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762B1 -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762B1
KR101566762B1 KR1020140074247A KR20140074247A KR101566762B1 KR 101566762 B1 KR101566762 B1 KR 101566762B1 KR 1020140074247 A KR1020140074247 A KR 1020140074247A KR 20140074247 A KR20140074247 A KR 20140074247A KR 101566762 B1 KR101566762 B1 KR 10156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plate
strut
rib
flange portio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모
김양규
정상우
차명진
Original Assignee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면에 고정설치된 하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상측에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 지주, 및 상부 지주를 하부 지주의 상측에서 접철가능하게 돕는 접철 수단을 갖춘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접철 수단은 회동 브라켓과 회동편 및 각도 조절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Light pole f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 차로 및/또는 인도에 인접 설치되어 야간에 차량의 주행, 보행자의 시야 확보 뿐만 아니라 거리 미관을 고려한 조명 구조물이다.
가로등은 지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지주와 이 지주의 상단에 장착된 발광램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로등은 보행자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지면에서 3m 이상의 높이에 발광램프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등 지주에서 발광램프의 교환 또는 수리할 경우 또는 가로등 지주의 도색, 커버의 세척 등의 보수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상부로 이동해야 한다.
한편, 해양 구조물 상에 기 설치된 등기구는 교체 혹은 수리시 사다리와 같은 고소작업대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실정법 상 해양 구조물에서는 고소작업대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있어 가로등의 유지관리가 불편한 게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 특허문헌 1은 고소작업대를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가로등을 개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2개의 포스트와, 이 2개의 포스트 사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가변축, 이 가변축의 상측 단부에 구비된 발광램프(LED 모듈), 및 와이어를 통해 가변축을 회동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위치가변수단을 통해 가변축을 지면으로 접철시킬 수 있는데, 위치가변수단은 전원인가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와이어의 장력으로 가변축을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예상치 못하게 전원 공급차단으로 작동불능 상태이거나 와이어의 절단으로 보행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은 문제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407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등기구의 상단부를 지지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접철시켜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지면에 고정설치된 하부 지주와 상기 하부 지주에서 접철 수단을 통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 지주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부 지주는 이의 하단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이 제1 플랜지부와 상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1 리브 플레이트, 및 제1 리브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플랜지부와 상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3 리브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하부 지주는 상부 지주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결합되며, 이의 상단에 설치된 제2 플랜지부와, 이 제2 플랜지부와 하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2 리브 플레이트, 및 제2 리브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플랜지부와 하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4 리브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덧붙여서, 접철 수단은 상부 지주의 제1 리브 플레이트에 구비된 회동 브라켓과, 하부 지주의 제2 리브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 및 회동 브라켓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한다.
제2 리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제4 리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제1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과 정렬되어, 제1 리브 플레이트에서 장착된 회동 브라켓의 숫나사산부를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 사이로 개재할 수 있다.
제3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과 정렬되는데, 접철시 제3 리브 플레이트의 일부가 제4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되어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의 접철을 돕는다.
본 발명은 힌지핀을 수단으로 하여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와 제3 리브 플레이트와 힌지결합하여,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접철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회동 브라켓은 U자형상부와 이 U자형상부에서 길이연장되어 있는 숫나사산부로 이루어진다.
U자형상부는 제1 회동핀을 통해 제1 리브 플레이트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도 조절부는 암나사산부와 이 암나사산부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뻗어 있는 손잡이부를 일체로 구비한다. 각도 조절부의 암나사산부는 회동 브라켓의 숫나사산부와 나사체결되어 회동 브라켓에 각도 조절부를 장착하게 된다.
회동편은 이의 중심영역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회동 브라켓의 숫나사산부를 회동편을 가로질러 통과시킬 수 있다. .
회동핀은 제2 회동핀을 통해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숫나사산부는 각도 조절부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이의 단부는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는 상부 지주의 상측에 발광램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접철 방식을 통해 등기구의 상측을 지면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 그리고 전원 공급 없이도 등주의 상단 지주를 접철·하강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는 상단 지주에 장착된 발광램프 등의 교체 및/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신장 혹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등기구의 상단 지주의 입설각도를 조절하여 상단 지주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호부에 도해된 접철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의 상부 지주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원호부에 도해된 접철수단의 상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접철가능한 등기구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1)는 하부 지주(200)와, 이 하부 지주(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지주(100), 및 상부 지주(100)와 하부 지주(200)를 상호 결합하는 접철수단(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상부 지주(100)의 상측에는 발광램프(600)를 구비한다.
하주 지주(200)의 하단은 지면, 해양구조물 등의 지지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상부 지주(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수단 및/또는 힌지핀(430)을 매개로 하여 하부 지주(200)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주(200)의 상단은 하부 지주(200)의 신장방향과 직교되는 제2 플랜지부(210)와, 하부 지주(200)와 제2 플랜지부(210) 사이에 배치된 제2 리브 플레이트(220), 및 제2 리브 플레이트(22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하부 지주(200)와 제2 플랜지부(210) 사이에 배치된 제4 리브 플레이트(23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제2 리브 플레이트(220)는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부 지주(2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제4 리브 플레이트(230)는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도 3 참조)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부 지주(2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다시 말하자면, 제2 리브 플레이트(220)와 제4 리브 플레이트(230)는 하부 지주(200)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되게, 상부 지주(100)의 하단은 상부 지주(100)의 신장방향과 직교되는 제1 플랜지부(110)와, 상부 지주(100)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배치된 제1 리브 플레이트(120), 및 제1 리브 플레이트(12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부 지주(100)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배치된 제3 리브 플레이트(130)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 리브 플레이트(120)와 제3 리브 플레이트(130)는 상부 지주(100)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제1 리브 플레이트(120)와 제2 리브 플레이트(220)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3 리브 플레이트(130)와 제4 리브 플레이트(230)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리브 플레이트(120)는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220)의 간극에 정렬되고, 제3 리브 플레이트(130)는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230)의 간극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리브 플레이트(130)의 일부는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230) 사이에 중첩될 수 있게 연장되고, 제3 리브 플레이트(130)와 제4 리브 플레이트(230)는 힌지핀(430)을 통해 힌지결합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 지주(100)와 하부 지주(200)는 힌지핀(43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1 리브 플레이트(120)는 이의 하단에 회동 브라켓(150)을 제1 회동핀(41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회동 브라켓(150)은 U자형상부(151)와 이 U자형상부(151)에서 길이연장되어 있는 숫나사산부(15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1)는 지지면에 고정된 하부 지주(200)에 힌지핀(430)으로 힌지결합된 상부 지주(100)로 이루어지는데, 접철수단인 각도 조절부(300)를 통해 상부 지주(100)의 입설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조절부(300)는 전반적으로 손잡이부(310)와 암나사산부(320)를 일체로 구비한다. 손잡이부(310)는 암나사산부(32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뻗어 있어 손잡이부(310)를 인접해 있는 다른 구성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3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잡이부(310)를 용이하게 회전구동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220) 사이에 회동편(500)을 배치한다. 회동편(500)은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중심영역에 관통공(미도시)을 구비한다. 관통공은 회동 브라켓(150)에서 길이연장된 숫나사산부(152)를 회동편(500)을 가로질러 통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관통공은 숫나사산(152)의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천공되어야 한다.
회동편(500)은 상부 지주(100)의 입설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220) 사이에 개재되는데, 제2 회동핀(420)을 통해 제2 리브 플레이트(220)에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는 각도 조절부(300)의 (풀림 또는 죄임을 통한) 회전구동에 따른 상부 지주(100)의 입설 각도에 종속되어 회동편(500)을 회전시켜, 각도 조절부(300)의 암나사산부(320)에서 회동 브라켓(150)의 숫나사산부(152)의 회전 활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회동편(500)은 각도 조절부(300)의 암나사산부(320)와 분리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회동편(500)은 각도 조절부(300)의 암나사산부(320)와 결합될 수 있는데, 회동편(500)과 각도 조절부(300)의 암나사산부(320)는 결합 부위에서 베어링부재(bearing)를 통해 각도 조절부(300)의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철가능한 등기구(1)가 상부 지주(100)와 하부 지주(200)를 수직방향으로 일직선되게 배열하고 상부 지주(100)의 추가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접촉배치된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210)를 체결볼트(미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1)의 상부 지주(100)를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도 조절부(300)의 손잡이부(3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부(320)와 일체로 구비된 암나사산부(320)가 숫나사산부(152)와 풀려지면서 숫나사산부(152)가 점차적으로 전진하고 제1 리브 플레이트(120)를 제2 리브 플레이트(220)에서 이격되며, 상부 지주(100)와 하부 지주(200)는 힌지핀(430)을 통해 힌지결합되어 상부 지주(100)는 지지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부 지주(100)가 하방으로 경사지면 상부 지주(100)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램프(600;도 1 참조)의 교체 및/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각도 조절부(300)가 일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면, 숫나사산부(152)가 암나사산부(320)에서 분리되어 각도 조절부(300)와 회동 브라켓(150)을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상부 지지(100)를 접철가능하게 보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숫나사산부(152)는 이의 일 단부에 스토퍼(153)를 구비한다. 스토퍼(153)는 숫나사산부(152)가 각도 조절부(300)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숫나사산부(152)가 암나사산부(320)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지주(100)의 최대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입설 각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손잡이부(3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사산부(320)가 숫나사산부(132)를 죄이면서 숫나사산부(152)가 점차적으로 후퇴하고 벌어져 있던 제1 리브 플레이트(120)와 제2 리브 플레이트(220)를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지주(100)는 하부 지주(200)와 일직선되게 입설시킬 수 있을 것이다(도 1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등기구,
100 ----- 하부 지주,
150 ----- 회동 브라켓,
200 ----- 상부 지주,
300 ----- 각도 조절부,
500 ----- 회동편,
410, 420 ----- 회동핀,
430 ----- 힌지핀,
600 ----- 발광램프.

Claims (10)

  1. 지지면에 고정설치된 하부 지주와 상기 하부 지주에서 접철 수단을 통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 지주를 구비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는 이의 하단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1 리브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리브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3 리브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주는 상기 상부 지주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결합되며, 이의 상단에 설치된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2 리브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리브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지주 사이에 배치된 제4 리브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접철 수단은 상기 상부 지주의 제1 리브 플레이트에 구비된 회동 브라켓과, 상기 하부 지주의 제2 리브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 및 상기 회동 브라켓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 브라켓은 U자형상부와 상기 U자형상부에서 길이연장되어 있는 숫나사산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리브 플레이트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편은 이의 중심영역에 상기 회동 브라켓의 숫나사산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암나사산부와 상기 암나사산부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뻗어 있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 조절부의 암나사산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의 숫나사산부와 나사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리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과 정렬되고,
    상기 제3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4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핀을 수단으로 하여 상기 제3 리브 플레이트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자형상부는 제1 회동핀을 통해 상기 제1 리브 플레이트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 플레이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편은 제2 회동핀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2 리브 플레이트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산부의 단부는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는 이의 상측에 발광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KR1020140074247A 2014-06-18 2014-06-18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KR10156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47A KR101566762B1 (ko) 2014-06-18 2014-06-18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47A KR101566762B1 (ko) 2014-06-18 2014-06-18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762B1 true KR101566762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247A KR101566762B1 (ko) 2014-06-18 2014-06-18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209B1 (ko) * 2020-02-18 2020-07-24 주식회사 다모다 산업보안등용 스프링 경첩식폴대
KR102540647B1 (ko) 2023-02-10 2023-06-05 국립공원공단 물때 신호등 및 그 신호등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91B1 (ko) 2008-12-22 2009-06-10 광주광역시 남구 가로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91B1 (ko) 2008-12-22 2009-06-10 광주광역시 남구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209B1 (ko) * 2020-02-18 2020-07-24 주식회사 다모다 산업보안등용 스프링 경첩식폴대
KR102540647B1 (ko) 2023-02-10 2023-06-05 국립공원공단 물때 신호등 및 그 신호등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568945Y (zh) 全方位自动泛光工作灯
KR101566762B1 (ko)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MXPA06013415A (es) Luminaria direccional externamente ajustable.
US20150184834A1 (en) Lighting poles with accessible electrics
KR20160028261A (ko) 엘이디 모듈의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등기구
CN106678646A (zh) 一种照射角度可调的路灯
CN204114597U (zh) 可移动式光源
KR100992857B1 (ko) 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용 가로등기구
CN103175115A (zh) 灯具转动支架及含有该灯具转动支架的高顶灯
KR101649977B1 (ko) 해양 구조물에 장착되는 등기구
CN207729419U (zh) 一种新型led路灯
CN209371048U (zh) 一种升降式路灯
CN212081172U (zh) 一种便捷式路灯灯杆结构
CN209262970U (zh) 一种方便调节的led泛光灯
CN208670762U (zh) 角度可调的led灯具
KR100991517B1 (ko) 가로등
JP5842150B2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692391B1 (ko) 빛 조사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KR20160033889A (ko) 가로등
CN208764800U (zh) 一种屏风式工作灯
CN103851589A (zh) 一种双灯头转向结构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CN217441441U (zh) 一种杠杆平衡可调高度距离的专业台灯
KR102338843B1 (ko) 태양전지판을 갖는 지주용 조명장치
CN213656546U (zh) 一种道路智能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