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608B1 - 자동 동물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동물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08B1
KR101566608B1 KR1020140010108A KR20140010108A KR101566608B1 KR 101566608 B1 KR101566608 B1 KR 101566608B1 KR 1020140010108 A KR1020140010108 A KR 1020140010108A KR 20140010108 A KR20140010108 A KR 20140010108A KR 101566608 B1 KR101566608 B1 KR 10156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feed
animal
power sour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60A (ko
Inventor
류근호
윤효은
한승오
유일재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동물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육장을 이용하여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육장; 사육장으로 사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사료공급수단; 사육장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음용수공급수단; 사육장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운반수단; 및, 동물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화상 처리하도록 설치된 촬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동물을 사육하는데 필요한 사료 및 음료수 공급, 실시간 감시 및, 체중 측정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동물 사육 장치{Auto device for breeding animal}
본 발명은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케이지에 수용된 동물에게 사료 및 물을 공급하고,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배설물 청소 및 동물의 체중을 잴 수 있도록 한 자동 동물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장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최근 생명공학의 발달로 실험동물을 사육하여 임상실험, 독성실험, 안정성시험, 번식 및 사육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육의 경우 많은 수의 개체를 쾌적한 환경(쾌적하며 사육 오차가 적은 환경)에서 발육시키게 되고, 이때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사육장이 요구된다.
여기서,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종래의 사육장은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2115호(발명의 명칭:실험동물 사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을 이룬 다수의 선반(10) 각각에 동물이 수용된 케이지(11)가 안착되어 이루어졌다.
하지만, 종래의 사육장 내의 동물 관찰이나, 사료 및 음용수의 공급 또는, 체중 측정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육활동은 연구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사육장이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 해당 사육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0932115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촬영수단을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사육 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공급수단을 마련하여 사료 및 음용수를 공급하며,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사육 동물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동물 사육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물 사육 장치는, 사육장을 이용하여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육장; 사육장으로 사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사료공급수단; 사육장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음용수공급수단; 사육장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운반수단; 및, 동물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화상 처리하도록 설치된 촬영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육장은 동물을 수용하면서 하면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수용함,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동물의 배설물을 담기 위해 수용함 하부에 장착된 배설물받이를 구비하고,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료그릇 및,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음용수그릇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료공급수단은 사료를 담는 사료통, 사료통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 사료통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료통은 사육장 내에 설치된 사료그릇까지 사료를 공급하도록 연장 형성된 분배관 및, 분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1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용수공급수단은 음용수를 담는 음용수통, 음용수통과 연결되어 사육장 내에 설치된 음용수그릇까지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음용수라인, 음용수라인을 통해 음용수를 유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동력원, 음용수통과 음용수라인 간의 개폐를 위해 설치된 제2밸브 및, 음용수라인에서 음용수그릇으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음용수라인을 개폐하도록 음용수라인 상에 설치된 제3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반수단은 사육장 근처에 설치된 지지체, 지지체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부재, 이동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육장의 동물 수용함을 파지하도록 설치된 파지부 및,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3동력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파지부는 이동부재 상에 설치되어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4동력원 및, 제4동력원에 의해 상, 하로 이동하여 오므리거나 벌어지면서 수용함을 파지하도록 설치된 파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재는 한 쌍인 지지체들의 대향된 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촬영수단은 제4동력원에 설치된 카메라 및,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화상처리 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에게 제공하는 사료 및 음용수가 공급수단을 통해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물이 수용된 사육장이 운반수단을 통해 들어 올려져 체중계까지 운반됨으로써, 운반 후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간 및 공간이 확보되고, 동물이 수용된 사육장 전체의 중량을 측정한 후 사육장 자체 무게를 제하여 동물의 체중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육장 내의 동물을 촬영하여 별도의 관리 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에 보여 지도록 함으로써, 연구원 또는 관리자가 편한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동물 사육장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동물 사육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료공급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용수공급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지지체 및 운반수단의 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제어기의 연계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동물 사육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료공급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음용수공급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지지체 및 운반수단의 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제어기의 연계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물 사육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사육장(100),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110), 음용수를 공급하는 음용수공급수단(120), 각각의 사육장(100)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수단(130) 및, 동물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육장(100)은 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격자무늬의 망 형태로 제작된 수용함(101) 및, 수용함(101)의 하부에 배치된 배설물받이(1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물의 배설물은 수용함(101)을 운반수단(130)으로 들어올렸을 때 배설물받이(102)에 수집되고, 이 배설물받이(102)를 운반하여 별도로 처리하면 된다. 이때, 수용함(101)의 하면은 격자형태의 철망으로 제작되거나, 하면에 격자무늬의 다수의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된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배설물받이(102)에는 깔집(bedding material)이 마련되고, 이 깔집과 함께 사육장(100)은 매주 1회 또는 그 이상 교체하고, 특히 사육장(100)은 교체시 멸균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사육장(100) 하나당 한 마리의 동물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운반수단(130)을 이용하여 동물의 체중을 측정할 때 각 동물의 정확한 체중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수용함(101)에는 동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는 문(미도시)이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고, 사료그릇(103,도 3 참조) 또는 음용수그릇(104,도 4 참조)이 내부에 마련된다.
사료공급수단(11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료를 담아 사료그릇(103)에 분배하도록 제작된 사료통(111), 사료통(11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사육장(10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112) 및, 사료통(111)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사료통(111)에는 사료그릇(103)까지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분배관(114)이 형성되고, 이 분배관(114)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1밸브(115)가 설치된다.
또한, 제1동력원(113)은 사료통(111)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되고, 도 6에서와 같이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기(150)는 제1밸브(115)의 개폐 및 제1동력원(113)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고, 또한 제1동력원(113)의 이동 및 이동 위치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기(150)에 대한 설명은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서 추가로 언급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료공급수단(110)은 사료통(111)이 제1동력원(113)에 의해 가이드부재(112)를 따라 미리 설정된 사육장(100)의 사료그릇(103)까지 이동되고, 제1밸브(115)가 개방되어 분배관(114)을 통해 일정량의 사료가 사료그릇(103)에 공급된다. 이후, 제1밸브(112)가 폐쇄되면서 분배관(114)이 폐쇄되면 사료통(111)은 다음 사육장(100)의 사료그릇(103)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음용수공급수단(120)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용수를 담아 놓은 음용수통(121), 음용수통(121)과 연결되어 사육장(10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면서 음용수그릇(104)에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음용수라인(122), 음용수를 유동시키도록 음용수라인(122) 상에 설치된 제2동력원(123), 음용수통(121)과 음용수라인(122)의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밸브(124) 및, 음용수라인(122)에서 적당량의 음용수를 음용수그릇(104)으로 분배하기 위한 제3밸브(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용수공급수단(120)은 제2밸브(124)가 개방되어 음용수통(121)의 음용수가 제2동력원(123)에 의해 음용수라인(122)을 따라 유동하고, 제3밸브(125)가 개방되어 음용수그릇(104)에 음용수가 공급된다. 이후, 제3밸브(125)가 폐쇄되어 음용수의 공급이 종료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용수의 공급은 제2동력원(123) 및 제2,3밸브(124,12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3밸브(124,125) 및 제2동력원(123)은 도 6에서와 같이 제어기(150)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운반수단(13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장(100)을 들어올려 별도 마련된 체중계(미도시)까지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운반수단(130)은 사육장(100) 근처에 설치된 지지체(131), 이 지지체(13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132), 이동부재(132)를 따라 이동하여 사육장(100)의 수용함(101)을 파지하는 파지부(133) 및, 이동부재(132)의 동력을 제공하는 제3동력원(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체(131)는 사육장(10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대향된 면에 이동부재(132)를 지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31a)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부착된다. 이때, 이동부재(132)가 한 쌍의 지지체(131)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안내홈(131a)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파지부(133)는 이동부재(1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부재(132) 상에 설치된 제4동력원(135) 및, 제4동력원(13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용함(10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파지부재(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파지부재(136)는 제4동력원(135)에 의해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통해 수용함(101)에 형성된 공간들 통해 수용함(101)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동력원(134) 및 제4동력원(135)은 도 6에서와 같이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구성된 파지부(133)는 제4동력원(135)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파지부재(136)가 오므리는 동작을 통해 수용함(101)에 형성된 공간들 통해 수용함(101)을 파지하면 파지부재(136)가 위로 이동함으로써, 수용함(101)을 들어올리고, 사육장(100) 근처에 마련된 체중계(미도시)에 내려놓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파지부(133)는 역순서를 통해 사육장(1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동물의 체중은 동물이 수용된 수용함(101)의 무게를 잰 다음 미리 측정한 수용함(101)의 무게를 빼서 얻을 수 있다.
촬영수단(140)은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4동력원(135)에 설치된 카메라(141) 및, 카메라(141)에서 획득한 영상을 화상처리 하는 모니터(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카메라(141)는 사육장(100) 내의 동물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제4동력원(135)과 함께 이동한다. 특정 시점에서 어느 한 사육장(100) 내의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기(150)가 제4동력원(135)을 이동시키면서 카메라(141)의 줌 기능, 촬영 시점 및 위치에 대해 제어한다.
그리고, 모니터(142)는 카메라(141)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카메라(141)에서 획득한 영상을 연구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상처리 한다. 물론, 이 모니터(142)는 연구원 또는 관리자가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고, 제어기(150)가 모니터(142)의 전원 ON/OFF 및 화상처리 에 대해 제어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자동사육 장치는 실시 예에서 단층의 구성이 제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복층을 이루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사육장 101:수용함
102:배설물받이 103:사료그릇
104:음용수그릇 110:사료공급수단
111:사료통 112:가이드부재
113:제1동력원 114:분배관
115:제1밸브 120:음용수공급수단
121:음용수통 122:음용수라인
123:제2동력원 124:제2밸브
125:제3밸브 130:운반수단
131:지지체 131a:안내홈
132:이동부재 133:파지부
134:제3동력원 135:제4동력원
136:파지부재 140:촬영수단
141:카메라 142:모니터
150:제어기.

Claims (9)

  1. 사육장을 이용하여 동물을 사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물을 수용하면서 하면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수용함(101),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상기 동물의 배설물을 담기 위해 상기 수용함(101)의 하부에 장착된 배설물받이(102)를 구비하고,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료그릇(103) 및,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음용수그릇(104)이 내장된 사육장(100);
    상기 사육장(100)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그릇(103)에 사료를 공급하도록 연장 형성된 분배관(114) 및 상기 분배관(114)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1밸브(115)를 구비한 사료통(111), 상기 사료통(111)을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113), 상기 사료통(11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12)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110);
    상기 사육장(100)으로 음용수를 담는 음용수통(121), 상기 음용수통(121)과 연결되어 상기 사육장(100) 내부에 설치된 음용수그릇(104)에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음용수라인(122), 상기 음용수라인(122)을 통해 상기 음용수를 유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동력원(123), 상기 음용수통(121)과 음용수라인(122)간의 개폐를 위해 설치된 제2밸브(124) 및 상기 음용수라인(122)에서 음용수그릇(104)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음용수라인(122)상에 설치된 제3밸브(125)를 통해 음용수를 공급하는 음용수공급수단(120);
    상기 사육장(100)에 설치된 지지체(131), 상기 지지체(13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132), 상기 이동부재(132)에 설치되어 이동부재(1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4동력원(135) 및 상기 제4동력원(13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오므리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수용함(101)을 파지하도록 설치된 파지부재(136)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13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사육장(100)의 동물 수용함(101)을 파지하는 파지부(133) 및 한 쌍인 지지체(131)들의 대향된 면에 형성된 안내홈(131a)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안내홈(131a)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기 이동부재(132)를 이동운반하여 상기 사육장(1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운반수단(130); 그리고,
    상기 동물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상기 제4동력원(135)에 설치된 카메라(141) 및, 상기 카메라(141)에서 획득한 영상을 화상처리하는 모니터(142)가 설치된 촬영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물 사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0108A 2014-01-28 2014-01-28 자동 동물 사육 장치 KR10156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08A KR101566608B1 (ko) 2014-01-28 2014-01-28 자동 동물 사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08A KR101566608B1 (ko) 2014-01-28 2014-01-28 자동 동물 사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60A KR20150089460A (ko) 2015-08-05
KR101566608B1 true KR101566608B1 (ko) 2015-11-06

Family

ID=5388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108A KR101566608B1 (ko) 2014-01-28 2014-01-28 자동 동물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41B1 (ko) 2020-04-08 2020-11-09 이유식 자동 닭사육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21B1 (ko) * 2021-03-10 2023-08-29 국립암센터 실험 동물 절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263A (ja) 2001-09-18 2003-03-25 Hamurii Kk 実験動物用の個別環境制御飼育装置
US20110054669A1 (en) * 2009-09-01 2011-03-03 Savoia Luciano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handling and reassembling devices for containing animals in a lab animal ro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263A (ja) 2001-09-18 2003-03-25 Hamurii Kk 実験動物用の個別環境制御飼育装置
US20110054669A1 (en) * 2009-09-01 2011-03-03 Savoia Luciano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handling and reassembling devices for containing animals in a lab animal 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41B1 (ko) 2020-04-08 2020-11-09 이유식 자동 닭사육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60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9014757A2 (pt) Manipulação e classificação automáticas de insetos para crescimento e liberação
KR102066191B1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양식장용 다층 수조 시스템
US11930795B2 (en) Larvae counter
KR101566608B1 (ko) 자동 동물 사육 장치
KR101698315B1 (ko) 새집
IL217578A (en) A facility for use in fish status monitoring
KR101776935B1 (ko) 의료실험용 동물 사육 크린룸
KR20090078966A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JP6869736B2 (ja) 小動物飼育用ラック
KR101372998B1 (ko) 연립형 사육이 가능한 실험동물 무균함
KR101201430B1 (ko) 어류용 자동화 백신접종방법 및 백신접종장치
KR101349115B1 (ko)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KR101831928B1 (ko) 맞춤형 실험동물 사육 시스템
JP2008051721A (ja) 染色台
US3254627A (en) Animal cage construction
US20060112896A1 (en) Bifurcated habitat for animals
US9095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nimals kept in restricted compartments with feed
CN208211161U (zh) 一种小鼠培养装置
KR20130005877U (ko) 가축용 급수기
ES2684996T3 (es) Máquina de esterilización para reprocesar un endoscopio
KR101626815B1 (ko)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RU158105U1 (ru) Станок для содержания свиноматок
CN220776998U (zh) 一种种蛋收集用生产线
Vilensky et al. Establishing a Fishroom for African Turquoise Killifish Nothobranchius furzeri
EP4008180A1 (en) Feeding system for hatched ch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