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52B1 -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 Google Patents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452B1
KR101567452B1 KR1020130129080A KR20130129080A KR101567452B1 KR 101567452 B1 KR101567452 B1 KR 101567452B1 KR 1020130129080 A KR1020130129080 A KR 1020130129080A KR 20130129080 A KR20130129080 A KR 20130129080A KR 101567452 B1 KR101567452 B1 KR 10156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rine
holder
handle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054A (ko
Inventor
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디 filed Critical (주)한디
Priority to KR102013012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컵을 삽입 고정하는 컵 삽입 링형부재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 손잡이봉를 구비함에 따라, 소변컵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를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채뇨에 사용되는 소변컵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의 둘레가 내측 둘레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링형상의 컵 삽입 링형부재와;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의 외측 둘레의 일측에 내측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Urinalysis cup holder having slant handle bar}
본 발명은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컵을 삽입 고정하는 컵 삽입 링형부재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 손잡이봉를 구비함에 따라, 소변컵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를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소변검사를 할 경우에는 소변컵으로 피검사자의 소변을 받아 소변을 채취하게 된다. 즉, 소변컵에 소변을 받아 채취(이하, "채뇨"라 한다.)할 경우에는 피검사자나 보호자가 소변컵을 직접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채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피검사자가 소변컵을 손으로 잡고 채뇨를 하는 과정에서 소변의 채취량이 많을 경우에는 소변이 소변컵의 옆으로 흘러내려 소변컵의 외면을 오염시키게 됨으로써 소변컵의 외면에 잔류된 소변이 손에 묻게 되고, 소변컵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뇨되는 소변이 손에 묻게 된다.
따라서 소변컵을 사용하여 채뇨를 하는 과정에서는, 소변이 손에 묻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소변의 온도에 따른 불쾌감을 주게됨은 물론, 소변에 포함된 병원균이 손에 묻게 됨에 따라 피검사자인 본인이나 보호자 또는 간호사 등의 제3자에게 병원균을 옮기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허리를 굽혀 채뇨를 해야 함으로써 채뇨시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채취되는 소변량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 소변이 소변컵을 넘쳐 옆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소변컵의 위치가 잘못되어 배뇨되는 소변이 손에 묻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아나 소아인 경우에는 보호자가 채뇨를 하게 되는데 유아나 소아는 움직임이 많고 집중력이 떨어짐으로써 채뇨를 하는 과정에서 소변이 보호자의 손에 묻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아울러, 신체의 여러 보조기구를 착용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인 경우에는 움직임이 불편함으로써 소변컵을 사용하여 소변을 채취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통상적으로 알려진 일회용 컵 홀더에 소변컵을 삽입시켜 채뇨를 하는 생각도 가능하나, 종래의 일회용 컵 홀더를 사용하여 소변을 채취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일회용 컵을 손으로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컵 홀더나 일회용 컵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850호의 "일회용 컵 홀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7105호의 "홀더가 있는 일회용 컵"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홀더는, 종이컵이 삽입되는 홀더 몸체의 일측에 집게손가락이 삽입되는 고리형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 손잡이는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종이컵을 용이하게 들어 음료를 섭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만약을 가정하여 상기 고리형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된 컵 홀더에 삽입된 컵을 이용하여 채뇨를 한다면,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홀더 몸체의 둘레에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채뇨를 하는 과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으로 컵을 잡고 채뇨를 하는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 만약을 가정하여 종래의 일회용 컵 홀더를 사용하여 채뇨를 한다면,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컵 홀더의 홀더 몸체의 둘레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채뇨를 하는 과정에서 소변의 채취량이 많을 경우에는 소변이 소변컵의 옆으로 흘러내려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 및 다른 손가락에 소변이 묻게 되고, 소변컵의 위치가 잘못될 경우에는 배뇨되는 소변이 손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850호의 "일회용 컵 홀더"(2010.12.1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7105호의 "홀더가 있는 일회용 컵"(2011.08.31)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컵을 삽입 고정하는 컵 삽입 링형부재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 손잡이봉를 구비함에 따라, 소변컵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를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의 채취량이 많아 소변이 소변컵의 옆으로 흘러내리더라도 손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채뇨시 소변컵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도 배뇨되는 소변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 손잡이봉을 상하폭이 길고 양측폭이 좁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수직판 형상의 봉으로 구성하여 상하방향의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 손잡이봉의 외측 단부에 수직판이나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형성하여 경사 손잡이봉의 수취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에 목걸이줄이나 탄성 손목고정줄을 더 구비함으로써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소변컵용 홀더를 목이나 손목에 걸고 용이하게 이동하여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뇨시 소변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컵 식별 거울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소변컵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 손잡이봉에 컵 뚜껑부를 구비함으로써 채뇨를 마친 다음, 소변컵을 바로 밀봉하여 이동 중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 손잡이봉의 각도를 적정하게 하여 남성의 경우에 좀 더 편안하게 선 자세에서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채뇨에 사용되는 소변컵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의 둘레가 내측 둘레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링형상의 컵 삽입 링형부재와;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의 외측 둘레의 일측에 내측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이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원형링 형상의 판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콘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 손잡이봉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이나 상하폭이 길고 양측 폭이 좁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경사 손잡이봉은,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손잡이부는, 경사 손잡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하폭이 상기 돌출경사봉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손잡이부는, 경사 손잡이봉의 돌출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고 양측폭이 상기 경사 손잡이봉의 양측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손잡이부는, 줄 관통홀과, 상기 줄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는 목걸이줄이나 탄성 손목고정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소변컵용 홀더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피검사자가 소변컵을 보면서 컵의 위치를 조정하는 컵 식별 거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소변컵용 홀더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에 연결줄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소변컵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되게 막는 컵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의 상기 경사 손잡이봉의 각도는 수평에서 25도 내지 40도로 경사지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컵 삽입홀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컵 삽입 링형부재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지게 경사진 경사 손잡이봉를 구비하여 소변컵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를 멀리 떨어지게 함에 따라,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채뇨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여성의 경우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고도 용이하게 채뇨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소변컵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를 멀리 떨어지게 함에 따라, 채뇨시 손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에 포함된 병원균이 피검사자나 보호자, 간호사 등의 제3자에게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 손잡이봉을 상하폭이 길고 양측폭이 좁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수직판 형상의 봉으로 구성하여 상하방향의 휨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사용중 경사 손잡이가 하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채뇨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 손잡이봉의 외측 단부에 수직판이나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형성하여 경사 손잡이봉의 수취에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좀 더 향상시킨 소변컵용 홀더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에 목걸이줄이나 탄성 손목고정줄을 더 구비함으로써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소변컵용 홀더를 목이나 손목에 걸고 용이하게 이동하여 채뇨를 가능함으로써,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뇨시 소변컵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컵 식별 거울부를 더 구비하여 소변컵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뇨되는 소변이 소변컵의 외면에 묻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 손잡이봉에 컵 뚜껑부를 구비하여 채뇨를 마친 다음, 소변컵을 바로 밀봉하여 이동 중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이 채워진 소변컵을 좀 더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 손잡이봉의 각도를 적정하게 하여 남성의 경우에 좀 더 편안하게 선 자세에서 채뇨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컵 뚜껑부로 소변컵의 상부 개방부를 막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소변컵(C)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컵 삽입 링형부재(1)와,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의 외측 둘레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 손잡이봉(2)을 포함한다.
상기 소변컵(C)은 채뇨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변컵(C)은 일반적으로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 또는 스페시멘 컵(멸균컵)이 사용된다.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는 소변컵(C)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의 둘레가 내측 둘레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소변컵(C)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이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는 제조원가를 줄이면서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은 컵 삽입 링형부재(1)의 외측 둘레의 일측에 내측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은 컵 삽입 링형부재(1)와 별도로 제작하여 컵 삽입 링형부재(1)의 외측 둘레에 부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와 함께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컵 삽입 링형부재(1)의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 손잡이봉(2)를 구비함에 따라, 채뇨를 진행함에 있어서 피검사자나 보호자가 경사 손잡이봉(2)의 돌출 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채뇨가 가능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변컵용 홀더를 사용하여 채뇨를 할 경우에는, 컵 삽입 링형부재(1)의 내부에 소변컵(C)을 삽입한 후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외측 단부인 돌출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소변컵(C)을 배뇨 위치에 위치시켜 채뇨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통해, 남성이나 여성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물론, 소아 및 유아의 보호자도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채뇨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채뇨를 진행함에 있어서, 소변컵(C)과 손잡이봉을 잡은 손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 따라, 좀 더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채뇨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고, 특히, 여성의 경우 허리를 심하게 굽히지 않고도 용이하게 채뇨량을 식별하면서 채뇨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채뇨를 진행함에 있어서 소변컵(C)과 경사 손잡이봉(2)을 잡은 손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 따라, 손에 소변이 묻는 것이 방지되어 소변에 포함된 병원균이 피검사자나 보호자, 간호사 등의 제3자에게 옮겨져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길이는 채뇨시 경사 손잡이봉(2)의 수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의 내경의 길이보다 3배 내지 4배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각도는 수평에서 25도 내지 40도로 경사지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각도를 수평에서 25도의 미만으로 하게 되면 피검사자가 성인 남성일 경우에 선 자세에서 채뇨를 할 경우에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채뇨를 해야 하고, 반대로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각도를 수평에서 40도를 초과 하게 되면 피검사자가 성인 남성일 경우에 선 자세에서 채뇨를 할 경우에 허리를 뒤로 저친 상태에서 채뇨를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각도는 수평에서 25도 내지 40도로 경사지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경사 손잡이봉(2)의 각도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남성의 경우에 좀 더 편안하게 선 자세에서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은 피검사자나 보호자가 경사 손잡이봉(2)을 좀 더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1)는 피검사자나 보호자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하폭이 상기 돌출경사봉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21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외측 단부에 수직판(211)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21)를 더 형성함으로써 경사 손잡이봉(2)의 수취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1)는 줄 관통홀(213)과 상기 줄 관통홀(213)에 관통 고정되는 목걸이줄(214)이나 탄성 손목고정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목걸이줄(214)이 줄 관통홀(213)에 관통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21)에 목걸이줄(214)이나 탄성 손목고정줄을 더 구비함으로써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소변컵용 홀더를 목이나 손목에 걸고 용이하게 이동하여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의 다른 실시예는 손잡이부(2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손잡이부(21)는 경사 손잡이봉(2)의 돌출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고 양측폭이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양측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판(2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경사 손잡이봉(2)의 외측 단부에 수평판(212)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21)를 형성함으로써, 숟가락을 잡듯이 수평판(212)을 잡을 수 있음에 따라 좀 더 편리하게 경사 손잡이봉(2)을 수취하여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컵 삽입 링형부재(1)와 경사 손잡이봉(2)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는 원형링 형상의 판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콘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컵 삽입 링형부재(1)를 콘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컵 삽입 링형부재(1)의 내주면이 소변컵(C)의 외주면에 면접촉이 되게 함으로써 소변컵(C)을 컵 삽입 링형부재(1)의 내부에 좀 더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은 상하폭이 길고 양측 폭이 좁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띠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 손잡이봉(2)을 상하폭이 길고 양측폭이 좁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으로 구성하여 상하방향의 휨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사용중 경사 손잡이가 하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의 다른 실시예는 손잡이부(2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구성하는 손잡이부(21)는 경사 손잡이봉(2)의 돌출단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고 양측폭이 상기 경사 손잡이봉(2)의 양측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판(2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경사 손잡이봉(2)의 외측 단부에 수평판(212)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21)를 형성함으로써, 숟가락을 잡듯이 수평판(212)을 잡을 수 있음에 따라 좀 더 편리하게 경사 손잡이봉(2)을 수취하여 채뇨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2)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컵을 보면서 컵의 위치를 조정하는 컵 식별 거울부(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컵 식별 거울부(3)는 경사 손잡이봉(2)의 후방의 상부로 상향지게 경사지는 경사 지지봉(31)과, 경사 지지봉(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소변컵(C)의 위치를 피검사자가 육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뇨시 소변컵(C)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컵 식별 거울부(3)를 더 구비하여 소변컵(C)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 채뇨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뇨되는 소변이 소변컵(C)의 외면에 묻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컵 뚜껑부로 소변컵의 상부 개방부를 막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소변컵용 홀더는 상기 경사 손잡이봉(2)에 연결줄(41)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소변컵(C)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되게 막는 컵 뚜껑부(4)를 더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경사 손잡이봉(2)에 연결줄(41)의 연결을 통해 컵 뚜껑부(4)를 구비함에 따라, 채뇨를 마친 다음 소변컵(C)을 바로 밀봉하여 이동 중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이 채워진 소변컵(C)을 좀 더 안전하게 운반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컵 삽입 링형부재
2 : 경사 손잡이봉
21 : 손잡이부
211 : 수직판, 212 : 수평판,
213 : 줄 관통홀, 214 : 목걸이줄
3 : 컵 식별 거울부
31 : 경사 지지봉
32 : 거울
4 : 컵 뚜껑부
41 : 연결줄
C : 소변컵

Claims (9)

  1.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채뇨에 사용되는 소변컵(C)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의 둘레가 내측 둘레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링형상의 컵 삽입 링형부재(1)와;
    상기 컵 삽입 링형부재(1)의 외측 둘레의 일측에 내측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 손잡이봉(2)과;
    상기 경사 손잡이봉(2)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피검사자가 소변컵(C)을 보면서 컵의 위치를 조정하는 컵 식별 거울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29080A 2013-10-29 2013-10-29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KR10156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80A KR101567452B1 (ko) 2013-10-29 2013-10-29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80A KR101567452B1 (ko) 2013-10-29 2013-10-29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54A KR20150049054A (ko) 2015-05-08
KR101567452B1 true KR101567452B1 (ko) 2015-12-10

Family

ID=5338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080A KR101567452B1 (ko) 2013-10-29 2013-10-29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4A (ko) 2019-12-16 2021-06-24 진경 여성용 흘림 방지 채뇨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280B2 (ja) * 1994-12-06 2000-10-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3164553B2 (ja) * 1998-01-26 2001-05-08 三星電子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280B2 (ja) * 1994-12-06 2000-10-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3164553B2 (ja) * 1998-01-26 2001-05-08 三星電子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24A (ko) 2019-12-16 2021-06-24 진경 여성용 흘림 방지 채뇨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54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50890A1 (en) Bonding nurser
WO2013103291A2 (en) Portable non-invasive urinary aids for women
US20190247223A1 (en) Non-invasive urine collection device
ES2318475T3 (es) Dispositivo para la incontinencia urinaria.
JP2006204868A (ja) 採尿器
KR200486331Y1 (ko) 환자용 소변수집 백
KR20180112260A (ko)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KR101567452B1 (ko) 경사 손잡이봉을 가지는 소변컵용 홀더
EP1781232B1 (en) A teat device for a baby
US9629771B2 (en) Urinal
KR101287859B1 (ko) 요검사용 보조기구
KR200257562Y1 (ko) 가요성 젖병
KR101530592B1 (ko) 젖병 구조체
TWM497021U (zh) 奶嘴結構
US20240050264A1 (en) A liquid capture device
JP2005046216A (ja) 哺乳瓶用保持器
US20220280393A1 (en) Feeding device
KR20230119789A (ko) 치아발육기
JP2013039262A (ja) 男性失禁者用尿取りパッド
WO2018020486A1 (en) Hands-free adjustable bib for securing a container
KR20180056144A (ko) 음경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음경지지대
KR200487028Y1 (ko) 어깨수술 환자용 팔 고정 장치
CN208927111U (zh) 一种安抚奶嘴
KR101793676B1 (ko) 환자용 소변팩
JP2002224152A (ja) 受尿器および収尿器また装着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