편하여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간편하게 진행하기가 어렵고, 특히 스마트기기와 연동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7008521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여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도 와이파이에 의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전송시스템의 품질관리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되 휴대가 가능한 바디 케이스; 일 영역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바디 케이스에 결합되며,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검사 작업을 진행하는 광학 현미경 모듈; 상기 광학 현미경 모듈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와이파이(WiFi)를 통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 전송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컨트롤하는 모듈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현미경 모듈은,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현미경 모듈 바디; 상기 현미경 모듈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광커넥터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을 조절하는 포커싱 다이얼;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USB 단자부; 상기 USB 단자부를 개폐하는 단자 덮개; 상기 바디 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는 온/오프(on/off)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동작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여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도 와이파이에 의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전송시스템의 품질관리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어뎁터가 구비된 광통신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어뎁터와 이에 삽입되는 광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어뎁터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100)는 휴대가 간편하여 광섬유, 즉 광커넥터(30,40, 도 2 및 도 4 참조)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 도 2 참조)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도 와이파이에 의해 스마트기기(도 9 참조)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바디 케이스(110)와, 바디 케이스(110) 내에 마련되는 광학 현미경 모듈(120), 카메라 모듈(130), 와이파이 모듈(140), 충전용 배터리(150) 및 모듈 컨트롤러(160)를 포함한다.
바디 케이스(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 케이스(110)는 휴대가 가능한, 즉 한 손으로 파지하여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러한 바디 케이스(11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간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케이스(110a,11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케이스(110a,110b)의 분해 조립을 위해 제1 및 제2 케이스(110a,110b)에는 후크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볼트 결합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바디 케이스(110)의 외면에는 빗살 홈 형태의 그립패턴(111)이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립패턴(111)으로 인해 바디 케이스(110)의 그립감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검사 작업 중 바디 케이스(110)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0)의 후미에는 단자 덮개(103)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단자 덮개(103)의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150)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 단자부(102)가 마련된다. USB 단자부(102)를 통해,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한 정보를 컴퓨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 바디 케이스(110)에는 온/오프(on/off) 스위치(104)가 마련되고, 온/오프 스위치(104)의 주변에는 와이파이 모듈(140)의 동작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 스위치(105)가 마련된다.
그리고 온/오프 스위치(104)의 주변에는 작동램프(106)가 마련된다. 온/오프 스위치(104)의 온(on) 조작 시 작동램프(106)가 동작될 수 있다.
광학 현미경 모듈(120)은 일 영역이 바디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바디 케이스(110)에 결합되며, 광커넥터(30,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광커넥터(30,40)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검사 작업을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학 현미경 모듈(120)은 주로 도 7을 참조하면, 바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현미경 모듈 바디(121)와, 현미경 모듈 바디(121)에 연결되고, 바디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통(122)과, 경통(122)의 단부에 마련되며, 광커넥터(30,40)가 삽입되는 광커넥터 어댑터(123)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광커넥터 어댑터(123)는 광커넥터(30,40)가 삽입될 수 있게 홈의 형태를 갖는다.
카메라 모듈(130)은 광학 현미경 모듈(12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30)은 광학 현미경 모듈(120)의 후미에 배치되어 광학 현미경 모듈(120)과 상호작용하면서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 모듈(130)에 의한 포커싱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디 케이스(110)에는 포커싱 다이얼(101)이 결합된다.
와이파이 모듈(140)은 바디 케이스(110) 내에 마련되며, 와이파이(WiFi)를 통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한다.
참고로,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초기의 와이파이는 사실상 IEEE 802.11과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와이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하며, 802.11에서 지원되나 와이파이에서 쓰이지 않는 기술도 있으므로 둘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와이파이 통신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는 AP(액세스 포인트)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간의 통신이다.
와이파이를 이용하려면 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무선 랜카드)가 있어야 하며, 운영 체제에서 해당 무선랜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한다. 와이파이는 선 없이 인터넷이나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게임기, 프린터, TV 등 다양한 주변 기기들에서도 와이파이를 지원하고 지원하는 단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모듈(140)이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한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을 스마트기기, 예컨대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9처럼 스마트폰의 화면에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작업자는 불량 여부를 손쉽게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150)는 바디 케이스(110) 내의 일측에 마련되며, 카메라 모듈(130)과 와이파이 모듈(140)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듈 컨트롤러(160)가 충전용 배터리(150)에서 5 볼트의 전원이 카메라 모듈(130)로, 3.3 볼트의 전원이 와이파이 모듈(140)로 각각 공급되도록 전원을 컨트롤한다.
한편, 모듈 컨트롤러(160)는 카메라 모듈(130)과 와이파이 모듈(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모듈 컨트롤러(160)는 충전용 배터리(150)에서 5 볼트의 전원이 카메라 모듈(130)로, 3.3 볼트의 전원이 와이파이 모듈(140)로 각각 공급되도록 전원을 컨트롤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듈 컨트롤러(160)는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와이파이 모듈(14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 컨트롤러(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30)과 와이파이 모듈(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한편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와이파이 모듈(14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컨트롤러(160)는 카메라 모듈(130)과 와이파이 모듈(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한편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와이파이 모듈(14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모듈 컨트롤러(160)가 카메라 모듈(130)과 와이파이 모듈(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한편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와이파이 모듈(14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온/오프 스위치(104)를 동작시킨다. 이때, 모듈 선택 스위치(105)를 와이파이 모드로 선택한다. 그리고는 스마트기기, 예컨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런 다음, 도 9처럼 광커넥터(30,40)를 광커넥터 어댑터(123)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광학 현미경 모듈(120)을 통해 카메라 모듈(130)이 광커넥터(30,40)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 정보는 모듈 컨트롤러(160)를 통해 와이파이 모듈(140)로 전송되며, 와이파이 모듈(140)에서 해당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무선 통신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광커넥터(30,40)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이 실시간으로 나타난다.
이때, 포커싱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라면 포커싱 다이얼(101)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영상의 포커싱을 맞추면 된다.
이처럼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광커넥터(30,40)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이 와이파이 모듈(140)의 작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작업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면서 해당 광커넥터(30,40)에 대한 불량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광커넥터 페룰면(33,43)이 깨지거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직접적인 물리적인 손상이 있는지 아니면 광커넥터 페룰면(33,43)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었는지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리적인 손상이 있거나 오염이 된 경우라면 선조취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후조치에 따른 막대한 자금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산서버 등의 오류로 인한 기관과 사용자들의 2차 피해를 주는 일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광커넥터(30,40)의 광커넥터 페룰면(33,43)에 대한 영상이 와이파이 모듈(140)의 작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화면 캡쳐, 확대, 저장, 다른 기기로의 전송 등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여 광섬유에 대한 검사 작업을 언제어디서나 수시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도 와이파이에 의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전송시스템의 품질관리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100)로 인한 효과를 좀 더 부연 설명한다.
첫째, 와이파이를 적용한 무선화의 실현으로 품질, 휴대 및 취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예컨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검사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육안 검사대비 정확도가 종래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넷째, USB를 통한 PC 및 광계측기로 연결로 다양한 OS를 지원하여 호환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30,40 : 광커넥터 33,43 : 광커넥터 페룰면
100 :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101 : 포커싱 다이얼
102 : USB 단자부 103 : 단자 덮개
104 : 온/오프 스위치 105 : 모듈 선택 스위치
106 : 작동램프 110 : 바디 케이스
110a,110b : 제1 및 제2 케이스 111 : 그립패턴
120 : 광학 현미경 모듈 121 : 현미경 모듈 바디
122 : 경통 123 : 광커넥터 어댑터
130 : 카메라 모듈 140 : 와이파이 모듈
150 : 충전용 배터리 160 : 모듈 컨트롤러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되 휴대가 가능한 바디 케이스;
    일 영역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바디 케이스에 결합되며,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검사 작업을 진행하는 광학 현미경 모듈;
    상기 광학 현미경 모듈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커넥터 페룰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와이파이(WiFi)를 통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 전송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컨트롤하는 모듈 컨트롤러;
    상기 바디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을 조절하는 포커싱 다이얼;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USB 단자부;
    상기 USB 단자부를 개폐하는 단자 덮개;
    상기 바디 케이스의 타측에 마련되는 온/오프(on/off) 스위치;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동작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현미경 모듈은,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현미경 모듈 바디;
    상기 현미경 모듈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게 홈의 형태를 갖는 광커넥터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케이스 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99578A 2014-08-04 2014-08-04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KR10157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578A KR101572858B1 (ko) 2014-08-04 2014-08-04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578A KR101572858B1 (ko) 2014-08-04 2014-08-04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858B1 true KR101572858B1 (ko) 2015-11-30

Family

ID=5486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578A KR101572858B1 (ko) 2014-08-04 2014-08-04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514A1 (en) * 2018-07-17 2020-01-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ferrule inspection tool
CN112525488A (zh) * 2020-12-09 2021-03-19 深圳新海讯光电有限公司 一种高精密光纤探测用光纤探测器及其使用方法
US11275292B2 (en) 2018-10-22 2022-03-15 Good Sportsman Marketing, Llc Viewing device for optical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165A (ja) * 2010-10-19 2012-05-1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光ファイバ端面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165A (ja) * 2010-10-19 2012-05-1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光ファイバ端面検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514A1 (en) * 2018-07-17 2020-01-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ferrule inspection tool
US11274991B2 (en) 2018-07-17 2022-03-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ferrule inspection tool
US11275292B2 (en) 2018-10-22 2022-03-15 Good Sportsman Marketing, Llc Viewing device for optical devices
CN112525488A (zh) * 2020-12-09 2021-03-19 深圳新海讯光电有限公司 一种高精密光纤探测用光纤探测器及其使用方法
CN112525488B (zh) * 2020-12-09 2022-09-06 深圳新海讯光电有限公司 一种高精密光纤探测用光纤探测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93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US67933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port inspection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and devices
KR101572858B1 (ko)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
JP2012504832A5 (ko)
TW201728155A (zh) 最大化行動裝置之顯示區的設備與方法(一)
US20150346441A1 (en) Optical physical interface module
US20230204874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label system, label module, and recognition method
US10605696B2 (en) 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er (OTDR) with integrated, retractable launch cable
US20200137918A1 (en) Circuit Management Systems
US20130286226A1 (en) Modular peripheral digital camera system connectable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CN110211500A (zh) 摄像显示模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40327756A1 (en) User-friendly wireless fiber optic endface inspector
US20150062564A1 (en) Testing performance of optical fibers in the field
CN107024483A (zh) 光学通信链路的三维检查
WO2018170725A1 (zh) 一种图像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04932061B (zh) 光纤连接器
KR102509309B1 (ko) 커넥터들을 터미네이션 및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131454A (zh) 一种影像撷取系统及影像撷取方法
CN104516849A (zh) 无线扁平光连接器
JP2016167719A (ja) 光学装置
US11644626B2 (en) Fiber optic inspection tool with integrated cleaning mechanism
CN112019764B (zh) 摄像装置和摄像系统
JP2013165373A (ja)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206020775U (zh) 一种200万像素组装镜头结构
US20130182194A1 (en) Docking device and portable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