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795B1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795B1
KR101569795B1 KR1020140058158A KR20140058158A KR101569795B1 KR 101569795 B1 KR101569795 B1 KR 101569795B1 KR 1020140058158 A KR1020140058158 A KR 1020140058158A KR 20140058158 A KR20140058158 A KR 20140058158A KR 101569795 B1 KR101569795 B1 KR 10156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work
drying
glove
ou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구
Original Assignee
신성메이저글러브(주)
(주)케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메이저글러브(주), (주)케니마 filed Critical 신성메이저글러브(주)
Priority to KR102014005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습식 건조로 이루어지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을 폴리우레탄에 디핑한 후 열풍 건조하는 건식 건조로 전환함으로써 강한 표면을 지니며 내마모성과 내용제성이 우수한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은 내피를 편직하는 제 1단계; 외피를 편직하는 제 2단계; 상기 외피에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내피와 외피를 겹쳐 장갑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조한 장갑을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핑하는 제 5단계;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하는 제 6단계; 상기 장갑을 예비건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장갑을 본건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장갑을 추가건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은 건식 건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물 절약, 오폐수 최소화,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내외피를 접착하고 디핑하는 단계를 디핑과 동시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공정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은 동사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 날개사를 이용한 보온, 점도 조절 및 건식 가공을 통한 내마모성 향상, 건식 가공으로 인한 내용제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Manufacturing method of gloves for work and gloves for work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습식 건조로 이루어지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을 폴리우레탄에 디핑한 후 열풍 건조하는 건식 건조로 전환함으로써 강한 표면을 지니며 내마모성과 내용제성이 우수한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업용 장갑은 농촌, 일반 가정, 각종 건설현장 및 공장 등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용 장갑 제조 시 습식 건조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에 디핑하여 물에 담근 후 응고하여 건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건조 방법은 물의 과다한 사용 및 오폐수가 많이 발생하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외피 접착, 디핑 과정을 분리하여 시행함으로써 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습식공정으로 장갑을 제조할 경우 물과 반응하여 응고 시 표면의 작은 셀들이 형성되어 용제가 침투하기 쉬워 내용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961111 호 대전방지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장갑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습식가공으로 이루어졌던 작업용 장갑의 제조를 건식가공으로 전환함으로써 폴리우레탄의 높은 점도로 인한 표면코팅층에 기포가 생기는 불량 문제를 해결하며, 높은 점도의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장갑 제조 단계에서 세척과정 및 접착과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습식가공에서 발생했던 내용제성의 저하를 건식가공으로 바꿈으로써 장갑의 표면을 강하게 하여 용제에 잘 견디는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장갑의 내용제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은 내피를 편직하는 제 1단계; 외피를 편직하는 제 2단계; 상기 외피에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내피와 외피를 겹쳐 장갑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조한 장갑을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핑하는 제 5단계;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하는 제 6단계; 상기 장갑을 예비건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장갑을 본건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장갑을 추가건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은 건식 건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물 절약, 오폐수 최소화,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내외피를 접착하고 디핑하는 단계를 디핑과 동시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공정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은 동사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 날개사를 이용한 보온, 점도 조절 및 건식 가공을 통한 내마모성 향상, 건식 가공으로 인한 내용제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장갑은 손등과 손바닥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손의 형태로 직조되어 농촌, 일반 가정, 각종 건설현장 및 공장 등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장갑이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내마모성과 내용제성이 뛰어난 장갑을 제조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내피를 편직한다. 구체적으로, 내피는 날개사를 이용하여 편직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되는 날개사는 작업용 장갑에 보온성을 부여한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외피를 편직한다. 구체적으로, 외피는 폴리에스터사와 동도전사를 합사 또는 연사한 것을 이용하여 편직을 수행한다. 폴리에스터사는 강도가 강한 특성이 있다. 동도전사는 구리 도전사로 정전기 방지의 효과가 있다. 상기 작업용 장갑에 사용되는 외피는 이러한 폴리에스터사와 동도전사를 합사 또는 연사하여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외피에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에 PVC를 이용하여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한다. 도트스크린 전사는 유제가 가림막이 되어 PVC 졸 용액에 디핑 시 PVC 졸 용액이 과도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사에 사용되는 천은 90 내지 120 메쉬를 사용한다. 메쉬는 1인치 내의 홀의 수를 나타내며, 상기 천이 90메쉬 미만일 경우 PVC 졸 용액이 과도하게 침투되어 장갑의 표면층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120메쉬를 초과할 경우 PVC 졸 용액이 침투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내피와 외피를 겹쳐 장갑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피와 전사를 실시한 외피를 겹쳐 장갑의 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장갑의 제조에 사용되는 내피는 공정수분율이 20 내지 2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수분율은 섬유가 표준 온도와 습도에서 흡수하는 수분량으로 높을수록 상온에서 용액을 조금 더 빨리, 많이 흡수한다. 내피의 공정수분율이 20%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 용액에 디핑 시 과도한 침투가 일어나 내피가 너무 딱딱해지며, 25%를 초과할 경우 내외피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피의 공정수분율은 30 내지 4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의 공정수분율이 30%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 용액의 과도한 침투로 인하여 표면코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방수에 문제가 있으며, 40%를 초과할 경우 폴리우레탄 용액의 침투가 어려워 내외피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상기 제조한 장갑을 몰드에 장착한 후 폴리우레탄 용액에 디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갑형태로 제조한 겹쳐진 내외피를 폴리우레탄 용액에 디핑할 경우 코팅과 부착이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용액은 기본적으로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을 용제로 하며 상기 용액은 아세톤(Acetone)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변경가능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의 점도는 4500 내지 7500cps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용액의 점도가 4500cps미만일 경우 표면코팅층의 형성이 어렵고 구멍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7500cps를 초과할 경우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핑한 장갑을 하방으로 세워 과도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거한 후, 다시 상방으로 세워 표면을 평활화 한다.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하는 단계에서 습도와 온도의 유지가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습도는 상대습도 20 내지 40%, 온도는 30 내지 6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습도가 20%미만일 경우 표면건조가 과도하게 빨라 표면 평활성에 불량이 생기며, 40%를 초과할 경우 응고가 되어 덩어리져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 평활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온도가 30℃미만일 경우 응고가 되어 덩어리져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 평활성에 불량이 생기며, 60℃를 초과할 경우 표면건조가 과도하게 빨라져 표면 평활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에서는 상기 장갑을 예비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평활화를 마친 장갑을 80℃에서 건조한다. 예비건조의 온도는 80℃로 이는 용제로 사용된 메틸에틸케톤이 기화하는 온도로 본건조에 앞서 증발을 준비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다음으로, 제 8단계(S80)에서는 상기 장갑을 본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건조를 마친 장갑을 100℃에서 건조한다. 본건조의 온도는 100℃로, 본건조를 통하여 용제가 증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9단계(S90)에서는 상기 장갑을 추가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건조를 마친 장갑을 120℃에서 추가로 건조한다. 추가건조 온도는 120℃로, 추가건조를 통하여 장갑내에 잔류되어 있는 용제의 증발을 완료한다.
상기 제 7단계(S70), 제 8단계(S80), 제 9단계(S90)에서 건조 시 온도가 80℃미만일 경우 용제의 증발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120℃를 초과할 경우 장갑 섬유에 손상이 생기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S10. 내피를 편직하는 제 1단계
S20. 외피를 편직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외피에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내피와 외피를 겹쳐 장갑을 제조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제조한 장갑을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핑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장갑을 예비건조하는 제 7단계
S80. 상기 장갑을 본건조하는 제 8단계
S90. 상기 장갑을 추가건조하는 제 9단계

Claims (8)

  1. 내피를 편직하는 제 1단계;
    외피를 편직하는 제 2단계;
    상기 외피에 도트스크린 전사를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내피와 외피를 겹쳐 장갑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제조한 장갑을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핑하는 제 5단계;
    상기 디핑한 장갑의 표면을 평활화하는 제 6단계;
    상기 장갑을 예비건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장갑을 본건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장갑을 추가건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에스터사와 동도전사를 합사 또는 연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의 도트스크린 전사는 유제를 가림막으로 하며, 스크린의 메쉬는 90 내지 120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내피의 공정수분율은 20 내지 25%, 외피의 공정수분율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폴리우레탄의 점도는 4500 내지 75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표면평활화 작업 시 상대습도 20~40%, 온도 30 내지 60℃ 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건조에서의 온도는 80 내지 12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8. 작업용 장갑에 있어서,
    건식가공을 바탕으로 공정수분율은 20 내지 25%의 날개사를 내피로, 폴리에스터사와 동도전사를 합사 또는 연사한 공정수분율 30 내지 40%의 실을 이용하여 외피를 편직하되, 상기 내피와 외피를 4500 내지 7500cps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디핑하여 코팅 및 접착 후 상대습도 20~40%, 온도 30 내지 60℃의 조건에서 표면평활화, 80 내지 120℃의 조건에서 건조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KR1020140058158A 2014-05-15 2014-05-15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KR10156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58A KR101569795B1 (ko) 2014-05-15 2014-05-15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58A KR101569795B1 (ko) 2014-05-15 2014-05-15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795B1 true KR101569795B1 (ko) 2015-11-17

Family

ID=5478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158A KR101569795B1 (ko) 2014-05-15 2014-05-15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03B1 (ko) 2016-11-25 2018-03-29 주식회사 클루라이프제약 친환경 장갑 및 친환경 장갑 코팅방법
KR20200120138A (ko) * 2019-04-11 2020-10-21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
KR20200120136A (ko) * 2019-04-11 2020-10-21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75B1 (ko) 2006-08-24 2007-05-14 손국태 폴리우레탄 코팅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1202B1 (ko) 2010-02-11 2010-07-20 윤철희 코팅층 표면에 도트를 형성시킨 폴리우레탄 코팅장갑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75B1 (ko) 2006-08-24 2007-05-14 손국태 폴리우레탄 코팅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1202B1 (ko) 2010-02-11 2010-07-20 윤철희 코팅층 표면에 도트를 형성시킨 폴리우레탄 코팅장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03B1 (ko) 2016-11-25 2018-03-29 주식회사 클루라이프제약 친환경 장갑 및 친환경 장갑 코팅방법
KR20200120138A (ko) * 2019-04-11 2020-10-21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
KR20200120136A (ko) * 2019-04-11 2020-10-21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233347B1 (ko) 2019-04-11 2021-03-29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
KR102233339B1 (ko) 2019-04-11 2021-03-29 글러브랜드 주식회사 무접착성 장갑의 제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795B1 (ko)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작업용 장갑
CN103790024B (zh) 一种高密度防水涂层织物
CN103643533A (zh) 环保隔热保温超纤合成革及其制备方法
CN105904817A (zh) 一种高强耐剥离热贴复合篷盖材料及其制作方法
CN105696233A (zh) 一种百褶帘面料的发泡涂白方法
CN103057246A (zh) 一种防水面料的加工方法
CN105150753B (zh) 水性弱溶剂钻石画布及其制备工艺
CN107881639A (zh) 一种带预留槽的毯子及其制作方法
CN106012159A (zh) 一种基于玄武岩纤维的轮胎冠带层及其制造方法
CN105735018B (zh) 一种防潮蚕丝绝缘绳的制作方法
CN205615111U (zh) 一种隔热涂层布
CN107713043A (zh) 一种保暖西服及其生产工艺
CN201785645U (zh) 针织涂层布
CN205040705U (zh) 一种中厚型加密印花衬布
CN202846992U (zh) 一种挺括型针织摇粒绒复合面料
CN205202342U (zh) 一种加密印花复合布
CN209293319U (zh) 一种可用于潮湿环境的防潮墙纸
CN206983431U (zh) 一种功能面料
CN205970218U (zh) 一种防风透湿复合衬布
CN106213635B (zh) 涤棉双面胶粘合衬的生产方法
CN205617140U (zh) 一种抗污染涂层布
CN104082881A (zh) 吸湿排汗防污工作服
CN105734973A (zh) 防水布料的加工工艺
CN100371523C (zh) 用防水整理剂处理蓝牛仔服的方法
CN215531904U (zh) 一种服饰保温内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