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56B1 -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056B1
KR101567056B1 KR1020140072363A KR20140072363A KR101567056B1 KR 101567056 B1 KR101567056 B1 KR 101567056B1 KR 1020140072363 A KR1020140072363 A KR 1020140072363A KR 20140072363 A KR20140072363 A KR 20140072363A KR 101567056 B1 KR101567056 B1 KR 10156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le member
male
fix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인
서병륜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한국파렛트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한국파렛트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7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붕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이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언폴딩 방지 유닛은, 상기 지붕에 결합되어 있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암부재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수부재; 상기 수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 공구 없이 폴딩되어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과 베이스가 수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Cargo Container with Unfolding Preventing Unit}
본 발명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체결 공구 없이 폴딩되어 수납 위치에 있는 지붕과 베이스가 수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cargo container)는, 해상 화물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용기로서, 그 길이에 따라 20피트형, 40피트형, 40피트-하이큐브형 등의 중대형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해 운송용으로는 상기 표준 규격 제품보다 짧은 길이의 6피트형, 8피트형, 10피트형, 12피트형 컨테이너 등 소형 컨테이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는, 철제를 용접하여 고정된 박스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항상 동일한 형상과 부피를 가지게 되므로,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한 후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선박에 적재되는 경우, 적재될 수 있는 빈 컨테이너의 개수가 선박의 적재 허용 중량을 고려할 때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에 적재되는 빈 컨테이너의 개수가 적어지면, 전체적인 물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와 측면 벽체가 내측으로 접히고 지붕이 하강하여, 지붕과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전면 벽체, 후면 벽체 및 측면 벽체가 조밀하게 수납되는 접이식 컨테이너(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8612호, 공고일: 2013년04월26일, 이하 '선행특허'라 함)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접이식 컨테이너에서는 상기 선행특허의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71)와, 암부재(72)와, 회전 방지 유닛(7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수나사부(711)와 암나사(72)의 나사 결합에 의한 방식이므로,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며, 상기 수부재(71)와 암부재(72) 간의 체결 시간 및 분리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체결 공구 없이 폴딩되어 수납 위치에 있는 지붕과 베이스가 수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붕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이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언폴딩 방지 유닛은, 상기 지붕에 결합되어 있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암부재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수부재; 상기 수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암부재는, 평판 형상의 암부재 본체와, 상기 암부재 본체의 일측 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 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체결 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봉과, 상기 체결 봉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외측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의 외측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미리 정한 두께만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용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좌우 방향의 직경보다 상하 방향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체결 위치에 있는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스토퍼 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본체는, 상기 타단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력 또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부재가 상기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 위치로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부재가 상기 체결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고정용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암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수부재가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되지 않도록,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는,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측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에는, 외부 물체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붕에 결합되어 있는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암부재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체결 공구 없이 폴딩되어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과 베이스가 수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스토퍼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언폴딩 방지 유닛의 수부재가 분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수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수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암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6에 도시된 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6에 도시된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하우징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4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가 복수 개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어 들어 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해상 화물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접이식 컨테이너로서, 베이스(10)와, 지붕(20)과, 제1 벽체(30, 30')와, 제2 벽체(40)와, 언폴딩 방지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11)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전방 프레임(12)과, 후방 프레임(13)과 측방 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1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3)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전방 프레임(12)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1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14) 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3)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14) 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네 코너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베이스 포스트(15)의 하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붕(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21)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너 캐스팅(21)은 상기 베이스(10)의 코너 캐스팅(1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 캐스팅(21)의 구조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과 동일한 구조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붕(20)은, 전방 프레임(22)과, 후방 프레임(23)과 측방 프레임(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2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23)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전방 프레임(22)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24)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2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4) 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23)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4) 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벽체(30, 3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벽체(30, 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와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 위치한 가상의 회전 중심축(R)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벽체(30, 30')들 중 상기 베이스(10)의 전단부에 위치한 제1 벽체(30)는 한 쌍의 도어(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31)는, 상기 제1 벽체(30)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복수 개의 도어 힌지(34)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측방 프레임(35)에 결합되어 있는 문(door)이다.
상기 측방 프레임(35)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미리 정한 간격만큼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35)은, 상기 조립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벽체(40)의 양 측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31)의 외면에는, 상기 도어(31)를 잠그기 위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수직하게 배치된 로킹 로드(3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 로드(32)의 양단부에는 캠(3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캠(33)은 상기 제1 벽체(30)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키퍼(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벽체(30)들 중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1 벽체(30')는, 상기 도어(31)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전단부에 위치한 제1 벽체(30)와 차이가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수납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전단부에 위치한 제1 벽체(30)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벽체(4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기 지붕(20)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벽체(40)는, 상기 제1 벽체(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벽체(40)가 상술한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접이식 컨테이너(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8612호, 공고일: 2013년04월26일)의 측면 벽체(6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벽체(40)는, 상부 벽체(42)와 하부 벽체(4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벽체(42)의 상단부는 상기 지붕(20)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벽체(43)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10)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벽체(42)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벽체(43)의 상단부는 중간 힌지(41)에 의하여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벽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지붕(20)과 베이스(10) 사이의 공간에 반으로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언폴딩 방지 유닛(50)은,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20)이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암부재(51)와, 수부재(52)와, 스토퍼(53)와, 하우징(54)을 구비한다.
상기 암부재(51)는, 상기 지붕(20)의 측방 프레임(24)에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서, 4개가 마련되어 상기 지붕(20)의 네 코너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51)는, 암부재 본체(511)와, 체결 홈(512)과, 제1 경사면(513)과, 제2 경사면(5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부재 본체(511)는, 두꺼운 사각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지붕(20)의 측방 프레임(24)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 홈(512)은, 상기 암부재 본체(511)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홈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수부재(52)의 체결 봉(52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 경사면(513)은, 상기 수부재(52)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으로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재 본체(511)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배치되며,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경사면(513)은, 상기 체결 홈(512)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513)들이 서로 협력하여 좌방 또는 우방을 향하여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경사면(514)은, 상기 베이스(10)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으로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 본체(511)의 하단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514)들은 서로 협력하여 하방을 향하여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부재(52)는, 상기 암부재(5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10)의 베이스 포스트(15)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52)는, 수부재 본체(521)와, 체결 봉(522)과, 지지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부재 본체(52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중심축(C3)을 따라 길게 연장된 막대형 부재이다.
상기 수부재 본체(521)의 하단부에는, 제1 중심축(C1)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52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526)은, 좌우 방향의 직경보다 상하 방향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의 구멍으로서, 상하 방향의 장경(D1)이 좌우 방향의 단경(D2)보다 더 큰 값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부재 본체(521)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공(52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54)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용 수나사(544)에 의하여,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52)의 상단부는, 상기 암부재(51)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가 상기 결합공(5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체결 봉(522)은, 상기 암부재(51)의 체결 홈(51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봉으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23)는, 상기 수부재 본체(521)의 상단부에 마련된 "Y" 자 형상의 상단 한 쌍의 가지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523) 각각은, 상기 체결 봉(522)의 양단부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 봉(52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 본체(521)와 상기 지지부(523)의 사이 지점 외측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경사면(5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경사면(524)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의 경사면이다.
상기 수부재 본체(521)의 내측면에는, 미리 정한 두께(T)만큼 상기 베이스 포스트(15)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5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25)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15)에 접촉 가능한 두께(T)를 가지고 있으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15)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523)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 배치된 모서리들에는, 상기 암부재(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모따기 형태의 내측 경사면(5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25)의 좌우측 모서리에는 외부 물체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모따기 형태의 내측 경사면(5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2)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토퍼 본체(531)와, 회전 힌지(532)와, 고정 힌지(533)와, 힌지 핀(5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 본체(531)는, 사각 평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스토퍼 본체(5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2)의 지지부(523)들 중 내측에 있는 지지부(523)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힌지(532)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부재이다.
상기 회전 힌지(532)는, 상기 스토퍼 본체(531)의 상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 힌지(533)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포스트(15)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힌지 핀(534)은,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연장된 핀 부재로서, 상기 회전 힌지(532)와 상기 고정 힌지(533)을 함께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본체(531)의 하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위치에 있는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토퍼 본체(531)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15)에 의하여 구속되어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회전하지는 못하며, 상기 베이스(10)의 외측으로만 회전 운동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 본체(531)의 하단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하여 항상 하방을 향함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 본체(53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 위치로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4)은, 상기 수부재(52)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1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4)은,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체결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에 상단 개구부(5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 개구부(541)는,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4)은,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하단 개구부(5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 개구부(542)는 상기 상단 개구부(541)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4)의 외측면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관통공(5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543)은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관통공(543)의 직경은,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의 외경(D3)과 동일하거나 공차 범위 내에서 조금 큰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의 외경(D3)은, 상기 결합공(526)의 단경(D2)와 동일하거나 공차 범위 내에서 조금 작은 값을 가진다.
상기 관통공(543)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암나사부(54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부(545)는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와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543)의 반대편에는, 상기 하우징(54)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5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546)는, 상기 암나사부(545)가 위치한 곳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암나사부(545)의 나사산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우징(54)의 상단 개구부(541)에는,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수부재(52)가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돌출부(5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고정용 돌출부(547)는,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 본체(521)의 외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4)의 측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에는, 외부 물체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모따기 형태의 경사면(548)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의 작동 원리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위치에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의 베이스(1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1 벽체(30')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1 벽체(30')가 상기 회전 중심축(R)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10)의 바닥 위에 눕혀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 벽체(30')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벽체(30)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1 벽체(30)가 상기 회전 중심축(R)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벽체(30') 위에 눕혀지게 된다.
이어서,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2 벽체(40)를 내측으로 밀면서, 상기 지붕(20)을 지지하고 있는 포크 리프트를 서서히 하강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체(42)와 하부 벽체(43)가,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접혀서 서로 마주하도록 눕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지붕(20)은 완전히 하강하여 수납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2)는 상기 스토퍼 본체(531)에 의하여 구속됨으로써 분리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회전하지 못하고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 본체(531)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스토퍼 본체(5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52)를 체결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부재(52)의 체결 봉(522)이 상기 암부재(51)의 체결 홈(512)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 본체(531)를 손에서 놔버리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 본체(531)가 잠금 위치로 회전한 후 계속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의 폴딩(folding)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2)는 상기 스토퍼 본체(531)에 의하여 구속됨으로써 체결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회전하지 못하고 위치 고정된다.
한편, 상기 폴딩 작업이 완료된 접이식 컨테이너(1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후, 와이어(W)를 상기 지붕(20)의 코너 캐스팅(21)들에 연결하여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을 조립 위치로 다시 펼치는 언폴딩(unfolding)작업은, 상술한 폴딩(folding) 작업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20)이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50)을 구비하며, 상기 언폴딩 방지 유닛(50)은, 상기 지붕(20)에 결합되어 있는 암부재(51)와, 상기 암부재(5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암부재(51)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수부재(52)와, 상기 수부재(52)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5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 공구 없이 폴딩되어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20)과 베이스(10)가 수부재(5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암부재(51)가, 평판 형상의 암부재 본체(511)와, 상기 암부재 본체(511)의 일측 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 홈(512)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체결 홈(51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봉(522)과, 상기 체결 봉(52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523)를 포함하므로, 상기 수부재(52)와 암부재(51)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하 방향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부재(52)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외측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의 외측 경사면(5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배에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경우 다른 컨테이너 및 선박에 부딪히더라도 상기 외측 경사면(524)에 의하여 빗겨 내려가, 상기 수부재(52)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부재(52)의 내측면에는 미리 정한 두께만큼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5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부재(52)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되며, 외부로부터 수평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충격 하중을 베이스 포스트(15)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수부재(52)에 가해지는 충격 및 손상을 완충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암부재(51)가, 상기 수부재(52)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1 경사면(513)과, 상기 베이스(10)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2 경사면(51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지붕(20)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암부재(51)가 상기 베이스(10)의 상단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부재(5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5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526)에 삽입되어 상기 수부재(52)를 상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용 수나사(544)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526)은 좌우 방향의 직경(D2)보다 상하 방향의 직경(D1)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가 상기 결합공(5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52)가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함으로써, 상기 수부재(52)와 상기 암부재(51) 사이의 위치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수부재(52)와 상기 암부재(51)의 체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스토퍼(53)가, 상단부는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하단부는 상기 체결 위치에 있는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암부재(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스토퍼 본체(531)를 구비하므로, 슬라이딩 방식의 스토퍼에 비하여 작업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스토퍼 본체(531)의 하단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하여 항상 하방을 향함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하도록 바이어스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 본체(531)를 손에서 놔버리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 본체(531)가 자동적으로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스토퍼(53)가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체결 위치로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상기 지붕(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암부재(51)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5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부재(52)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체결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가 관통하는 관통공(543)과,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545)를 구비하는 하우징(54)을 포함하므로, 상기 수부재(52)의 하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개구부(541)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52)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하우징(54)의 암나사부(545)가, 상기 하우징(54)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546)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암나사부(545)의 나사산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고정용 수나사(544)와 암나사부(545)의 나사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하우징(54)의 개구된 상단부(541)에는,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수부재(52)가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되지 않도록,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돌출부(54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수부재(52)가 외부물체에 의한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하우징(54)의 하단부는,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54)의 내부에 고인 빗물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52)나 고정용 수나사(544)가 부식되지 않으며, 상기 수부재(52)가 상기 하우징(54)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에 걸려서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는, 상기 하우징(54)의 측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에는, 외부 물체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548)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배에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경우 다른 컨테이너 및 선박에 부딪히더라도 상기 경사면(548)에 의하여 빗겨 내려가, 상기 하우징(54)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54)의 상단 개구부(541)에 상기 위치 고정용 돌출부(547)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대신에, 상기 위치 고정용 돌출부(547)를 상기 수부재(52)의 외부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 본체(531)의 하단부가 중력에 의하여 항상 하방을 향함으로써 상기 잠금 위치에 바이어스되어 있으나 중력 대신에 또는 중력에 추가하여, 별도의 회전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미도시)을 사용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 바이어스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0 : 베이스
11 : 코너 캐스팅 12 : 전방 프레임
13 : 후방 프레임 14 : 측방 프레임
15 : 베이스 포스트 20 : 지붕
21 : 코너 캐스팅 22 : 전방 프레임
23 : 후방 프레임 24 : 측방 프레임
30, 30' : 제1 벽체 31 : 도어
32 : 로킹 로드 33 : 캠
34 : 도어 힌지 35 : 측방 프레임
40 : 제2 벽체 41 : 중간 힌지
42 : 상부 벽체 43 : 하부 벽체
50 : 언폴딩 방지 유닛 51 : 암부재
511 ; 암부재 본체 512 : 체결 홈
513 : 제1 경사면 514 : 제2 경사면
52 : 수부재 521 : 수부재 본체
522 : 체결 봉 523 : 지지부
524 : 외측 경사면 525 : 돌출부
526 : 결합공 527 : 내측 경사면
53 : 스토퍼 531 : 스토퍼 본체
532 : 회전 힌지 533 : 고정 힌지
534 : 힌지 핀 54 : 하우징
541 : 상단 개구부 542 : 하단 개구부
543 : 관통공 544 : 고정용 수나사
545 : 암나사부 546 : 내측 돌출부
547 : 위치 고정용 돌출부 548 : 경사면
C1 : 제1 중심축 C2 : 제2 중심축
C3 : 제3 중심축 R : 회전 중심축
W : 와이어

Claims (1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붕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이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언폴딩 방지 유닛은,
    상기 지붕에 결합되어 있는 암부재;
    상기 암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단부가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암부재와 결합되는 체결 위치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수부재;
    상기 수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체결 위치에 있는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수부재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스토퍼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 본체는,
    상기 타단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력 또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평판 형상의 암부재 본체와, 상기 암부재 본체의 일측 단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 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체결 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봉과, 상기 체결 봉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외측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의 외측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미리 정한 두께만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와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용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좌우 방향의 직경보다 상하 방향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부재가 상기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 위치로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용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부재가 상기 체결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수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고정용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암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수부재가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되지 않도록,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는,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부에 수용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단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에는, 외부 물체와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20140072363A 2014-06-13 2014-06-13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156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63A KR101567056B1 (ko) 2014-06-13 2014-06-13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63A KR101567056B1 (ko) 2014-06-13 2014-06-13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56B1 true KR101567056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363A KR101567056B1 (ko) 2014-06-13 2014-06-13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510A1 (en) 2004-09-01 2008-02-07 Container Technology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
US20120248105A1 (en) * 2009-01-05 2012-10-04 Folainer International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510A1 (en) 2004-09-01 2008-02-07 Container Technology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
US20120248105A1 (en) * 2009-01-05 2012-10-04 Folainer International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6877628B2 (en) Container with collapsible sides
JP4272190B2 (ja) コンテナのコーナ取付金具に連結するカプリング装置
JP6472900B2 (ja) 折畳み式コンテナ
US11577884B2 (en) Lockset and pallet loading bin having same
USRE47210E1 (en) Crates
WO2018019209A1 (zh) 容器盖子及容器
WO2019153991A1 (zh) 容器
AU2001273891A1 (en) A container with collapsible sides
EP3219644A1 (en) Connecting mechanism and foldable container comprising same
US20170247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psible container
WO2017205439A1 (en) Tool for use with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016145B2 (en) Collapsible bulk container
KR101567056B1 (ko) 언폴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JP5678646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101587588B1 (ko) 하방 프레임 잠금 장치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US20150144625A1 (en) Bulk bin with panel to panel interlock features
KR101962159B1 (ko) 운송박스의 본체
EP1744965B1 (en) A container having sidewalls that are pivotally and detachable attached by menas of hinge and a method of use
KR101626091B1 (ko) 완충 유닛이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20110032042A (ko) 컨테이너 어셈블리
US11198558B2 (en) Cylindrical twist lock device
JP3176013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101626090B1 (ko) 전면 벽체의 하단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CN105480527B (zh) 一种锁具及托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