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94B1 -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94B1
KR101564894B1 KR1020150122833A KR20150122833A KR101564894B1 KR 101564894 B1 KR101564894 B1 KR 101564894B1 KR 1020150122833 A KR1020150122833 A KR 1020150122833A KR 20150122833 A KR20150122833 A KR 20150122833A KR 101564894 B1 KR101564894 B1 KR 10156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ensor
wire
free length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오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이동은
홍승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은, 홍승오 filed Critical 이동은
Priority to KR102015012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21F11/005Cutting wir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스프링 제조시 자유장의 편차를 감지하여 불량품 및 양품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선재를 직선으로 형성하는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재를 탄성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선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코일링 포인트와, 상기 코일링 포인트를 통과하면서 권취되는 선재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조정부재와, 상기 중심봉과 코일링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 끝 부분을 절단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운동하는 절단부재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1센서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 후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Free length deviation sensor of coil spring}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 제조시 자유장의 편차를 감지하여 불량품 및 양품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은 코일스프링 강을 코일 형태로 감아 형성함으로써 압축 또는 신장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탄성부재이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선재의 강도에 따라 자유장(자유길이-인장 또는 압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길이)의 편차가 있고, 이로 인해 제조과정에서 공차 범위에 들어오는 제품만을 양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제조하는 장치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26398호 "코일스프링의 절단장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는 코일 형태의 선재(2)를 직선으로 형성하는 안내 롤러 및 가이드 레일(3)과, 상기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재(2)를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하는 중심봉(4)과, 상기 중심봉(4)에 선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코일링 포인트(5)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의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봉(4)과 코일링 포인트(5)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1) 끝 부분은 하강하는 상부 절단날(6)과 상승하는 하부 절단날(7)의 가압력으로 절단되게 형성하고, 상기 중심봉(4)은 지지블록(8)에 고정됨과 함께 상하부 절단날(6(7)은 고정블럭(9)에 고정된 후,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일스프링의 절단장치는 코일스프링(1)을 권취한 후 상, 하부 절단날(7)의 가압력에 의해 코일스프링(1)을 절단하게 되는바, 코일스프링(1)의 자유장의 편차를 감지하지 못해 불량품 및 양품의 구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26398호{공고일자 2006년09월18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스프링 제조시 자유장의 편차를 감지하여 불량품 및 양품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는, 선재를 직선으로 형성하는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재를 탄성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선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코일링 포인트와, 상기 코일링 포인트를 통과하면서 권취되는 선재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조정부재와, 상기 중심봉과 코일링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 끝 부분을 절단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운동하는 절단부재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1센서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 후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1센서는 상기 절단부재의 하강에 의해 접촉되는 감지봉에 의해 센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는, 중심봉, 코일링 포인트 및 피치조정부재에 의해 선재를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한 후 코일스프링의 끝 부분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재를 본체에 설치하고,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코일스프링 제조시 자유장의 편차를 감지하여 불량품 및 양품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절단부재로 1차 밴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절단부재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절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스프링의 자유장이 짧아서 불량이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스프링의 자유장이 길어 불량이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절단부재로 1차 밴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절단부재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절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스프링의 자유장이 짧아서 불량이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스프링의 자유장이 길어 불량이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0), 중심봉(20), 코일링 포인트(30), 피치조정부재(40), 절단부재(50), 제1센서(60) 및 제2센서(6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은, 선재를 직선으로 형성하는 안내 롤러(11)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봉(20)은, 상기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재를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링 포인트(30)는, 상기 중심봉(20)에 선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피치조정부재(40)는, 상기 코일링 포인트(30)를 통과하면서 권취되는 선재의 피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중심봉(20)과 코일링 포인트(30)에 의해 선재가 권취되면서 원형의 코일스프링(1)이 형성되는데 상기 피치조정부재(40)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피치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재(50)는, 상기 중심봉(20)과 코일링 포인트(30)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1) 끝 부분을 밴딩함과 아울러 절단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50)의 왕복운동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50)는 하부에 계단면(51)이 형성되고, 상기 계단면(51)의 선단에 밴딩홈(52)이 형성되며, 상기 계단면(51)의 후단의 측면에는 절단부(5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센서(60)는, 권취되는 선재(2)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1)의 직각방향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1)의 선단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센서(60)는 상기 절단부재(50)의 하강에 의해 접촉되는 감지봉(54)에 의해 센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센서(61)는, 권취되는 선재(2)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1)의 직각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60)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60)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 후에 상기 코일스프링(1)의 후단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언코일러(미도시)에 권취되어진 선재(2)는 안내 롤러(11)를 통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중심봉(20) 및 코일링 포인트(30)에 권취되어짐과 아울러 피치조정부재(40)에 미리 설정된 피치에 따라 코일스프링(1)이 제조되며, 코일스프링(1)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절단부재(50)로 절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절단부재(50)가 하강하게 되면 감지봉(54)에 의해 제1센서(60)가 센싱된 후 상기 절단부재(50)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선재(2)는 중심봉(20), 코일링 포인트(30) 및 피치조정부재(40)에 의해 권취되면서 코일스프링(1)을 구성하게 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후 코일스프링(1)의 후단부가 제2센서(61)에 감지된다.
상기 제2센서(61)가 코일스프링(1)의 후단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절단부재(50)가 절단되기 전에 코일스프링(1)의 끝단부를 밴딩하게 되는데, 상기 절단부재(50)가 승하강 수단(미도시)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서 1차 밴딩한 후 상승하게 되면 선재를 일정간격 회전시키게 되고, 다시 절단부재(50)가 하강하면서 절단부(53)로 인해 선재(2)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센서(60)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2센서(61)가 감지되지 않으면,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다.
즉, 코일스프링(1)의 후단부가 짧거나 길어서 제2센서(61)를 벗어나게 되면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치의 동작이 정지되어 불량품의 선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복수개의 코일스프링(1)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10: 가이드 레일 11: 안내 롤러
20: 중심봉 30: 코일링 포인트
40: 피치조정부재 50: 절단부재
51: 계단면 52; 밴딩홈
53: 절단부 54: 감지봉
60: 제1센서 61: 제2센서
1: 코일스프링 2: 선재

Claims (2)

  1. 선재를 직선으로 형성하는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직선으로 형성되는 선재를 탄성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도록 권취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선재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코일링 포인트와,
    상기 코일링 포인트를 통과하면서 권취되는 선재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조정부재와,
    상기 중심봉과 코일링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 끝 부분을 절단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운동하는 절단부재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1센서와,
    권취되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의 직각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센서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 후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절단부재의 하강에 의해 접촉되는 감지봉에 의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KR1020150122833A 2015-08-31 2015-08-31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KR10156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33A KR101564894B1 (ko) 2015-08-31 2015-08-31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33A KR101564894B1 (ko) 2015-08-31 2015-08-31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94B1 true KR101564894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833A KR101564894B1 (ko) 2015-08-31 2015-08-31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8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8728A (zh) * 2019-09-12 2019-11-29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绕簧机
KR102114127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코일스프링 성형 방법
KR102114129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스프링 제조 방법
KR20210035635A (ko) * 2019-09-24 2021-04-01 정채교 스프링성형기용 심금
CN117139527A (zh) * 2023-11-01 2023-12-01 湘潭市弹簧厂有限公司 一种带检测功能的弹簧自动化生产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8728A (zh) * 2019-09-12 2019-11-29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绕簧机
KR20210035635A (ko) * 2019-09-24 2021-04-01 정채교 스프링성형기용 심금
KR102251900B1 (ko) 2019-09-24 2021-05-12 정채교 스프링성형기용 심금
KR102114127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코일스프링 성형 방법
KR102114129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스프링 제조 방법
CN117139527A (zh) * 2023-11-01 2023-12-01 湘潭市弹簧厂有限公司 一种带检测功能的弹簧自动化生产线
CN117139527B (zh) * 2023-11-01 2024-01-16 湘潭市弹簧厂有限公司 一种带检测功能的弹簧自动化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894B1 (ko) 코일스프링의 자유장 편차 감지장치
KR101584040B1 (ko) 코일스프링의 밴딩 및 절단장치
CN101659062B (zh) 卷对卷全自动纠偏模切加工工艺及设备
KR102022287B1 (ko) 프레스 금형
KR102221144B1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US20130255823A1 (en) Method of Making Border Wire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Method
CN205463917U (zh) 一种能自动调整冲压行程且能防止模具空压的冲压模具
CN204735638U (zh) 一种街码梗自动冲片成型机
US10112226B2 (en) Drawing and straightening apparatus for metal wire, and corresponding drawing and straightening method
CN210305361U (zh) 一种能完成汽车冲压零部件高要求的全周包边的模具结构
KR101286663B1 (ko) 도어 힌지편 밴딩장치
CN204884853U (zh) 磁芯卷绕机
CN106238501B (zh) 一种钢带卷管自动生产系统
CN110745613A (zh) 一种铝卷生产的纠偏装置
CN205739617U (zh) 一种卷芯轴可调式卷纸机
CN205571056U (zh) 一种全自动异型管矫直机
CN202804043U (zh) 一种矩形钢丝环成形模具
CN113458165A (zh) 一种钢丝拉拔加工智能化在线检测系统
KR102010063B1 (ko) 센서밀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응력측정장치
KR20180099300A (ko) 금속기와의 제조장치
CN109226336B (zh) 一种金属拉丝机自动卷料装置
CN203245208U (zh) 一种冲孔检测装置
KR101623262B1 (ko) 자성 밴드를 이용한 코일 권취 시스템
CN104972021A (zh) 一种线材波浪弯曲装置
CN207357808U (zh) 自动上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