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06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06B1
KR101565406B1 KR1020090016171A KR20090016171A KR101565406B1 KR 101565406 B1 KR101565406 B1 KR 101565406B1 KR 1020090016171 A KR1020090016171 A KR 1020090016171A KR 20090016171 A KR20090016171 A KR 20090016171A KR 101565406 B1 KR101565406 B1 KR 10156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door
distribution unit
indoo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296A (ko
Inventor
김찬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06B1/ko
Priority to EP10746449.7A priority patent/EP2402671B1/en
Priority to CN201080009648.5A priority patent/CN102333996B/zh
Priority to PCT/KR2010/001215 priority patent/WO2010098610A2/ko
Priority to US13/202,783 priority patent/US8826689B2/en
Publication of KR2010009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습도·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분배유닛에서 분기되어 실내기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절곡되지 않아 냉매의 유동저항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의 위치에 따라 공지조화시스템의 설치에 사용되는 냉매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외기 설치장소 부근의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압소켓 및 저압소켓이 상기 실외기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으므로 분배유닛의 장착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배관이 절곡되지 않아 냉매의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분배유닛, 체결리브, 장착부재, 배관연결부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습도·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최근의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공간의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공조공간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과정을 수행한 뒤 제습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겸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크게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공기조화장치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실외기를 공유하는 멀티형 공기조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를 여러 대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내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는 실외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 외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 등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를 순환한 냉매는 동일한 실외기로 수집되고, 다시 압축과정과 응축과정(실내의 냉방시)을 거쳐 실내기로 분배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냉매의 분배과정은 압축기 또는 실외열교환기가 실내기의 수에 따라 분지된 분배관을 갖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냉매 수집 및 분배를 위해 상기 실외기에 고정되는 분배유닛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배유닛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며, 냉매를 실외기 내부의 압축기 또는 실외열교환기로 수집하여 각각의 냉방조건을 갖는 실내기로 분배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와 상기 분배유닛은 각각 냉매가 공급되는 배관과 회수되는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실외기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송풍팬을 구비하여 실외기 외부의 공기를 사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킨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는 송풍팬의 송풍방향을 고려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는 실외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외기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고려하여 설치되는데, 실외기에서 분배유닛이 구비된 방향이 실내기가 설치된 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분배유닛과 실내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 실외기를 우회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에 고정되고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실외기를 우회하여 설치되는 경우 냉매배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냉매의 유동저항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공기조화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와 분배유닛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은 두 개인데 반해, 상기 분배유닛에서 다수 개의 실내기로 연결되는 냉매배관은 하나의 실내기당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배관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에 고정된 경우 상기 실외기에서 분기되어 다수 개의 실내기로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복잡하고 길게 형성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의 설치방향과 무관하게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가능한 분배유닛이 구비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기에서 분리가능한 분배유닛이 구비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 압축기가 구비된 실외기;그리고, 상기 실외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외기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압축기의 설치위치 근방의 측면에는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실외기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고압소켓과 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측연결부가 서로 다른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실외측연결부는 상기 고압소켓 및 저압소켓에 각각 대응되는 실외측고압소켓 및 실외측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연결부는 상기 실외측고압소켓 및 실외측저압소켓에서 각각 분기되는 실내측고압소켓 및 실내측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유닛은 복수 개의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와 상기 제어부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배선구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선구는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실외기의 배관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과 착탈가능한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분배유닛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분배유닛을 상기 실외기 또는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리브가 상기 분배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에는 상기 분배유닛을 상기 실외기 또는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의 일면에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배유닛이 지지되는 장착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분배유닛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양단에서 상기 분배유닛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실외기의 일면에 수직하게 구비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선단에서 상기 체결리브를 지지하여 상기 분배유닛의 탈거를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에 인접한 상기 실외기의 측면에는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배관연결부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측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분배유닛의 함몰부와 상기 실외기에는 각각 와이어의 배선을 위한 배선구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분배유닛에서 분기되어 실내기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절곡되지 않아 냉매의 유동저항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실내기에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의 장착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의 위치에 따라 공지조화시스템의 설치에 사용되는 냉매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외기 설치장소 부근의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고압소켓 및 저압소켓이 상기 실외기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으므로 분배유닛의 장착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배관이 절곡되지 않아 냉매의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서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다양한 설치위치를 도시한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공간 내에 설치되며 각각의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한 복수 개의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100) 및 상기 실외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유닛(200)이 실내기(미도시)가 설치된 공조공간의 위치와 공기조화장치가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1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의 천정, 바닥 및 수직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200)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 에 따라 상기 실외기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외기 및 분배유닛을 각각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의 외관은 실외기하우징(110)이 형성한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0), 어큐뮬레이터(132), 공조공간 외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4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전자팽창밸브(2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된다. (도 8 참조)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장착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배유닛(200)을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분배유닛(200)이 상측에서 결합되도록 그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 장착된 분배유닛(200)을 지지한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분배유닛(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122)와, 상기 스토퍼(122)의 양단에서 분배유닛(20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장착부재(120)의 개구된 상부로 분배유닛(200)이 장착되면 상기 스토퍼(122)가 분배유닛(20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분배유닛(200)의 결합정도를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124)는 분배유닛(20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 리브(212)를 지지하여 분배유닛(200)을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리브(124)는 상기 실외기(100)의 일면에 수직하게 구비된 수직부(124a)와, 상기 수직부(124a)의 선단에서 분배유닛(200)의 체결리브(212)를 지지하여 분배유닛(200)의 탈거를 방지하는 지지부(1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124a)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측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체결리브(212)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부(124a)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부(124b)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표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체결리브(212)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24a)는 상기 수직부(124a)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하우징(110)과 분배유닛하우징(210)에는 배선구(128,280)가 각각 구비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배선구(128,280)는 전기 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배선구(128,280)는 와이어가 통과하지 않을 때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패킹(고무 패킹) 등이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 등이 장착되면 연결배선 등의 수가 가변되어도 이물질 등이 투입될 수 있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배선구(128)는 상기 실외기(100)와 분배유닛(200)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00)에 분배유닛(20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배선구(128,280) 각각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의 배선구(128)와 분배유닛(200)의 배선구(280) 가 연통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되었을 때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0)에는 배관연결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상기 압축기(130)의 설치위치 근방의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실외기(100)의 냉매를 분배유닛(200)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실외기(100)의 배관연결부(150)는 분배유닛(200)에 착탈가능한 연결배관(300)에 의하여 분배유닛(200)에 연결된다.(도 4 참조)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실외기(100)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고압소켓(151)과 저압소켓(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압소켓(151)과 저압소켓(155)이 상기 실외기(100)의 하부 모서리 및 측면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게 되면 상기 분배기(200)가 상기 실외기(100)의 전면, 측면 또는 하면에 장착되더라도 연결배관(300)이 절곡되지 않고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소켓이 연결배관(300)의 연결경로에 간섭되지 않아 연결배관(300)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고압소켓(151)은 냉매가 상기 압축기(130) 및 실외열교환기(140)를 통과하여 분배유닛(200)으로 이동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저압소켓(155)은 냉매가 공조공간 내의 실내기를 거친 후 분배유닛(200)을 통과하여 실외기(100)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압소켓(151)과 저압소켓(155)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외측면 중 실외측고압소켓(251)과 실외저압소켓(255)이 구비된 분배유닛(200)의 외측면과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으고, 상기 배관연결부(150)와 실외측연결부(25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배관연결부(150)와 실외측연결부(250)를 구성하는 연결배관(300)이 90도로 절곡되어야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배관연결부(150)와 상기 실외측연결부(250)가 형성된다면, 설치과정도 복잡해지고, 외관도 해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실외기(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외기(100)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실외기(100) 및 실내기를 연결한다. 상기 분배유닛(200)에는 복수 개의 전자팽창밸브(260)가 구비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260)는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260)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분배유닛(200)의 외관은 분배유닛하우징(210)이 형성한다.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상된다. 상기 분배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일면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분배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에는 체결리브(212)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분배유닛(2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분배유닛(200)을 상기 실외 기(100) 또는 벽면 등의 설치면(이하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리브(212)가 상기 분배유닛(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12)는 상기 장착부재(120)의 지지리브(124)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12)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의 여러 표면 중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측연결부(250) 및 실내측연결부(270)가 구비되지 않은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리브(212)는 상기 지지리브(124)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분배유닛(200)을 상기 실외기(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리브(212)에는 상기 분배유닛(200)을 상기 실외기(100) 또는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체결홀(도시되지 않음)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리브(212)에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리브(124)가 없더라도 체결구에 의해서 상기 분배유닛(200)을 다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에는 상기 실외기(100)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250)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측연결부(270)가 서로 다른 외면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실외측연결부(250) 및 실내측연결부(27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배유닛(200)에는 실외측연결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측연결부(250)는 상기 연결배관(300)에 의해 상기 배관연결부(150)에 연결되어 냉매를 제공받거나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실외측연결부(250)는 상기 고압소켓(151) 및 상기 저압소켓(155)에 각각 대응되는 실외측고압소켓(251) 및 실외측저압소켓(2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고압소켓(251)은 상기 배관연결부(150)의 고압소켓(151)에 연결되어 고압의 냉매를 상기 실외기(100)로부터 제공받는 부분이고, 상기 실외측저압소켓(255)은 상기 배관연결부(150)의 저압소켓(155)에 연결되어 저압의 냉매를 상기 실외기(100)에 제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200)에는 실내측연결부(27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측연결부(270)는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측연결부(270)는 상기 실외측고압소켓(251) 및 상기 실외측저압소켓(255)에서 각각 분기되는 실내측고압소켓(271) 및 실내측저압소켓(2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고압소켓(271)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고압의 냉매를 제공하는 부분이고, 상기 실내측저압소켓(271)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열교환을 마친 상기 실내기의 냉매를 제공받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측고압소켓(271)과 실내측저압소켓(275)으로 구성된 실내측연결부(27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기를 여러 대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압축기(130)의 용량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여러 대의 실내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실내측연결부(27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구(280)는 상기 분배유닛하우징(210)의 배면에서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배선구(128)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 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측연결부(270)의 개수를 선택하여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측연결부(270)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필요보다 많은 실내측연결부(270)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리고 압축기(130)의 압축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필요한 개수의 실내측연결부(270)를 구비하는 분배유닛(200)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내측연결부(270)는 총 3개가 구비되나, 1개 또는 2개의 실내측연결부(270)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3개의 실내연결부가(270) 구비된 분배유닛(200)이 아닌 1개 또는 2개의 실내측연결부(270)를 구비한 분배유닛(270)을 구비하고, 향후 3개의 실내측연결부(270)가 필요한 경우 실외기(100) 전체가 아닌 3개의 실내측연결부(270)를 구비하는 분배유닛(200)을 구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되는 압축기(130)의 용량이 3개의 실내기를 구동할 수 있는 압축 용량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실외기(100)의 배관연결부(150)와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외측연결부(250)는 착탈가능한 연결배관(3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300)은 상기 배관연결부(150)와 상기 실외측연결부(25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켓을 서로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분배기(200)의 일부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200)에는 함몰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400)는 상기 분배기하우징(210)의 일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400)는 상기 실외기(100)의 배관연결부(15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400)에는 상기 배관연결부(150)가 삽입된다.
상기 함몰부(400)에는 상기 배관연결부(150)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측연결부(270)는 상기 분배유닛(200)의 외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배유닛(200)의 함몰부(400)와 상기 실외기(100)에는 각각 와이어의 배선을 위한 배선구(도시되지 않음)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배기(200)에 상기 배관연결부(150)가 삽입되는 함몰부(400)가 구비되면, 상기 분배기(200)가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배관연결부(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복수 개의 실내기(A,B,C)와 상기 실내기(A,B,C)들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100)와 상기 실내기(A,B,C)들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0)와 압축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키는 실외열교환기(140)를 구비하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13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실내기(A,B,C)가 구비되는 공조공간 내부의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사방밸브(1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에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은 상기 실내기들의 운전조건, 예를 들면, 공조공간의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다.
실선으로 표기된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된 실내기는 공조공간 내부를 냉방하게 되며, 점선으로 표기된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공조공간에 설치된 실내기(A,B,C)는 공조공간 내부를 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A,B,C)로 공급하는 냉매의 압력을 일차적으로 감압하는 팽창밸브(162)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는 그 외형을 구성하는 실외기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엔 상기 분배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고압소켓(151)과 저압소켓(155)을 포함하는 배관연결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배관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고압소켓(151)은 실내기(A,B,C)의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공급되는 소켓을 의미하며, 저압소켓(155)은 압축기(130)로 냉매가 회수되는 소켓으로 정의한다.
상기 고압소켓(151)과 저압소켓(155)으로 구성되는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실외기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압소켓(151)과 상기 저압소켓(155)을 포함하는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실외측고압소켓(251)과 실외측저압소켓(255)를 포함하는 실외측연결부(250)에 연결된다.
상기 실외기(100)에 구비된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실외연결부(25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연결배관(3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되는 실내기(A,B,C)가 냉방운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분배유닛 내부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검토한다.
상기 압축기(13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40)에서 응축된 뒤 상기 실외기(100)의 배관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고압소켓(151) 측으로 토출되며, 상기 고압소켓(151)과 연결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외측고압소켓(251)을 통해 상기 분배유닛(200)에 공급된다.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실내연결부(270)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분지되어 공급된다.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로 공급된 냉매를 상기 분배유닛(200)에 구비된 실내측연결부(270)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분지되어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분지된 배관을 연결한 수 있는 분배기(260)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분배기(260)에 의하여 분배된 냉매는 각각의 분지된 배관에 구비된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에서 각각의 공조공간(500-a, 500-b, 500-c)의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실내기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배기(260) 전단과 상기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 후단 중 적어도 한곳에 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290-1,290-1,29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는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기가 각각의 공조공간(500-a, 500-b, 500-c) 내부에서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100)에 전원을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분배유닛(200)의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는 각각의 공조공간 공조공간(500-a, 500-b, 500-c)에 설치된 실내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그 개도가 전동 제어되는 밸브이다. 상기 제어부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피씨비기판(PCB)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분배유닛(200)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닛(200)의 전자팽창밸브(260-1,260-2,26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260)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배선구(128,280)를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체결리브(212)가 상기 장착부재(120)에 결합됨에 의하여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장착부재(120)의 개구된 상부로 삽입되고 상기 체결리브(212)가 상기 지지리브(124)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분배유닛(20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분배유닛(200)이 하강하며 상기 분배유닛(200)의 하단이 상기 장착부재(120)의 스토퍼(122)에 닿게 되면 상기 분배유닛(200)의 움직임이 멈춘다. 이때, 상기 분배유닛(200)의 하단은 상기 스토퍼(1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체결리브(212)는 상기 지지리브(124)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체결구를 통하여 상기 분배유닛(200)과 상기 실외기(100)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구는 상기 지지리브(124)와 상기 체결리브(212)를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에 고정된다.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술한 과정의 반대과정을 거쳐 상기 실외기(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0)에서 분리된 상기 분배유닛(200)은 공기조화장치의 설치 조건, 예를 들면 공조공간의 위치와 상기 배관연결부(150)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에서 실외기와 분배유닛의 다양한 설치위치를 도시한 배치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외기 및 분배유닛을 각각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분배유닛이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분배유닛이 실외기의 전면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기 110: 실외기하우징
120: 장착부재 122: 스토퍼
124: 지지리브 124a: 수직부
124b: 지지부 128: 배선구
150: 배관연결부 151: 고압소켓
155: 저압소켓 200: 분배유닛
210: 분배유닛하우징 212: 체결리브
250: 실외측연결부 251: 실외측고압소켓
255: 실외측저압소켓 270: 실내측연결부
271: 실내측고압소켓 275: 실내측저압소켓
280: 배선구 400: 함몰부

Claims (17)

  1. 복수 개의 실내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및 실외기하우징을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연결부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외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유닛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분배유닛을 상기 실외기 또는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리브가 상기 분배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실외기의 일면에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배유닛이 지지되는 장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압축기의 설치위치 근방의 측면에는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실외기 각각의 모서리에서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고압소켓과 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실내측연결부가 서로 다른 외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연결부는 상기 고압소켓 및 저압소켓에 각각 대응되는 실외측고압소켓 및 실외측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연결부는 상기 실외측고압소켓 및 실외측저압소켓에서 각각 분기되는 실내측고압소켓 및 실내측저압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은 복수 개의 전자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팽창밸브와 상기 제어부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배선구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구는 상기 실외기와 상기 분배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의 배관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과 착탈가능한 연결배관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브에는 상기 분배유닛을 상기 실외기 또는 설치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분배유닛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양단에서 상기 분배유닛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실외기의 일면에 수직하게 구비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선단에서 상기 체결리브를 지지하여 상기 분배유닛의 탈거를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인접한 상기 실외기의 측면에는 상기 분배유닛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유닛에는 상기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배관연결부에 연결되는 실외측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내측연결부는 상기 분배유닛의 외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닛의 함몰부와 상기 실외기에는 각각 와이어의 배선을 위한 배선구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90016171A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KR10156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71A KR101565406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EP10746449.7A EP2402671B1 (en) 2009-02-26 2010-02-26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CN201080009648.5A CN102333996B (zh) 2009-02-26 2010-02-26 空气调节装置及室外机
PCT/KR2010/001215 WO2010098610A2 (ko) 2009-02-26 2010-02-26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US13/202,783 US8826689B2 (en) 2009-02-26 2010-02-26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71A KR101565406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296A KR20100097296A (ko) 2010-09-03
KR101565406B1 true KR101565406B1 (ko) 2015-11-03

Family

ID=430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71A KR101565406B1 (ko) 2009-02-26 2009-02-26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3501A (zh) 2019-05-31 2021-12-28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446A (ja) 2000-12-31 2002-10-18 Yoshinori Oribe エアコンにおける室温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446A (ja) 2000-12-31 2002-10-18 Yoshinori Oribe エアコンにおける室温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296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34B1 (ko) 공기조화장치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2252369B (zh) 立式空调器及用于在其中去除电加热器上积水的方法
US8826689B2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EP240023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US20100248612A1 (en) Device for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bathroom
CN104864494A (zh) 空调机室内机
KR101565406B1 (ko) 공기조화장치
US8827169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CN217057716U (zh) 空调室内机
US20090126387A1 (en) Duct mounted dehumidifier using parallel air flow
US11339992B2 (en) Sensor mount for HVAC system
KR101565407B1 (ko)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
CN111023300A (zh) 空调器
KR2009004336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WO2024029071A1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機能拡張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JP7224523B2 (ja) 室内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217209560U (zh) 天花机空调器
JP719959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529920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96503Y1 (ko) 천정용 에어컨
KR20050018011A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3939695A (zh) 带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