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952B1 -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52B1
KR102380952B1 KR1020160021963A KR20160021963A KR102380952B1 KR 102380952 B1 KR102380952 B1 KR 102380952B1 KR 1020160021963 A KR1020160021963 A KR 1020160021963A KR 20160021963 A KR20160021963 A KR 20160021963A KR 102380952 B1 KR102380952 B1 KR 10238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lectric cooker
inner pot
hole
hold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9629A (en
Inventor
이창룡
김원영
김승윤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52B1/en
Publication of KR2017009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 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되 가압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되어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The inner pot cov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to cover the inner pot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convenience is improved when detachab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a control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the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of the inner pot flows, the control plat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provided with a pressure-responding operation means op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pressure of the inner pot; Doedo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plate, the inner pot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holder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 stopper that is moved elastic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bracket to restrai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is retract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pressed to release the constraint state of the through hole. It provides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holder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ooker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is detachably provided to cover the inner pot, and the convenience is improved when detaching it.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n electric cooker is a device used for cooking food, and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inner pot for accommodating food is built in,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lid.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내부에 내솥(미도시)이 수용되되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1 has a main body (not shown) having an inner pot (not shown) accommodated therein, and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ner pot, and is hi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nd a lid (2).

그리고, 상기 뚜껑(2)의 하부에는 내솥커버(3)가 구비되며, 상기 내솥커버(3)의 테두리에는 내솥의 밀폐를 위한 내솥패킹(3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커버(3)는 음식물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위생 및 청결을 위해 분리 세척가능하도록 뚜껑(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2) is provided with an inner pot cover (3), the edge of the inner pot cover (3) is provided with an inner pot packing (3b) for sealing the inner pot. At this time, the inner pot cover (3)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food an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lid (2) so that it can be separated and washed for hygiene and cleanliness.

상세히, 상기 뚜껑(2)에는 상기 내솥커버(3)의 결합을 위한 홀더브라켓(4)이 결합되며, 상기 내솥커버(3)의 관통홀(3a)을 통과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 커버홀더(5)가 결합되면 상기 내솥커버(3)가 상기 뚜껑(2)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커버홀더(5)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내솥커버(3)가 뚜껑(2)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detail, a holder bracket 4 for coupling the inner pot cover 3 is coupled to the lid 2, and the holder bracket 4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a of the inner pot cover 3 is covered with a cover. When the holder (5) is coupled, the inner pot cover (3)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 and when the coupling of the cover holder (5) is released, the inner pot cover (3) is removed from the lid (2). can be separated.

그러나, 종래에는 세척 등을 위한 내솥커버(3)의 분리시 상기 커버홀더(5)가 홀더브라켓(4)으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되므로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inner pot cover 3 is removed for washing, etc., the cover holder 5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bracket 4 and stored separate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ost.

더욱이, 커버홀더(5)의 분실시에는 내솥커버(3)가 뚜껑(2)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해 내솥커버(3)를 통한 내솥의 밀폐 유지가 힘들고 증기가 누설됨에 따라 취반 품질의 저하 및 화상이나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Moreover, when the cover holder 5 is lost, the inner pot cover 3 cannot be accurately and firmly fixed to the lid 2, so it is difficult to keep the inner pot sealed through the inner pot cover 3, and as steam leaks, the cooking quality is reduced. There was a risk of deterioration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or electric leakage.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는 상기 커버홀더(5)의 풀림 방지를 위한 구속부(4a)가 구비되는데, 구속부(4a)의 방향에 맞게 커버홀더(5)가 삽입 및 결합되어야 하므로 한손으로 내솥커버(3)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커버홀더(5)를 방향에 맞춘 후 끼워 넣고 회전시키는 등 내솥커버(3)의 착탈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holder bracket 4 is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ortion 4a to prevent loosening of the cover holder 5. Since the cover holder 5 has to be inserted and coupl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restraint portion 4a, one hand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inner pot cover (3) with the other hand, after adjusting the cover holder (5) to the direction, inserting and rotating the inner pot cover (3) was very cumbersome to attach and detach.

그리고, 사용자의 오사용으로 상기 커버홀더(5)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2)의 개폐시 금속재의 상기 커버홀더(5)가 내솥(미도시) 내부에 떨어져 코팅을 찍거나 긁어내는 등 내솥(미도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when the lid 2 is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where the cover holder 5 is not completely coupled due to misuse by the user, the metal cover holder 5 falls inside the inner pot (not shown) and the coating is taken or scratch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ner pot (not shown) was damag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23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235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ooker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is detachably provided to cover the inner pot and the convenience is improved when detaching i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 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되 가압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되어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a control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the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of the inner pot flows, the control plat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provided with a pressure-responding operation means op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pressure of the inner pot; Doedo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plate, the inner pot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holder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 stopper that is moved elastic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bracket to restrai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is retract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pressed to release the constraint state of the through hole. It provides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holder device comprising a.

한편, 상기 홀더브라켓에는 하면부 테두리를 따라 격벽부가 돌설되고,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portion protrudes along the lower edge of the holder bracket, the partition wall portion ha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topper,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topper passe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그리고,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커버브라켓이 결합되되, 상기 커버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ver bracket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and a guide ho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over bracket.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되 상기 가이드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돌설된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and guid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dy part that protrudes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bracket through the guide hole part, and a stopper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art to pass through the opening part. Do.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내주를 따라 구비된 탄성부재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지지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electric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 방향으로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의 단부가 라운드지거나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내솥커버의 장착시 상기 스토퍼의 단부와 접촉되는 관통홀의 테두리 상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므로 내솥커버를 뚜껑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여 뚜껑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the end of the stopper that is moved elastic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bracket is provided with a round or an upward slope, but when the inner pot cover is installed, a round portion is provided on the rim of the through hol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topper. When it is pushed into the negative side, it can pass through the stopper and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장착된 내솥커버의 분리를 위한 스토퍼의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이 스토퍼에서 커버브라켓 내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직접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 및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 the radial inner movement of the stopper for separation of the mounted inner pot cover can be made through direct manipulation of the cover bracket or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the stopper, so that the number and structure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Therefore, the assembling proper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홀더장치의 각 구성 부품이 뚜껑의 하면부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홀더브라켓에 일체로 조립되어 모듈화된 상태에서 한번의 작업으로 뚜껑에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운반 및 포장시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 each component of the holder device is not assembled sequenti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but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holder bracket and installed on the lid in a modularized state, so that the assembl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loss of component parts during transportation and packaging can be prevented, so that produc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컨트롤패킹이 뚜껑의 하면부 및 내솥커버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의 구속 해제시 컨트롤패킹의 복원력으로 내솥커버가 뚜껑의 하면부로부터 이격되며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스토퍼를 가압하기만 하면 내솥커버가 해제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the control packing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with a height exceeding the coupling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the inner pot cover, and the inner pot cover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rol packing when the stopper is released. Therefore, the inner pot cover can be released simply by pressing the stopper,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다섯째, 상기 내솥커버의 착탈을 위한 스토퍼가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되어 뚜껑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내솥커버만 분리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품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Fifth, since the stopper for detachment of the inner pot cover is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and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only the inner pot cover can be separate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storing separate items as in the prior art, and Damage to the inner pot can be prevented.

여섯째, 상기 관통홀이 내솥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의 분리시 스토퍼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손에 내솥커버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가 내솥 내지는 본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낙하된 내솥커버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Sixth, as the through hole is located inside the inner pot spaced apart from the rim of the inner pot cover, since the rim of the inner pot cover can be naturally supported by the user's hand pressing the stopper when the inner pot cover is separated, the separated inner pot cover is the inner pot or the outside of the body It can prevent dents or impact damage caused by the fallen inner pot cover.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에 스토퍼 및 탄성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의 코킹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해 내솥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li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portion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bracke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and an elastic member are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and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inner pot cover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part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device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Figure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inner pot cover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part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device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ulking coupling of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is mounted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브라켓에 스토퍼 및 탄성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par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par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bracke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and the elastic member are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Fig. 6b and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inner pot cover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20), 컨트롤플레이트(60), 내솥커버(40), 그리고 홀더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6c , the electric cooker 100 includes a main body (not shown), a lid 20 , a control plate 60 , an inner pot cover 40 , and a holder device 50 . .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착탈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Here, the main body (not shown) is provided such that an inner pot (not show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s detachably provided, and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inner po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do.

그리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면부에 컨트롤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lid 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not shown) to open and close, and a control plate 6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여기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는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61)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61)에는 압력추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비복귀형 증기배출장치, 뚜껑열림방지부 등 내솥(미도시) 내부공간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된다. Here, the control plate 6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61 through which the steam of the inner pot (not shown) flows, and the communication hole 61 has a pressure weight valve, a solenoid valve, a non-return type steam discharge device, and a lid. A pressure-response operating means (not shown) tha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pot (not shown), such as an anti-open part, is connected.

또한, 상기 내솥커버(4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41)이 형성되고 관통홀(41)의 외곽 영역을 따라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유동홀(4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pot cover 40 is coup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plate 60, a through hole 4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steam of the inner pot flows along the outer region of the through hole 41. A hole 43 is formed.

이때,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테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내부 일측에는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되며,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은 상기 홀더브라켓(53)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상기 홀더브라켓(53)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holder bracket 5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control plate 6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41 of the inner pot cover 40 passes through the holder bracket 53 . It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lder bracket 53 in the size possible.

여기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는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부분이 내부식성 재질로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된 리드플레이트(3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control plate 60 is provided with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member, or the portion facing the through-hole 41 to the flow hole 43 of the inner pot cover 40 is coated with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It is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ead plate 30 made of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through hole 41 to the flow hole 43 .

상세히, 상기 리드플레이트(3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 및 상기 홀더브라켓(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서 상기 관통홀(41) 및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연통홀(61)과 대응되는 부분에 증기배출홀(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솥(미도시) 내부의 증기는 유동홀(43)을 따라 내솥커버(40)의 상부로 유동되고, 상기 증기배출홀(31) 및 상기 연통홀(61)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ead plate 30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plate 60 and the holder bracket 53 , and a low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through hole 41 and the flow hole 43 in the control plate 6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am discharge hole 31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61, and the steam inside the inner pot (not shown)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cover 40 along the flow hole 43. and may flow to a pressure-responding operation means (not shown) through the vapor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hole 61 .

한편,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61) 및 홀더브라켓(53)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32)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is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hole 61 and the holder bracket 53, the control packing 3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t cover 40 downward. )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뚜껑(20)의 하면부는 컨트롤플레이트(60) 및 리드플레이트(30) 중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과 대면되는 어느 하나의 하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트롤패킹(32)의 직경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상기 연통홀(61)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means the lower surface of any one of the control plate 60 and the lead plate 30 that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t cover 40, and the control packing ( 32), the holder bracket 53 is preferably coupl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61 to minimize the diameter.

상세히, 상기 컨트롤패킹(32)은 상기 리드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경우에 증기배출홀(3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직접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통홀(6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control packing 32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region of the vapor discharge hole 31 and the holder bracket 53 when provided under the lead plate 30, and When provided directly on the lower portion, it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area of the communication hole 61 and the holder bracket (53).

이때, 상기 컨트롤패킹(32)의 하단부는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내손커버(40)의 유동홀(43) 외곽 영역에 형성된 단차부(42)에 접촉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컨트롤플레이트(60)의 외곽으로 누출되지 않고 증기배출홀(31) 및 연통홀(61)을 거쳐 압력 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정확하게 유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cking 32 is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42 formed in the area outside the flow hole 43 of the inner hand cover 40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installed, and the inner pot (not shown) of the steam can flow accurately to the pressure-responding operation means (not shown) through the steam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hole 61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plate 60 .

또한, 상기 컨트롤패킹(32)은 고온에 안정하되 탄성적인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면부 및 상기 내솥커버(40)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되어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내솥커버(40)의 상면에 밀착되되, 내솥커버(40)에 하측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acking 32 is provided with silicone, etc., which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 but is an elastic material, and is provided with a height exceeding the coupling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and the inner pot cover 40, so that the inner pot cover (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t cover (40) when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wnward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inner pot cover (40).

여기서, 상기 결합간격이라는 말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상기 내솥커버(40)가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컨트롤패킹(32)이 장착된 부분에 대응되는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내솥커버(40) 상면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ord coupling interval mean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n which the control packing 32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40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t means the interv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t cover (40).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장치(50)는 홀더브라켓(53)과,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의 반경 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되 가압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되어 상기 관통홀(41)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52)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the holder device 50 is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5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53 to constrain the rim 41a of the through hole 41 . The stopper 52 is moved elastic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53, and is retract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pressed to release the restraint state of the through hole 41.

여기서,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원형 단면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와 대향되는 상면 중앙부에 체결돌기(53d)가 돌설되며,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나사홀(s)을 관통하는 나사(p)의 단부가 상기 체결돌기(53d)의 내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 상기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holder bracket 53 is provided in a block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fastening protrusion 53d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 and the screw hole of the control plate 60 . As the end of the screw p passing through (s)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3d, the holder bracket 53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plate 60 .

이때, 상기 리드플레이트(30)에는 상기 체결돌기(53d)가 관통되는 체결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나사홀(s) 하부에는 상기 체결돌기(53d)가 삽입되도록 확관된 정렬홈(n)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3)을 통과한 상기 체결돌기(53d)의 조립 위치가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astening hole 33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53d passes is formed in the lead plate 30 ,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3d is inser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w hole s of the control plate 60 . The expanded alignment groove n is formed so th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3d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33 can be accurately guided.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53d)의 외곽에는 나사홀(s)을 통한 증기 누설을 방지하도록 돌기패킹(53e)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sion packing 53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3d to prevent steam leakage through the screw hole s.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브라켓(53)에는 하면부 테두리를 따라 격벽부(53h)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53h)의 내부에 장착홈(53f)이 형성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4 to 5 , a partition wall 53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lder bracket 53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and a mounting groove 53f is formed in the partition 53h.

이때, 상기 격벽부(53h)에는 상기 스토퍼(52)가 안내되는 가이드부(53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3a)의 단부에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개구부(53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guide portion 53a through which the stopper 52 is guided is formed in the partition portion 53h, and an opening 53c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topper 52 passes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ortion 53a. It is preferable to form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53a)는 상기 장착홈(53f)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부(53h)의 하면부 내주측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외측단부를 폐쇄하는 얇은 격벽부(53h)에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개구부(53c)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guide portion 53a is formed by recessing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upward to communicate with the mounting groove 53f, and closing 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guide portion 53a. An opening 53c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topper 52 passes is formed in the thin barrier rib portion 53h.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53a)는 상기 격벽부(53h)의 내부에 대응되는 상기 장착홈(53f)보다 상측으로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53f) 및 상기 가이드부(53a)의 연결부분에 단차(53i)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part 53a is formed to be more depressed upwardly than the mounting groove 53f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 part 53h,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ounting groove 53f and the guide part 53a. A step 53i may be formed there.

여기서,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가이드부(53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몸체부(52b)와 상기 개구부(53c)를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52b)의 일단에 돌설된 스토퍼돌기부(52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topper 52 includes a body portion 52b that is inserted into and guided by the guide portion 53a and a stopper protrusion 52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52b to pass through the opening 53c.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상세히, 상기 몸체부(52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격벽부(53h)의 내주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52b)는 반경 방향 길이가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길이 미만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53a) 내부의 단차(53i)와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외측단부측 얇은 격벽부(53h)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ody portion 52b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und thin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52b has a radial length that is less than the radial length of the guide portion 53a, so that the step 53i inside the guide portion 53a and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53a are provided. It can be moved radially between the end-side thin partition walls 53h.

그리고, 상기 몸체부(52b)는 원주방향 폭이 상기 가이드부(53a)의 원주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53a)의 원주방향 양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반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And, the body portion 52b is guided along both circumferential side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 53a as the circumferential width corresponds to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guide portion 53a and can be accurate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 is.

이때, 상기 개구부(53c)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52b)보다 좁은 단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되 스토퍼돌기부(52a)가 개구부(53c)롤 통과하여 홀더브라켓(5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ing 53c is provide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protrusion 52a and has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body portion 52b, so that the stopper 52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racket 53 . The stopper protrusion 52a passes through the opening 53c roll a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racket 53 .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반경 방향 길이는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개구부(53c)의 내측 테두리(53m)로부터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 구비되며, 홀더브라켓(53)의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돌기부(52a)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배치된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을 구속할 수 있다. Here, the radial length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exceeds the distance from the inner edge 53m of the opening 53c to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It is provided with a length, and a stopper protrusion 52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racket 53 may constrain the through hole 41 of the inner pot cover 4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

이때,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52b)가 상기 단차(53i)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가 개구부(53c)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52b) 및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반경 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radial length of the guide part 53a is such that the stopper protrusion part 52a does not separate from the opening part 53c while the body part 52b is in contact with the step 53i. ) and it is preferab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adial length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여기서,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 양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53a)는 상기 각 스토퍼(52)에 대응하여 상기 격벽부(53h)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toppers 52 are provided as a pair so that both sides of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are stably supported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guide part 53a corresponds to each stopper 52 . Thus,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한편,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부에는 커버브라켓(51)이 결합되되, 상기 커버브라켓(51)에는 상기 가이드부(53a)와 연통되는 가이드홀부(5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 cover bracket 51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53 , and a guide hole portion 51a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ortion 53a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over bracket 51 .

여기서, 상기 커버브라켓(51)은 상기 홀더브라켓(53)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의 원판형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53a)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면적으로 가이드홀부(51a)가 형성된다. Here, the cover bracket 51 is provided as a disk-shaped member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holder bracket 53, and a guide hole portion 51a is formed at the same location and the same area as the guide portion 53a. .

즉, 상기 커버브라켓(51)은 상기 가이드홀부(51a) 및 상기 가이드부(53a)가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에 나사(m) 체결되며, 이를 위해 상기 커버브라켓(51)에는 상기 홀더브라켓(53)의 격벽부(53h)에 형성된 나사체결홈(53g)과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나사관통홀(5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cover bracket 51 is screwed (m) to the holder bracket 53 so that the guide hole part 51a and the guide part 53a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cover bracket 51 has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through hole 51b is formed alo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groove 53g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of the holder bracket 53 .

이때, 상기 커버브라켓(51)의 상면부에는 상기 격벽부(53h)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장착안내부(51e)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안내부(51e)의 외주가 상기 격벽부(53h)의 내주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커버브라켓(5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mounting guide portion 51e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racket 5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tallation guide portion 51e is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 the cover bracket 51 and the holder bracket 53 may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caught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

그리고, 상기 커버브라켓(51) 및 상기 장착홈(53f)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53a)에 배치된 각 스토퍼(5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되도록 탄성부재(54)가 설치된다. An elastic member 54 is installed between the cover bracket 51 and the mounting groove 53f so that each stopper 52 disposed on the guide part 53a is elastically support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54)는 W자형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단부측 외면(54a)이 상기 각 가이드부(53a)의 내측단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elastic member 54 may be provided as a W-shaped leaf spring so that the end-side outer surface 54a covers the inner end of each guide part 53a.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장착홈(53f) 및 상기 장착안내부(51e)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상하 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홀더브라켓(53)과 상기 커버브라켓(51) 사이에서 과도하게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Here, the elastic member 54 is provided to have a vertical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mounting groove 53f and the mounting guide portion 51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holder bracket 53 and the cover bracket 51 .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tably without excessive flow.

그리고, 상기 몸체부(52b)의 타단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52c)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지지돌기(52c)가 탄성부재(54)의 단부측 외면(54a)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5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support protrusion 52c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52b. Here, as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52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side outer surface 54a of the elastic member 54, the stopper 52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radially outward.

이때, 상기 스프링지지돌기(52c)는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길이에서 상기 몸체부(52b)의 반경 방향 두께를 감한 값을 초과하는 길이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며, 스프링지지돌기(52c) 및 탄성부재(54)의 접촉을 통해 상기 몸체부(52b)가 개구부(53c)의 내측 테두리(53m)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탄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52c preferably protrudes to a length exceeding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adial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52b from the radial length of the guide portion 53a, and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52c ) and the elastic member 54,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52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dge 53m of the opening 53c,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lastically supported state.

여기서, 상기 몸체부(52b)는 상하 방향 두께가 상기 격벽부(53h)의 하면부로부터 가이드부(53a)의 함몰 깊이 및 상기 커버브라켓(51)의 상하 방향 두께의 합을 초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5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브라켓(51)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52b is provided such that the vertical thickness exceeds the sum of the depression depth of the guide portion 53a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3h and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cover bracket 51 .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53a, it may be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bracket 51 .

이때, 상기 노출된 몸체부(52b)의 하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스토퍼돌기부(52a)가 홀더브라켓(53)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외력 해제시 탄성부재(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토퍼돌기부(52a)가 홀더브라켓(5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exposed body portion 52b is press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topper protrusion portion 5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bracket 53 ,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By this, the stopper protrusion 52a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racket 53 .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53a)의 반경 방향 외측단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브라켓(51)의 테두리 부분(51c)은 타 부분보다 얇은 상하 방향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부(52b)의 노출 면적이 증가되고 제품의 조작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Here, the edge portion 51c of the cover bracket 51 corresponding to 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guide portion 53a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thickness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s, so that the exposed area of the body portion 52b is increased an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처럼, 상기 홀더브라켓(53)에 커버브라켓(51)이 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54), 스토퍼(52) 등의 구성 부품이 일체로 조립되어 모듈화될 수 있으며, 각 구성 부품이 상기 뚜껑(2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듈화된 장치가 한번의 작업으로 뚜껑(20)에 설치될 수 있어 조립성의 개선과 함께 운반 및 포장에 따른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as the cover bracket 51 is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53, the components such as the elastic member 54 and the stopper 52 can be integrally assembled and modularized, and each component is the lid 20 ), rather than sequentially assembled one by one, a modular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lid 20 in one operation, so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assembly properties and preventing loss of component parts due to transportation and packaging. can

이때, 상기 커버브라켓(51)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배수홀(51d)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부(51a) 등을 통해 상기 커버브라켓(51)과 홀더브라켓(53) 사이로 침투된 증기(밥물)의 액화에 따른 수분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스토퍼(52)의 이동 내지 탄성부재(54)의 탄발 변형시 밥물의 끈적임으로 인한 점성 마찰과 그에 따른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bracket 51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51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moisture according to the liquefaction of steam (rice water) that has penetrated between the cover bracket 51 and the holder bracket 53 through the guide hole 51a or the like can be quickly discharged, and the stopper 52 moves. When the elastic member 54 is elastically deformed, the viscous friction caused by the stickiness of the rice and its malfunction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부는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돌출된 테두리(41a)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에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라운드부(4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is provided to be rounded, and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and the stopper 52 is provid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edge 41a. It is preferable that a round portion 41b having a rounded inner surface to slide at one end of the is formed.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부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관통홀(41)의 상부와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면(52d)와 상기 일단면(52d)의 테두리(52e)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one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has an end surface 52d and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1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including the border (52e) of.

상세히,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스토퍼(52)가 탄성부재(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내솥커버(40)의 라운드부(41b)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 일단면(52d)의 테두리(52e)와 대향 배치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6A ,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the stopper 52 is mov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the inner pot cover 40 of The round part 41b is disposed to face the edge 52e of the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이때, 상기 내솥커버(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라운드부(41b)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면(52d)의 라운드진 테두리(52e)를 가압하며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52)의 홀더브라켓(53) 내부로의 수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41b)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라운드진 일단면(52d)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완전하게 장착되는 위치까지 부드럽게 상승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ved upward, the round part 41b presses the rounded edge 52e of the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and slides as the stopper 52 . of the holder bracket 53 can be induced, and the round part 41b is moved along the round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so that the inner pot cover 40 is a lid ( 20), it can be gently raised to the position where it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상기 스토퍼돌기부(52a)를 통과하면 탄성부재(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5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B , when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passes through the stopper protrusion 52a, the stopper 52 is moved radially out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 .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면(52d)의 테두리(52e)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장된 외면부(52f)가 평탄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홀더브라켓(53)의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돌기부(52a)의 외면부(52f)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내솥커버(40)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surface portion 52f extending from the edge 52e of the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to the other end is provided flatly,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is attached to the holder bracket ( 53) may be seated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stably supported, and the inner pot cover 40 may be securely mounted.

이처럼, 내솥커버(40)를 뚜껑(20)의 하면부로 밀어 넣기만 하면 내솥커버(40)가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솥커버(40)가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솥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하면 증기압에 의해 내솥커버(40)가 부드럽게 밀려 올려가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스토퍼돌기부(52a)의 외면부(52f)에 걸림되도록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불완전한 장착으로 인한 내솥커버(40) 및 컨트롤패킹(32) 사이의 증기 누설을 예방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simply by pushing the inner pot cover 40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mounted,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inner pot cover 40 is not completely mounted. Even in this state, if the vapor pressure inside the inner pot rises, the inner pot cover 40 is gently pushed up by the vapor pressure, so that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is completely mounted so that it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Therefore,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steam leakage between the inner pot cover 40 and the control packing 32 due to incomplete mounting.

한편,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커버(40)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홀부(51a)를 통해 노출된 몸체부(52b)의 하부를 가압하면 스토퍼돌기부(52a)가 홀더브라켓(53)의 내부로 수납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6c ,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2b exposed through the guide hole portion 51a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the stopper The protrusion 52a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bracket 53 .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일단면(52d)으로부터 상기 몸체부(52b)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로부터 상기 가이드부(53a)의 내측 단차(53i)까지의 간격 내지는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로부터 상기 가이드홀부(51a)의 내측단부까지의 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ength from one end surface 52d of the stopper protrusion 52a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52b is the inner step 53i of the guide portion 53a from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 ) or the distance from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to the inner end of the guide hole portion 51a is preferably set to less than.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52)의 수납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가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관통홀(41)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topper 52 is stored, the stopper protrusion 52a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im 41a of the through hole 41 to release the restraint state of the through hole 41, and the inner pot cover 40 ) may be separated from the lid 20 .

이처럼, 상기 장착된 내솥커버(40)의 분리를 위한 스토퍼(52)의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이 스토퍼(52)에서 커버브라켓(51)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의 직접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 및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radial inner movement of the stopper 52 for separation of the mounted inner pot cover 40 can be made through direct manipulation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bracket 51 from the stopper 52, the device The number and structure of the constituent parts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assembl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상기 관통홀(41)에 대한 구속 해제시 상기 컨트롤패킹(32)의 복원력에 의해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자동으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Moreover, when the restraint on the through hole 41 is released,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rol packing 32 ,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product is improved.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관통홀(41)이 내솥커버(40)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40)의 분리시 스토퍼(52)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손에 내솥커버(40)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40)가 내솥(미도시) 내지는 본체(미도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낙하된 내솥커버(40)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through hole 41 is located inside the inner pot spaced apart from the rim of the inner pot cover 40, the user's hand presses the stopper 52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separated. The edge of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supported naturally, by preventing the separated inner pot cover 4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of the inner pot (not shown) or the main body (not shown), thereby preventing nicks or impact damage due to the dropped inner pot cover 40.

그리고, 상기 홀더장치(50)의 구성 부품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되어 뚜껑(20)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내솥커버(40)만 분리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품(도 1의 5 참조)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미도시)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And, since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holder device 50 are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53 and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only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separated, so that as in the prior art, a separate product (FIG. 1) 5)) is removed, and damage to the inner pot (not shown) due to the fall of separate items can be prevent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par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part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device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inner pot cover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2실시예에서는 홀더브라켓(153) 및 홀더브라켓(153)을 커버하는 하우징(151), 그리고 홀더브라켓(153)에 각 구성 부품이 조립되는 구조를 제외한 스토퍼(152)의 노출된 부분을 통한 직접 조작 및 그에 따른 관통홀(41)에 대한 구속 및 구속해제 등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opper 152 except for the holder bracket 153 and the housing 151 that covers the holder bracket 153, and the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is assembled to the holder bracket 153.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such as direct manipulation through direct manipulation and consequent restraint and release of the through-hole 41,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부에는 상기 스토퍼(152)가 안내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돌설된 한쌍의 가이드돌기부(153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7 to 10B ,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53a protruding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the stoppers 152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

상세히, 도 9 내지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각 가이드돌기부(153a)는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부에서 최대 직경부를 기준으로 한 일측 및 타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9 to 10A ,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153a is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radial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based on the maximum diameter.

그리고, 상기 스토퍼(152)는 상기 가이드돌기부(153a) 사이로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몸체부(152b)와, 상기 몸체부(152b)의 일단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스토퍼돌기부(152a)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opper 152 includes a body portion 152b with an upper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guide projection portions 153a to be guided, and a stopper projection portion 152a protruding stepwise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52b. .

이때, 상기 몸체부(152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는 상기 몸체부(152b)의 일단부에 연결된 뒤집어진 삼각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52b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opper protrusion portion 152a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ular plat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52b.

여기서, 상기 몸체부(152b)의 상하 방향 폭이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하 방향 폭보다 넓게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단이 상기 몸체부(152b)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단차(152m)가 형성된다. Here, the vertical width of the body part 152b is wid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stopper protrusion part 152a, and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part 152a is conn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52b downward. Accordingly, a step 152m is formed.

이때,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부에서 상기 각 가이드돌기부(153a)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몸체부(152b)의 상부(152k)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함몰된 안내홈부(153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between the guide projections 153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the upper portion 152k of the body portion 152b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stopper projection portion 152a is inserted and gu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guide groove portion 153c is formed.

한편, 상기 각 가이드돌기부(153a)에서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과 연결되는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152)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154)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가이드부(1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in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153a,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5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152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guide portion 153b. It is preferable to form

즉, 상기 가이드돌기부(153a)는 양단부가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과 연결되되, 양단부의 내측부가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면과 이격된 형태로 구비된다. That is,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153a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 and inner portions of both ends are provided in a form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

이때, 상기 스토퍼(152)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각 스토퍼(152)의 몸체부(152b)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부(153a)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stoppers 152 are provided as a pair, and the body portion 152b of each stopper 152 fac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ut the guide protrusion 153a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152a fac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m.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부(153a)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몸체부(152b)의 상부에는 삽입홀(152c)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52c)은 양측의 관통가이드부(153b)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152b)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52c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52b dispos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153a, and the insertion hole 152c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guide portions 153b on both sides of the body. It is formed through the portion 152b laterally.

이때, 상기 탄성부재(154)는 W자형 스프링 핀으로 구비되며, 양단부가 두개의 관통가이드부(153b) 및 삽입홀(152c)을 통과하여 가이드돌기부(153a) 및 홀더브라켓(153)의 하면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54 is provided with a W-shaped spring pin, and both ends pass through the two through guide parts 153b and the insertion hole 152c, an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part 15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 may be bound by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52)가 상기 홀더브라켓(153)에 결합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152 is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153 , it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한편,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하부에는 하우징(151)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151)은 상기 스토퍼(152)를 매개로 상기 홀더브라켓(153)과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a housing 151 is prefer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153 , and the housing 151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153 via the stopper 152 .

상세히, 상기 하우징(151)은 상기 홀더브라켓(15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51) 및 상기 홀더브라켓(153) 사이에 스토퍼(152) 및 탄성부재(154)가 수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housing 15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153, and a stopper 152 and an elastic member ( 154) can be accommodated.

이때, 상기 하우징(15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관통부(151a)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는 상기 하우징(151)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하 방향 폭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At this time, a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51, and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is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151, and the stopper protrusion 152a.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width of

상세히, 상기 하우징(151)의 상부 개구로 홀더브라켓(153)이 삽입되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된 스토퍼돌기부(152a)가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를 통해 하우징(151)의 외부로 돌출된다. In detail, when the holder bracket 153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housing 151, the stopper protrusion 152a elastically support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51 through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 및 상기 몸체부(152b)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단차(152m)가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의 상부 테두리(151p)에 걸림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도 상기 하우징(151)이 홀더브라켓(15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을 위한 부품 수가 감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step 152m formed between the top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152a and the body portion 152b is caught by the upper edge 151p of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the housing ( 151) can be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153, the number of parts for assembly can be reduced.

또한, 스토퍼돌기부(152a)를 인위적으로 스토퍼관통부(151a)의 테두리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 넣으면 하우징(151)이 하측으로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세척 및 부품 교환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topper protrusion 152a is artificially pushed completely inside the rim of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the housing 151 can be easily separated downwardly, so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and replacement of parts can be easily made.

이때, 상기 하우징(151)의 하면부에는 외부배수홀(151d)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증기의 침투 및 액화로 인한 수분 내지는 하우징(151)의 분리 세척시 잔존 수분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rnal drain hole 151d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1, and moisture due to penetration and liquefaction of steam or residual moisture during separation and cleaning of the housing 151 can be quickly discharged. .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하우징(151)의 내주로부터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배치된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테두리(41a)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하우징(151)의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돌기부(152a)에 구속되어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radial length of the stopper protrusion 152a is the distanc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151 to the through-hole 41 rim 41a of the inner pot cover 4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 is provided to exceed, and the edge 41a of the through hole 41 is restrained by the stopper protrusion 152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51 so that the inner pot cover 4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can be

또한,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51)의 하면부(151c) 테두리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51)의 하면부 상단과 상기 몸체부(152b)의 하단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가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를 통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i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151c of the housing 15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1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15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stopper protrusion 152a may pass through the stopper penetrating portion 151a.

이때, 상기 몸체부(152b)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51)을 지지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된 지지면부(152g)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51) 하면부(151c)가 상기 지지면부(152g)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151a)의 상부 테두리(151p)가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면(152f)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51)이 상기 홀더브라켓(153)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upport surface portion 152g flatly provided to support the housing 151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52b, and a lower surface portion 151c of the housing 151 is attached to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52g. In a supported state, as the upper rim 151p of the stopper through portion 151a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1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152a, the housing 151 is stably coupled to the holder bracket 153. can

한편,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는 상면(152f)이 상기 몸체부(152b)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단차(152m)를 형성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평탄하게 돌출되고, 상면(152f)의 반경 방향 외측단부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152e)이 연결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A to 10B , the stopper protrusion 152a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That is, the stopper protrusion 152a has an upper surface 152f tha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52b to form a step 152m, and protrudes flatly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52f. An inclined surface 152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adially inward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여기서, 상향은 뚜껑(20)의 하면부에서 먼쪽으로부터 뚜껑(20)의 하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내솥뚜껑(40)의 장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Here, the upward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to mean a direction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from the far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inner pot lid 40. .

이때, 상기 경사면(152e)은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라운드부(41b)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내솥커버(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라운드부(41b)가 상기 경사면(152e)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됨에 따라 스토퍼(15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152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round part (41b)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and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ved upward, the round part (41b) is on the inclined surface (152e). The stopper 152 may move radially inward as it slides in contact.

그리고,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이 상기 스토퍼돌기부(152a)을 통과하면 스토퍼(15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원 이동되고, 스토퍼돌기부(152a)의 상면(152f)에 의해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구속되어 내솥커버(40)가 장착될 수 있다. And, when the through hole 41 of the inner pot cover 40 passes through the stopper protrusion 152a, the stopper 152 is restored and moved radially outward, and penetrates by the upper surface 1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152a. The rim 41a of the hole 41 is restrained so that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moun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의 코킹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홀더장치를 통해 내솥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part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device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ulking coupling of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is mounted through the holder devic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3실시예에서는 홀더브라켓(253)의 하면부 형상과 스토퍼(252)의 형상, 스토퍼(252)와 홀더브라켓(253)의 조립 구조를 제외한 스토퍼(252)의 노출부에 대한 직접 조작 및 그에 따른 관통홀(41)의 구속 및 구속해제 등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third embodiment, direct manipulation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opper 252 except for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and the shape of the stopper 252,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topper 252 and the holder bracket 253, and The basic configuration such as constraint and release of the through hole 41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252)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부(25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11 to 14 , it is preferable that a slide groove portion 253a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는 양단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하면 중앙부가 일측 및 타측 외주까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는 상기 스토퍼(25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스토퍼(252)가 슬라이드홈부(25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Here, 12 to 14,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is formed by reces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upward to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both ends are opened. At this time,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topper 252 so that the stopper 252 can be accurate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the stopper 252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는 상기 스토퍼(252)의 상하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has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25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스토퍼(252)는 슬라이드홈부(253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몸체부(252b)와,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의 양단부를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252b)의 일단에 돌설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돌기부(252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topper 252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52b so as to protrude through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52b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and guided, and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in a rad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opper protrusion 252a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상세히, 상기 몸체부(252b)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는 뒤집어진 직각삼각형에 대응되는 측단면을 갖도록 상기 몸체부(252b)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In detail, the body portion 252b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block, and the stopper protrusion portion 252a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52b to have a side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an inverted right-angled triangle.

즉,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는 상면부(252f)가 평탄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252b)의 하면부 일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의 상면부(252f) 일단으로 연결되는 경사부(252e)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That is, the stopper protrusion 252a has a flat upper surface portion 252f, and an inclined portion 252e connected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52b to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252a. )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외주로부터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까지의 거리를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adial length of the stopper protrusion 252a is preferably provided to exceed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racket 253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41 .

또한, 상기 스토퍼(25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타단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에 배치되되, 각 스토퍼(252)의 스토퍼돌기부(252a)가 슬라이드홈부(253a)의 양단부측 개구를 향해 배치된다. 이때, 두 스토퍼(252)의 반경방향 길이 합은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의 반경방향 길이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oppers 252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in the slide groove part 253a so that the other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topper protrusions 252a of each stopper 252 are located on both ends of the slide groove part 253a. placed toward the opening. At this time, the sum of the radial lengths of the two stoppers 252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less than the radial length of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그리고, 상기 각 스토퍼(252)가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탄성부재(254)가 삽입되는 삽입홈(252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54)는 일반적인 직선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54)의 양단부가 각 스토퍼(252)의 삽입홈(252c)에 삽입됨에 따라 스토퍼(252)가 안정적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sertion groove 252c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25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toppers 252 opposite to each other. Here, the elastic member 254 may be provided as a general straight spring, and as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254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52c of each stopper 252, the stopper 252 is stably rebounded. can be supported

이때, 상기 스토퍼(252)의 상면부에는 탈락방지돌기(252g)가 돌설되되,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의 상면부에는 상기 스토퍼(252)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탈락방지돌기(252g)가 삽입되는 구속홈부(2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drop-off prevention protrusion 252g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252, and the drop-off prevention protrusion 252g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topper 25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raint groove portion 253b to be insert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구속홈부(253b)는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스토퍼(252)의 일단이 관통홀(41)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스토퍼(252)의 일단이 관통홀(41)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위치까지에 대응되는 탈락방지돌기(252g)의 이동범위를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constraint groove (253b)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cover (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one end of the stopper (252)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41) Preferably, it is formed in a size includ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drop-off preventing protrusion 252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stopper 252 is disposed radially inside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4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252 is located.

즉, 상기 구속홈부(253b)는 상기 탈락방지돌기(252g)의 이동범위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홈부(253a)의 상면부가 상기 탈락방지돌기(252g)의 돌설 높이를 초과하는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253b is formed by rec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includ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drop-off preventing protrusion 252g upward to a depth exceeding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drop-off preventing protrusion 252g. can be

또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251)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하면부 테두리에는 가압에 따른 소성 변형시 상기 커버플레이트(251)의 하면 테두리를 감싸 고정하는 코킹부(253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12 to 13, a cover plate 251 for covering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25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is pressed against the edge It is preferable that a caulking part 253c for wrapping and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51 is provided when p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

여기서, 상기 코킹부(253c)는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홀더브라켓(253) 하면부 테두리를 따라 하향 돌설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251)는 상기 코킹부(253c)의 내주에 대응되는 면적의 원판형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aulking part 253c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except for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e groove part 253a, and the cover plate 251 is the caulking part 253c.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s a disk-shaped member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251)는 상기 코킹부(253c)의 내부를 따라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하면부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킹부(253c)의 가압 및 소성 변형에 따라 상기 홀더브라켓(25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252)는 슬라이드홈부(253a) 및 커버플레이트(251)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251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253 along the inside of the caulking part 253c, and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plastic deformation of the caulking part 253c, the holder bracket It may be coupled to the 253 , and the stopper 252 may be moved in a radial direction between the slide groove portion 253a and the cover plate 251 .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1) 및 상기 홀더브라켓(253) 사이로 침투된 증기의 액화에 따른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내부배수홀(251d)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plate 251, an internal drain hole 251d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so that moisture according to the liquefaction of the vapor that has penetrated between the cover plate 251 and the holder bracket 253 is smoothly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252)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54)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Here, referring to FIG. 14 , the stopper 252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4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의 경사부(252e)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라운드부(41b)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내솥커버(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라운드부(41b)가 상기 경사부(252e)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됨에 따라 스토퍼(25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252e of the stopper protrusion 252a is disposed to face the round portion 41b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unted, and when the inner pot cover 40 is moved upward, the round portion 41b ) as it slide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252e, the stopper 252 may be mov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이 상기 스토퍼돌기부(252a)를 통과하면 스토퍼(25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원 이동되고, 스토퍼돌기부(252a)의 상면부(252f)에 의해 관통홀(41)의 테두리(41a)가 구속되어 내솥커버(40)가 장착될 수 있다. And, when the through hole 41 of the inner pot cover 40 passes through the stopper protrusion 252a, the stopper 252 is restored and moved radially outward, an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252f of the stopper protrusion 252a The rim 41a of the through hole 41 is restrained so that the inner pot cover 40 can be mounted.

이때, 상기 홀더브라켓(253)의 외부로 돌출된 스토퍼돌기부(252a)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관통홀(41)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topper protrusion 252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racket 253 is pressed radially inward, the restraint on the through hole 41 is released and the inner pot cover 40 is removed from the lid 20. can be sepa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0,200,300: 전기조리기 2,20: 뚜껑
3,40: 내솥커버 4,53,153,253: 홀더브라켓
5: 커버홀더 30: 리드플레이트
31: 증기배출홀 32: 컨트롤패킹
41: 관통홀 43: 유동홀
50,150,250: 홀더장치 51: 커버브라켓
52,152,252: 스토퍼 52a,152a,252a: 스토퍼돌기부
54,154,254: 탄성부재 60: 컨트롤플레이트
151: 하우징 251: 커버플레이트
1,100,200,300: Electric cooker 2,20: Lid
3,40: inner pot cover 4,53,153,253: holder bracket
5: cover holder 30: lead plate
31: vapor discharge hole 32: control packing
41: through hole 43: flow hole
50, 150, 250: holder device 51: cover bracket
52,152,252: stopper 52a, 152a, 252a: stopper protrusion
54,154,254: elastic member 60: control plate
151: housing 251: cover plate

Claims (25)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 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되 가압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후퇴되어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a body having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li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Doedo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of the inner pot flows, a control plat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provided with a pressure-response operation means op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pressure of the inner pot;
an inner pot cover coupled to and detachab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plate, the inner pot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holder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rol plate, and a stopper that is moved elastic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der bracket to constrai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is retract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pressed, and releases the constraint state of the through hole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holder device t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is formed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holder bracke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ack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t cover to the lower side is provi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연통홀과 대응되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된 리드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증기배출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lead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plate and the holder bracket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and a vapor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e control packing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surround the steam discharge hole and the holder brack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내솥커버 및 상기 뚜껑의 하면부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packing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height exceeding the coupling interval between the inner pot cov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스토퍼는 탄성부재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pper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stopper is elastically support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an elastic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출된 테두리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에 슬라이드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im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and a round part is formed to slide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rim to one end of the stop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에는 하면부 테두리를 따라 격벽부가 돌설되고,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bracket has a partition wall protruding along the lower surface edge,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topper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stopper passes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커버브라켓이 결합되되,
상기 커버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cover bracke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bracket is formed with a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의 상면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장착안내부가 구비되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배수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ver bracke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uide formed to protrude to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drain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되 상기 가이드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돌설된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pper is
a body part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to be guided through the guide hole part and protru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bracket;
and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to pass through the ope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일단부는 라운드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is provided to be roun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내주를 따라 구비된 탄성부재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지지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protrudes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돌설된 한쌍의 가이드돌기부가 구비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측면부에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된 하우징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uide the stopper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having a stopper through portion formed on the s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는 외부배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rnal drain hole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돌기부 사이로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몸체부와,
상기 스토퍼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opper is
A body part having an upper part insert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and guided;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stepwise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penetrate the stopper through por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projection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돌기부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각 관통가이드부와 연통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통과되는 삽입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 through guide portion through which an end of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elastic member passes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through guide portion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hous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부 사이를 따라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상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상기 몸체부의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함몰된 안내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recess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protruding stepwise to the upper side of the stopper protrusion along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to be inserted and gu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에는 탈락방지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sl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drop-off prevention projection.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돌기는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돌설되되,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탈락방지돌기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drop-off prevention protrusion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lide groove portion is formed with a restraint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drop-off prevention projection is inserted so tha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topper is limite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돌설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돌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stopper is
a body pa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part and guided;
and a stopp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end of the slide groove portion and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타단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배치되되,
상기 각 스토퍼가 상호 대향되는 타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stopper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in the slide groove so that the other end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toppers opposite to each oth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부 테두리에는 가압에 따른 소성 변형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면 테두리를 감싸 고정하는 코킹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A cover plate for covering the slide groove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racke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edge of the holder bracket is provided with a caulking portion for wrapping and fixi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when plastically deformed by pressur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내부배수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late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drain hol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60021963A 2016-02-24 2016-02-24 electric cooker KR102380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63A KR102380952B1 (en) 2016-02-24 2016-02-24 electric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63A KR102380952B1 (en) 2016-02-24 2016-02-24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29A KR20170099629A (en) 2017-09-01
KR102380952B1 true KR102380952B1 (en) 2022-03-31

Family

ID=5992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963A KR102380952B1 (en) 2016-02-24 2016-02-24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01194U (en) 2012-10-23 2013-03-20 黄振雄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inner cover capable of being conveniently washed
CN204232877U (en) 2014-11-17 2015-04-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The upper cover of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and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KR101565885B1 (en) 2014-05-15 2015-11-04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403B1 (en) 2012-06-29 2018-10-04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01194U (en) 2012-10-23 2013-03-20 黄振雄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inner cover capable of being conveniently washed
KR101565885B1 (en) 2014-05-15 2015-11-04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CN204232877U (en) 2014-11-17 2015-04-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The upper cover of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and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29A (en)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79B1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KR101584400B1 (en) Cap of drink container
KR101528024B1 (en) Cap of drink container
US10369882B2 (en) Valve case mounting structure
KR20170071130A (en) Clean cover for electrical pressure cooker
WO2023033965A1 (en) Reusable brew basket and brewing machine assembly
KR102380952B1 (en) electric cooker
KR101215123B1 (en) Removable handle for cover of cookware
KR101693341B1 (en) electric cooker
CA2762645A1 (en) Step trash can
JP6952991B2 (en) Container with coating body
KR102297218B1 (en) Cosmetic container
KR102427182B1 (en) electric cooker
KR102481813B1 (en) electric cooker
KR102372050B1 (en) Vacuum storage boxes
KR20190087993A (en) Cosmetic container
KR102359064B1 (en) electric cooker
KR101552900B1 (en) Cosmetics Receptacle
KR102241982B1 (en) Airtight Container for Food
JP7196191B2 (en) cosmetic container
KR102355784B1 (en) electric cooker
EP3786083A1 (en) Steam-tight container
KR102245650B1 (en) Cosmetic container
KR101996881B1 (en) Vaportight container
KR102344077B1 (en) electric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