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56B1 -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 Google Patents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56B1
KR101572256B1 KR1020140083784A KR20140083784A KR101572256B1 KR 101572256 B1 KR101572256 B1 KR 101572256B1 KR 1020140083784 A KR1020140083784 A KR 1020140083784A KR 20140083784 A KR20140083784 A KR 20140083784A KR 101572256 B1 KR101572256 B1 KR 10157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frame
ceiling
indoor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8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7/00Apparatus for climbing poles, tre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클라임홀드를 이용하여 클라이밍운동을 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임홀드가 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고 기둥과 기둥을 연결해주는 스틸바와 상기 기둥 위에 놓이는 천장이 있으며 뼈대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는 벽면과 천장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의 클라이밍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천장에 부착되고 상기 천장의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연결되고 모터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올려 주는 수직도르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이용자를 끌어당겨 주는 와이어가 감겨 있는 수평도르래 및 상기 수평도르래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도르래에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 당기는 모터가 내재된 상기 프레임의 스틸바에 부착되는 중력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심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접근성이 뛰어나고, 수평으로 등반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며 각종 보조장치들을 장착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이용자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Indoor Climbing Device with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은 실내클라이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이밍운동을 하려는 자가 대표적인 아웃도어 운동인 클라이밍운동을 도심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암벽은 암벽 등을 연상케 하는 인공벽(또는 인공 구조물)에 손으로 파지하거나 발로 딛고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돌출된 인공 홀더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부착시킨 것으로서, 특히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내 또는 실외의 좁은 공간의 벽면을 이용하므로 장소의 제약이 뒤따르지 않고, 가까운 곳에서 실제 암벽등반과 같은 운동 효과 및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바, 종래에 전문산악인의 훈련 코스로 알려진 것과 달리, 현재 일반인들에게 날씨 및 계절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레져 스포츠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암벽등반 장치에 관한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 20-2005-0019161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서 개시되었다.
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소정 간격으로 양단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양단측 지지프레임(20)과 상기 다수의 양단측 지지프레임(20) 사이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중간측 지지프레임(30), 지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 프레임(50), 상기 다수의 양단측 지지프레임(20)과 중간측 지지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재 프레임(40), 및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어 있는 홀더(80)를 포함한다.
상기 양단 측 지지프레임(20), 중간측 지지프레임(30) 및 보강 프레임(50)의 적어도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40)이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단측 지지프레임(20)은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측 지지프레임(30)은 그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50)은 그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 방향으로 삼각형 모양의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양단측 지지프레임(20), 중간측 지지프레임(30) 및 보강 프레임(50) 각각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40)의 가장 자리부에도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40)이 상기 양단측 지지프레임(20), 중간측 지지프레임(30) 및 보강 프레임(50)의 삽입홈에 장착된 다음, 볼트 부재가 상기 체결공을 상호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다수의 판재 프레임(4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 각각은 일측 수평 단부에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타측 수평 단부에 걸림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 중 특정 판재 프레임의 걸림돌기가 다른 판재 프레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다수의 판재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조립되게 한다.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은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두겹의 판재로 제조되고, 상기 두겹의 판재중 구조물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는 외측 판재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사각 모양의 너트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두겹의 판재중 구조물의 안쪽으로 향하게 되는 내측 판재의 중간부에는 상기 너트 체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원 모양의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사각 모양의 너트 체결구에는 사각 모양의 너트 부재(60)가 삽입되고, 상기 너트 부재(60)에 체결되는 볼트 부재(90)에 의해 상기 판재 프레임의 내측면에 홀더(80)를 고정시킨다.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바닥면에는 매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부재를 최소화 하여 보다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홀더를 지지프레임이 아닌 판재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홀더를 내측 판재 프레임 어느 곳에나 위치 제한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난이도의 암벽타기 연습용 구조물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소수의 지지프레임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암벽등반 구조물을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인공암벽타기를 보다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클라이밍장치의 특성상 어느 정도 이상의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주로 도시외곽이나 시외 등의 공간 확보가 유리한 곳에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설치되므로 도심에서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직클라이밍장치의 특성상 특히 초보자나 경력자라 할지라도 사소한 부주위로 인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제한된 공간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클라이밍 코스의 다양한 변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밍장치의 단조로운 코스로 인해 싫증이 쉽게 생기서 운동의 동기부여가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실내클라이밍장치가 그 특성상 일정 정도 이상의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공간 확보가 용이한 주로 도시외곽에 위치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상기 실내클라이밍장치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층고의 문제를 해결하고 설치 공간을 줄여서 도심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체에 중력량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중력량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끌어당겨서 수직클라이밍에서와 같이 중력을 느낄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에는 벨트회전수단을 설치하여 바닥 면적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클라이밍장치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클라이밍코스를 이용자의 수준별로 다양화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운동의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발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클라임홀드를 이용하여 클라이밍운동을 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임홀드가 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고 기둥과 기둥을 연결해주는 스틸바와 상기 기둥 위에 놓이는 천장이 있으며 뼈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는 벽면과 천장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의 클라이밍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천장에 부착되고 상기 천장의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연결되고 모터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올려 주는 수직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이용자를 끌어당겨 주는 와이어가 감겨 있는 수평도르래 및 상기 수평도르래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도르래에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 당기는 모터가 내재된 상기 프레임의 스틸바에 부착되는 중력량조절수단; 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기 클라임홀드가 부착되어 있는 벨트를 회전 시켜주는 벨트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이용자의 수준별로 설계된 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밍실은 상기 바닥면, 상기 벽면, 상기 천장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실내클라이밍장치를 도심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력량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끌어당겨서 이용자가 수직클라이밍운동에서 처럼 중력을 받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에 벨트회전수단을 설치하여 바닥 면적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클라이밍장치를 제작이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이밍코스의 다양화로 이용자의 수준별 이용이 가능하여 흥미를 유발시키서 지속적으로 클라이밍운동의 동기를 부여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클라이밍장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이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이 설치된 경우의 내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수준별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가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수준별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가 설치된 경우의 내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사시도 1,
도 8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사시도 2,
도 9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내부사시도 1,
도 10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내부사시도 2,
도 11은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의 정면,측면,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영상출력수단 부분확대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이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바닥면(20)과 벽면과 천장면으로 형성된 클라이밍실(22)과 기둥과 스틸바와 천장의 뼈대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9)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20)에는 곳곳에 클라임홀드(11)들을 부착하여 이용자가 클라이밍운동을 수행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상기 프레임(19)은 금속재질의 소재로 상기 바닥면(20)의 크기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상기 프레임(19)을 지지하는 기둥과 기둥과 기둥사이를 연결해주는 스틸바 그리고 기둥 위에 올려지는 천장으로 구성된 뼈대 구조이다.
상기 클라이밍실(22)은 상기 바닥면(20)과 이어지는 벽면과 천장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9)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특정한 형상의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클라이밍운동을 수행하는 곳이다.
도 3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회전수단(25)은 벨트(12)와 기울기조절수단(26)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20)에 상기 벨트회전수단(25)을 설치하는데, 상기 벨트회전수단(25)은 상기 클라임홀드(11)들이 곳곳에 붙어있는 상기 벨트(12)의 양옆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12)를 계속적으로 회전시켜준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밍실(22)의 바닥면(20)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벨트회전수단(25) 아래에는 상기 벨트회전수단(25)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기울기조절수단(26)을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용자는 상기 기울기조절수단(26)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회전수단(25)에 경사를 주어서 강도를 높여 운동량을 늘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벨트회전수단이 설치된 경우의 내부사시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9)은 캐리어(23)와 수직도르래(17)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23)는 상기 프레임(19)의 천장에 부착되고 상기 천장의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제작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마음대로 이동하면서 클라이밍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리어(23)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도르래(17)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도르래(17)의 내부에는 모터를 삽입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도르래(17)에 감겨 있는 와이어(24)를 자동적으로 감아 올려서 이용자가 바닥면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프레임(19)은 중력량조절수단(15)과 수평도르래(16)를 포함한다.상기 수평도르래(16)에 감겨있는 와이어(24)를 통하여 이용자를 끌어당겨 주어 이용자가 수직클라이밍운동에서 처럼 중력량을 받을 수 있게 해준다.
도 10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내부사시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력량조절수단(15)에는 모터가 삽입된다.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도르래(16)에 감겨 있는 와이어(24)를 끌어당겨 상기 와이어(24)에 연결된 이용자가 중력량을 받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이용자가 운동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중력량조절수단(15)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끌어당겨주는 중력량을 늘려주어 맞춤형 클라이밍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클라이밍의 효과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 보면, 요즘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으로 각광받고 있는 `스포츠 클라이밍`은 산악 등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암벽 등반을 인공 시설물을 이용해서 즐기는 운동으로 전신 체지방 감량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스포츠 클라이밍 다이어트로 균형 잡힌 몸매를 만들수 있는데, 특히, 연예인들이 다이어트용 취미생활로 활용하면서 일반 대중들에게도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벽에 장시간 매달려 있는 스포츠 클라이밍은 팔, 다리 등의 큰 근육보다는 미세한 근육들을 더 많이 쓰기 때문에 잔잔하고 예쁜 근육을 만들어 균형 잡힌 바디라인을 만들기에 탁월하다.
또한, 달리기나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보다 칼로리 소모가 많아 체중감량에 효과적인데 그 만큼 체력 소모가 많은 운동으로 단기간 체중감량을 위해 무리하게 하는 것 보다는 근력을 키우며 함께 살을 뺄 수 있도록 3개월 이상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클라이밍의 장점 중에 하니인 `즐겁다` 라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헬스 같은 운동은 3개월을 지속적으로 하려면 솔직히 지겨운게 사실이다. 물론 스포츠 클라이밍도 엄연히 혼자하는 운동이다. 하지만, 혼자만의 운동이지만 절대 혼자가 아니다.
비슷한 수준의 회원들이나 강습생끼리 서로 동일한 문제를 내고 또는 풀면서 함께 즐기게 되어 스포츠 클라이밍을 즐거운 운동으로 그리고 함께하는 운동으로 만들어 준다.
다시, 스포츠 클라이밍의 운동 효과로 돌아와서 스포츠 클라이밍은 전신 운동이다. 손끝에서 발끝까지 전신을 모두 사용할 뿐만 아니라 평소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섬세한 잔근육들까지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신체가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들의 경우에는 몸의 유연성과 밸런스를 조절하여 몸의 탄력성과 균형을 잡아주는 것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와 같은 운동효과 때문에 클라이밍운동을 하려는 수요가 계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도 5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수준별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가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는 이용자의 수준에 따라서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가변벽체들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클라이이밍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준이 모두 같을 수는 없으므로 수준별 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를 이용하여 클라이밍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벽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상기 가변벽체를 제거하여 다른 코스의 가변벽체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9, 도 10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프레임내부사시도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9)은 바람생성수단(13)과 물분사수단(14)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생성수단(13)은 상기 프레임(19)의 스틸바에 부착되는데 이용자자 이용할 시에 바람을 생성하고 이용자를 향하게 바람을 불어주어 실제로 야외에서 등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준다.
상기 물분사수단(14)은 상기 프레임(19)의 스틸바에 부착되는데 이용자가 이용할 시에 물을 이용자를 향하여 분사시켜서 야외에서 등반시 비가 오는 상황의 연출이 가능하다.
상기 바람생성수단(13)과 상기 물분사수단(14)을 동시에 사용시 비바람이 부는 야외 암벽등반의 효과를 낼 수가 있고 실제로 야외에서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할 경우에 대비한 훈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2 본 발명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의 영상출력수단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실(22)의 상기 바닥면(20)과 상기 벽면과 상기 천장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수단(18)을 상기 클라이밍실 천장면에 설치한 모습이다.
상기 영상출력수단(18)을 이용하여 암벽, 히말라야, 창공 등의 다양한 야외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이용자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람생성수단(13)과 상기 물분사수단(14)과 상기 영상출력수단(18)을 동시에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보다 생생한 현장감을 제공하는 4D의 체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 클라임홀드
12 : 벨트
13 : 바람생성수단
14 : 물분사수단
15 : 중력량조절수단
16 : 수평도르래
17 : 수직도르래
18 : 영상출력수단
19 : 프레임
20 : 바닥면
22 : 클라이밍실
23 : 캐리어
24 : 와이어
25 : 벨트회전수단
26 : 기울기조절수단

Claims (8)

  1. 벽면에 설치된 클라임홀드를 이용하여 클라이밍운동을 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임홀드가 부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고 기둥과 기둥을 연결해주는 스틸바와 상기 기둥 위에 놓이는 천장이 있으며 뼈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위에 설치되고 고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는 벽면과 천장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의 클라이밍실;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이용자를 끌어당겨 주는 와이어가 감겨 있는 수평도르래; 및
    상기 수평도르래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도르래에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 당기는 모터가 내재된 상기 프레임의 스틸바에 부착되는 중력량조절수단;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천장에 부착되고 상기 천장의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연결되고 모터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 있는 와이어를 끌어올려 주는 수직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클라임홀드가 부착되어 있는 벨트를 회전 시켜주는 벨트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이용자의 수준별로 설계된 코스가 형성된 가변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실은
    상기 바닥면, 상기 벽면, 상기 천장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KR1020140083784A 2014-07-04 2014-07-04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Active KR10157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84A KR101572256B1 (ko) 2014-07-04 2014-07-04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84A KR101572256B1 (ko) 2014-07-04 2014-07-04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256B1 true KR101572256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84A Active KR101572256B1 (ko) 2014-07-04 2014-07-04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92A1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생분해성 고분자의 다공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CN109876407A (zh) * 2019-03-21 2019-06-14 中国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人工重力健身舱
KR102181033B1 (ko) 2020-03-31 2020-11-20 주식회사 휴메딕스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1954B1 (ko) * 2020-04-23 2021-09-15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등반각도와 등반속도 가변형 실내 암벽등반 시뮬레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8313A (ja) 2005-04-19 2008-10-23 リムペ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ビレイ装置
EP2055356B1 (en) 2007-10-29 2011-08-03 Artemesa S.R.L. A device for a rock climbing wall and a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8313A (ja) 2005-04-19 2008-10-23 リムペ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ビレイ装置
EP2055356B1 (en) 2007-10-29 2011-08-03 Artemesa S.R.L. A device for a rock climbing wall and a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92A1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생분해성 고분자의 다공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CN109876407A (zh) * 2019-03-21 2019-06-14 中国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人工重力健身舱
KR102181033B1 (ko) 2020-03-31 2020-11-20 주식회사 휴메딕스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1954B1 (ko) * 2020-04-23 2021-09-15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등반각도와 등반속도 가변형 실내 암벽등반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256B1 (ko) 수평방향으로 등반하는 실내클라이밍장치
US7563206B1 (en) Swimming exercising device
JP7153389B2 (ja) ネット遊具
KR20090003244U (ko) 벨트의 회전을 이용한 가변식 암벽등반 운동기기
KR100972125B1 (ko)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101220340B1 (ko) 헬스용 인공암벽
JP6688493B1 (ja) 立体内壁遊具
US5348293A (en) Tethered tennis game
JP2020178796A (ja) ラインスポーツ用支持台座
KR100963100B1 (ko) 물놀이용 구형 공기튜브
CN106178480A (zh) 一种娱乐健身装置
KR20140033835A (ko) 실내용 평행봉 거치 기구
KR200357174Y1 (ko) 이동식 실내 골프 연습장
CN103007521B (zh) 一种健身球类运动地排球的球场器材
US20110201435A1 (en) Apparatus for a playground bouldering slide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20150049032A (ko) 코트가 내장된 봉
JP2020171651A (ja) 遊具複合体
JP3137822U (ja) 柱とワイヤーロープを使い梯形網目の網をピラミッド風に固定した保健用遊具。
CN217246608U (zh) 一种可调节攀岩练习架
JP5825567B1 (ja) 立体滑り台
KR102832108B1 (ko) 복합 전망타워
CN207506908U (zh) 一种带有凹形爬网的攀爬桥
KR200195177Y1 (ko) 권투 연습용 기구
CN207462534U (zh) 一种游玩攀爬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