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49B1 -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49B1
KR101572849B1 KR1020140033653A KR20140033653A KR101572849B1 KR 101572849 B1 KR101572849 B1 KR 101572849B1 KR 1020140033653 A KR1020140033653 A KR 1020140033653A KR 20140033653 A KR20140033653 A KR 20140033653A KR 101572849 B1 KR101572849 B1 KR 10157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structure
seconds
applied voltage
zinc oxide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662A (ko
Inventor
김태겸
장진탁
류혁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646,448 priority Critical patent/US9595439B2/en
Priority to PCT/KR2014/003543 priority patent/WO2014175653A1/ko
Publication of KR2014012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3Liquid deposition
    • H01L21/02628Liquid deposition us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82B3/0014Array or network of similar nanostructur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9/00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 C25D9/04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inorganic materials
    • C25D9/08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inorganic materials by cathod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2Non-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e.g. glass,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91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51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554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603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BVI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화학 증착시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을 조절함으로써 형태적, 구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나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MANUFACTURING METHOD OF NANO STRUCTURES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NANO STRUCTURES MADE BY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화학 증착시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을 조절함으로써 형태적, 구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나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는 현재의 공정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나노 합성과 배열을 기본으로 하여 bottom-up 방식으로 나노 소자를 구현하는 것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구현할 수 있는 나노 소재로서 0차원 나노 구조를 갖는 양자점(quantum dot)과 1차원 나노 구조를 갖는 양자선(quantum wires) 혹은 나노선(nanowires), 나노 로드(nanorods)(이하, 양자선, 나노선, 나노 로드 등을 통칭하여 나노 구조체라 한다)가 제안되고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반도체 나노 와이어, 나노 로드 등의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널리 연구되고 있는 재료로서는 Si 및 Ge을 비롯하여 Al-Ga-In-P-N 시스템, ZnO, SnO2, SiC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이원계 산화물 반도체인 산화아연(ZnO)는 wurzite 구조의 2-6 족 화합물 반도체로서 3.37 eV의 넓은 에너지 밴드갭, 60 meV의 큰 엑시톤 결합에너지(exciton binding energy)를 갖는 전형적인 n-형의 반도성 물질이다. 또한, 산화아연(ZnO)은 제조공정 및 구조가 다양하고, 도핑이 쉽고 좁은 전도대역을 가지기 때문에 도핑물질에 따라 전기 광학적 성질의 조절이 용이 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광학기기 및 광학소자, 태양전지, LED 등 다양한 소자 제작에 적합한 소재로 각광 받고 있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중에서 산화아연(ZnO) 나노 구조체는 다양한 공정을 통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공정 방법으로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펄스 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분자선 에피택시법(Molecular Beam Epitaxy), 유기금속 화학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스핀코팅(Spin Coating), 수열합성법(Hydrothermal Deposition), 전기 화학 증착법(Electrochemical Deposition) 등이 있다.
이러한 공정 방법들 중에서 전기 화학 증착법은 산화아연(ZnO)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낮은 온도에서 성장이 가능하며, 대면적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판이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초기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전기 화학 증착법에 대한 연구는, 산화아연(ZnO)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기 위한 조건, 즉 성장 온도, 전위(potential), 증착 시간, 열처리의 유무, 씨드 버퍼층(seed buffer layer)의 유무, 첨가제의 유무에 따른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ITO는 투명전극의 대표적인 물질로써 태양전지, 스마트유리(electrochromic devices),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가스 센서, 투명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ITO 위에 산화아연(ZnO) 나노 로드가 접목된 구조는 광전소자 즉, Light-Emitting Diode(LED), 태양전지 등에 응용될 수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ITO 위에 산화아연(ZnO) 나노 로드의 수직 성장을 위해 AAO 등과 같은 주형(template), 버퍼층(buffer layer), 첨가제를 이용하여 수직성장을 시도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에 의할 경우 첨가되는 버퍼층(buffer layer), 첨가제 등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아연(ZnO) 나노 로드의 광학 특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48837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19815 호
본 발명은 종래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퍼층(buffer layer)을 형성하지 않고,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 전극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들을 전기 화학 증착 반응기의 성장 용액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들 간에 제 1 인가 전원을 제 1 인가 시간 동안 공급하고 산소/불활성기체를 상기 전기 화학 증착반응기로 공급하여 상기 작업 전극 상에 제 1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극들 간에 제 2 인가 전원을 제 2 인가 시간 동안 공급하고 산소/불활성 기체를 상기 전해 증착 반응기로 공급하여 상기 작업 전극 상에 성장시킨 제 1 나노 구조체 상에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가 전원 및 제 2 인가 전원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은 전기 화학 증착 장치 내의 성장 용액에 담겨져 있는 기판(작업 전극)과 다수의 전극에 전위가 인가되는 경우, 성장 용액에서는 아래와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산화아연이 생성되며, 생성된 산화아연은 기판(작업 전극)상에 증착되어 나노 막대로 성장하게 된다.
[화학 반응식]
Zn(NO3)2 -> Zn2 + + 2NO3 -
NO3 -+ H2O + 2e- -> NO2 - + 2OH-
Zn2 + + 2OH- -> Zn(OH)2
Zn(OH)2 -> ZnO + H2O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성장되는 나노 막대의 크기와 높이는 인가되는 인가 전압의 인가 방식 및 크기, 인가 시간에 따라 다르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전극은 전도성 기판으로,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도성 기판에서 나노 구조체의 성장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기판이며,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 IZO, ATO, ZnO, CdO, SnO2, 및 In2O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극들은 일정 전위 컨트롤러에 의해 전위 제어가 이루어지는 기준 전극, 상대 전극, 작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극은 Ag/AgCl로 구성되며, 상기 상대 전극은 Pt, Au, Zn, 및 Ag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가 전원은 -0.8 내지 -1.2 V 이고, 상기 제 1 인가 시간은 6 초 내지 240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가 전원은 -0.5 내지 -0.8 V 이고, 제 2 인가 시간은 900 초 내지 1500 초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 2 인가 전원을 인가한 이후 제 n 번(n 은 1 이상)의 인가 전원을 추가로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장 용액은 금속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으로, 상기 금속은 아연(Zn)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아연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은 0.0001 내지 0.01 M 농도의 ZnCl2 또는 Zn(NO3)2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장 용액은 염화칼륨(potassium chloride, KC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는 80 내지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이후, 250 내지 350 ℃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처리 과정을 더 거치는 경우 Zn(OH)2가 ZnO로 변화하며 결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나노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나노 구조체는 산화아연 나노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 구조체의 평균 직경은 50 내지 16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버퍼층(buffer layer),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화학 증착에 있어서, 전원의 인가 방식을 최적화함으로써 형태적, 구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나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의 FE-SEM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의 직경 및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의 XRD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의 PL(photo luminescence)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제조
전기 화학 증착 장비로서 Potentiostat/galvanostat(Model PL-9 Physio Lab South Korea)을 사용하고 3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작업 전극으로 ITO/glass(면저항 10Ω/□), 상대 전극으로 Pt-mesh, 기준 전극으로 Ag/AgCl(1 M KCl)을 사용하였으며, 작업 전극인 ITO/glass는 아세톤, 메탄올, 탈이온수에서 각각 10 분씩 초음파 세척하고, 필터링 된 공기(filtered air)로 건조시킨 후 사용하였다.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킬 전해질 용액으로는 0.005 M ZnCl2 (Sigma ALDRICH, 순도>98%)를 Zn2 +의 주된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0.1 M KCl(KANTO, 순도>99.5%)을 보조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성장 온도(bath temperature)는 90 ℃로 하고, 산소 소스인 Ar/O2 혼합 기체를 용액 내에 10분 동안 주입하여 Ar/O2 혼합 기체가 포화된 전해질 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아래 표 1과 같이 제 1 인가 전위 및 시간, 제 2 인가 전위 및 시간을 변경하면서 총 공정시간을 1200 초로 하여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전기 화학 공정 후 RTP(Rapid Thermal System)를 사용하여 300 ℃에서 질소 분위기로 1 시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Figure 112014027585613-pat00001
< 비교예 >
전압의 변화 없이 일정한 전압을 1200 초 동안 계속 인가하면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켰다.
< 실험예 >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FE - SEM ) 측정
제 1 인가 전압의 크기 및 시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FE-SEM 사진을 측정하고 이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제 1 인가 전압의 크기 및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FE-SEM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a) 내지 (x)는 각각 -1.2 V, -1.0 V, -0.8 V, -0.6 V, -0.4 V, -0.2 V의 제 1 인가 전압을 각각 10 초, 20 초, 60 초, 240 초 동안 인가하고, -0.7 V의 제 2 인가 전압을 각각 1190 초, 1180 초, 1140 초, 960 초 동안 인가하였을 때를 나타내며, (y)는 -1.5 V의 제 1 인가 전압을 10 초 동안 인가한 후 -0.7 V의 제 2 인가 전압을 1190초 동안 인가하였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이 -0.8 V 이상인 경우 고밀도의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0.8 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핵심성장 자리(instantaneous nucleation site)를 형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판 표면(작업 전극)에서의 전자 밀도가 충분히 제공되기 때문이다.
제 1 인가 전압으로 -1.5 V를 10 초 동안 인가한 후, 제 2 인가 전압으로 -0.7 V를 1190 초 동안 인가한 경우 육방정계의(hexagonal) 결정구조를 갖는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가 성장 되었으나, 상기 제 1 인가 전압을 20 초 이상 인가하여 실험을 진행한 경우 기준 전극이 망가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2의 (a) 내지 (f)는 제 1 인가 전압으로서 -1.2 V를 3 초, 6 초, 10 초, 20 초, 60 초, 240 초 동안 인가하고,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0.7 V를 각각 1197 초, 1194 초, 1190 초, 1180 초, 1140 초, 96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평면도(Top-view)를 나타내며, (g)는 제 1 인가 전압으로서 -1.2 V를 10 초 동안 인가하고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0.7 V를 119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단면도(Cross-sectional view)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으로서 -1.2 V를 10 초 동안 인가하고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0.7 V를 119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경우 약 550 nm 높이로 수직 성장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FE-SEM 사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 내지 (e)는 각각 -1.2 V, -1.0 V, -0.8 V, -0.7 V, -0.6 V의 인가 전압을 1200 초 동안 계속하여 인가 하였을 때의 평면도(Top-view)를 나타낸 것이며, (f)는 인가 전압이 -0.7 V일 때의 단면도(Cross-sectional view)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인가 전압을 계속하여 인가한 경우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가 수직적으로 성장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 나노 구조체의 직경 및 밀도 측정
상기 도 2의 FE-SEM 사진을 이용하여 제 1 인가 전압으로서 -1.2 V 를 3 초, 6 초, 10 초, 20 초, 60 초, 240 초 동안 인가하고,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0.7 V를 각각 1197 초, 1194 초, 1190 초, 1180 초, 1140 초, 96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직경 및 밀도를 측정하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 시간이 증가할수록 직경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밀도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 시간이 증가할 수록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직경과 밀도는 서로 상반된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 X선 회절 분석 ( XRD )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XRD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는 제 1 인가 전압을 -1.2 V로 인가하면서 인가 시간을 3 초 내지 240 초로 변경하고, 제 2 인가 전압을 -0.7 V로 인가하면서 인가 시간을 1197 초 내지 960 초로 변경하면서 제조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XRD 측정 결과이다. (b) 및 (c)는 제 1 인가 전압을 1.0 V 또는 -0.8 V로 인가하면서 인가 시간을 10 초 내지 240 초로 변경하고, 제 2 인가 전압을 -0.7 V로 인가하면서 인가 시간을 1190 초 내지 960 초로 변경하면서 제조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XRD 측정 결과이다. (d)는 -0.2 V 내지 -1.5 V로 제 1 인가 전압을 변경하면서 10 초 동안 인가하고, -0.7 V를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119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XRD 측정 결과이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는 31°에서 (100) 피크를 나타내고 있어 다결정성(polycrystalline) 산화아연 나노 로드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제 1 인가 전압 및 인가 시간에 따른 34°에서의 (002) 피크의 강도, 31°에서의 (100) 피크의 강도 및 (002)/(100) 피크의 강도 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제 1 인가 전압이 -0.8 V 이상인 경우 (002) 피크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인가 시간이 10 초인 경우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6의 (b) 및 (c)는 제 1 인가 전압을 -1.2 V로 인가하고 인가 시간을 변경하면서 제조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의 (002) 피크 강도, (100) 피크 강도 및 (002)/(100) 피크의 강도 비를 나타낸 것으로, 인가 시간이 증가할수록 10 초 까지는 (002) 피크 강도가 증가하나 10 초 이후부터는 (002) 피크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0 초 까지는 핵심성장 자리(nucleation site) 발생을 위한 전자 밀도가 충분하지 못한 반면, 10 초 이후부터는 전자 밀도가 과잉 되었기 때문이다. (002)/(100) 피크 강도 비가 클수록 나노 로드가 기판과 수직 방향인 c-축으로 잘 성장함을 의미하며, (002)/(100) 피크 강도 비 역시 인가 시간이 10 초가 될 때까지는 증가하다 10 초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 제 1 인가 전압에 따른 광학 특성 측정
제 1 인가 전압을 -0.2 V 내지 -1.5 V로 달리하고 인가 시간은 10 초로 동일하게 하며, 제 2 인가 전압으로서 -0.7 V를 1190 초 동안 인가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에 대하여 PL(photo luminescence)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자외선 영역에 위치한 약한 NBE(near-band edge emission) 피크의 강도 및 가시광 영역에 위치한 강한 DLE(deep-level emission) 피크의 강도, 상기 NBE 와 DLE 피크 강도 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NBE 피크는 자유 엑시톤 재결합(free exciton recombination)에 의한 것이고 DLE 피크는 산소 공공(oxygen vacancy), 아연 공공(zinc vacancy), 침입형 산소(interstitial oxygen), 침입형 아연(interstitial zinc)과 같은 결함에 의한 것이다.
상기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이 -1.0 V일 때 NBE 피크 강도가 126101로 제 1 인가 전압이 -1.2 V일 때의 NBE 피크 강도인 118170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제 1 인가 전압이 -1.0 V인 경우 DLE 피크 강도 또한 보다 높게 측정되어, 결과적으로 NBE/DLE 강도 비의 값은 -1.2 V 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도 8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을 각각 -1.5 V, -1.2 V, -1.0 V, -0.8 V, -0.6 V, -0.4 V, -0.2 V로 인가하는 경우 DLE 피크 강도의 값은 각각 2767, 1491, 2808, 5020, 3240, 4087, 6230, 3874으로 나타나 제 제 1 인가 전압이 -1.2 V일 때 가장 약한 DLE 피크 강도 값을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NBE/DLE 피크 강도 비는 각각 4.2, 79.26, 44.92, 13.11, 41.95, 16.72, 4.44, 25.18로 나타나 제 1 인가 전압이 -1.2 V일 때 가장 높은 NBE/DLE 피크 강도 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 시간에 따른 광학 특성 측정
제 1 인가 전압을 -1.2 V로 동일하게 하고 인가 시간을 3 초 내지 240 초로 달리하며, 제 2 인가 전압을 -0.7 V로 하고 인가 시간을 1197 초 내지 960 초로 달리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나노 구조체에 대하여 PL(photo luminescence)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9에 나타내었으며, NBE 피크 강도 및 DLE 피크 강도, 상기 NBE 와 DLE 피크 강도 비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 시간을 각각 3 초, 6 초, 10 초, 20 초, 60 초, 240 초로 하는 경우 NBE 피크 강도의 값은 각각 41611, 49764, 118170, 30320, 62128, 57821 으로 나타나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시간이 10 초 일 때 가장 강한 NBE 피크 강도를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DLE 피크 강도의 값은 각각 2219, 1942, 1490, 1653, 2270, 4733 으로 나타나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시간이 10 초일 때 가장 약한 DLE 피크 강도 값을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NBE/DLE 피크 강도 비는 각각 18.8, 25.7, 76.3, 18.4, 27.4, 12.3으로 나타나 제 1 인가 전압의 인가 시간이 10 초 일 때 가장 높은 NBE/DLE 피크 강도 비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작업 전극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들을 전해 증착 반응기의 성장 용액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들 간에 제 1 인가 전원을 제 1 인가 시간 동안 공급하고 산소/불활성 기체를 상기 전해 증착 반응기로 공급하여 상기 작업 전극상에 제 1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극들 간에 상기 제 1 인가 전원과 상이한 제 2 인가 전원을 제 2 인가 시간 동안 공급하고 산소/불활성 기체를 상기 전해 증착 반응기로 공급하여 상기 작업 전극 상에 성장시킨 제 1 나노 구조체 상에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가 전원은 -0.8 내지 -1.2 V 이고, 상기 제 1 인가 시간은 6 초 내지 240 초이고,
    상기 제 2 인가 전원은 -0.5 내지 -0.8 V 이고, 상기 제 2 인가 시간은 900 내지 1500 초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전극은 전도성 기판으로,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기판이며,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 IZO, ATO, ZnO, CdO, SnO2, 및 In2O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극들은 기준 전극, 상대 전극, 작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극은 Ag/AgCl로 구성되며,
    상기 상대 전극은 Pt, Au, Zn, 및 Ag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용액은 금속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으로, 상기 금속은 아연(Z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금속산화물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나노 구조체상기 성장 용액은 0.0001 내지 0.01 M 농도의 ZnCl2 또는 Zn(NO3)2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용액은 염화칼륨(KC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는 80 내지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나노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 이후, 250 내지 350 ℃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가 전원을 인가한 이후제 n 번(n 은 1 이상)의 인가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산화아연 나노 로드인 것인 나노 구조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의 평균 직경은 50 내지 160 nm인 나노 구조체.
KR1020140033653A 2013-04-23 2014-03-21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KR10157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6,448 US9595439B2 (en) 2013-04-23 2014-04-23 Method for preparing nanostructure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nanostructure prepared thereby
PCT/KR2014/003543 WO2014175653A1 (ko) 2013-04-23 2014-04-23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522 2013-04-23
KR1020130044522 2013-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662A KR20140126662A (ko) 2014-10-31
KR101572849B1 true KR101572849B1 (ko) 2015-12-01

Family

ID=5199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653A KR101572849B1 (ko) 2013-04-23 2014-03-21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95439B2 (ko)
KR (1) KR101572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578B1 (ko) * 2013-07-11 2016-1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한 촉매 및 전자 소자
KR101717911B1 (ko) * 2015-11-05 2017-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화학증착법을 통한 산화아연 나노로드가 성장된 탄소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전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002B2 (ja) * 2002-03-27 2008-11-19 アイル・コート・リミテッド 金属および合金にセラミック被膜を形成するプロセスと装置、およびこのプロセスによって生成される被膜
GB2386907B (en) * 2002-03-27 2005-10-26 Isle Coat Ltd Process and device for forming ceramic coatings on metals and alloys, and coatings produced by this process
KR100912519B1 (ko) * 2007-07-03 2009-08-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구조체 및 그의 형성 방법 그리고 그를 포함하는 전계방출 디스플레이소자, 백라이트 유닛, 전계 방출형 램프
KR101285485B1 (ko) * 2008-12-26 2013-07-23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의 전해 세라믹스 코팅방법, 금속의 전해 세라믹스 코팅용 전해액 및 금속재료
KR20100130379A (ko) * 2009-06-03 2010-12-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열-전기화학적 합성에 의한 ZnO 나노로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5386A1 (en) 2015-10-01
US9595439B2 (en) 2017-03-14
KR20140126662A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ndt et al. Electrodeposition of Cu 2 O: growth, properties, and applications
Liu et al. Tartaric acid assisted hydrothermal synthesis of different flower-like ZnO hierarchical architectures with tunable optical and oxygen vacancy-induced photocatalytic properties
Rouhi et al. Synthesis of needle-shape ZnO-ZnS core-shell heterostructures and their optical and field emission properties
US11208333B2 (en) Synthesis of vertically aligned metal oxide nanostructures
Xue et al. Electrodeposition from ZnO nano-rods to nano-sheets with only zinc nitrate electrolyte and its photoluminescence
Abdelfatah et al. Low cost inorganic white light emitting diode based on submicron ZnO rod arrays and electrodeposited Cu2O thin film
Shabannia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u-doped ZnO nanorods chemically grown on flexible substrate
Singh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semiconducting oxide (Cu 2 O and ZnO) nanostructures
Chee et al. Opt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olution processed zinc oxide nanorods via hydrothermal method
Or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size-controlled ZnO nanorods produced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technique
Ahmed et al. Effect of electrodeposition duration on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flower-like nanostructured ZnO
Tyona Doped zinc oxide nanostructures for photovoltaic solar cells application
Kim et al. Growth of ZnO nanorods on various substrates by electrodeposition
Liang Grow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ree-dimensional flower-like zinc oxide microcrystals
KR101572849B1 (ko)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Al-Hardan et al. Synthesis of magnesium-doped ZnO rods via hydrothermal method: A study of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KR101069066B1 (ko)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 실리콘 태양전지의 투명전도성기판 제조방법
Xu et al. Seed layer-free electrodeposition of well-aligned ZnO submicron rod arrays via a simple aqueous electrolyte
Sakellis et al. A novel method for the growth of Cu2O/ZnO heterojunctions
Al-Hardan et al. Ultraviolet Sensors Based on Two-Dimensional Zinc Oxide Structures
KR102255210B1 (ko) 표면 모폴리지 제어 및 광전 특성이 향상된 산화아연계 p-n 이종접합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75653A1 (ko) 전기 화학 증착에 의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구조체
Qi et al. Uniform Sb doping of ZnO films with controllable morphology and enhanced optical property
Paul et al.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quality ZnO nanowires by novel CBD/CBD technique
Wang et al. Galvanic deposition of ZnO nanorods and thermal annealing effects on their opt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