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566B1 -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566B1
KR101572566B1 KR1020150097561A KR20150097561A KR101572566B1 KR 101572566 B1 KR101572566 B1 KR 101572566B1 KR 1020150097561 A KR1020150097561 A KR 1020150097561A KR 20150097561 A KR20150097561 A KR 20150097561A KR 101572566 B1 KR101572566 B1 KR 10157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sition
quality
cul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윤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케이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케이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케이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K61/0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효모균, 광합성 세균 배양액,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비피더스균 배양액, 증류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담지체 등의 침적을 일으키는 추가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 살포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양식어류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ater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Bottom Materials}
본 발명은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가두리 양식장, 호수, 연못 등의 담수에 대한 수질정화 및 저질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육상 가두리 양식장, 호수, 연못 등의 담수 저장소의 생태 환경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양식, 생산하는 경우, 수질 및 저질이 오염되어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수질 및 저질이 오염된 환경에서 생산된 수산물은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고, 수질 및 저질 오염으로 인하여 담수의 변색이 발생하고 환경오염의 가능성이 높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제 흡입식 어장 정화 방법을 통하여 바닥 표면에 형성된 퇴적물을 수거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근본적인 수질 및 저질 개선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달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2417호에서는 패각과 제올라이트가 혼합되며, 제올라이트에 고초균이 흡착된 상태로 살포함으로써 수질 및 저질 개선의 효과를 발현하는 수질 및 저질 개선제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6124호에서는 관상어용 배합사료로서 발효된 된장으로부터 동정된 바실러스 속의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유용매생물을 극세 기공을 갖는 광물질에 함유함으로써 수질정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담지체에 수질정화용 물질을 담지한 상태로 살포하게 되므로, 살포 후 수질정화용 물질이 용출되기 쉽고, 바닥에 담지체가 쌓이게 되면 이를 수거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많다.
이와는 별도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87317호에서는 해수에서 생존가능한 김치 유산균을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물로부터 김치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수득하여 이를 새우 사료와 혼합하여 새우 양식용 사료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어린새우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양식장의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1503호에서는 양식어류의 사료 첨가용 미생물 제제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등을 사용함으로써 어류의 항병력을 증진시키고 소화효율을 개선하여 발육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각종 미생물을 사용하면서도, 담지체 등의 침적을 일으키는 추가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양식어류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통해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24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61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873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15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담지체 등의 침적을 일으키는 추가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양식어류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건조효모균, 광합성 세균 배양액,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 비피더스균 배양액, 증류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건조효모균 0.3 내지 0.7 중량부,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상기 비피더스균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증류수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조효모균는 건조효모균와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배합물이며, 상기 건조효모균,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및 상기 비피더스균 배양액에서 각각의 균수는 1×1010 내지 9×1010 CFU/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를 살포함으로써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담지체 등의 침적을 일으키는 추가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 살포함으로써 사용되며, 양식어류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새우양식장의 양식 후 물을 제거한 후의 양식장 바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건조효모균, 광합성 세균 배양액,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 비피더스균 배양액, 증류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효모균는 건조효모균와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의 배합물로서 건조효모균 98 내지 99 중량% 및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 1 내지 2 중량%의 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유화제로서 작용하여 건조효모균의 분산 및 혼합을 촉진해 준다. 상기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가 1 중량% 미만이면 건조효모균의 분산 및 혼합이 원활하지 않아 조성물로 제조할 때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가 저하되며, 2 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건조효모균로부터 얻어지는 상승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건조효모균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와 양식어류의 면역력 증강 및 소화기능향상의 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작용을 하므로 양식어류의 질병을 예방하고 성장발육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건조효모균만을 사용하면 오염물질의 제거 및 저질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억제의 효과가 미흡하여, 다른 미생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상기 건조효모균을 0.3 내지 0.7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건조효모균의 양이 0.3 중량부 미만이면 건조효모균으로부터 얻어지는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없으며, 0.7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미생물에 비해 상대적인 건조효모균의 양이 증가하여 오염물질 제거 및 유해가스 발생억제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합성 세균 배양액은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개선하며 수생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광합성 세균은 킬레이트화 물질의 방출로 인한 영양염류 분해능을 가진 것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도스피릴 속(Rhodospirillum sp.)의 로도스피릴룸 루브럼(Rhodospirillum rubrum); 로도슈도모나스 속(Rhodopseudomonas sp.)의 로도슈도모나스 카푸술라타(Rhodopseudomonas capusulata), 로도슈도모나스 스페로이드(Rhodopseudomonas spheroid), 로도슈도모나스 젤라티노사(Rhodopseudomonas gelatinosa); 로도박터 속(Rhodobacter sp.)의 로도박터 카푸술라타(Rhodobacter capusulata), 로도박터 스페로이드(Rhodobacter spheroid), 로도박터 루부럼(Rhodobacter rubrum)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만을 물에 살포할 경우, 광합성 세균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하여 유기물의 분해 및 용존산소량은 개선되나, 양식에 불필요한 수생식물 및 과다한 조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드러나 양식이 오히려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을 0.7 내지 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이 0.7 중량부 미만이면 광합성 세균으로 인한 유기물 분해 및 용존산소량 개선의 효과가 미흡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생식물 및 조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은 강한 정균력을 나타내며, 유해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고 생태계의 생물학적 자정기능을 회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단일 미생물을 사용할 때에는 유해 미생물의 발생은 억제되나 유기물질의 분해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복합 미생물을 적용하여 각 균주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이 상호 보완되고 상승된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을 0.7 내지 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이 0.7 중량부 미만이면 유해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흡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미생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미생물이 사용되므로 유기물질 분해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은 오염물질 제거, 거품생성 억제, 유해 수생균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과 엔테로코커스 패시움을 병용함으로써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2759호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을 이용한 패수 처리 또는 폐수 정화를 위하여, 엔테로코코서 패시움 배양액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유산균 배양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아귀저감 종균액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생물을 병용함으로써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터럼 배양액을 0.7 내지 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터럼이 0.7 중량부 미만이면 오염물질 제거의 효과가 미흡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미생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미생물이 사용되므로 유기물질 분해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피더스균은 양식어류의 소화기능을 증진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키며 유해 미생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비피터스균을 물에 살포하면 알려진 효능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거품 제거능력도 충분하지 못하나, 다른 미생물과의 병용을 통해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피더스균 배양액을 0.7 내지 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피더스균 배양액이 0.7 중량부 미만이면 거품 제거의 효과가 미흡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미생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미생물이 사용되므로 유기물질 분해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과 증류수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수용액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식장 등의 담수에 살포하는 것만으로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살포량은 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를 살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육상 가두리 양식장, 호수, 연못 등은 물이 저장된 상태로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면 위에 고르게 살포하는 것만으로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살포하는 경우, 양식장에 양식어류를 입식하면 별도로 물갈이를 하지 않고도 양식 종료 시까지 7 내지 10일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살포하면 수질이 안정화되고 저질이 발생하기 않아 물의 관수나 배수 없이도 안정적인 양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양식 과정 중 물이 증발하거나 누수하여 부족할 경우에만 적정량을 보충하여 주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살포함으로써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담지체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후 회수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차를 설치하여 상기 조성물을 살표할 때 호지의 표면 또는 수면적 전체에 폭기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효모균,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및 상기 비피더스균 배양액에서 각각의 균수가 1×1010 내지 9×1010 CFU/g의 범위일 때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각각의 균수가 1×1010 CFU/g에 미치지 못하면 유기물의 분해능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일반적인 양식 조건에서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1010 CFU/g를 초과하면 과도한 유기물질 분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아가미로 부유물질이 흡입되어 다량의 폐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균수를 적절한 범위로 맞추도록 배양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기술적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적용하면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어 양식어류의 생장이 촉진되므로, 1만평 규모의 양식장에 적용한 결과 2모작 양식도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살포하여 그 결과를 살피는 실험예를 설명한다.
건조효모균 5kg, 광합성 세균 배양액 10L,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10L,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10L, 비피더스균 배양액 10L, 증류수, 1,000kg을 배합하여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광합성 세균,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한국 미생물 은행에서 종균을 분양받아 배양기(포먼트)를 사용하여 4 내지 6일 간 무균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수는 평균 2×1010 CFU/g이었으며, 증류수에 희석하여 배양액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배양기에서 2일 간 배양하여 균수가 평균 1×109 CFU/g인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배양기에서 10일 간 배양하여 균수가 평균 3×1011 CFU/g인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건조효모균 1kg, 광합성 세균 배양액 5L,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5L,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5L, 비피더스균 배양액 5L를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수심 1.5m 기준으로 5,000평(물의 양 24,750톤)에 대하여 10L를 수면 위에 고르게 살포하고 7일 후의 물을 채취하여 화학적산소요구량(COD), 함수율, 휘발성황화물(AVS)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COD 함수율 AVS
무첨가 71.5 60.0 1.22
실시예 1 36.4 48.7 0.91
비교예 1 69.8 57.2 1.12
비교예 2 48.9 57.4 1.05
비교예 3 58.6 58.5 1.18
비교예 4 49.2 57.2 1.07
비교예 5 51.4 56.3 1.05
또한, 상기 시험을 실시하고 7일 후의 저질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COD 함수율 AVS
무첨가 11.2 56.7 1.05
실시예 1 4.6 49.2 0.90
비교예 1 8.4 55.6 1.01
비교예 2 6.8 56.4 0.97
비교예 3 9.6 55.5 1.02
비교예 4 8.7 56.2 1.04
비교예 5 8.2 55.9 1.01
상기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COD), 함수율, 휘발성황화물(AVS) 등 모든 측정지표에서 비교예나 무첨가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건조효모균, 광합성 세균 배양액,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비피더스균 배양액, 증류수로 이루어질 때 각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한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실제 새우양식장에 적용하였을 때, 새우의 생장 및 생존율이 대폭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살포한 1만평 규모의 새우양식장의 양식이 종료된 겨울철인 11월에 양식장의 물을 빼고 난 후의 양식장 바닥을 나타낸 사진이다.
통상적으로 겨울철이 되면 양식장에서는 열대어종인 새우가 생존하지 못하여 양식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을 살포한 경우, 양식장 물을 빼고 난 후 바닥에 다량의 생존한 새우가 발견되어 본 발명의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이 양식어류의 발육과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환경에 대한 내성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양식장에 적용할 경우, 2모작 양식도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건조효모균 0.3 내지 0.7 중량부, 광합성 세균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비피더스균 배양액 0.7 내지 1.5 중량부, 증류수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가두리 새우 양식장용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효모균는 건조효모균와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가두리 새우 양식장용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효모균, 상기 광합성 세균 배양액,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배양액,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및 상기 비피더스균 배양액에서 각각의 균수는 1×1010 내지 9×1010 CF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가두리 새우 양식장용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은 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가두리 새우 양식장용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KR1020150097561A 2015-07-09 2015-07-09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KR10157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61A KR101572566B1 (ko) 2015-07-09 2015-07-09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61A KR101572566B1 (ko) 2015-07-09 2015-07-09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566B1 true KR101572566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561A KR101572566B1 (ko) 2015-07-09 2015-07-09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5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8765A (zh) * 2017-11-30 2018-04-03 清远市实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kbm微生物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92935B1 (ko) * 2017-10-25 2018-10-04 농업회사법인 케이비티 주식회사 저질 개선 및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2038079B1 (ko) 2019-01-18 2019-10-30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을 이용한 수질 정화제의 제조방법
CN111718875A (zh) * 2020-06-24 2020-09-29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清出底泥消解的生物酶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27828A (ko)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42B1 (ko) * 2011-05-24 2012-01-02 유한회사금성상공 제과, 제빵 및 제면부산물을 이용한 유산균 미생물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42B1 (ko) * 2011-05-24 2012-01-02 유한회사금성상공 제과, 제빵 및 제면부산물을 이용한 유산균 미생물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935B1 (ko) * 2017-10-25 2018-10-04 농업회사법인 케이비티 주식회사 저질 개선 및 생장 촉진용 조성물.
CN107868765A (zh) * 2017-11-30 2018-04-03 清远市实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kbm微生物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38079B1 (ko) 2019-01-18 2019-10-30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을 이용한 수질 정화제의 제조방법
KR20210027828A (ko)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CN111718875A (zh) * 2020-06-24 2020-09-29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清出底泥消解的生物酶制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566B1 (ko)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KR101260872B1 (ko) 미생물 생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축산악취 제거제
Atiku et al. Harvesting of microalgae biomass from the phycoremediation process of greywater
Wang et al. Effects of macroalgae Ulva pertusa (Chlorophyta) and Gracilaria lemaneiformis (Rhodophyta) on growth of four species of bloom-forming dinoflagellates
KR101122766B1 (ko) 혼합미생물(bm-s-1)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 이를 이용한 하천?호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슬러지 자가 소화공정
KR101657171B1 (ko) 친환경 녹조 및 적조 제거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오염수역의 수질개선방법
RU2347808C1 (ru) Биопрепарат из эффектив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для деградации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CN109231495A (zh) 一种控藻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30009902A (ko) 유해조류 제어용 살조세균
Olanbiwoninu et al. Biofilms and their impact on the food industry
KR101450019B1 (ko) 미생물을 잣 부산물추출물에 배양하여 악취 감소 효과를 갖는 가축분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축분비료
CN1244502A (zh) 水净化剂和水净化方法
KR101259416B1 (ko) 토양 오염 정화 또는 토양 환경 개선용 혼합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US20150258150A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Banerjee et al. Immobilized periphytic cyanobacteria for removal of nitrogenous compounds and phosphorus from shrimp farm wastewater
KR20200071582A (ko) 수질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466B1 (ko) 담수 녹조 방제용 살조 조성물
MXPA06013619A (es) Agente de bioproteccion.
Sonia et al. Influence of bioremediation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Cyprinus carpio Var Koi using aquaculture waste water
KR100906625B1 (ko) 적조균 또는 녹조균의 생육 억제제
KR101529441B1 (ko) 친환경 조류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유해조류 방제방법
KR20190117861A (ko) 유기산과 미생물을 조합한 수질·저질 개선제
KR101829622B1 (ko) 탈취, 살균 기능을 가진 친환경 녹조 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녹조 제거 방법
KR101977222B1 (ko) 달걀껍질 분말을 포함하는 녹조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30332A (zh) 一种生物酶清水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