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891B1 -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891B1
KR101567891B1 KR1020150016113A KR20150016113A KR101567891B1 KR 101567891 B1 KR101567891 B1 KR 101567891B1 KR 1020150016113 A KR1020150016113 A KR 1020150016113A KR 20150016113 A KR20150016113 A KR 20150016113A KR 101567891 B1 KR101567891 B1 KR 10156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pplied
heater
temperature
stag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채
안성일
안수경
정제헌
최동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가스 압축 시스템은, 컴프레서(compressor)와 인터쿨러(intercooler)가 교대로 마련되어,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다단압축기; 및 상기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마련되어 상기 다단압축기로 도입될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쿨러 및 히터에는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Gas Compress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히터를 마련하여,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다단압축기로 공급하되, 다단압축기의 인터쿨러와, 히터에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LNG(Liquefied Natural Gas)나 LPG(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스를 저온에서 액화시킨 액화가스는 가스에 비해 부피가 매우 작아지므로 저장 및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를 비롯한 액화가스는 액화공정 중에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어, 연소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적은 친환경 연료로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약 -162℃로 냉각해서 액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천연가스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천연가스 이송 시 LNG로 액화시켜 이송할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액화 온도는 상압 -162 ℃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쉽게 증발된다. 이로 인해 LNG 운반선의 LNG 저장탱크에는 단열처리를 하지만, 외부의 열이 LNG 저장탱크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LNG 수송과정에서 LNG 저장탱크 내에서는 지속적으로 LNG가 자연 기화되면서 증발가스(Boil-Off Gas, BOG)가 발생한다. 이는 에탄 등 다른 저온 액화가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BOG는 일종의 손실로서 수송효율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저장탱크 내에 증발가스가 축적되면 탱크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어, 심하면 탱크가 파손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BOG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는데, 최근에는 BOG의 처리를 위해, BOG를 재액화하여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방법, BOG를 선박의 엔진 등 연료소비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BOG를 선내 엔진 등의 연료소비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압축기로 압축하고 가열하는 과정을 통해 연료소비처에서 필요로 하는 공급압력과 공급온도에 맞추게 된다. 가스를 압축하기 위해서 상용 압축기를 적용한 공급 시스템의 경우, 압축기 흡입부의 기계적 특성상 수용할 수 있는 유체의 최소 온도 조건이 있다.
그런데, 저온에서 액화된 액체화물(liquid cargo)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온도가 낮다. 예를 들어 LNG에서 발생하는 BOG의 경우에는 -120℃의 저온일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부의 요구 온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인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인 후 압축기로 공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압축기 흡입부의 온도 조건을 충족하도록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가열하고, 가열된 가스를 압축하여 가스 소비처로 공급할 수 있는 가스 압축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프레서(compressor)와 인터쿨러(intercooler)가 교대로 마련되어,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다단압축기; 및
상기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마련되어 상기 다단압축기로 도입될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쿨러 및 히터에는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압축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증발가스와 열교환되고 배출되는 상기 열매체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증발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상기 열매체가 상기 히터로 공급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히터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열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삼방향 밸브와, 상기 히터로부터 상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상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아지면, 상기 삼방향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매체를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쿨러로 상기 열매체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라인과, 상기 메인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매체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히터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로부터 상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히터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상기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히터로 가열하는 단계; 및
히터에서 가열된 상기 증발가스를, 컴프레서(compressor)와 인터쿨러(intercooler)가 교대로 마련되는 다단압축기에서 압축 및 중간냉각을 반복하여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 및 인터쿨러에는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압축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증발가스와 열교환되고 배출되는 상기 열매체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여,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상기 열매체를 분기하여 상기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압축 시스템에서는 증발가스를 다단압축기로 압축하여 가스 소비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압축기 흡입구의 최소 온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다단압축기 전단에 히터를 마련하였다. 다단압축기에 마련되는 인터쿨러와 히터에 동일한 열매체를 사용하도록 하여, 히터의 열에너지 공급을 위한 스팀 등의 별도의 열원을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열원 공급을 위한 설비 설치를 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설치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다단압축기의 인터쿨러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면서 열매체에 흡수된 열에너지를 저온인 증발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터쿨러를 통과하며 가열된 열매체는, 저온인 증발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상대적으로 냉각되므로 열매체의 냉각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압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은, 컴프레서(compressor, 110a)와 인터쿨러(intercooler, 120a)가 교대로 마련되어,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T)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다단압축기(100a)와,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마련되어 다단압축기로 도입될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히터(200a)를 포함하되, 인터쿨러 및 히터에는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실시예들의 시스템을 통해 압축되는 증발가스는, 저온으로 액화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에서 자연발생하는 증발가스(Boil-Off Gas)일 수 있으며, 액체화물은 예를 들어 LNG, LPG, LEG(Liquefied Ethane Gas), 액화이산화탄소, 액화질소 및 NGL(Natural Gas Liquid)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 시스템에서는 액체화물로부터 발생하는 압축하여 가스 소비처(C)로 공급하게 된다. 가스 소비처는 예를 들어 선박의 고압가스 엔진 등의 내연기관일 수도 있고, 압축된 가스를 공급받아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 장치일 수 있다.
가스 소비처로 공급될 증발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는 복수의 컴프레서와 복수의 인터쿨러(중간냉각기)를 포함하여, 이러한 컴프레서와 인터쿨러가 교대로 배치되는 다단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컴프레서(110a)와 3개의 인터쿨러(120a)를 포함하여,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압축기(100a)를 도시하였으나, 다단압축기의 구성은 가스 소비처에서 필요로 하는 가스의 압력 및 온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단압축기에서는 컴프레서에서의 압축과, 인터쿨러에서의 중간 냉각을 거듭하면서 증발가스를 압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인터쿨러에는 증발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가 공급되는데, 열매체는 압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가스를 냉각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열매체는 압축된 증발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열매체를 다단압축기 상류의 히터(200a)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써, 압축된 증발가스로부터 흡수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다단압축기의 흡입부 온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증발가스를 가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시스템은, 인터쿨러에서 증발가스와 열교환되고 배출되는 열매체를 히터로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라인(SL)을 더 포함하며, 열매체 공급라인을 통해, 인터쿨러(120a)에서 증발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열매체가 히터(200a)로 공급된다.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열매체는 예를 들어 청수(fresh water)일 수 있으며, 글리콜 워터와 같은 다른 열매체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5℃ 내외로 다단압축기의 인터쿨러로 공급된 청수는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면서, 40 내지 50 ℃로 가열되어 열매체 공급라인을 통해 히터로 공급된다. LNG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인 경우 -120 ℃ 정도로 저장탱크로부터 히터로 공급되고, 히터에서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20 내지 40 ℃로 다단압축기의 흡입구로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예 시스템은, 열매체 공급라인(SL)으로부터 분기되어 히터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BL)과, 열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바이패스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삼방향 밸브(400a)와, 히터로부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매체의 유량이 많아 이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증발가스의 온도가 높아져 150℃ 이상의 온도로 다단압축기에 공급되면, 컴프레서에 공급되는 윤활유(LO)가 손상되거나, 다단압축기의 장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온도센서(300a)를 마련하여, 다단압축기 흡입구 측의 증발가스 온도를 감지하고, 증발가스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아지면, 삼방향 밸브(400a)를 제어하여 열매체를 바이패스 라인(BL)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열매체가 히터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히터의 하류로 공급되면,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히터를 거치거나 바이패스한 열매체는, 열매체를 저장하는 탱크(MT)로 공급하거나 인터쿨러로 순환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열매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미도시)를 거쳐 저장 또는 순환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의 시스템도,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다단압축기(100b)와,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마련되어 다단압축기로 도입될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히터(200b)를 포함하며, 인터쿨러(120b) 및 히터(200b)에는 동일한 열매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인터쿨러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라인(ML)으로부터 히터공급라인(HL)을 분기시켜, 열매체 저장탱크로부터 열매체를 인터쿨러와 히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압축을 거치면서 증발가스는 온도가 높아지므로, 동일한 열매체를 공급하더라도 인터쿨러에서는 열매체를 통한 냉각이, 히터에서는 열매체를 통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시스템은, 히터로부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00b)와, 히터공급라인(HL)에 마련되는 컨트롤 밸브(500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증발가스의 온도에 따라 히터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러한 온도 센서나 컨트롤 밸브를 마련하지 않고, 일정 유량 이상의 열매체를 히터로 공급하는 것만으로 증발가스의 온도를 다단압축기 인입 온도로 맞출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쿨러를 거치지 않은 열매체를 직접 히터로 공급하는데, 열매체의 온도는 40℃ 정도 이상으로는 높아지지 않으므로 온도센서나 컨트롤밸브 등을 마련하여 제어하지 않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열매체 유량을 유지하여 계속 공급하는 것만으로 압축기 인입 증발가스 온도를 맞출 수 있다.
후술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는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가 적정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 히터로 열매체를 공유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증발가스의 온도가 적정온도가 되는 예로는, 압축으로 인해 고온고압이 된 증발가스를 다단압축기 후단 또는 다단압축기 중간 등에서 빼내 히터 상류에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증발가스를 가열하거나 별도의 열원을 공급하여 증발가스가 가열되는 경우 등이다. 다양한 요인으로 증발가스가 적정온도가 되면 히터로의 열매체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은 이를 위해, 제1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 상류에, 저장탱크로부터의 증발가스와 압축된 유체 간의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Heat recovery unit)(600c)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 시스템의 경우, 다단압축기(100c)의 초기 Start-up 시에는 열교환기(Heat recovery unit)(600c)에 유입될 고온 고압의 가스가 없으므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열매체를 히터(200c)에 공급하여 증발가스를 가열한 후 다단압축기(100c)로 공급시킨다.
다단압축기(100c)의 초기 Start-up 이후, 다단압축기를 거쳐 압축된 가스를 열교환기(600c)로 공급하여, 이러한 고압 고온의 가스와 저장탱크로부터 다단압축기로 공급될 증발가스를 열교환시켜, 증발가스를 가열함으로써, 다단압축기에서 요구하는 온도조건을 맞출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 Start-up 이후에는 히터로의 열매체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엔진 등 가스 소비처로 압축된 가스를 연료로 공급한 후, 남은 연료를 열교환기로 보내어 다단압축기로 공급될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때 선박의 속도가 고속인 경우와 같이 연료 공급 후 남는 연료가 없거나 적은 때에는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압축 가스로 가스의 상온 조건을 만족할 수 없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히터에 의해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다단압축기로 공급할 수 있다. 다단압축기(100c)로부터 열교환기(600c)로 공급된 고압 가스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으로 냉각되는데, 이러한 가스는 감압장치(미도시)와 기액분리기(미도시)를 거쳐 일부가 재액화되면 저장탱크로 재저장할 수도 있고, 가스소비처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은, 제2 실시예의 가스 압축 시스템 전단에 증발가스와 압축된 유체 간의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Heat recovery unit)(600d)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단압축기(100d)의 초기 Start-up 시 열교환기(Heat recovery unit)에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없으므로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열매체를 히터(200d)에 공급하여 증발가스를 가열한 후 다단압축기(100d)로 공급시킨다.
다단압축기의 초기 Start-up 이후 다단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여, 이러한 고압 고온의 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발가스를 가열시킴으로, 다단압축기에서 요구하는 온도조건을 맞출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 Start-up 이후에는 히터(200d)로의 열매체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 다만, 초기 start-up 이후에도 선박의 속도가 고속인 때와 같이 다단압축기에서 가스 소비처로 공급하고 남는 가스가 없거나 적어 열교환기로 보낼 가스가 없거나 적은 경우에는, 열매체를 히터에 공급하여 증발가스를 가열한 후 다단압축기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가스 압축 시스템에서는 증발가스를 다단압축기로 압축하여 가스 소비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압축기 흡입구의 최소 온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다단압축기 전단에 히터를 마련하였다. 다단압축기에 마련되는 인터쿨러와 히터에 동일한 열매체를 사용하도록 하여, 히터의 열에너지 공급을 위한 스팀 등의 별도의 열원을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열원 공급을 위한 설비 설치를 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열원 공급을 위한 설비의 설치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다단압축기의 인터쿨러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면서 열매체에 흡수된 열에너지를 저온인 증발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로 공급함으로써,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터쿨러를 통과하며 가열된 열매체는, 저온인 증발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상대적으로 냉각되므로 열매체를 냉각시켜 순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T: 저장탱크
C: 가스 소비처
100a, 100b: 다단압축기
110a, 110b: 컴프레서
120a, 120b: 인터쿨러
200a, 200b: 히터
300a, 300b: 온도센서
400a: 삼방향 밸브
500b: 컨트롤 밸브

Claims (9)

  1. 컴프레서(compressor)와 인터쿨러(intercooler)가 교대로 마련되어, 액체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다단압축기;
    상기 다단압축기의 상류에 마련되어 상기 다단압축기로 도입될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증발가스와 열교환되고 배출되는 열매체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라인;
    상기 열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히터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상기 열매체 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마련되는 삼방향 밸브; 및
    상기 히터로부터 상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쿨러 및 히터에는 동일한 열매체(heat medium)가 공급되고,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증발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상기 열매체가 상기 히터로 공급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압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상기 다단압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증발가스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아지면, 상기 삼방향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매체를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압축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16113A 2015-02-02 2015-02-02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KR10156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13A KR101567891B1 (ko) 2015-02-02 2015-02-02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13A KR101567891B1 (ko) 2015-02-02 2015-02-02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891B1 true KR101567891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13A KR101567891B1 (ko) 2015-02-02 2015-02-02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30B1 (ko) 2005-07-27 2006-08-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52513B1 (ko) * 2009-03-27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압축기용 냉각사이클 장치
JP2012241719A (ja) 2011-05-20 2012-12-10 Linde Ag ガス状の媒体を単段または多段式に圧縮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30B1 (ko) 2005-07-27 2006-08-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52513B1 (ko) * 2009-03-27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압축기용 냉각사이클 장치
JP2012241719A (ja) 2011-05-20 2012-12-10 Linde Ag ガス状の媒体を単段または多段式に圧縮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305B2 (ja) 天然ガスを再液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707501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JP2018517608A (ja) 船舶
KR101742284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JP5932985B2 (ja) Lpgボイルオフガスを液化するための燃料としてのlngの使用
KR102011863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707500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126B1 (ko)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0878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681727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788753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7891B1 (ko) 가스 압축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728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90080361A (ko)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628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672180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16615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0747371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그 장착 방법
KR20180076940A (ko)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473946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4697A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KR20160150346A (ko)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75050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7552B1 (ko) 선박
KR20130023329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