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414B1 -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414B1
KR101566414B1 KR1020130112712A KR20130112712A KR101566414B1 KR 101566414 B1 KR101566414 B1 KR 101566414B1 KR 1020130112712 A KR1020130112712 A KR 1020130112712A KR 20130112712 A KR20130112712 A KR 20130112712A KR 101566414 B1 KR101566414 B1 KR 10156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nit
data
type
rem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22A (ko
Inventor
김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3011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4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04B7/269Master/slav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 제공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유닛은, 상기 기지국이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과 상기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레임 처리부; 및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레임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리모트 유닛 상에서의 제공 서비스 분석에 따른 다중 대역통신이 가능한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계기는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범위가 미치지 못하는 장소 등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동통신의 기술 발달로 다양한 대역 및 종류의 서비스가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에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하여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서는 전송용량의 증가가 불가피하며 또한 중계 장치가 커지게 되며, 커진 중계 장치는 장비 가격 상승과 소비전력의 증가로 유지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전송 선로 내에서 많은 종류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여러 개의 전송 선로를 추가 설치 및 운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한정된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통신의 중계가 가능하도록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의 분석이 가능한 중계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 및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도록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한정된 서비스에도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한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곳과 같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필요한 장소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 제공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유닛은,
상기 기지국이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과 상기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레임 처리부; 및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레임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RU 서비스들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 및 각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RU 서비스의 종류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 및 각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RU 서비스의 종류가 저장되는 RU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서비스 감지 수단;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가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를 상기 RU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상기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와 상기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가 상기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를 상기 변환 대상 서비스로 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데이터 가공부를 제어하는 서비스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별 통신량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한 변환 대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선택수단은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될 용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만 변환 대상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반영하여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가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까지의 전송선로의 대역폭 중 상기 변환 대상 서비스에 대한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부는 CDMA 800, LTE700, LTE 1800, LTE 2600, WCDMA 2100 및 WIFI 서비스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제공 서비스가 없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에 의한 서비스 제공 영역 내에 서비스가 제공될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의 변환 및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호스트 유닛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모트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별 연결을 위한 복수의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호스트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RU 데이터 가공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RU 프레임 처리부; 및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RU 프레임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하는 RU 서비스 감지 수단과,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은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상이한 경우 상기 RU 서비스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로부터 상기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에 의하여 보고될 서비스 종류를 선택받는 RU 서비스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은 상기 RU 서비스 감지수단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거나, 해당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을 분석하여 이를 중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한정된 선로에서 더 많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한정된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 및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에 따라 최적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중계기의 전송 선로 용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곳과 같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필요한 장소에 서비스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 낭비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에 구비되는 RU 제어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호스트 유닛(MHU) 및 리모트 유닛(RU)들을 포함한다. 호스트 유닛(MHU)은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다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다수의 서비스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구성부이다.
리모트 유닛(RU)들은 사용자 단말기(UM)들이 무선 통신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영역(SA)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UM)들은 리모트 유닛(RU)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유닛(HMU)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로는 CDMA 800, LTE700, LTE 1800, LTE 2600, WCDMA 2100 및 WIFI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100)은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 데이터 가공부(120), 프레임 처리부(130), 프레임 송수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지국(미도시)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서비스별로 접속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데이터 가공부(120)는 전송되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부분을 분리하고, 서비스의 종류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가공부(120)는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헤더 등을 분리하여 프레임에 포함된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데이터를 새로운 서비스의 종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 처리부(130)는 데이터 가공부(120)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 리모트 유닛(R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프레임 동기화는 데이터 연결 프로토콜에서 특수 비트 조합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를 표시하고 이 방식으로 송수신기 간에 동기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 송수신부(140)는 특정 서비스 종류로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RU)을 전송하거나, 리모트 유닛(R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RU 서비스들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도록 RU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동시에 앞서 설명한 각 구성부들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감지수단(151), 서비스 변환 수단(153), 서비스 선택 수단(155) 및 모니터링 수단(157)을 포함한다.
서비스 감지 수단(151)은 상술한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한다. 서비스 감지 수단(151)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데이터 가공부(120)를 제어하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특정 서비스 종류로 변환하도록 한다.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해당 데이터가 목적으로 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중의 하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앞서 설명한 RU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참조한다. 이어서,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수신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없는 경우에는 전송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의 하나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157)은 각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송수신될 통신량을 모니터링 한다.
서비스 선택 수단(155)은 변환 대상 서비스, 즉 데이터 가공부(120)에 의하여 변환될 서비스 종류 중 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모니터링 수단(157)에 의하여 특정 서비스 종류에 대한 통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변환 수단(153)이 다수의 변환 대상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 종류를 피하여 통신량에 여유가 있는 타 서비스 종류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서비스 종류로 선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신량의 문턱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모니터링 수단(157)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확인하여 특정 서비스 종류에 통신량이 집중되는 경우 리모트 유닛까지 연결되는 전송선로의 대역폭 중 해당 서비스 종류에 할당된 대역폭을 증가시킴으로써 통신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특정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제공 서비스 종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해당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에 서비스가 제공될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데이터의 변환을 하지 않거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에 구비되는 RU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리모트 유닛(200)은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210), RU 데이터 가공부(220), RU 프레임 처리부(230), RU 프레임 송수신부(240) 및 RU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 별 연결 지점을 제공한다.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210)는 서비스의 종류별로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RU 데이터 가공부(220)는 호스트 유닛(MHU)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 종류로 변환한다. 즉, RU 데이터 가공부(220)는 앞서 설명한 호스트 유닛(MHU)의 데이터 가공부와 유사하게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종류로 변환시킨다.
RU 프레임 처리부(230)는 RU 데이터 가공부(220)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RU 프레임 송수신부(240)는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호스트 유닛(MHU)으로 송신하거나,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RU 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 RU 서비스 종류 보고 수단(253) 및 RU 서비스 선택 수단(255)을 포함한다.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특정 서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호스트 유닛(MHU)에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의 종류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될 때마다 호스트 유닛(MHU)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호스트 유닛(MHU)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와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상이한 경우만 RU 서비스 감지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를 호스트 유닛(MHU)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수단(251)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 또는 제공될 서비스 종류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호스트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유닛은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리모트 유닛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송선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RU 서비스 선택 수단(255)은 관리자로부터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에 의하여 보고될 서비스 종류를 입력받는다.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서비스의 종류는 RU 서비스 감지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와 함께 또는 대체하여 호스트 유닛(MHU)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200a)은 호스트 유닛(MHU)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 전부가 아닌 일부의 서비스 종류가 지원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즉,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210a)는 관리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특정 서비스 종류의 인터페이스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리모트 유닛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를 미리 호스트 유닛에 등록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송선로 및 대역폭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호스트 유닛
110: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120: 데이터 가공부
130: 프레임 처리부
140: 프레임 송수신부
150: 제어부
200: 리모트 유닛(RU)
210: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220: RU 데이터 가공부
230: RU 프레임 처리부
240: RU 프레임 송수신부
250: RU 제어부

Claims (14)

  1. 복수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 제공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별 연결을 위한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과 상기 리모트 유닛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레임 처리부;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레임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서비스 감지 수단; 및 상기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와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가 상기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를 상기 변환 대상 서비스로 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상기 데이터 가공부를 제어하는 서비스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호스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RU 서비스들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 및 각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RU 서비스의 종류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 및 각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RU 서비스의 종류가 저장되는 RU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호스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가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를 상기 RU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상기 감지된 서비스의 종류와 상기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비교하는, 호스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별 통신량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호스트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한 변환 대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호스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선택수단은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될 용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만 변환 대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호스트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반영하여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가 목적하는 리모트 유닛까지의 전송선로의 대역폭 중 상기 변환 대상 서비스에 대한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호스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부는 CDMA 800, LTE700, LTE 1800, LTE 2600, WCDMA 2100 및 WIFI 서비스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호스트 유닛.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제공 서비스가 없거나 상기 리모트 유닛에 의한 서비스 제공 영역 내에 서비스가 제공될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의 변환 및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호스트 유닛.
  10. 호스트 유닛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별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RU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호스트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RU 데이터 가공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RU 프레임 처리부;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RU 프레임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하는 RU 서비스 감지 수단;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상이한 경우 상기 RU 서비스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상기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에 의하여 보고될 서비스 종류를 선택받는 RU 서비스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
  14. 제10항에 있어서,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은 상기 RU 서비스 감지수단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거나, 해당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리모트 유닛.

KR1020130112712A 2013-09-23 2013-09-23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10156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2A KR101566414B1 (ko) 2013-09-23 2013-09-23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2A KR101566414B1 (ko) 2013-09-23 2013-09-23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2A KR20150033122A (ko) 2015-04-01
KR101566414B1 true KR101566414B1 (ko) 2015-11-13

Family

ID=5303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12A KR101566414B1 (ko) 2013-09-23 2013-09-23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642B1 (ko) * 2018-07-10 2022-04-27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155140B1 (ko) * 2019-03-08 2020-09-11 주식회사 쏠리드 통신 노드와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563534B1 (ko) * 2019-03-20 2023-08-09 주식회사 쏠리드 통신 노드 및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2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349B2 (en)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9332559B2 (en) Method and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n operation channel,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hannel selector
US8831520B2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1886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lternative second stationary access point in response to detecting impeded wireless connection
JP5131026B2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並びに制御装置及び無線装置
US20140349663A1 (en)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US958421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optical transmission lines
US9351180B2 (e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at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TWI678092B (zh) 長距離全雙工無線通訊方法與通訊系統
JPWO2006134642A1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
KR101566414B1 (ko)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CN103109560A (zh) 一种操作维护通道的故障恢复方法和网络管理终端
JP39025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基地局とその無線通信モデムの障害復旧方法
CN110431878B (zh) 一种包括软件定义无线电接收机的基站
WO2018191002A1 (en) Managing a communications system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architecture
JP2018142929A (ja) フレームキャプチャシステム、フレームキャプチャ装置、フレームキャプチ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6071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9294927B2 (en) Data flow transmission via aggregated bands
KR101566413B1 (ko)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에서의 리모트 유닛
CN107465996B (zh) 无线监测系统
KR100710648B1 (ko) 망 분리 구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N111328147B (zh) 一种抗干扰的稳定高速自组网通信方法
US20190007851A1 (en) Sdn-based multiple wireless network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6721958B2 (ja) 集中監視システム
JP4760039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基地局、無線端末、モニタ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