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07B1 -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07B1
KR101565407B1 KR1020090016186A KR20090016186A KR101565407B1 KR 101565407 B1 KR101565407 B1 KR 101565407B1 KR 1020090016186 A KR1020090016186 A KR 1020090016186A KR 20090016186 A KR20090016186 A KR 20090016186A KR 101565407 B1 KR101565407 B1 KR 10156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outdoor unit
distribu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309A (ko
Inventor
김찬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07B1/ko
Priority to CN201080009648.5A priority patent/CN102333996B/zh
Priority to US13/202,783 priority patent/US8826689B2/en
Priority to EP10746449.7A priority patent/EP2402671B1/en
Priority to PCT/KR2010/001215 priority patent/WO2010098610A2/ko
Publication of KR2010009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에서 분리된 상태로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외기, 분배, 냉매, 분리, 착탈, 수용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AIR CONDITIONER AND OUT DOOR UNIT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에서 분리된 상태로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최근의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공간의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공조공간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과정을 수행한 뒤 제습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겸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실외기를 공 유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를 여러 대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내기를 추가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는 실외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 외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 등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를 순환한 냉매는 동일한 실외기로 수집되고, 다시 압축과정과 응축과정(실내의 냉방시)을 거쳐 실내기로 분배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매의 분배과정은 압축기 또는 실외열교환기가 실내기의 수에 따라 분지된 분배관을 갖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냉매의 수집과 분배를 담당하는 분배장치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장치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며, 냉매를 실외기 내부의 압축기 또는 실외열교환기로 수집하여 각각의 냉방조건을 갖는 실내기로 분배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와 상기 분배장치는 각각 냉매가 공급되는 배관과 회수되는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실외기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송풍팬을 구비하여 실외기 외부의 공기를 사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킨다. 따라서, 송풍팬의 송풍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실외기는 일정한 방향성을 갖으며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는 실외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이 일정 한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외기의 설치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실외기에 구비된 분배장치에 각각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분배장치의 위치와 실내기가 장착되는 공조공간의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냉매배관이 실외기를 우회하여 분배장치에 산만하게 연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 불필요하게 낭비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분배장치와 실내기가 근거리에 위치하게 되면, 실외기와 분배장치는 2개의 배관만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할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배관의 길이도 줄어들고 외관상의 산만함도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는 사용자의 환경은 다양하며, 다양한 공조환경에 대응하여 각각의 분배장치를 구비하는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에서 분리된 상태로 실외기 및 실내기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및 실외기하우징을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연결부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외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이 상기 실외기하우징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수직방향 모서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상기 실외기 하우징의 모서리는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설치위치 근방의 모서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연결부는 상기 함몰부에 장착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연결부는 실외고압소켓과 실외저압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하우징 외측면에 상기 실외고압소켓과 상기 실외저압소켓과 연결을 위한 고압소켓과 저압소켓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에 상기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 중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에서 연장 및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측면에 상기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은 복수 개의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자팽창벨브를 연결배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구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의 외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로 설치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브라켓을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의 외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를 구성하는 실외기하우징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 게 상기 실외기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 및, 상기 실내기와 분배유닛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과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하우징 내부에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상기 압축기 근방의 모서리 하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유닛은 냉매를 복수 개의 분지된 배관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와 각각의 분지된 배관에 구비된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냉매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을 그 내부에 수용하며, 복수 개의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이 장착되는 함몰된 수용공간이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실외기하우징 및, 상기 분배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소캣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된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상기 실외기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과 착탈가능한 연결배관에 의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의 위치에 따라 공지조화시스템의 설치에 사용되는 냉매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외기 설치장소 부근의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하는 실내기의 개수에 대응하는 분배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와, 실외기와 연결되는 분배유닛의 다양한 설치위치의 다양한 예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공간 내에 설치되며, 각각의 실내열교환 기를 구비한 복수 개의 실내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공조공간 외부의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외기하우징(110)을 포함하는 실외기(100) 및, 상기 실외기(100)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200)을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분배유닛(200)이 실내기(미도시)가 설치된 공조공간의 위치와 공기조화장치가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즉, 상기 실외기(1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의 천정, 바닥 및 수직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200)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실외기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하나의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상기 분배유닛(200a)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함몰된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100)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분배유닛(200a)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210a)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a)이 상기 실외기하우징(210a)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공간(130a)에 안착되는 방법으로 수용된다.
도 2(a)는 상기 분배유닛(200a)이 상기 실외기하우징(210a)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공간(130a)에 안착된 상태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수용공간(130a)은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a)의 함몰된 함몰부(120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2(b)는 함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a)의 배면에 수용공간을 형성된 경우가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03a)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120a)이다. 상기 함몰부(120a)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의 외면 중 일부를 그 내부로 함몰시킨 부분으로서, 상기 함몰부(120a)에 상기 분배유닛(200a)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배유닛(200a)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기 위하여,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a)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의 함몰부(120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a)은 상기 실외기(100a)와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며, 상기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00a) 측에는 상기 실외기(100a) 내부의 압축기(미도시)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분배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고압소캣(151a)과 저압소캣(155a)을 포함하는 연결부(150a)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유닛(200a)은 상기 고압소캣(151a)과 저압소캣(155a)을 포함하는 연결부(150a)와 연결되기 위한 실외고압소캣(251a)과 실외저압소캣(255a)을 포함하는 실외연결부(250a)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압소캣(151a)과 저압소캣(155a)이란 압축기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고압소캣(151a)이라고 칭하며, 실외열교환기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저압소캣(155a)이라 칭하고, 고압소캣(151a)과 저압소캣(155a)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의 소캣을 실외기 측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로 각각 실외고압소캣(251a)과 실외저압소캣(255a)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분배유닛(200a)은 실외기(100a)에서 공급된 냉매를 분배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 분배유닛(200a)은 실내기와 연결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기 위한 실내고압소캣과 실내저압소캣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270a)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외기(100a)의 고압소캣(151a)과 분배유닛을 매개로 냉매가 실내기로 분배되는 소캣을 실내고압소캣이라 칭하며, 상기 실외기의 저압소캣과 분배유닛을 매개로 냉매가 실내기로 분배되는 소캣을 실내저압소캣이라 칭한다.
상기 실내고압소캣과 실내저압소캣으로 구성된 실내연결부(270a)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기를 여러 대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압축기 의 용량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여러 대의 실내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실내연결부(270a)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연결부(270a)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뒤에서 보충설명한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200a)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130a)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연결부(270a)의 개수를 선택하여 상기 실외기(100a)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연결부(270a)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필요보다 많은 실내연결부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리고 압축기의 압축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필요한 개수의 실내연결부(270a)를 구비하는 분배유닛(200a)을 선택해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유닛의 실내연결부는 총 3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1개 또는 2개의 실내연결부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3개의 실내연결부가 구비된 분배유닛이 아닌 1개 또는 2개의 실내연결부를 구비한 분배유닛을 구비하고, 향후 3개의 실내연결부가 필요한 경우 실외기 전체가 아닌 3개의 실내연결부를 구비하는 분배유닛을 구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는 압축기의 용량이 3개의 실내기를 구동할 수 있는 압축 용량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와 분배유닛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상기 실외기(100a)의 연결부(150a)와 상기 분배유닛(200a)의 실외연결부(250a)는 착탈가능한 연결배관(300a)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300a)은 상기 연결부(150a)와 상기 실외연결부(250a)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캣을 서로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150a)를 구성하는 상기 고압소켓(151a)과 저압소켓(155a)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고압소켓(251a)과 상기 실외저압소켓(255a)이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200a)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압소켓(151a)과 저압소켓(155a)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a)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고압소켓(251a)과 상기 실외저압소켓(255a)이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200a)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와 실외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연결부(150a)와 상기 실외연결부(250a)를 구성하는 연결배관이 90도로 절곡되어야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150a)와 상기 실외연결부(250a)가 형성된다면, 설치과정도 복잡해지고, 외관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하우징(110a)의 형상을 상기 수용공간(130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a)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을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하면,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며, 조립의 편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상기 분배유닛(200b)이 상기 실외기하우징(110b)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110b)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b)는 상기 분배유닛(200b)이 상기 실외기하우징(110b)에 함몰된 수용공간(130b)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징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공통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분배유닛(200b)이 장착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b)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130b)이 상기 실외기의 배면이 아닌 측면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된 수용공간(130b), 즉 함몰부(120b)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b)의 측면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10b)의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를 상기 분배유닛과 연결하기 위한 고압소캣(151b)과 저압소캣(155b)을 구비하는 연결부(150b)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연결부와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연결부의 위치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150b)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b)의 측면에 구비된다면 상기 함몰부(120b)의 위치를 상기 분배유닛(200b)의 실외연결부(250b)가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와 근거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결정하면 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실외기(100b)와 분배유닛(200b)도 상기 연결부(150b)와 실외연결부(250b)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100c)와 분배유닛(200c)의 다른의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기 분배유닛(200c)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130c)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b)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함몰된 수용공간(130c)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이 장착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함몰부(120c)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실외기(100c)의 배면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하부영역에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함몰부가 상기 실외기(100c)의 배면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함몰부(120c)가 형성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모서리는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설치위치 근방의 모서리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압축기는 실외공기가 실외열교환기를 관통하여 유동하지 않는 상기 실외기하우징 내부의 영역 이므로, 실외기하우징(110c) 중 실외열교환기의 공기 유동에 의한 열교환을 방해하지 않으려면,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압축기 근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실외기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분배유닛과 상기 실외기 내부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한다.
상기 실외기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간은 실외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경로에 상기 실외열교환기(140c)가 배치되므로, 상기 분배유닛(200c)이 장착되는 함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적절치 않다.
즉, 상기 실외기하우징은 실외공기의 유동을 위한 개방구가 실외기하우징의 앞뒤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함몰된 수용공간은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가리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170c)의 위치 역시 실외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40c)의 열교환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 내부의 공간 중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 등이 배치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분배유닛(200c)에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270c)를 구비하기 위해서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은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수직방향 모서리에 상기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c)은 실내기와 연결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기 위한 실내고압소캣(271c-1, 271c-2, 271c-3)과 실내저압소캣(275c-1, 275c-2, 275c-3)을 구 비하는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270c)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내연결부(270c)는 제1실내연결부(270c-1), 제2실내연결부(270c-2), 제3실내연결부(270c-3)를 구비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된 수용공간은 상기 압축기(170c) 근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많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200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70c) 근방의 모서리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0c)와 연결을 위한 실외연결부(250c) 역시 상기 압축기(170c) 근방에 구비되면, 상기 분배유닛의 실외연결부(250c)와 상기 실외기(100c)의 연결부(150c)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복수 개의 실내기(A,B,C)와 상기 실내기(A,B,C)들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100)와 상기 실내기(A,B,C)들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70)와 압축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키는 실외열교환기(140)를 구비하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19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A,B,C)가 구비되는 공조공간(500a, 500b, 500c) 내부의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사방밸 브(17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175)에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은 상기 실내기(A,B,C)들의 운전조건, 예를 들면, 공조공간의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다.
실선으로 표기된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된 실내기는 공조공간 내부를 냉방하게 되며, 점선으로 표기된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기(A,B,C)는 공조공간 내부를 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A,B,C)로 공급하는 냉매의 압력을 일차적으로 감압하는 팽창밸브(165)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는 그 외형을 구성하는 실외기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는 상기 분배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고압소캣(151)과 저압소캣(155)을 포함하는 연결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고압소캣(151)은 실내기(A,B,C)의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공급되는 소캣을 의미하며, 저압소캣(155)은 압축기(170)로 냉매가 회수되는 소캣으로 지칭한다.
상기 고압소캣(151)과 저압소캣(155)으로 구성되는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50)의 설치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상기 고압소캣(151)과 상기 저압소캣(155)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실외고압소캣(251)과 실외저압소캣(255)를 포함하는 실외연결부(250)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유닛(2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외기(100)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의 함몰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된 연결부(150)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실외연결부(25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되는 실내기(A,B,C)가 냉방운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분배유닛 내부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검토한다.
상기 압축기(17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40)에서 응축된 뒤 상기 실외기(100)의 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고압소캣(151) 측으로 토출되며, 상기 고압소캣(151)과 연결배관(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외고압소캣(251)을 통해 상기 분배유닛(200)에 공급된다.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실내연결부(270)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분지되어 공급된다.
상기 분배유닛 내부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분배유닛에 구비된 실내연결부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분지되어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분지된 배관을 연결한 수 있는 분배기(240)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분배기(240)에 의하여 분배된 냉매는 각각의 분지된 배관에 구비된 전 자팽창밸브(260-1,260-2,260-3)에서 각각의 공조공간(500a, 500b, 500c)의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실내기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배기(240) 전단과 상기 전자팽창밸브 후단 중 적어도 한곳에 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290-1,290-1,29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는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연결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기가 각각의 공조공간(500a, 500b, 500c) 내부에서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100)에 전원을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의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는 각각의 공조공간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된 실내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그 개도가 전동 제어되는 밸브이다. 상기 제어부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피씨비기판(미도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배유닛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분배유닛의 부피를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의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을 하부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와 분배유닛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되는 피씨비기판과 상기 분배유닛의 전자팽창밸브를 연결하는 연결배선은 각각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과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전자팽창밸브와 상기 실외기(100c) 내부에 구비되는 피씨비기판에 연결되야 하므로,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실외기하우징과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을 관통하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과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에 각각 연결배선이 통과할 수 있는 배선구(180c, 280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c)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하우징(210c)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c)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200c)이 상기 수용공간(130c)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연결배선이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에 형성된 배선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구(180c,280c)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120c)의 내측면과 상기 함몰부(120c)에 삽입되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외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배선구(180c)와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배선구(280c)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수용공간(120c)에 장착되었을 때,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배선구(180c)와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배선구(280c)가 서로 연통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연결배선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분배유닛의 장착상태에서 연결배선이 외부로 실외기하우 징(110c)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유닛(200c)이 장착되는 함몰된 수용공간(120c)은 실외기하우징(110c)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유닛의 배선구(280c)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길이방향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에 형성된 배선구(180c)도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의 배선구의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c)의 배선구(180c)와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배선구(280c)는 단순한 개방구일 수도 있으나, 침수 또는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거나, 중심부가 방사형으로 절개된 고무패킹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 등이 장착되면 연결배선 등의 수가 가변되어도 이물질 등이 투입될 수 있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유닛이 실외기의 수용공간이 아닌 다른 위치에 장착되기 위하여 장착브라켓(4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200c)은 상기 실외기를 구성하는 실외기하우징의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상기 실외기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한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의 설치장소의 조건, 예를 들면 공조공간의 위치와 상기 실외기 연결부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상기 분배유닛(200c)을 상기 실외기에서 분리하여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의 설치장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의 벽면(이하, 설치면이라 함)일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을 벽면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분배유닛을 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브라켓(40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215c)이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의 외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00)은 설치면에 상기 분배유닛을 안정감있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상기 분배유닛(200c)을 상기 실외기의 함몰된 수용공간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400)에서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을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 등)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215c)이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c)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착브라켓(400)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홀(215c)이 여러 개일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서, 하나의 장착브라켓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홀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장착브라켓은 하나의 장착브라켓이 총 2개의 체결부재(볼트 등)에 의하여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에 체결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215c)들이 상기 분배유닛(200c)의 일측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체결홀은 여러 외측면에도 형성되어 설치방향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와, 실외기와 연결되는 분배유닛의 다양한 설치위치의 예을 도시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하나의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함몰된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b)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함몰된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다른의 실시예의 장착상태와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b)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함몰된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실외기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분배유닛과 상기 실외기 내부의 구성요소들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실외기하우징에 형성된 함몰된 수용공간을 하부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와 분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유닛이 실외기의 수용공간이 아닌 다른 위치에 장착되기 위하여 체결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A, B, C : 실내기 100 : 실외기
120 : 함몰부 130 : 수용공간
150 : 연결부 180, 280 : 배선구
200 : 분배유닛 250 : 실외연결부
270 : 실내연결부 400 : 장착브라켓

Claims (20)

  1. 복수 개의 실내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및 실외기하우징을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연결부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외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이 상기 실외기하우징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모서리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수직방향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상기 실외기 하우징의 모서리는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설치위치 근방의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연결부는 상기 함몰부에 장착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연결부는 실외고압소켓과 실외저압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하우징 외측면에 상기 실외고압소켓과 상기 실외저압소켓과 연결을 위한 고압소켓과 저압소켓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에 상기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의 외측면 중 중 상기 실외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분배유닛 외측면에서 연장 및 절곡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측면에 상기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실내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은 복수 개의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연결배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구는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의 외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로 설치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브라켓을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의 외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각각의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냉매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를 구성하는 실외기하우징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상기 실외기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 및,
    상기 실내기와 분배유닛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과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이 상기 실외기하우징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하우징 내부에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상기 압축기 근방의 모서리 하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은 냉매를 복수 개의 분지된 배관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와 각각의 분지된 배관에 구비된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8.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냉매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을 그 내부에 수용하며, 복수 개의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이 장착되는 함몰된 수용공간이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실외기하우징; 및,
    상기 분배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소캣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유닛은 그 외형을 형성하는 분배유닛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하우징이 상기 실외기하우징의 함몰된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의 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과 착탈가능한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KR1020090016186A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KR10156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86A KR101565407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CN201080009648.5A CN102333996B (zh) 2009-02-26 2010-02-26 空气调节装置及室外机
US13/202,783 US8826689B2 (en) 2009-02-26 2010-02-26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EP10746449.7A EP2402671B1 (en) 2009-02-26 2010-02-26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PCT/KR2010/001215 WO2010098610A2 (ko) 2009-02-26 2010-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86A KR101565407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09A KR20100097309A (ko) 2010-09-03
KR101565407B1 true KR101565407B1 (ko) 2015-11-03

Family

ID=4300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86A KR101565407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083A (ja) 2001-02-15 2002-08-28 Hitoyoshi Aizawa 流体配管、流体分岐部、流体配管接続機器、並びに流体配管接続機器の取付及び取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083A (ja) 2001-02-15 2002-08-28 Hitoyoshi Aizawa 流体配管、流体分岐部、流体配管接続機器、並びに流体配管接続機器の取付及び取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09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3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228748B1 (ko) 드레인리스 공기 조화 장치
US8826689B2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EP240023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10102613A (ko) 공기조화장치
CN217082837U (zh) 一种空气调湿装置
US9404669B2 (en) Application of electric heat coil in fan unit
JP5530754B2 (ja) 床置型熱交換式換気扇
KR101565407B1 (ko)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KR101565406B1 (ko) 공기조화장치
CN208804788U (zh) 空调室外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1788181A (zh) 空调器室外机的排风口
CN217209577U (zh) 空调室内机
JP719959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09084378A (zh) 空调室外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213577759U (zh) 空调室内机
JP7224523B2 (ja) 室内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215336673U (zh) 空调室内机
KR200146100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기고정장치
KR1016085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7477710B (zh) 室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014610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증발기
KR100529921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18011A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96503Y1 (ko) 천정용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