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021B1 - 반사형 금속 단열재 - Google Patents

반사형 금속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021B1
KR101568021B1 KR1020140041978A KR20140041978A KR101568021B1 KR 101568021 B1 KR101568021 B1 KR 101568021B1 KR 1020140041978 A KR1020140041978 A KR 1020140041978A KR 20140041978 A KR20140041978 A KR 20140041978A KR 101568021 B1 KR101568021 B1 KR 10156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bent
plate layer
layers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705A (ko
Inventor
우종인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02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다단 적층되는 박판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박판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반사형 금속 단열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공기층(S)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고, 복수의 슬릿(1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박판층(110); 및 상기 복수의 박판층(1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슬릿(111)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박판층(110)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층(1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사형 금속 단열재{Reflective Metal Insulation}
본 발명은 박판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다단 적층되는 박판층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박판층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단열재는 보온을 하거나 열전달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섬유, 석면, 발포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와 그 주변에 설치되는 증기발생기, 가압기, 순환펌프, 배관 및 배관부속기기에는 열의 손실을 억제하여 격납용기의 냉각을 위한 열부하를 최소화하고, 원자로의 노심이 용융되는 중대사고 발생시 원자로용기 외벽냉각을 위해 냉각 유체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단열재가 요구된다.
특히, 냉각재 상실사고시 발생하는 이물질로 인해 재순환 집수조 여과기가 막히거나 여과기를 통과한 이물질이 노심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원자로를 비롯한 원자로냉각계통에는 수두손실이 적고 열전도도가 낮은 금속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금속 단열재는 기존 단열재와는 달리 내부 여러겹의 매끈한 스테인리스강 박판을 사용함으로써, 박판 사이에 공기가 정체함에 따른 대류 열전달 저감, 박판간 열의 이동거리가 길어짐에 따른 전도 열전달 저감, 매끈한 호일 표면 반사로 인한 복사 열전달 저감으로 단열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금속 단열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117호에 개시된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단열재, 도 2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0183226호에 개시된 적층형 단열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11,13)에 일정간격으로 엠보싱(12,14)(Embossing)을 가공하여 정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다단 적층시키고, 상기 알루미늄 박판(11,13)의 양측단에는 버링(15)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박판(11,13)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열재는, 이면에 제1크기의 엠보싱(21)이 다수개 형성된 제1박판(20)과, 이면에 상기 제1크기와 다른 제2크기의 엠보싱(31)이 다수개 형성된 제2박판(30)을 다단 적층시켜, 제1박판(20)과 제2박판(30)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이격공간(S)이 마련되도록 구성하고, 제1박판(20)과 제2박판(3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그루브(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과 유사한 구조로서, 미국특허 제5,958,603호, 미국특허 제4,251,598호에는 다층의 금속 박판을 적층시키고, 금속 박판에 엠보싱 또는 격자형상의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적층되는 금속 박판 사이에 밀폐된 이격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시킨 단열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열재는, 금속 박판에 다수의 엠보싱을 균일한 깊이를 갖도록 가공하기 어렵고, 금속 박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용접 등의 추가 작업이 수반되므로 단열재의 제작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박판의 연신율 측면에서 엠보싱의 간격과 형성 깊이에 따라서는 엠보싱의 절곡되는 부위가 찢겨져 손상될 수 있으며, 엠보싱을 가공함에 있어서 박판의 전체적인 두께가 불균일하게 가공되어 단열성능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외부의 충격시 취약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단열재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박판 간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많아 단열 효율 저감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나 그 주변기기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는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전달 뿐만 아니라 복사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이와 같은 특수 환경에서도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다층으로 적층되는 박판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구비하되 그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다단 적층되는 박판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반사형 금속 단열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 적층되는 박판층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전도와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공기층(S)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고, 복수의 슬릿(1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박판층(110); 및 상기 복수의 박판층(1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슬릿(111)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박판층(110)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층(1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재(120)는, 상기 슬릿(111)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의 평면부(121); 상기 평면부(121)의 일측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1절개선(12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판층(110)의 상면(110a)을 지지하는 제1절곡부(123); 및 상기 평면부(121)의 타측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2절개선(12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판층(110)의 하면(110b)을 지지하는 제2절곡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상기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은, 상기 박판층(1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상기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 사이에 상기 박판층(110)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1)는,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릿(111)은, 상기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1)의 세로방향 단부(121a)에는, 전열 면적을 줄이기 위한 절개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스테인리스강(SUS)을 소재로 하는 금속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금속 단열재는, 모듈 단위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1,100-2,100-3)로 구성되어 적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박판층(110)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박판층(110)의 표면에는 함몰되거나 돌출된 형상으로 가공된 다수개의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의하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박판층이 박판층에 형성된 슬릿을 순차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중간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층의 박판층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반된 방향으로 절곡시켜 박판층의 상면과 하면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박판층과 중간재 간의 결합을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단 적층되는 박판층과 중간재 간의 연결부가 선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박판층 간의 전열 면적을 줄여 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박판층 간에 마련되는 공기층을 격리된 상태로 다수 확보하는 동시에 공기층의 두께를 대류 현상이 발생하는 임계 두께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박판층을 다단 적층할 수 있어 한정된 부피의 공간 내에 박판층의 밀집도를 증대시켜 복사열을 차폐함으로써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중간재의 평면부를 가로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할 경우, 중간재의 강성을 높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재의 단부에 절개홈을 형성할 경우, 중간재와 열전달 매체 간의 접촉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적층형 단열재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가 원자로의 외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의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박판층(110;110-1,110-2,110-3,110-n)과, 상기 박판층(1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간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복사열의 반사율이 높아 흡수되는 복사열을 줄이고, 흡수된 복사열의 방사율이 낮으며,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스테인리스강(SUS)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박판층(110)의 두께는 0.03mm~0.1mm, 상기 중간재(120)의 두께는 0.06mm~0.15mm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스테인리스강(SUS) 이외에 알루미늄 등 기타 금속 소재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원자로 등의 열원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와 대류 및 복사에 의해 전달되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박판층(110;110-1,110-2,110-3,110-n)에는 중간재(120)가 관통되는 복수의 슬릿(111)이 펀칭(punching) 가공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중간재(120)는 상기 복수의 박판층(110)에 형성된 슬릿(111)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박판층(110)에 결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박판층(11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판층(110)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재(120;120-1)는, 상기 슬릿(111)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의 평면부(121)와, 상기 평면부(121)의 일측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1절개선(1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곡부(123)와, 상기 평면부(121)의 타측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2절개선(124)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곡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은, 박판층(1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박판층(110)이 슬릿(1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4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절곡부(123)를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일측(전방측)으로 절곡시키고, 제2절곡부(125)를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타측(후방측)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박판층(110)의 상면(110a, 도 7 참조)이 맞닿게 되고,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과 박판층(110)의 저면(110b)이 맞닿게 되어, 박판층(110)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박판층(1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릿(111)은 박판층(110)의 가장자리 모서리부와 중앙부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재(120)는 복수의 슬릿(111)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123)와 제2절곡부(125)는 중간재(120)의 양측단에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박판층(110)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절곡부(123)와 제2절곡부(125)를 절곡시켜 그 사이에 중간재(120)가 결합되면, 다층으로 적층되는 박판층(110) 사이사이에는 공기층(S, 도 7 참조)이 마련되므로, 종래기술에서 다수의 박판층이 면 접촉 상태로 적층되어 연전도 손실이 큰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박판층(110) 간에는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방지되고, 박판층(110)과 중간재(120)의 제1절곡부(123) 및 제2절곡부(125) 간의 연결부는 선 접촉 상태가 되므로, 박판층(110)과 중간재(120) 간에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중간재(120)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재(120-2)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재(120-3)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중간재(120-2)는, 평면부(121)가 가로방향의 중간부(C)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릿(111)은, 상기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간재(120-2)를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중간재(120-1)가 단일 평면으로 구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굽힘 강도가 강화되어 중간재(120-2)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박판층(110)의 하중에 의한 중간재(120-2)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박판층(1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중간재(120-3)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중간재(120-1,120-2)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세로방향의 단부(121c)에 절개홈(126)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중간재(120-3)의 단부(121c)에 절개홈(126)을 형성할 경우, 상기 중간재(120-3)의 단부(121c)와 열전달 매체(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원자로 외벽(2)) 간의 전열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되어 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절개홈(126)이 중간재(120-3)의 하단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들었으나, 상기 절개홈(126)은 중간재(120-3)의 상단과 하단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다수개의 박판층(110)이 중간재(120)에 의해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면, 박판층(110) 간에는 중간재(120)의 제1절곡부(123)와 제2절곡부(125)에 의해 선 접촉되는 면적을 통해서만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되는 박판층(110)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S)은, 서로 격리되어 다수로 겹겹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층(S)의 두께는 대류 현상이 발생 가능한 공기층의 임계 두께(4㎝~5㎝) 보다 작은 두께가 되도록 배치하여 공기의 흐름이 정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층(S)에서 대류의 발생이 억제되어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박판층(110)이 중간재(120)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공기층(S)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표준화할 수 있게 되어, 대류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단 구조의 형성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박판층(110)이 중간재(1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단위 두께 내에 공기층(S)에 의해 이격된 박판층(11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사열의 차폐효율을 높여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다층으로 적층되는 박판층(110)이 중간재(1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된 구조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단열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단열을 필요로 하는 장소 전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모듈 단위로 분할 제작되어 단열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단위로 제작된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원자로(1)에서 발생하는 열의 단열을 위하여 원자로 외벽(2)의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원자로(1) 이외에도 그 주변에 설치되는 증기발생기, 가압기, 순환펌프, 배관 및 배관부속기기의 단열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자로(1)와 그 주변기기의 단열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를 설치할 경우, 정상운전 시에는 고온으로 유지되는 원자로냉각재계통과 보조계통의 기기 및 배관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중대사고 시에는 원자로의 외벽(2) 냉각을 위한 냉각재의 유로를 형성해주는 주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융된 노심의 고준위의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노내 구속(In-Vessel Retention; IVR)의 주요 구성요소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는, 박판층(110)의 손상과 제작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열 면적을 줄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박판층(110)이 평면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평면부(121)의 형상을 변경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를 모듈 단위(100-1,100-2,100-3)로 제작하여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고, 박판층(110)의 형상을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함과 아울러 박판층(110)의 표면에는 엠보싱(E)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위 두께 내에 공기층(S)에 의해 이격된 박판층(110)의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반사형 금속 단열재 110,110-1,110-2,110-3,110-n : 박판층
111 : 슬릿 120,120-1,120-2,120-3 : 중간재
121 : 평면부 121a : 제1평면부
121b : 제2평면부 122 : 제1절개선
123 : 제1절곡부 124 : 제2절개선
125 : 제2절곡부 126 : 절개홈

Claims (9)

  1. 복사열을 반사하는 금속 박판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열전달을 차단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에 있어서,
    공기층(S)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다층으로 적층되고, 복수의 슬릿(1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박판층(110); 및
    상기 복수의 박판층(1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슬릿(111)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박판층(110)에 결합되어 상기 박판층(1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재(120)는,
    상기 슬릿(111)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의 평면부(121);
    상기 평면부(121)의 일측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1절개선(12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판층(110)의 상면(110a)을 지지하는 제1절곡부(123); 및
    상기 평면부(121)의 타측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평면부(121)의 가로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절개된 이중의 제2절개선(12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1)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판층(110)의 하면(110b)을 지지하는 제2절곡부(125);를 포함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상기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은, 상기 박판층(1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절곡부(123)의 하단(123a)과 상기 제2절곡부(125)의 상단(125a) 사이에 상기 박판층(110)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21)는,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111)은, 상기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절곡된 제1평면부(121a)와 제2평면부(12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21)의 세로방향 단부(121a)에는, 전열 면적을 줄이기 위한 절개홈(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층(110)과 중간재(120)는 스테인리스강(SUS)을 소재로 하는 금속 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금속 단열재는, 모듈 단위의 반사형 금속 단열재(100-1,100-2,100-3)로 구성되어 적층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층(110)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층(110)의 표면에는 함몰되거나 돌출된 형상으로 가공된 다수개의 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1020140041978A 2014-04-08 2014-04-08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10156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78A KR101568021B1 (ko) 2014-04-08 2014-04-08 반사형 금속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78A KR101568021B1 (ko) 2014-04-08 2014-04-08 반사형 금속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05A KR20150116705A (ko) 2015-10-16
KR101568021B1 true KR101568021B1 (ko) 2015-11-10

Family

ID=5436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78A KR101568021B1 (ko) 2014-04-08 2014-04-08 반사형 금속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0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05A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54B1 (ko) 반사형 금속 단열재
JP4022067B2 (ja) 凹部をもった表面を有する発電機ステータの冷却装置
WO2014174692A1 (ja) 伝熱管の振動抑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伝熱管の振動抑制装置及び方法、蒸気発生器
CN104599726B (zh) 金属反射型保温板块
JP6022037B2 (ja) 真空断熱材
KR101568021B1 (ko) 반사형 금속 단열재
JP2014092289A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
KR101628192B1 (ko) 반사형 금속 단열재
KR102290125B1 (ko) 솔라 모듈을 위한 배면 요소
KR102446926B1 (ko) 흡차음 복합판재
JP2018531523A6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用裏面部材
CN107851827B (zh) 用于制造燃料电池的双极板的堆叠
CN213383436U (zh) 一种层压工装及层压机
KR20130135036A (ko) 지지 부재, 그것을 포함한 가열 플레이트 지지 장치 및 가열 장치
US3804712A (en) Thermally insulated panel for a gas cooled nuclear reactor
CN111477365A (zh) 热屏蔽罩和包括该热屏蔽罩的反应堆试验样机
US10974353B2 (en) Method of forming a component for a heat exchanger
CN215070192U (zh) 一种电池模组
CN220655397U (zh) 一种缓冲效果好的电饼铛纸托
CN217589033U (zh) 电池模组及车辆
CN218730996U (zh) 一种光伏组件
KR20180070046A (ko) 반사형 금속단열재
JP2019049328A (ja) 多層断熱材
JP2010169115A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6806541B2 (ja) 伝熱管群の制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