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701B1 - 카메라 및 그립 유닛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그립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701B1
KR101569701B1 KR1020090022184A KR20090022184A KR101569701B1 KR 101569701 B1 KR101569701 B1 KR 101569701B1 KR 1020090022184 A KR1020090022184 A KR 1020090022184A KR 20090022184 A KR20090022184 A KR 20090022184A KR 101569701 B1 KR101569701 B1 KR 10156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guide rail
grip unit
camera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047A (ko
Inventor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7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착탈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그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편평하게 구비된 제1면을 갖고, 상기 제1면에 제1체결부를 갖는 카메라 본체와, 상기 제1면에 대향되고 편평하게 구비된 제2면을 갖고, 상기 제2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를 갖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및 그립 유닛{Camera and grip unit}
본 발명은 카메라 및 그립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카메라를 세로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그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특히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DSLR 카메라의 경우, 카메라를 세로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그립 유닛을 카메라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종래에 이러한 세로 파지용 그립 유닛은 그립 유닛에 볼트를 돌출시켜 놓은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의 삼각대용 암나사부에 그립 유닛의 볼트를 체결시켜 사용된다.
따라서, 그립 유닛의 착탈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볼트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착탈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그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평하게 구비된 제1면을 갖고, 상기 제1면에 제1체결부를 갖는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제1면에 대향되고 편평하게 구비된 제2면을 갖고, 상기 제2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를 갖는 그립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설치된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부 또는 제2체결부에 구비된 체결 돌기;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또는 그립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 돌기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후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부 또는 제2체결부에 구비된 체결 홈;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또는 그립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 홈에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된 후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후크 버튼에 장착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의 편평한 제1면에 대향되고 편평하게 구비된 제2면; 및 상기 제2면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제1면에 구비된 제1체결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그립 유닛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제1체결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본체에 후크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후크 버튼과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본체에 후크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후크 버튼이 인입 가능하도록 체결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카메라 본체로부터 그립 유닛을 착탈할 수 있고, 착탈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 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의 분리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본체(1)의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그립 유닛(2)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 및 그립 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본체(1)는 편평하게 구비된 제1면(11)을 갖는다. 상기 제1면(11)은 카메라 본체(1)의 저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1)의 저면 전체가 제1면(11)이 될 필요는 없으며, 카메라 본체(1)의 저면 중 일부가 편평하게 구비된 제1면(11)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본체(1)의 제1면(11)에는 제1체결부(12)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체결부(12)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카메라 본체(1)에 인입되어 설치된 가이드 레일(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1)은 카메라 본체(1)에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소정 깊이로 인입되어 있는 한 쌍의 선형 홈 형상의 개구(122)를 갖는다.
그리고 이 홈 형상의 가이드 레일(121)은 후술하는 그립 유닛(2)의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그 폭과 깊이 및 길이가 설정되고, 제1면(11)의 표면 방향으로는 가이드 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23)는 가이드 레일(121)의 일측벽에서 타측벽을 향해 돌출한다. 이 지지부(123)는 가이드 레일(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121)의 측벽과의 간격 즉,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121)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개구(122)를 형성하고, 타측에서는 가이드 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개구(122)에서의 제1폭(W1)이 가이드 돌기를 지지하는 부분에서의 제2폭(W2)보다 넓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1)에는 후크 버튼(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카메라 본체(1)에 결합되는 그립 유닛(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유닛(2)은 도 1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카메라 본체(1)의 제1면(11)에 대향되는 제2면(21)을 갖는다. 상기 제2면(21)은 상기 제1면(11)과 같이 편평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면(11)에 그립 유닛(2)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면(21)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1)의 제1체결부(12)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체결부(22)는 상기 가이드 레일(12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21)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1)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2면(21)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21a)와 돌출부(221a)의 단부에서 제2면(2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돌출 단부(221b)를 구비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형상의 가이드 레일(121)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221)의 돌출 단부(221b)는 제2면(21)과 평행하도록 돌출부(221a)에서 절곡되어 있어 가이드 돌기(221)가 지지부(123)에 걸려 그립 유닛(2)이 카메라 본체(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1)는 가이드 레일(121)에 대응되게 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21)의 길이는 도 2에서 볼 때 개구(122)의 길이보다 길게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221)의 절곡된 선단이 상기 개구(122)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구(122)의 폭(W1)은 가이드 돌기(221)의 절곡된 선단 너비보다 적어도 넓게 되도록 한다. 가이드 돌기(221)의 두께는 상기 제2폭(W2)보다 좁게 되도록 해 가이드 돌기(221)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슬라이딩되기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221)와 가이드 레일(121)이 서로 대응한 상태에서 그립 유닛(2)의 제2면(21)이 카메라 본체(1)의 제1면(11)에 가까와지도록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돌기(221)의 돌출부(221a) 및 돌출 단부(221b)가 가이드 레일(121)의 개구(122)에 삽입된 후, 그립 유닛(2)을 지지부(123) 방향으로 밀어 가이드 돌기(221)의 돌출부(221a) 및 돌출 단부(221b)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 돌기(221)의 돌출 단부(221b)가 지지부(123)에 걸려 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되어 그립 유닛(2)의 카메라 본체(1)에의 결합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22)의 가이드 돌기(221) 내측에는 상기 카메라 본체(1)의 후크 버튼(13)과 같이 조작 가능하도록 체결 돌기(2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체결 돌기(222)는 가이드 돌기(221)의 내측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카메라 본체(1)의 후크 버튼(13) 선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체결 돌기(222)는 돌출부(221a)에서 돌출부(221a)의 연장 방향을 가로지르며 제2면(21)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후크 버튼(13) 구조는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레일(121)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선단(131)을 구비한다. 후크 버튼(13)은 제1면(11)에 평행하며 가이드 레일(12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카메라 본체(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 돌기(222)에 체결 가능하다. 후크 버튼(13)의 선단(131)은 후크 버튼(13)의 조작에 의해 도 4a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후크 버튼(13)의 선단(131)과 카메라 본체(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 예컨대 스프링(132)이 설치되어 후크 버튼(13)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단(131)은 전술한 가이드 돌기(221) 내측의 체결 돌기(222)에 걸릴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21)가 가이드 레일(121)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돌기(222) 및 후크 버튼(13)은 바요넷(Bayonet) 방식의 후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립 유닛(2)을 카메라 본체(1)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4b에서 볼 수 있듯이, 후크 버튼(13)을 도면의 오른쪽으로 누르면 선단(131)이 체결 돌기(222)와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가이드 돌기(221)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다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카메라 본체(1)에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 유닛(2)을 간단하고 빠르게 착탈시킬 수 있어 더욱 간편한 그립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크 버튼(13)과 체결되어 그립 유닛(2)의 카메라 본체(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 돌기(222) 대신에 도 5에서 볼 수 있는 체결 홈(223)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홈(223)을 도 5와 같이 가이드 돌기(221)의 내측에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할 경우 후크 버튼(13)의 선단(131)이 상기 체결 홈(223)에 삽입됨으로써 그립 유닛(2)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리 배면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그립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카메라 본체와 그립 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5는 도 1의 그립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10)

  1. 편평하게 구비된 제1면을 갖고, 상기 제1면에 개구가 직선적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벽에서 타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부를 갖는 카메라 본체;
    상기 제1면에 대향되고 편평하게 구비된 제2면을 갖고, 상기 제2면에서 돌출되며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돌출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돌기를 갖는 그립 유닛;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연장 방향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2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 돌기;
    상기 제1면에 평행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결 돌기에 체결 가능한 후크 버튼; 및
    상기 후크 버튼과 상기 카메라 본체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돌기가 서로 대응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 유닛의 상기 제2면이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제1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출 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그립 유닛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출 단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돌출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카메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22184A 2009-03-16 2009-03-16 카메라 및 그립 유닛 KR10156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84A KR101569701B1 (ko) 2009-03-16 2009-03-16 카메라 및 그립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84A KR101569701B1 (ko) 2009-03-16 2009-03-16 카메라 및 그립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47A KR20100104047A (ko) 2010-09-29
KR101569701B1 true KR101569701B1 (ko) 2015-11-17

Family

ID=4300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184A KR101569701B1 (ko) 2009-03-16 2009-03-16 카메라 및 그립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255A (ko) 2011-09-07 201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47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199B2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9167717B2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JP2009285459A (ja) ガイドレール装置
US11452373B2 (en) Bracket device
US9350114B2 (en) Structure of network connector
KR101569701B1 (ko) 카메라 및 그립 유닛
US7882755B2 (en) Sensor attachment device, a sens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hoto-electrical sensor
US10076051B2 (en) Structure for fixing printed board in electronic device unit
JP2014116462A (ja) 制御装置
US8885359B2 (en) Guide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adopting the guide bracket
KR20150084569A (ko) 브라켓 어셈블리
JP2007299936A (ja) 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JP2008223999A (ja) 機器取付装置
JP2009265205A (ja) 画像表示装置
JP3185646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の固定装置
CN217875165U (zh) 一种设备安装装置
CN209936899U (zh) 装配机构及移动设备
JP5977545B2 (ja)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JPH0420260Y2 (ko)
CN213584474U (zh) 导轨安装支架
CN217056932U (zh) 一种电子设备的固定座及电子设备的支架
CN211549253U (zh) 一种便于调整的碰珠结构
CN210053720U (zh) 一种pcb板安装固定装置
CN213333397U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