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931B1 -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931B1
KR101571931B1 KR1020130116976A KR20130116976A KR101571931B1 KR 101571931 B1 KR101571931 B1 KR 101571931B1 KR 1020130116976 A KR1020130116976 A KR 1020130116976A KR 20130116976 A KR20130116976 A KR 20130116976A KR 101571931 B1 KR101571931 B1 KR 10157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rightness
unit
frequency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417A (ko
Inventor
김송영
윤호열
이찬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남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남북이엔지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밝기와 주파수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주파수로 구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발생부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밝기로 구동시키기 위한 밝기 설정부와, 시험대상인 화염감지장치를 이용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의 측정값을 상기 발광부에 설정된 밝기와 주파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상기 화염감지장치나 그에 연결된 광케이블의 감도와 노후화 정도 판별 및 잔여수명 추정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별된 감도,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SIMULATOR FOR FLAME SCANNER}
본 발명은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 내부의 실제 화염 상태를 가상으로 재현시켜 화염 감지 장치의 건전성 및 화염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달해 주는 광케이블 시스템의 열화도를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등의 노내에는 연소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실에는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연소실의 일측에는 화염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염감지장치의 감지에 따라 연소의 중단 및 화염의 크기를 판단하여 제어수단에서 연료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화염감지장치 자체가 노후화되어 정확한 화염정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화염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달하는 광케이블 시스템이 열화되어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지 못할 경우, 상기 보일러의 연소제어나 연료공급제어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화염감지장치 및 그에 연결되는 광케이블 시스템이 정상상태에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상기 화염감지장치 및 그에 연결되는 광케이블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6167호(2012.06.07.등록, 가스터빈에 사용되는 화염 감지 센서 및 그 센서를 이용한 화염 감지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보일러 내부의 실제 화염 상태를 가상으로 재현시켜 화염 감지 장치의 건전성을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염감지장치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달해 주는 광케이블 시스템의 열화도를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밝기와 주파수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주파수로 구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발생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밝기로 구동시키기 위한 밝기 설정부; 시험대상인 화염감지장치를 이용해 측정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의 측정값을 상기 발광부에 설정된 밝기와 주파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상기 화염감지장치나 그에 연결된 광케이블의 감도와 노후화 정도 판별 및 잔여수명 추정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별된 감도,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를 측정하는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을 입력받는 센서출력값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의 밝기와 주파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상기 발광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 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광케이블 어세이와 연결되어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를 통해 전송되는 광 정보를 입력받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파장으로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광원이 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블루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 광케이블의 출력값, 상기 발광부의 주파수 및 밝기 설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발생부와 상기 밝기 설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에 상기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염 감지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보일러 내부의 실제 화염 상태를 가상으로 재현시켜 화염 감지 장치의 건전성을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수치로 계량이 가능하고, 경량화를 통해 휴대가 가능하며, 현장에서의 직접 확인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어세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할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 광케이블을 비교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어세이를 시험하기 위한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 광케이블의 시험 결과를 비교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신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불량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도 8은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품 광케이블의 감도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정상 운전시 내부 화염 상태를 감시하는 화염감지장치의 감지 실패 및 감도 저하발생, 각종 정비시 화염감지장치의 성능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일러 설비 신뢰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발광부(110), 주파수 발생부(120), 밝기 설정부(130), 전원부(140), 입력부(150), 제어부(160), 센서출력값 입력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수광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110)는 보일러(미도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밝기(Intensity)와 주파수(Frequency)를 모사하여 발광한다.
상기 발광부(110)는 여러 종류의 광원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예 : Blue LED)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광부(110)는 보일러 내부에 실제 화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보일러 내부와 동일한 밝기와 주파수를 갖는 화염요소를 발생하여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의 감도 및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110)에서 발광하는 광원(예 : Blue LED)의 파장은 440nm 이며, 실제 화염의 내염부분 파장은 430nm 정도로서, 상기 발광부(110)에서 발생한 광원의 파장과 실제 화염의 파장은 유사한 파장을 발생한다.
상기 주파수 발생부(120)는 상기 발광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광원의 발광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상기 밝기 설정부(130)는 상기 발광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광원의 밝기를 제어한다. 상기 광원의 밝기는 전류나 전압의 크기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외부의 교류 전원(AC 전원)이나 배터리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 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입력부(150)는 상기 발광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원하는 밝기와 주파수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또는 전압)를 상기 발광부(110)에 인가함으로써 실제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동일한 밝기와 주파수를 갖는 빛을 발광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발광부(110)에 상기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발생부(120)와 상기 밝기 설정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 출력값과 상기 발광부(110)의 설정값(즉, 발광부에서 실제로 발광된 광원의 밝기 및 주파수)을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감도 및 노후화 정도를 판별하고 또한 잔여수명을 추정한다. 상기 판별된 감도,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는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 출력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센서(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센싱 값을 입력받는다. 즉,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는 시험하고자 하는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 출력신호(약 0~2mA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 출력값, 광케이블의 출력값, 상기 발광부(110)의 주파수 및 밝기 설정값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수광부(190)는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광케이블 어세이(Ass'y)(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를 통해 전송되는 광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수광부(190)의 수광 센서(예 : Photo Diode)를 통해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광케이블 어세이(Ass'y)를 연결하면 보일러 내부의 화염 밝기를 현장에서 확인 가능하며, 또한 광케이블 어세이(미도시)의 노후화 정도를 현장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장(즉, 화염감지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즉시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 출력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또는 감시센터)에서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미도시) 출력 값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화염감지장치를 시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측정을 원하는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 입력부(미도시)에 상기 발광부(1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센서(즉, 화염감지센서) 측정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센서 출력부(미도시)를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즉, 화염감지센서)는 상기 발광부(110)에서 발광된 광원의 파장을 검출하여 0~2mA의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출력값(즉, 0~2mA의 아날로그 신호)은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받은 값(즉,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과 상기 발광부(110)의 설정값(즉, 상기 발광부에서 실제로 발광된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을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상기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감도 및 노후화 정도를 판별하고 또한 잔여수명을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별된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감도,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을 표시 가능한 포맷(예 : 숫자, 문자 등)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이하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어세이를 시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는 렌즈(Lens)와 광케이블(Fiber Optic Cabl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를 시험하기 위하여, 보일러(미도시)에 직접 연결된 광케이블 어세이(미도시)를 상기 수광부(190)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190)에 부착된 수광 소자(예 : Photo Diode)에 의해 현재 보일러(미도시) 내부의 화염의 밝기 및 주파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일러 내부의 화면의 밝기 및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미도시)를 상기 보일러에서 분리하여 그 입력부분을 상기 발광부(110)에 연결하고,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미도시)의 출력부분을 상기 수광부(190)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190)에 부착된 수광 센서(예 : Photo Diode)를 이용해 상기 광케이블의 열화 및 광 전달능력 등을 시험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광부(190)로부터 입력받은 값(즉,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과 상기 발광부(110)의 설정값(즉, 상기 발광부에서 실제로 발광된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을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광케이블의 노후화 정도를 판별하고 또한 잔여수명을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별된 광케이블의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을 표시 가능한 포맷(예 : 숫자, 문자 등)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의 구체적인 비교실험 결과를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어세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외부형상 어세이는, 상기 발광부(110)에 해당하는 광원 발광부(⑨), 상기 전원부(140)에 해당하는 AC 전원 입력단자(110Vac ~ 220Vac)(①), 배터리 충전단자(②), 상기 입력부(150)에 해당하는 전원 스위치(③), 시험항목선택 스위치(④), 및 주파수/밝기 설정 스위치(⑧),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해당하는 센서출력 및 광케이블 출력 디스플레이부(⑥), 주파수/밝기 설정 디스플레이부(⑦), 상기 센서출력값 입력부(170)에 해당하는 센서출력값 입력부(⑤), 상기 수광부(190)에 해당하는 광케이블 수광부(⑩)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원 발광부(⑨) 및 광케이블 수광부(⑩)에 광케이블 어세이(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할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 광케이블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의 (a)는 신품 광케이블로서 내부 광케이블 코어 부분이 균일한 밀도 형상을 보이고, 도 3의 (b)는 불량품 광케이블로서 내부 광케이블 코어 부분이 불균일한 밀도 형상을 보인다.
상기와 같이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품 광케이블은 육안으로 비교할 경우에도 그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어세이를 시험하기 위한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의 입력부분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발광부(110)에 연결하고,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의 출력부분(즉, 센서출력값을 출력하는 부분)을 상기 수광부(190)에 연결한다.
그리고 시험을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광부(190)로부터 입력받은 값(즉,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과 상기 발광부(110)의 설정값(즉, 상기 발광부에서 실제로 발광된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을 비교하고, 그 차이 정도에 의해 광케이블의 노후화 정도 및 잔여수명을 추정하여 표시 가능한 포맷(예 : 숫자, 문자 등)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 광케이블의 시험 결과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5의 (a)는 신품 광케이블의 테스트 결과 화면으로서 100% 감도가 표시됨을 알 수 있으며, 도 5의 (b)는 불량품 광케이블의 테스트 결과 화면으로서 73% 감도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발광부(110)에 광케이블 어세이의 일단에 렌즈부위를 연결하고,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의 타단에 센서를 연결한 후, 상기 센서의 출력 단자를 상기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센서출력값 입력부(170)에 연결하여 밝기 레벨(Level 1 ~ Level 10) 및 주파수(0Hz ~ 90Hz)를 조정하면서 감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시험 결과 신품 광케이블은 8단계 60Hz 시 100% 감도를 확인하였으나, 불량 광케이블은 8단계 60Hz 시 73%의 감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품 광케이블을 각기 다른 주파수 및 다른 밝기 레벨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도 6 내지 도 8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신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불량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8은 신품 광케이블과 불량품 광케이블의 감도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는 밝기 레벨과 주파수의 변화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60% 이상 100%의 감도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품 광케이블을 시험한 결과는 밝기 레벨과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70% 정도 이하의 감도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품 광케이블(Fiber Cable)과 불량 광케이블의 감도를 비교한 결과, 최저 밝기(Intensity Level 1)에서 두 광케이블의 감도 차이가 가장 많이(최대 53%) 발생하였으며, 최고 밝기(Intensity Level 10)로 갈수록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광케이블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일러의 노내 화염감지 시 저부하 혹은 노내 불안정으로 화염감도가 저하되었을 시 화염감지실패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의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이용하여 화염감지장치(미도시)의 광케이블 노후화 및 센서 감도 등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시험하면서 그 이력을 관리한다면 저부하시(Load Runback) 화염 상실에 의한 발전소의 발전정지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기존의 후레쉬를 이용한 수동식 테스트 방법에 비해 정밀한 수치로 시험이 가능하여 기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주요 화염감지요소인 밝기(Intensity) 및 주파수(Frequency) 조절로 정확한 감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시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또는 감시센터) 내부 장치에서 출력값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즉시 출력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화염감지장치의 센서 및 광케이블의 노후화 정도 및 수명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신규 화염감지장치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배터리 전압에 의해서 동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발광부 120 : 주파수 발생부
130 : 밝기 설정부 140 : 전원부
150 : 입력부 160 : 제어부
170 : 센서출력값 입력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수광부

Claims (9)

  1.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밝기와 주파수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주파수로 구동시키기 위한 주파수 발생부;
    상기 발광부를 지정된 밝기로 구동시키기 위한 밝기 설정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를 측정하는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을 입력받는 센서출력값 입력부;
    시험대상인 상기 화염감지장치를 이용해 측정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밝기와 주파수의 측정값을 상기 발광부에 설정된 밝기와 주파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에 의해 상기 화염감지장치나 그에 연결된 광케이블의 감도와 노후화 정도 판별 및 잔여수명 추정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별된 감도, 노후화 정도 및 상기 추정된 잔여수명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센서출력값, 광케이블의 출력값, 상기 발광부의 주파수 및 밝기 설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숫자 또는 문자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밝기와 주파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상기 발광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의 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 내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감지장치의 광케이블 어세이와 연결되어 상기 광케이블 어세이를 통해 전송되는 광 정보를 입력받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파장으로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광원이 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블루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발생부와 상기 밝기 설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에 상기 밝기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30116976A 2013-09-30 2013-09-30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7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976A KR101571931B1 (ko) 2013-09-30 2013-09-30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976A KR101571931B1 (ko) 2013-09-30 2013-09-30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17A KR20150037417A (ko) 2015-04-08
KR101571931B1 true KR101571931B1 (ko) 2015-11-25

Family

ID=5303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976A KR101571931B1 (ko) 2013-09-30 2013-09-30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403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33Y1 (ko) * 2015-06-11 2015-12-22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403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KR20230124517A (ko) * 2021-08-25 2023-08-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KR102571239B1 (ko) 2021-08-25 2023-08-2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KR102577198B1 (ko) 2021-08-25 2023-09-12 한국남부발전(주)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17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9255B (zh) 基于发动机运行状态下的点火测试方法
CN103596346A (zh) Led灯具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KR101571931B1 (ko) 화염감지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US7782450B2 (en) Testing system and testing method for keyboard light of mobile phone
KR102554814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시험 시스템 및 휴대용 시험장치
US9157813B2 (en) Device for outputting temperature information
JP2016143663A (ja) 故障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CN110736950A (zh) 电池管理系统在线测试系统及方法
KR20030072150A (ko) 고전압 전원공급기의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JP2019529873A (ja) 状況表示が一体化された照明付き目盛盤
CN110221208B (zh) 基于发动机测试台架的发电机性能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200481203Y1 (ko) 보일러 화염 감시시스템
KR101817297B1 (ko) 센서와 제어기 일체형 화염 검출기
KR200463475Y1 (ko) 화력발전소의 화염감지카드 시험장치
EP2592400B1 (en) Analysing light sources
KR200479133Y1 (ko)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KR102431160B1 (ko) 조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307562Y1 (ko) 발전소 가스누설경보장치카드 진단장치
CN203809192U (zh) 基于发动机运行状态下的点火测试系统
KR101837061B1 (ko) 적분구 시스템 및 피코 암페어 미터의 신뢰성 평가장치
KR200318683Y1 (ko) 램프 점등 검사 장치
KR20040037610A (ko) 로컬디바이스를 이용한 적산전력량계 테스트장치
US117034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component integrity in an engine
JP2008139037A (ja) Ccdイメージセンサでの輝度・色度測定装置及び光学フィルタ
CN116858374A (zh) 一种光学探头的校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