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63B1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2163B1 KR101572163B1 KR1020140070783A KR20140070783A KR101572163B1 KR 101572163 B1 KR101572163 B1 KR 101572163B1 KR 1020140070783 A KR1020140070783 A KR 1020140070783A KR 20140070783 A KR20140070783 A KR 20140070783A KR 101572163 B1 KR101572163 B1 KR 101572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input
- terminals
- output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설비와 보호 계전기 사이에서 전선을 접속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가 체결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는 각각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 및 입력 단자 상에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입력 단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입력 접속점들을 포함하며, 각 입력 단자의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입력 단자마다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현장설비와 보호 계전기 사이에서 전선을 접속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설치되어있는 기존의 단자대에는 현장 설비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접속점과 보호 계전기로 출력되는 출력 접속점이 상 별로 각각 하나의 단자씩 구비된다. 이러한 기본 단자대는 압착단자를 취부한 CT(Current Transformer)용 전선을 각 단자에 접속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여기서, 입력 접속점과 출력 접속점 사이에 CT 단락을 위한 공통 단자가 취부된다.
여기서, CT용 전선을 접속하는 방식은 단자대 양쪽에 CT단자를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CT 회로에는 기기 운전 중 부하전류가 1/5로 변류된 전류가 흐른다.
반면, 이러한 단자대에 대한 제 1 문제점은 단자 접속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CT 회로에 대한 점검을 위해 압착단자를 취부한 전선을 단자대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시, 접속 볼트의 파손 또는 불완전 접속에 의해, 단자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소선이 과열 또는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단자대에 대한 제 2 문제점은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잘못된 상으로 즉, 상을 바꾸어 오결선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A상 단자에 B상 또는 C상을 오결선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보호 계전기용 CT 단자대에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면, 보호 계전기 오동작으로 인해 변전소에서 주 변압기가 정지되어, 광역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CT 단자대는 일반 단자대와 달리 단자 접속불량 또는 오결선이 발생하면, 보호계 전기 동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변전설비 보호회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관련하여, 발명의 명칭이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접속장치"인 한국등록특허 제1099984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CT 단자의 접속 불량 및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가 체결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는 각각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 및 입력 단자 상에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입력 단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입력 접속점들을 포함하며, 각 입력 단자의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입력 단자마다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단자들은 각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는 CT(Current Transformer) 단자대이고, 입력 단자는 현장 설비에 연결되며, 출력 단자는 보호 계전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들은 각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자는 2개 이상의 출력 접속점들을 포함하고, 각 출력 단자의 출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출력 단자마다 상호 다를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는 볼트를 포함하고, 입력 접속점들은 체결 부재를 통한 체결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는 단자로의 입력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존재하고, 복수의 압착 단자들 각각에는 체결 부재를 통한 체결 시 체결되어야 할 복수의 단자들의 입력 접속점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압착 단자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 중 하나의 입력 단자에만 전용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들은, 복수의 단자들 각각에 포함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형성된 공통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따르면 입력 접속점과 출력 접속점이 복수개로 형성되므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이들 접속점 중 한 곳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접촉점에 의해 회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내부 단자들에 포함된 단자점들이 상호 다른 간격으로 이루어지므로, 일 위치의 내부 단자에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전선 압착 단자를 접속하려 할 때 볼트 구멍 위치가 맞지 않아 접속이 불가능하여 오결선이 회피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서 체결 부재가 체결된 내부 단자의 예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서 체결 부재가 체결된 내부 단자의 예시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는 내부 단자(30 내지 80)와 공통 단자(91 내지 9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는 CT(Current Transformer) 단자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는 복수의 내부 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예시에서 내부 단자들의 개수는 6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다른 개수의 내부 단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단자(30 내지 80)에는 입력 단자(31, 41, 51, 61, 71, 81)와 출력 단자(32, 42, 52, 62, 72, 8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단자(31, 41, 51, 61, 71, 81)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현장 설비 즉, 주 변압기, GIS 등과 같은 현장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변류기 2차 회로와 연결된다. 또한, 출력 단자(32, 42, 52, 62, 72, 82)는 보호 배전반의 보호 계전기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단자(31, 41, 51, 61, 71, 81)는 2개의 입력 접속점들을 포함하고, 출력 단자(32, 42, 52, 62, 72, 82)는 2개의 출력 접속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입력 접속점들과 출력 접속점들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2개로 도시되었으나, 이들의 개수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접속점들과 출력 접속점들 각각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한 곳의 볼트가 접촉 불량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접촉점에 의해 회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접속점들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 내부 단자가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되므로, 입력 단자(31)에 입력 단자(41)에 대응하는 압착 단자(12a)를 접속 시, 볼트의 구멍 위치가 맞지 않아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이를 통하여 오결선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단자(30)에 포함된 입력 단자(31)와 출력 단자(32)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입력 단자(31)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입력 접속점들의 간격과 출력 단자(32)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출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력 단자(31)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압착 단자는 출력 단자(32)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각 내부 단자(30, 40, 50, 60, 70, 80)마다 상이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출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각 내부 단자(30, 40, 50, 60, 70, 80)마다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단자(30, 40, 50, 60, 70, 80)에 포함된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오결선에 의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A 상에 해당하는 전선용 압착 단자(11a)를 B 상 부분의 입력 단자(12)에 접속하려 하더라도, 이들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지 않아 접속이 불가능하다. 또한, 작업자는 이들의 형태가 대응하지 않음을 바로 알 수 있으므로, 오결선에 대한 상황이 회피될 수 있다.
공통 단자(91, 92, 93, 94, 95, 96)는 입력 접속점과 출력 접속점 사이에서 CT 단락을 위해 사용된다. 공통 단자(91, 92, 93, 94, 95, 96)는 입력 단자(31, 41, 51, 61, 71, 81)와 출력 단자(32, 42, 52, 62, 72, 82) 사이에 위치된다. 즉, 공통 단자(91)는 입력 단자(31)와 출력 단자(32) 사이에, 공통 단자(92)는 입력 단자(41)와 출력 단자(42) 사이에, 공통 단자(93)는 입력 단자(51)와 출력 단자(52) 사이에, 공통 단자(94)는 입력 단자(61)와 출력 단자(62) 사이에, 공통 단자(95)는 입력 단자(71)와 출력 단자(72) 사이에, 공통 단자(96)는 입력 단자(81)와 출력 단자(82) 사이에 위치된다.
체결 부재는 입력 단자(31, 41, 51, 61, 71, 81)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작된 전선용 압착 단자를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 상에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볼트일 수 있다. 즉, 체결 부재가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에 기인하여, 입력 접속점, 출력 접속점 그리고 압착 단자에 형성된 관통 부분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의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면 가공이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작업자를 통한 체결 작업 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에, 이들에 대한 횡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에 관련하여, 출력 단자(132, 142, 152, 162, 172, 182)와 이에 대응하는 압착 단자(121b, 122b, 123b, 124b, 125b, 126b)를 제외하고 거의 유사하다. 즉,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100)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예시에 대한 것이고,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200)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비대칭 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실제 작업장에서는 상들의 구분을 위해 전선들을 다양한 색들로 구분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때,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부분에 대한 압착 단자들이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되면, 작업자는 자신이 현재 체결할 압착 단자가 입력 단자 부분에 대응되는 것인지 또는 출력 단자 부분에 대응되는 것인지에 대해 착각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200)에 포함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형태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면, 이들의 구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기에 작업자의 실수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200)에서 출력 단자는 입력 단자에 대칭될 필요 없이 설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서 체결 부재가 체결된 내부 단자의 예시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체결 부재(33)는 입력측 전선용 압착 단자를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체결 부재(34)는 출력측 전선용 압착 단자를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술한 것처럼, 입력 단자(31)와 출력 단자(32) 사이에 CT 단락을 위한 공통 단자(91)가 취부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단자(31)에 포함된 입력 접속점들과 출력 단자(32)에 포함된 출력 접속점들은 2개 이상 즉,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일 입력 접속점들 중 하나에서, 또는 출력 접속점들 중 하나에서 접속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접속점들을 통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과 출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므로, 입력측 전선용 압착 단자를 출력측 전선용 압착 단자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이러한 내부 단자(3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존재하고, 이들 내부 단자(31)에 포함된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므로, 작업자가 작업시 실수로 오결선을 수행할 우려 또한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12, 13, 14, 15, 16 : 입력 측 전선
11a, 12a, 13a, 14a, 15a, 16a : 전선용 압착 단자
21, 22, 23, 24, 25, 26 : 출력 측 전선
31, 41, 51, 61, 71, 81 : 입력 단자
32, 42, 52, 62, 72, 82 : 출력 단자
91, 92, 93, 94, 95, 96 : 공통 단자
100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11a, 12a, 13a, 14a, 15a, 16a : 전선용 압착 단자
21, 22, 23, 24, 25, 26 : 출력 측 전선
31, 41, 51, 61, 71, 81 : 입력 단자
32, 42, 52, 62, 72, 82 : 출력 단자
91, 92, 93, 94, 95, 96 : 공통 단자
100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Claims (8)
-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가 체결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로서,
각각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 및
입력 단자 상에 상기 전선이 연결된 압착 단자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입력 접속점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입력 단자의 입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입력 단자마다 상호 다르고, 각 입력 단자에 체결되는 압착 단자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각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는 CT(Current Transformer) 단자대이고, 입력 단자는 현장 설비에 연결되며, 출력 단자는 보호 계전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각각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2개 이상의 출력 접속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출력 단자의 출력 접속점들 간의 간격은 출력 단자마다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접속점들은 상기 체결 부재를 통한 체결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상기 단자로의 입력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존재하고,
복수의 압착 단자들 각각에는 체결 부재를 통한 체결 시 체결되어야 할 복수의 단자들의 입력 접속점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 중 하나의 입력 단자에만 전용으로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복수의 단자들 각각에 포함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형성된 공통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0783A KR101572163B1 (ko) | 2014-06-11 | 2014-06-11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0783A KR101572163B1 (ko) | 2014-06-11 | 2014-06-11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2163B1 true KR101572163B1 (ko) | 2015-11-26 |
Family
ID=5484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0783A KR101572163B1 (ko) | 2014-06-11 | 2014-06-11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21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205B1 (ko) | 2019-02-08 | 2019-09-11 | (주)제이알씨엠 | 공동주택 배전용 단자 접속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5092A (ja) * | 2000-05-31 | 2001-12-14 | Yazaki Corp | バッテリ用ターミナルの接続構造 |
KR200373924Y1 (ko) * | 2004-10-27 | 2005-01-26 | 박세환 | 단락 회로부 터미널 단자대 |
-
2014
- 2014-06-11 KR KR1020140070783A patent/KR101572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5092A (ja) * | 2000-05-31 | 2001-12-14 | Yazaki Corp | バッテリ用ターミナルの接続構造 |
KR200373924Y1 (ko) * | 2004-10-27 | 2005-01-26 | 박세환 | 단락 회로부 터미널 단자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205B1 (ko) | 2019-02-08 | 2019-09-11 | (주)제이알씨엠 | 공동주택 배전용 단자 접속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0445B2 (ja) |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 |
CN103229360A (zh) | 具有集成断路件的用于电涌保护的接线板 | |
US10361497B2 (en) | Electric terminal block | |
US9437986B2 (en) | Shockless plug and socket assembly for safe interconnection of live circuits | |
CN102570317A (zh) | 插接系统 | |
US9875830B1 (en) | Modular, exchangeable surge protection system | |
US20140085835A1 (en) | DC Link Capacitor Bank | |
KR101572163B1 (ko) | 오결선 방지용 단자 접속 장치 | |
EP2940702A1 (de) | Differenzstrom-messmodul | |
US20150280414A1 (en) | Wiring apparatus | |
EP3192092B1 (en) | Overvoltage protection in modular design | |
KR102319044B1 (ko) |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 |
JP7274865B2 (ja) | 電子デバイスとサージハンドリング | |
JP2010044931A (ja) | 電気機器間の接続構造 | |
EP2991177B1 (de) | Überspannungsschutzeinrichtung | |
DE102012016133A1 (de) | Elektrisches Verbindungssystem insbesondere für Schaltschränke | |
RU2668564C1 (ru) | Штеке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 |
EP3176947B1 (en) | Noise filter circuit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783694B1 (ko) | 서지 보호장치 | |
EP3148014B1 (en) | Power connector assemblies | |
KR101345260B1 (ko) | 전선의 접속 단자 | |
JP5809586B2 (ja) | ケーブル芯線接続チェック用簡易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アダプタケーブル | |
KR101121420B1 (ko) | 단선 및 오결선 방지 기능을 갖는 ct 단자대 | |
KR20130027308A (ko) | 브이엘에프 피디 및 티디 진단용 케이블 플러그 | |
JP2005354755A (ja) | 配電変圧器用常時非接地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