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126B1 -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126B1
KR101566126B1 KR1020140130001A KR20140130001A KR101566126B1 KR 101566126 B1 KR101566126 B1 KR 101566126B1 KR 1020140130001 A KR1020140130001 A KR 1020140130001A KR 20140130001 A KR20140130001 A KR 20140130001A KR 101566126 B1 KR101566126 B1 KR 10156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bracket
bracket
sub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재홍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1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main frame and a sub frame for an automobi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main frame and a sub frame for an automobile, which attaches and detaches a sub frame to/from a main frame using a bolt and a nut. The coupling structure of a main frame and a sub frame for an automobile comprises: a main frame bracket (200)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a main frame (100) and has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having a part mounting hole (210) and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a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which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has a parts mounting groove (32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a sub frame bracket (500) which is formed on the end of a sub frame (400) and has a sub frame bracket flange (530) having a sub frame bracket coupling hole (52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 sub frame bracket fixing bolt (600) which fixes and couples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to be rotated; and a part mounting part (800) which is fixed and coupled to the part mounting groove (320) of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Description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 frame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서브 프레임의 양단에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는 서브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로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in frame and a sub- And a subframe bracket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subframe bracket of the subframe by bolts and nuts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 subfram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frame by bolts and nu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frame and a subframe combin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메인 프레임 방식으로 제작되는 자동차는 메인 프레임에 별도의 서브 프레임을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Generally, an automobile manufactured by a mainframe method has a separate subframe fixedly coupled to a mainframe.

이때, 메인 프레임 방식으로 제작되는 자동차의 언더 샤시의 모든 부품(suspension, steering, insulator, fuel, tank 등)과 파워 트레인(engine, axle 등)이 메인 프레임에 거치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ll parts (suspension, steering, insulator, fuel, tank, etc.) and power train (engine, axle, etc.) of the underbody of the automobile manufactured by the mainframe method are mounted on the main frame.

즉,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That i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차량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메인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서브 프레임(20)을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sub frame 20 crossing the main frame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n automotiv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자동차의 언더 샤시의 모든 부품과 파워 트레인이 메인 프레임에 거치되고, 서브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용접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ll the parts of the under chassis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train are mounted on the main frame, and the sub frame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by welding so that unnecessary parts must be removed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parts.

또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mponents are damaged during removal of unnecessary parts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of parts.

특히, 차량의 생산과정이나 정비 과정에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차량의 생산단가 및 정비 공임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Particularly, since unnecessary parts must be removed during assembling and maintenance of the part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and the maintenance labor ar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와 너트로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의 양단에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는 서브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로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언더 샤시의 모든 부품과 파워 트레인이 메인 프레임에 거치되고, 서브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용접방식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해야 하는 문제점과,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훼손되는 문제점 및 차량의 생산과정이나 정비 과정에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차량의 생산단가 및 정비 공임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frame structure in which a sub-frame bracket is formed at both ends of a sub-frame of a vehicle in which a sub-frame can be detached from a main frame with bolts and nuts, So that all the components of the under chassis and the power train of the vehicle are mounted on the main frame and the sub frame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by welding so that the assembling and maintenance of the parts It is necessary to remove unnecessary parts when assembling and maintenance of the parts in the course of production 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problems of detaching unnecessary parts, deterioration of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removing unnecessary parts during assembling and maintenance of parts, Therefore,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And to provide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for an automobile which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increased maintenance workabilit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하면 일측에는 부품 설치홀이 형성되며, 양측 면에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과 메인 프레임의 하부 면과 메인프레임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 브라켓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과 대응되는 곳에 부품 설치홈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와 서브 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되어 메인 브라켓 프레임 브라켓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브라켓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와 대응되는 양 측면에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가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을 통해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너트로 메인 프레임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와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의 부품 설치부홈에 고정 결합되는 부품 설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having a mainframe type structure, wherein the mainframe and the subframe are provided at on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A main frame bracket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 main frame bracket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main frame bracket, A bracket cover and a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ub frame and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racket frame bracket are formed at the center an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frame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flange, The sub- The main frame bracket and the sub frame bracket are fixed to be rotatable by the sub frame bracket fixing nut through the sub frame bracket coupling hole of the sub frame bracket and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of the main frame bracket, And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fixedly coupled to the component mounting groove of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그리고, 메인 프레임 브라켓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에 서브프레임 고정 볼트 끼움공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연결 튜브를 고정 결합시켜서, 메인 프레임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고, 서브 프레임 브라켓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 내측 끝단에 상부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걸림턱을 형성하여, 메인 프레임 브라켓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A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tube having a sub frame fixing bolt fitting hole in a main frame bracket fitting hole of a main frame bracket flang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bracket is fixedly coupled to fix the main frame bracket and the sub frame bracket firmly Frame bracket and a sub-frame bracket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of the sub-frame bra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irmly fix the main frame bracket and the sub- So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서브 프레임의 양단에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하고,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는 서브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로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형성함으로써, 볼트와 너트로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the sub-frame bracke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nd the sub- The subfram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frame by bolts and nuts by forming the subframe bracke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by bolts and nuts.

또한, 볼트와 너트로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을 탈부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생산과정이나 정비 과정에서 부품의 조립 및 정비 시에 불필요한 부품들을 탈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고 차량의 생산단가 및 정비 공임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bframe from the main frame with bolts and nuts, unnecessary parts are not required to be removed during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and maintenance work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ducing.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서브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분리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for a vehicl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frame of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for a vehicl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and a sub frame bracket of a sub frame combin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bracket of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 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frame for a vehicl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a main frame for a vehicle and a sub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서브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을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분리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bframe of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mb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frame of a vehicle main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frame of a vehicle and a subframe bracket of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frame and a subframe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tomobile m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of use show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a main frame and a subfram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하면 일측에는 부품 설치홀(210)이 형성되며, 양측 면에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면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 사이에 구비되되,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과 대응되는 곳에 부품 설치홈(320)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of a main frame type ar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component mounting holes 21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A main frame bracket 200 having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having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formed thereon and a main frame bracket 200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a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in which a component mounting groove 3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그리고, 서브 프레임(400)의 끝단에 구비되어 메인 브라켓 프레임 브라켓(2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가 중앙에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와 대응되는 양 측면에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530)가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을 통해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너트(650)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600);와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의 부품 설치부홈(320)에 고정 결합되는 부품 설치부(8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b frame 400 an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racket frame bracket 200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0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 sub frame bracket 500 having a sub frame bracket flange 530 having a sub frame bracket coupling hole 52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sub frame bracket 500,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ub frame bracket fixing nut 650 through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800 fixedly coupled to the component mounting grooves 320 of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 It is.

또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에 서브프레임 고정 볼트 끼움공(75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연결 튜브(700)를 고정 결합시켜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tube (700) having a sub frame fixing bolt fitting hole (750) in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formed on both sides of a main frame bracket So that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can be securely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특히,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 내측 끝단에 상부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걸림턱(580)을 형성하여,In particular, a sub-frame bracket engaging protrusion 580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of the sub-frame bracket 5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So that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can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즉,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하면 일측에는 부품 설치홀(210)이 형성되며, 양측 면에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가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in an automobil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of a mainframe automobile, a component mounting hole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The main frame bracket 200 having the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provided with the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and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are coupled.

이때,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면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과 대응되는 곳에 부품 설치홈(320)이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Grooves 320 are formed.

그리고,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은 서브 프레임(400)의 끝단에 구비되어 메인 브라켓 프레임 브라켓(2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가 중앙에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와 대응되는 양 측면에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530)가 구비되는 것이다.The main frame bracket 500 includes a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b frame 400 and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racket frame bracket 200, Frame bracket flange 530 having a sub-frame bracket coupling hole 5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flange.

그리고,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600)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을 통해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너트(650)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다.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xed by the sub frame bracket fixing bolts 600. The sub frame bracket coupling holes 520 of the sub frame bracket 5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200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sub frame bracket fixing nut 650 through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이때,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에 서브프레임 고정 볼트 끼움공(75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연결 튜브(700)를 고정 결합시킴으로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A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tube (700) having a sub frame fixing bolt fitting hole (750) in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formed on both sides of a main frame bracket So that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특히,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 내측 끝단에 상부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걸림턱(580)을 형성함으로써,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of the sub frame bracket 500 by forming the sub frame bracket engaging protrusions 580, 5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즉,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400)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400) 중, 일측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600)를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로부터 분리시키면, 타측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600)를 중심으로 서브 프레임(400)이 회전하면서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로 개방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ub frame bracket fixing bolt 600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400, which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sub frame 400, Frame subassembly 220 is separated from the subframe bracket coupling hole 520 so that the subframe 400 rotates about the other subframe bracket fixing bolt 600 and open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frame 100.

100 : 메인 프레임 20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210 : 부품 설치홀 22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
23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블랜지 30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
320 : 부품 설치부 홈 400 : 서브 프레임
500 : 서브 프레임 브라켓 520 :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
530 : 서브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 55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
580 : 서브 프레임 브라켓 걸림턱 600 : 서브 프레임 고정 볼트
650 : 서브 프레임 고정 너트 700 : 메인 프레임 브라켓 연결 튜브
750 : 서브 프레임 고정 볼트 끼움공 800 : 부품 설치부
100: Main frame 200: Main frame bracket
210: Component mounting hole 220: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hole
230: Main frame bracket BLANGE 300: Main frame bracket cover
320: Component mounting part groove 400: Subframe
500: Subframe bracket 520: Subframe bracket coupling hole
530: Subframe bracket flange 550: Main frame bracket seating part
580: Sub frame bracket holding jaw 600: Sub frame fixing bolt
650: Subframe fixing nut 700: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tube
750: Subframe fixing bolt insertion hole 800: Component mounting part

Claims (3)

메인프레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하면 일측에는 부품 설치홀(210)이 형성되며, 양측 면에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 면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과 대응되는 곳에 부품 설치홈(320)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와
서브 프레임(400)의 끝단에 구비되어 메인 브라켓 프레임 브라켓(2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가 중앙에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와 대응되는 양 측면에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이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530)가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서브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520)과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을 통해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너트(650)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고정 볼트(600);와
메인 프레임 브라켓 커버(300)의 부품 설치부홈(320)에 고정 결합되는 부품 설치부(8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
In an automotive main frame and a subframe coupling structure of a mainframe automobile,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having a component mounting hole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frame bracket 200;
A main frame bracket 200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having a component mounting groove 32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 cover 300;
A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b frame 400 and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racket frame bracket 200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A subframe bracket 500 having a subframe bracket flange 530 on which the subframe bracket coupling holes 520 are formed,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200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sub frame bracket fixing nuts 650 through the sub frame bracket coupling holes 520 of the sub frame bracket 500 and the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s 220 of the main frame bracket 200. [ A sub frame bracket fixing bolt 600 fixedly coupling the frame bracket 500 so as to be rotatable;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800 fixedly coupled to the component mounting groove 320 of the main frame bracket cover 300;
Wherein the main frame and the sub-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플랜지(23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결합홀(220)에 서브프레임 고정 볼트 끼움공(750)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브라켓 연결 튜브(700)를 고정 결합시켜서,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frame bracket connecting tube 700 having a sub frame fixing bolt insertion hole 750 in a main frame bracket coupling hole 220 of a main frame bracket flange 230 formed on both sides of a main frame bracket 200 Fixedly coupled,
Wherein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의 메인 프레임 브라켓 안착부(550) 내측 끝단에 상부로 일정간격만큼 돌출되는 서브 프레임 브라켓 걸림턱(580)을 형성하여,
메인 프레임 브라켓(200)과 서브 프레임 브라켓(500)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결합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ub-frame bracket engaging protrusion 580 protruding upward at an interval from the inner end of the main frame bracket seating portion 550 of the sub-frame bracket 500 is formed,
Wherein the main frame bracket (200) and the sub frame bracket (5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KR1020140130001A 2014-09-29 2014-09-29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KR101566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01A KR101566126B1 (en) 2014-09-29 2014-09-29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01A KR101566126B1 (en) 2014-09-29 2014-09-29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126B1 true KR101566126B1 (en) 2015-11-04

Family

ID=5460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001A KR101566126B1 (en) 2014-09-29 2014-09-29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1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1794A (en) * 2017-08-17 2017-11-17 苏州紫荆清远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ront axle assy and automob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552A (en) 2004-08-10 2006-03-23 Kobe Steel Ltd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vehicle
JP2009286304A (en) 2008-05-30 2009-12-10 Mazda Motor Corp Body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552A (en) 2004-08-10 2006-03-23 Kobe Steel Ltd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vehicle
JP2009286304A (en) 2008-05-30 2009-12-10 Mazda Motor Corp Body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1794A (en) * 2017-08-17 2017-11-17 苏州紫荆清远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ront axle assy and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126B1 (en) main frame and sub frame structure combined for automobile
JP4650010B2 (en) On-vehicle fuel cell mounting structure
US11642953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powertrain of a four-wheeled vehicle
KR101543004B1 (en) Mounting unit for vehicle
KR100820714B1 (en) Mounting structure of a rear suspension cross member of a vehicle
KR101508879B1 (en) structure of the rear seat belt mounting bracket for automobile
CN204623144U (en) A kind of back stay and subframe assembly
KR101566125B1 (en) sub frame for automobile
FR3050168A1 (en) JIG WITH ROBOTIC ARM FOR WINGS OF MOTOR VEHICLE
KR101754001B1 (en) Frame type body and frame mounting for automobile
KR101220372B1 (en)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1517723B1 (en) rear bumper bracket assembly for automobile
JP2010042742A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11161407B2 (en) Conversion kit for front differential on a utility vehicle
KR100908165B1 (en) Tool for replacing subframe mounting bushes of automobiles
WO2019077209A1 (en) Jig with robotic arm for motor vehicle wings
KR20180066540A (en) Separable transverse leaf spring for improving assembly property
JP6635064B2 (en) Temporary fixing structure of engine mount
JP2009023597A (en) Mounting structure of engine mount
RU2719076C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attachment assembly and vehicle
KR101807135B1 (en) Rear floor assembly
KR101682809B1 (en) strut bar assembly for automobile
KR20130052447A (en) Gear box connecting device of subframe for vehicle
FR3080829A1 (en) METHOD FOR REMOVING A CRADLE AND POWER ASSISTED STEERING AND MOTOR VEHICLE THEREFOR
CN210852641U (en) Sub vehicle frame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automobile frame and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