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885B1 -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85B1
KR101565885B1 KR1020140058370A KR20140058370A KR101565885B1 KR 101565885 B1 KR101565885 B1 KR 101565885B1 KR 1020140058370 A KR1020140058370 A KR 1020140058370A KR 20140058370 A KR20140058370 A KR 20140058370A KR 101565885 B1 KR101565885 B1 KR 101565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holder
inner pot
cov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준호
김성주
김승윤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lectric cooker.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achable inner pot li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lid to cover the inner pot and to improve convenience when detaching the inner pot lid. The electric cooker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ncludes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nside; a lid which is moun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opened and closed; a control plate which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and includes an operating means corresponding to pressure,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pressure of the inner pot, and in which a holder bracket is coupled to one portion thereof; an oven cover which seals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and in which a through hole for the holder bracket to be passed through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 cover holder which has a hollow shape to form a screw hole unit, coupled to a screw unit of the holder bracket which is expos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which is turned to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same.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Electric cooker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ooker having an inner pot cov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lid for covering an inner pot.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electric cooker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and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received,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여기서, 전기조리기는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것이 내솥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온이 유지되므로 취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또한 보온시에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이 구비된다. Here, the electric cooker heats the inner pot containing the food to make the state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cooks the food. At this time, sealing the inner po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heat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inner pot and keeping the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cooking is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is kept constant even when warming. To this end, a lid is provided to cover the top of the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00)에는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미도시)과, 상기 뚜껑(미도시)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솥(미도시)의 상부를 덮도록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오븐커버(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커버(20)의 테두리에는 내솥(미도시)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내솥패킹(21)이 결합된다.1,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100 includes a lid (not show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body (not shown) and a lid (not shown) And an oven cover 20 detachably provid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oven cover. An inner pot packing 21 for seal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pot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rim of the oven cover 20.

한편, 상기 뚜껑(미도시)에는 상기 오븐커버(20)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6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60)에는 커버홀더(7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60 for coupling the oven cover 20, and a cover holder 7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0.

이때, 상기 오븐커버(20)의 내측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오븐커버(20)가 상기 커버홀더(70) 및 상기 결합구(6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홀더(70) 및 상기 결합구(60)가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상기 오븐커버(20)는 상기 뚜껑(10)의 하면부에 탈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ven cover 20, and the oven cover 2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holder 70 and the coupling hole 60, The oven cover 20 can be detache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lid 10 as the oval cover 70 and the coupling hole 60 are mutually coupled and sepa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2. [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오븐커버(20)의 세척 등을 위한 분리시 상기 커버홀더(70)가 상기 오븐커버로(20)부터 이탈되어 별도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높았다. 더욱이, 커버홀더(70)의 분실시에는 오븐커버(20)가 뚜껑(미도시)에 고정될 수 없어 조리나 보온 등 기본적인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oven cover 20 is separated for cleaning or the like, the cover holder 70 is separated from the oven cover 20 and must be stored separately. Further, when the cover holder 70 is lost, the oven cover 20 can not be fixed to the lid (not shown), so that it is impossible to use basic functions such as cooking or keeping warm.

또한, 상기 커버홀더(70)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가 힘들었으며, 상기 커버홀더(70)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내솥(미도시)이 정확하게 밀폐되지 못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fixing state of the cover holder 70, and if the cover holder 70 is not completely engaged, the inner pot (not shown) may not be sealed properly, .

그리고, 상기 커버홀더(70)는 고온의 증기에 직접 노출되는 부분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거나 외부에 부식방지를 위한 코팅이 구비되며, 상기 내솥(미도시) 내부에는 음식물의 눌러 붙음을 방지하고 조리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이아몬드, 황금, 동 등의 기능성 코팅이 구비된다. The cover holder 70 is directly exposed to high-temperature steam. The cover holder 70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aluminum or has a coating for preventing corrosion on the outside thereof. The inside of the inner pot (not shown) Functional coatings such as diamond, gold, and copper are provided to prevent and improve the cooking quality.

그러나, 상기 커버홀더(70)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10)을 여닫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상기 커버홀더(70)가 내솥(미도시) 내부에 떨어져 코팅을 찍거나 긁어냄에 따라 내솥(미도시)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over holder 70 is not fully engaged, the cover 10 is often opened and closed, and the cover holder 70 falls into the inner pot (not shown) The inner pot (not shown) is easily damaged.

그리고, 상기 결합구(60)에는 상기 커버홀더(70)의 풀림 방지를 위해 날개 형상의 결합날개부(61)가 구비되는데, 상기 오븐커버(20)의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커버홀더(70)를 상기 결합날개부(61)의 방향에 맞춘 후 끼워 넣고 회전시켜야하므로 오븐커버(70)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prevent the cover holder 70 from being loosened, a coupling wing portion 61 having a wing shape is provided in the coupling hole 60. In order to fix the oven cover 20, The oven cover 70 must be inserted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vane 61, so that the oven cover 70 is very troublesome to separate and join.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08750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0875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cooker having an inner pot cov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lid for covering an inner pot, which is detachable and improved in convenience of remova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되며, 홀더브라켓이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내솥 상부를 밀폐하되, 상기 홀더브라켓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측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오븐커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홀더브라켓의 나사결합부에 체결되는 나사홀부가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구속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커버홀더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received;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A control plat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provided with a pressure corresponding operation means operated according to a height of the inner pot internal space pressure and having a holder bracket coupled to one side; An oven cover for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wherein the oven cov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bracket penetrates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 cover holder which is provided in a hollow shape so as to form a threaded hole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rotate arou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do.

여기서,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되 멈춤링이 결합되는 멈춤홈부가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멈춤링 사이에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가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holder may include an engag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ormed with a detent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detent ring, The edges of the through holes are constrained.

한편,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탄발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타면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hold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이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o be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풀림방지링이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 내주는 상기 풀림방지링과 선택적으로 마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racket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to which a loosening preventing ring is couple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to selectively friction with the loosening preventing ring.

또한,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 내주에는 상기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홀부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풀림방지링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협관되는 가압단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with a pressing step that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friction force of the loosening prevention ring increases as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screw hole are coupl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커버홀더 및 상기 홀더브라켓의 결합시 단부가 상기 나사홀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나사홀부의 깊이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at a dep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threaded hole portion so that an end of the threaded portion when the cover holder and the holder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passes through the threaded hole portion.

한편,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에는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돌기부가 걸림되도록 상기 나사홀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스토퍼단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with a stopper step along an upper edge of the screw hole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racket is caught.

그리고,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상면에는 밀폐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groove portion through which a hermetic packing is inserted.

더욱이,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 외주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디컷부 및 요철부 중 하나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cut portion and the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to grasp the user.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electric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오븐커버의 관통홀의 테두리에는 회전되도록 구속된 커버홀더가 구비되므로 오븐커버의 탈착시 커버홀더가 분리되지 않아 분실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커버홀더를 따로 보관하거나 찾지 않고 오븐커버에 부착된 커버홀더를 돌리기만 하면 오븐커버의 탈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cover holder is constrained to rotate on the rim of the through-hole of the oven cover, the cover holder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oven cover when the oven cover is detached, so that there is no risk of loss of the oven cover. If the cover holder is rotated, the oven cover can be detached and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커버홀더는 오븐커버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부 외주에 멈춤링이 결합됨에 따라 관통홀의 테두리에 구속되므로 커버홀더가 내솥 내부로 떨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내솥의 긁힘이나 찍힘 등의 손상이 예방되고, 내솥의 손상으로 인한 조리품질의 저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Secondly, since the cover holder is restrained by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detent ring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ven cover, damage such as scratching or peeling of the inner pot, which may occur when the cover holder falls into the inner pot, So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cooking quality due to the damage of the inner pot can be prevent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풀림방지링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홀더의 내주와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진동이나 증기압력으로 인해 커버홀더가 회전 결합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l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racket is provided with the anti-loosening ring to provide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over holder, so that the cover hold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tation coupling due to vibration or steam pressure,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오븐커버 및 커버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멈춤링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n cover and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etent ring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lder bracket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오븐커버 및 커버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멈춤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n cover and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lder bracket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는 본체(미도시), 뚜껑(210), 컨트롤플레이트(250), 오븐커버(220), 그리고 커버홀더(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7, the electric cooker includes a main body (not shown), a lid 210, a control plate 250, an oven cover 220, and a cover holder 270.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main body (not shown) is provided with an inner pot (not shown) in which food is received,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inner pot (not show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그리고, 상기 뚜껑(21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상기 뚜껑(210)의 하면부에는 컨트롤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의 일측에는 홀더브라켓(260)이 결합된다. The lid 21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not shown), and a control plate 250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210. At this time, a holder bracket 26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plate 250.

한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는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251)을 따라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251a)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control plate 250 is provided with a pressure-corresponding operation means 251a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ner space pressure of the inner pot along the communication hole 251 through which the steam flows.

여기서, 상기 연통홀(251)은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통홀(251)에는 압력추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비복귀형 증기배출부, 뚜껑열림방지부 등 여러 종류의 압력대응 작동수단(251a)이 구비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the communication holes 251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late 250. The communication holes 25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pressure-operated operation means 251a such as a pressure-relief valve, a solenoid valve, a non-return type steam discharge unit, and a lid opening prevention unit.

한편, 상기 뚜껑(210)의 하면부에는 상기 뚜껑(210)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의 하면부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형성된 리드플레이트(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lid 210 may be provided with a lead plate 230 integrally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10 and the control plate 250.

이때, 상기 리드플레이트(230)에는 상기 연통홀(251)과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대응홀(231)이 형성되며, 상기 오븐커버(220)에는 상기 대응홀(231)과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증기배출홀(222)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lead plate 230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hole 231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251. The oven cover 220 is provided with steam (steam) alo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hole 231, A discharge hole 222 is formed.

그리고, 상기 각 대응홀(231) 및 연통홀(251) 사이에는 홀패킹(24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오븐커버(220) 및 상기 리드플레이트(230) 사이에는 상기 증기배출홀(222)이 형성된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컨트롤패킹(241) 및 컨트롤패킹커버(242)가 구비될 수 있다. A hole packing 244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corresponding hole 231 and the communication hole 251. Between the oven cover 220 and the lead plate 230, A control packing 241 and a control packing cover 242 may be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formed region.

한편, 상기 오븐커버(220)는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관통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의 하측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상단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오븐커버(220)의 테두리에는 내솥패킹(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내솥(미도시)의 테두리 및 상기 오븐커버(220)의 테두리 사이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ven cover 2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1 through which the holder bracket 260 passes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250. The upper end of the inner pot do. At this time, an inner pot packing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rim of the oven cover 220 to prevent the steam from leaking between the rim of the inner pot (not shown) and the rim of the oven cover 220.

여기서, 상기 오븐커버(220)는 상기 관통홀(221)을 통과하는 홀더브라켓(260)과 상기 커버홀더(270)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브라켓(260)과 상기 커버홀더(270)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oven cover 2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250 when the holder bracket 26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cover holder 27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holder bracket 260 and the cover holder 27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y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250.

한편, 상기 커버홀더(270)는 상기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나사결합부(261)에 체결되는 나사홀부(272)가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에 구속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The cover holder 270 is hollow so as to form a threaded hole 272 to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261 of the holder bracket 260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And is coupled to rotate arou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21.

상세히, 상기 커버홀더(270)는 상기 오븐커버(220)의 관통홀(22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over holder 270 may be rotat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21 of the oven cover 220.

이때, 상기 커버홀더(27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71)에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나사홀부(272) 및 상기 나사결합부(261)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커버홀더(270) 및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나사결합부(261) 및 상기 나사홀부(272)가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holder bracket 26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1 formed in the cover holder 270, the screw hole portion 272 and the screw coupling portion 261 are screwed together, The cover holder 270 and the holder bracket 260 can be fast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readed portion 261 and the threaded hole 272 can be separated.

이처럼, 상기 커버홀더(270)는 상기 오븐커버(220)의 탈착을 위해 회전되어 홀더브라켓(260)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오븐커버(2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오븐커버(220)의 분리시 커버홀더(270)를 별도로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으며, 커버홀더(270)의 분실에 따른 제품의 기능저하 예방할 수 있다. Thus, the cover holder 270 is not detached from the oven cover 220 when the oven cover 220 is rotated to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older bracket 260 for detachment of the oven cover 2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storing the cover holder 270 when the oven cover 220 is detach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oduct due to the loss of the cover holder 270.

또한, 별도로 보관된 커버홀더(270)를 찾는 번거로움 없이 상기 오븐커버(220)를 뚜껑의 하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오븐커버(220)에 구속된 커버홀더(270)를 돌리기만 하면 오븐커버(220)가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If the oven cover 220 is plac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lid and the cover holder 270 restrained by the oven cover 220 is turned without the hassle of finding a separately stored cover holder 270, 220) can be mount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홀더(270)는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270a)와, 상기 관통홀(222)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는 삽입부(270b)를 포함한다. 4 to 5, the cover holder 270 includes a locking part 270a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a rim of the through hole 221 and a locking part 270b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And an insertion portion 270b.

이때,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일면이라는 말은 도 4와 같이 상기 커버홀더(270)가 상기 관통홀(22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하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면은 일면의 반대면인 상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erm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21' is understood to mean the bottom when the cover holder 27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21 as shown in FIG. 4, And the other surface is the upper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여기서, 상기 삽입부(270b)는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70a)는 상기 삽입부(270b)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The insertion portion 270b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engagement portion 270a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70b. Diameter.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70b)가 상기 관통홀(221)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270a)의 상면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하면에 걸림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ortion 270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ortion 270a may be hooked on the lower edge of the through hole 221. [

또한, 상기 삽입부(270b)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멈춤홈부(273)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홈부(273)에는 멈춤링(2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멈춤링(280)은 KS규격의 C형 멈춤링 혹은 강선 형상의 멈춤링(380)을 사용할 수 있다. A detent groove 27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70b and a detent ring 280 can be coupled to the detent groove portion 273. [ At this time, the stop ring 280 may use a C-type stop ring or a steel stop ring 380 of the KS standard.

여기서, 상기 멈춤링(280)의 외측단은 멈춤홈부(273) 삽입시 상기 삽입부(270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멈춤링(280)은 상기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멈춤홈부(273)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상면에 걸려 구속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of the detent ring 280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70b when the detent groove portion 273 is inserted. And may be engaged with the top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1 by being coupled to the detent groove portion 273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이에 따라, 상기 커버홀더(270)는 상기 관통홀(2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커버홀더(270)가 내솥 내부로 떨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내솥의 긁힘이나 찍힘 등의 손상이 예방되고, 내솥의 손상으로 인한 조리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ver holder 270 can be rotated in a restrained stat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hole 221, and the inner pot can be scratched or scratched when the cover holder 270 falls into the inner pot Damage to the inner pot can be prevented, deterioration in cooking quality due to damage to the inner pot can be prevent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홀더(270)의 중공부(271) 하부에는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부(272)가 형성되되,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하부에는 외주를 따라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261a)이 형성된 나사결합부(26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5 to 7, a screw hole 272 having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271 of the cover holder 27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260 It is preferable that a threaded portion 261 with a second thread 261a screwed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상세히, 상기 중공부(271)의 내부에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홀더(270)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회전 도중 상기 나사결합부(261) 및 상기 나사홀부(272)의 나사산이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오븐커버(220)가 상기 뚜껑(210)의 하면부에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cover holder 27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the holder bracket 260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1, the threads of the screw engagement portion 261 and the screw hole portion 272 are rotated And the oven cover 220 can b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10.

이에 따라, 상기 커버홀더(270) 체결시 별도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회전만으로 오븐커버(220)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ver holder 270 is fastened, the oven cover 220 can be coupled to the oven cover 220 only by a simple rotation without considering any directionality,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커버홀더(270)의 중공부(271)에는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돌기부(263)가 걸림되도록 상기 나사홀부(272)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스토퍼단턱부(2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portion 271 of the cover holder 270 is provided with a stopper end protrusion 275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crew hole 272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26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racket 260 is engaged. ) Is preferably formed.

여기서, 상기 스토퍼단턱부(275)는 상기 나사홀부(272)의 상부가 확관되어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263)는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나사결합부(261)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stepped portion 275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readed hole portion 272 and the stopper protrusion portion 263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261 of the holder bracket 260 .

상세히, 상기 스토퍼돌기부(263)는 상기 나사결합부(261)가 상기 나사홀부(272)에 결합 및 삽입되어 상기 오븐커버(220)가 상기 뚜껑(210)의 하면부에 밀착되면, 상기 스토퍼단턱부(275)에 걸림되어 상기 나사결합부(261)의 상기 나사홀부(272)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The stopper protrusions 263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screw engagement portion 261 is engaged with and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portion 272 and the oven cover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lid 210,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threaded hole portion 272 of the threaded engagement portion 261 can be limited by being hooked on the jaw portion 275.

이에 따라, 상기 커버홀더(270)의 결합시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당겨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와의 결합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ver holder 270 is engaged, the holder bracket 2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pulled downward, thereby preventing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control plate 250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부(263)의 상부에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에 고정되는 고정부(26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65)는 나사를 통해 체결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topper protrusion 263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art 265 fixed to the control plate 250. The fixing portion 265 may be fastened to the control plate 250 by fastening through a screw or through an adhesive.

한편, 상기 스토퍼돌기부(263)의 상면에는 밀폐패킹(243)이 삽입되는 패킹홈부(26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폐패킹(243)은 상기 고정부(265)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패킹홈부(264)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265)가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에 고정되면, 상기 스토퍼돌기부(263)의 상면과 상기 리드플레이트(230) 사이에서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265)의 외주를 통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250) 측으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rotrusion 263 may be formed with a packing groove 264 through which the sealing packing 243 is inserted. The sealing packing 243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ortion 265 and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groove portion 264 so that when the fixing portion 265 is fixed to the control plate 2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am from leaking to the control plate 250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ortion 265 by being pres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63 and the lead plate 230.

한편, 상기 나사결합부(261)는 상기 커버홀더(270) 및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결합시 단부가 상기 나사홀부(272)를 관통하도록 상기 나사홀부(272)의 깊이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screw engaging portion 261 is provided at a dep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screw hole portion 272 such that an end of the screw engaging portion 261 when engaged with the cover holder 270 and the holder bracket 260 penetrates the screw hole portion 272 desirabl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나사결합부(261)의 단부 및 상기 커버홀더(270)의 하면 간의 높이 차를 통해 상기 홀더브라켓(260)과의 결합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degree of engagement with the holder bracket 260 throug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26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holder 270.

한편, 상기 홀더브라켓(260)의 스토퍼돌기부(263) 외주에는 풀림방지링(290)이 결합되는 고정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홀더(270)의 중공부(271) 내주는 상기 풀림방지링(290)과 선택적으로 마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protrusion 263 of the holder bracket 26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62 to which a loosening preventing ring 290 is coupled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ortion 271 of the cover holder 270 is closed Preventing ring 29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커버홀더(270)의 중공부(271)의 하부 내주(271a)는 상부 내주(271b)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링(29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wer inner periphery 271a of the hollow portion 271 of the cover holder 270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upper inner periphery 271b.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or silicone.

이때, 상기 중공부(271)의 상부 내주(271b)는 상기 고정홈(262)에 삽입된 풀림방지링(290)의 외측단 직경과 같거나 넓은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공부(271)의 하부 내주(271a)는 상기 스토퍼돌기부(263)의 직경보다는 넓되 상기 풀림방지링(290)의 외측단 직경보다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271b of the hollow portion 271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ide of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62, The diameter of the lower inner periphery 271a of the stopper protrusion 26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er protrusion 263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end of the release ring 290. [

상세히, 상기 홀더브라켓(260)이 상기 중공부(271)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결합부(261)에 상기 나사홀부(272)가 회전 체결되면, 상기 풀림방지링(290)은 상기 중공부(271)의 상부 내주(271b)로 삽입되어 하부 내주(271a)로 이동된다. When the holder bracket 26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1 and the threaded hole portion 272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261,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1 And is moved to the lower inner periphery 271a.

그리고, 상기 하부 내주(271a)측에 삽입된 풀림방지링(290)은 상기 중공부(271)의 하부 내주(271a)와 상기 고정홈(262) 사이에서 가압되며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271a is pressed between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271a of the hollow portion 271 and the fixing groove 262 to form a frictional force.

이에 따라, 상기 홀더브라켓(260)에 일방향 회전되어 결합된 상기 커버홀더(270)가 진동이나 증기압력으로 인해 결합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ver holder 270, which is unidirectionally rotated by the holder bracket 26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due to vibration or steam pressur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커버홀더(270)의 중공부(271) 내주에는 상기 나사결합부(261)와 상기 나사홀부(272)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풀림방지링(290)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협관되는 가압단턱부(27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as the screw engaging portion 261 and the screw hole portion 27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side the hollow portion 271 of the cover holder 270,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stepped portion 274 is formed to be narrowed as it goes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상세히, 상기 가압단턱부(274)는 좁게 형성된 하부 내주(271a)와 넓게 형성된 상부 내주(271b) 사이의 연결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단턱부(274)와 접촉된 풀림방지링(290)은 상기 가압단턱부(274)의 하부에서 높은 마찰력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단턱부(274) 상부에서 낮은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essure step jaw 274 can link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narrow inner lower rim 271a and the wide inner upper rim 271b in an inclined manner. The release preventing ring 290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tep portion 274 forms a high frictional for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step portion 274 and can form a low frictional forc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tep portion 274 .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커버홀더(270)의 풀고 조일시 회전감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나사결합부(261)가 상기 나사홀부(27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븐커버(220)가 이탈되는 시점 및 밀착 결합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extent to which the screw coupling portion 261 is inserted and joined to the inside of the screw hole portion 272 by changing the rotation sensitivity of the cover holder 270 when the cover holder 270 is loosened and tightened, The time when the cover 220 is released and the time when the cover 220 is tightly coupled can be predicted, and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holder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ver holder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제2실시예에서는 커버홀더(570)가 오븐커버(220)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holder 570 is coupled to the oven cover 220 in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홀더(570)는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570a)와, 상기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는 삽입부(57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8 to 10, the cover holder 570 includes a latching part 570a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hole 221, and a latching part 570b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Section 570b.

여기서, 상기 삽입부(570b)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홀(221)을 탄발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타면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7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570b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73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1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이때, 상기 삽입부(570b)는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 이하의 직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70a)는 상기 삽입부(570b)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The insertion portion 570b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engagement portion 570a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570b so as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1 Diameter.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570b)가 상기 관통홀(221)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570a)의 상면(570c)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하면에 걸림 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ortion 570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21, the upper surface 570c of the latching portion 570a may be hooked on the lower edge of the through-hole 221. [

이때, 상기 걸림돌기(573)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21)측으로 가압시 반경방향 내측으로 좁아지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관통홀(221)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원 확장되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상면에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홀더(570)는 상기 관통홀(2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573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and may penetrate the through hole 221 through an elastic deformation which is narrowed radially inward when pressed toward the through hole 221 . After the penetration, it can be resto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21 by being restored and expanded to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cover holder 570 can be rotated in a restrained state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221.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573)는 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걸림돌기(573)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각 걸림돌기(573)는 상기 관통홀(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 걸림돌기의 내면이 다른 걸림돌기의 내면 일부분과 대면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홀더(570)가 일측으로 비틀리는 경우에도 상기 관통홀(221)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of the locking protrusions 573 are provided. The engaging protrusions 573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573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engaging protrus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1,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even when the cover holder 570 is warped to one side, it can be firmly restrain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221. [

한편, 상기 걸림돌기(573)는 상기 삽입부(570b)의 단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73)는 상기 삽입부(570b)의 테두리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21)로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cking protrusion 573 may extend upward along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570b, and may be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573 may be ben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edge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70b, and may be bent obliquely for easy insertion into the through hole 221. [

상기 걸림돌기(573)가 경사지게 연결되면, 상기 걸림돌기(573)의 상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삽입가이드면(57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의 내측단(573b)은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 이하의 직경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의 외측단(573c)은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protrusion 573 is inclined, an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573 and inclined upwards toward the inside. The inner end 573b of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has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outer end 573c of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21 As shown in FIG.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573)의 삽입시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의 내측단(573b)이 상기 관통홀(2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다. The inner end 573b of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is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 when the locking protrusion 573 is inserte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커버홀더(570)를 가압하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에 의해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이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걸림돌기(573)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over holder 570 is pressed,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is pressed in an inclined direction by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2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73 is easily moved radially inward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면(573a)의 외측단(573c)이 상기 관통홀(221)을 통과하면 상기 걸림돌기(573)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관통홀(221)의 테두리 상면에 걸림될 수 있다. When the outer end 573c of the insertion guide surface 573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the locking protrusion 573 may be elastically restored and hoo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1.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커버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 및 제4실시예에서는 커버홀더(370,470)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ver holder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hapes of the cover holders 370 and 47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홀더(370)의 하단 외주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요철부(38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철부(389)는 상기 커버홀더(370)의 하단 외주를 따라 형성된 다각돌기(378)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370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389 for holding the user. At this time, the concave-convex portion 389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lygonal protrusion 378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37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다각돌기(378)의 평탄한 외면을 파지하여 회전력을 상기 커버홀더(370)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다각돌기(378)의 외면에 증기로 인한 수분층이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요철부(379)를 통한 마찰력 증가로 미끌어지지 않고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flat outer surface of the polygonal protrusion 378 and accur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over holder 370. Even when the moisture layer due to the steam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lygonal protrusion 378,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without slipping due to an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through the portion 379.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홀더(470)의 하단 외주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디컷부(47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컷부(478)는 상기 커버홀더의 외주 일측 및 타측이 평탄하게 절삭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it is preferable that a de-cut portion 478 for holding the use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470. Here, the de-cut portion 478 may be formed by cut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holder in a flat mann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컷부(478)의 평탄한 부분을 파지하여 회전력을 상기 커버홀더(470)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홀더(470)의 외면에서 미끌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flat portion of the de-cut portion 478 to accur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over holder 470, and can easily rotate without being slip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holder 470 .

물론,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 외주에는 디컷부 및 요철부가 함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de-cut portion and the concavo-convex portion toge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전기조리기 210: 뚜껑
20,220: 오븐커버 21: 내솥패킹
221: 관통홀 22,222: 증기배출홀
230: 리드플레이트 231: 대응홀
250: 컨트롤플레이트 251: 연통홀
241: 컨트롤패킹 242: 컨트롤패킹커버
243: 밀폐패킹 244: 홀패킹
60: 결합부 61: 결합날개부
260: 홀더브라켓 261: 나사결합부
262: 고정홈 263: 스토퍼돌기부
264: 패킹홈부 265: 고정부
70,270,370,470,570: 커버홀더 270a,570a: 걸림부
270b,570b: 삽입부 271: 중공부
272: 나사홀부 273: 멈춤홈부
274: 가압단턱부 275: 스토퍼단턱부
280,380: 멈춤링 290: 풀림방지링
378: 다각돌기 379: 요철부
478: 디컷부 573: 걸림돌기
573a: 삽입가이드면
100,200: Electric cooker 210: lid
20,220: oven cover 21: inner pot packing
221: Through hole 22, 222: Vapor discharge hole
230: lead plate 231: corresponding hole
250: control plate 251: communication hole
241: Control Packing 242: Control Packing Cover
243: Seal packing 244: Hole packing
60: engaging portion 61: engaging wing portion
260: holder bracket 261:
262: fixing groove 263: stopper projection
264: packing groove portion 265:
70, 270, 370, 470, 570: Cover holder 270a, 570a:
270b, 570b: insertion portion 271: hollow portion
272: screw hole portion 273: stop groove portion
274: pressure step jaw 275: stopper jaw
280,380: Stop ring 290: Release ring
378: polygonal projection 379: concave / convex portion
478: di-cut part 573:
573a: Insertion guide face

Claims (10)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되며, 홀더브라켓이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내솥 상부를 밀폐하되, 상기 홀더브라켓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측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오븐커버;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홀더브라켓의 나사결합부에 체결되는 나사홀부가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구속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커버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에는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돌기부가 걸림되도록 상기 나사홀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스토퍼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A main body having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received;
A li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A control plat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provided with a pressure corresponding operation means operated according to a height of the inner pot internal space pressure and having a holder bracket coupled to one side;
An oven cover for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wherein the oven cov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bracket penetrates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nd a cover holder which is provided in a hollow shape to form a threaded hol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rotate arou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with a stopper step portion along an upper edge of the screw hole portion so that a stopper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racket is enga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되 멈춤링이 결합되는 멈춤홈부가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멈춤링 사이에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가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holder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ormed with a detent groove into which the detent ring is inserted,
A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is constrained between the retaining portion and the detent 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탄발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타면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hold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im of the through hole and an insertion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Wherein a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extends along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formed to be bent radially out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풀림방지링이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 내주는 상기 풀림방지링과 선택적으로 마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bracket has a fix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racket,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to selectively frictionally contact the release preventing r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의 중공부 내주에는 상기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홀부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풀림방지링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협관되는 가압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over holder is formed with a pressing step portion that is narrow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of the loosening prevention ring increases as the screw portion and the screw hole portion are mutually coup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커버홀더 및 상기 홀더브라켓의 결합시 단부가 상기 나사홀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나사홀부의 깊이 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at a dep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depth of the threaded hole so that an end of the threaded portion when the cover holder and the holder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passes through the threaded hole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상면에는 밀폐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ack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a sealing packing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 외주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디컷부 및 요철부 중 하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cut portion and the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holder for holding the user.
KR1020140058370A 2014-05-15 2014-05-15 electric cooker KR101565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370A KR101565885B1 (en) 2014-05-15 2014-05-15 electric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370A KR101565885B1 (en) 2014-05-15 2014-05-15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85B1 true KR101565885B1 (en) 2015-11-04

Family

ID=5460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370A KR101565885B1 (en) 2014-05-15 2014-05-15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8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13A (en) * 2015-11-10 2017-05-18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70067993A (en) * 2015-12-09 2017-06-19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70099629A (en) * 2016-02-24 2017-09-01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07201A (en) * 2016-07-12 2018-01-22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24457A (en) * 2016-08-30 2018-03-08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27841A (en)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Electric pressure cooker
KR20190111673A (en) * 2018-03-23 2019-10-02 (주)쿠첸 Cook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537A (en) 1998-06-26 2000-01-18 Zojirushi Corp Lid of rice cooling j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537A (en) 1998-06-26 2000-01-18 Zojirushi Corp Lid of rice cooling ja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13A (en) * 2015-11-10 2017-05-18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2355784B1 (en) 2015-11-10 2022-01-27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2344077B1 (en) 2015-12-09 2021-12-29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70067993A (en) * 2015-12-09 2017-06-19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70099629A (en) * 2016-02-24 2017-09-01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2380952B1 (en) 2016-02-24 2022-03-31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07201A (en) * 2016-07-12 2018-01-22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2481813B1 (en) 2016-07-12 2022-12-27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24457A (en) * 2016-08-30 2018-03-08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2427182B1 (en) 2016-08-30 2022-07-29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20180027841A (en)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2201069B1 (en) 2018-03-23 2021-01-11 (주)쿠첸 Cooking apparatus
KR20190111673A (en) * 2018-03-23 2019-10-02 (주)쿠첸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85B1 (en) electric cooker
RU2462169C1 (en) High-pressure vessel
KR101821017B1 (en) Container with cover
CN112167969B (en) Combined air fryer and slow cooker cover
KR101904403B1 (en) electric cooker
KR20160137590A (en) Pressure cooker having bayonet mount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KR20090047821A (en) Portable cooker for heating of heating medium
KR101557752B1 (en) cover assembly for cooker
JP2008167890A (en) Rice cooker
KR20110137500A (en) Double pressure vessel using a chemical heating element
KR101499112B1 (en) Removable type Cover Handle for Cookware
JP2018117989A (en) rice cooker
KR200280600Y1 (en) Stream discharge apparatus of kitchen utensil lid
KR101166253B1 (en) Electrical pressure rice cooker without rubber packing
KR101409033B1 (en) A lid for cool pot having overflow preventing function
KR101526944B1 (en) cover for cookware
KR102291876B1 (en) 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for gas cooking and induction
KR200460251Y1 (en) cover assembly for cooker
KR101895058B1 (en) Frying pan
TWM502430U (en) Electric pot and pot cover thereof
KR101649960B1 (en) Overflow-proof pan lid removable pot knob
KR101593606B1 (en) Heating container using heating medium
KR102427182B1 (en) electric cooker
KR101668750B1 (en) Removable pot knob
KR101487419B1 (en) Portable pressure cooke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