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218B1 - 신발 세척기 - Google Patents

신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218B1
KR101564218B1 KR1020140018217A KR20140018217A KR101564218B1 KR 101564218 B1 KR101564218 B1 KR 101564218B1 KR 1020140018217 A KR1020140018217 A KR 1020140018217A KR 20140018217 A KR20140018217 A KR 20140018217A KR 101564218 B1 KR101564218 B1 KR 10156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brush
shaft
water tank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83A (ko
Inventor
장호면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2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Brush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다공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다공판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앙 브러쉬로 구성되는 중앙 브러쉬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축 회전하는 종동축과, 상기 수조의 개구에 일정 부분 노출되며 상기 종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브러쉬부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브러쉬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세척기{Shoe cleaner}
본 실시예는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신발 세척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 작업자는 여러 작업장을 거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신발 바닥면이나 전, 후면에는 진흙, 시멘트 가루, 콘크리트 등 각종 이물질이 묻는다.
이는 작업자의 보행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건설 현장 등의 실내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더욱이, 신발 바닥면에 묻은 이물질이 철근 표면을 오염시킨 후, 이를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시공 공사가 진행되면, 콘크리트 강도의 저하 및 철근 부착 강도의 저하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4119호는 먼지, 흙 등과 같은 이물질에 오염된 신발을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세척기의 발판에 올라서면 자동으로 세척솔이 회전하여 사용자의 신발에 붙은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주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 세척을 위해 모터 및 전원 공급 장치가 더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지된 자동 세척기는 휴대성이 부족하다.
또한, 자동 세척기의 회전솔은 외부에 노출되어 회전솔 축에 측면솔이 서로 대향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바닦솔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바닥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신발을 들어 바닦솔에 접촉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신발 바닥면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은 실내에 일부 비산될 수 있어 자동 세척기가 설치된 공간이 오염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0074119 호(2002.09.28. 공개)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신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전원으로 동작될 수 있는 신발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다공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다공판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앙 브러쉬로 구성되는 중앙 브러쉬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축 회전하는 종동축과, 상기 수조의 개구에 일정 부분 노출되며 상기 종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브러쉬부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브러쉬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판은 디스크 형상의 매쉬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종동 브러쉬부는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종동축과 상기 제1 종동축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종동 브러쉬부 및 상기 수조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종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종동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세척기는 상기 종동 브러쉬부가 배치된 면과 인접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고정축과 상기 사이드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사이드 브러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브러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브러쉬부의 종동축에 설치되는 종동 기어 및 이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의 직경은 상기 종동 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세척기는 복수 개의 세척솔이 식모되어 상기 다공판의 통공을 통해 상기 세척솔의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판의 연직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모판은 상기 다공판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식모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상기 식모판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세척기는 상기 수조에 상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 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는 사용자가 신발 세척기의 다공판을 축 회전시켜 신발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부가 불필요하다. 그 결과, 모터 등의 회전력 발생 장치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전기에 의한 누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제품 생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경량화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은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어 신발 세척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신발 바닥면의 일부가 세척액에 잠긴 상태에서 신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종단면도,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세척액(15)이 수용되는 수조(10)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축(50)과, 상기 구동축(50)의 일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50)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다공판(20)과,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축(30b)과, 상기 다공판(2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축(30b)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앙 브러쉬(30a)로 구성되는 중앙 브러쉬부(30)와, 상기 구동축(50)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축 회전하는 종동축(41b)(41b')(42b)(42b')과, 상기 수조의 개구에 일정 부분 노출되며 상기 종동축(41b)(41b')(42b)(42b')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 브러쉬(41a)(41a')(42a)(42a')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브러쉬부(40) 및 상기 구동축(5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브러쉬부(4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51a)(51a')(52a)(52a')(55)(57)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 세척액(15)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때, 세척액(15)은 사용자가 후술할 다공판(20) 위에 탑승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수위가 형성되도록 수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세척액(15)의 수위는 상기 다공판(20)에서 상측으로 약 1cm 내지 2cm 지점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상기 신발 세척기에 의해 제거될 때, 함께 발생하는 미세한 흙 등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세척액(15)에는 겨울철 기온의 하강으로 인한 결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동액이 일정 비율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10)의 일측면 하단부에는 신발 세척 중에 발생되어 상기 수조(10) 바닥면에 가라앉는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로에는 상기 통로를 막아주는 마개(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조(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수조(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수조(10)는 금속 재질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실현하고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후술할 다공판(20)에 탑승하기 이전에 신발 바닥면에 부착된 크고 굵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기저단(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50)은 상기 수조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50)의 일단 외주면에는 후술할 다공판(2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50)의 타단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축(50)이 원활하게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구동축(50)을 지지하면서도 구동축(5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베어링(58)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공판(20)은 사용자가 탑승하는 플레이트로 상기 다공판(20)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축(50)에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50)에 결합된다.
상기 다공판(20)에는 사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각 종 이물질이 제거될 때, 세척액(15)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이 상기 다공판(20)을 통과하여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가라앉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통공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판(20)에는 복수개의 통공과 별개로 그 중심에 상기 구동축(50)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판(20)은 예를 들면, 디스크 형상의 매쉬 부재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판(20)이 상기 구동축(5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결합되는 부위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다공판(20) 위에 탑승하여 상기 구동축(50)을 중심으로 축 회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구동축(50)에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다공판(20)의 연직 하부에는 상기 다공판(2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는 세척솔(26)이 격자를 이루며 복수개가 식모된 식모판(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솔(26)은 상기 다공판(20)의 통공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모판(25) 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격자를 이루도록 식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모판(25)은 상기 다공판(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식모판(25)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27)가 구비되어 상기 식모판(25)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27)는 예를 들어, 3개(삼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식모판(25)의 각 지지대(27)가 안착할 수 있는 홈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모판(25)의 중심에는 상기 구동축(50) 직경보다 큰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식모판(25)이 상기 구동축(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50)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신발 바닥면은 상기 다공판(20)의 축 회전과 무관하게 항상 고정되어 있는 상기 세척솔(26)로 문질러져 세척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상기 다공판(20) 위에 탑승하면 신발 바닥면이 세척액(15) 속에 잠겨지고 신발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부착력이 감소되어 상기 다공판(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세척솔(26)의 상대 운동에 의해서도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 브러쉬부(30)는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축(30b)과 상기 다공판(2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축(30b)의 일단에 결합되는 중앙 부러쉬(30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브러쉬부(30)의 고정축(30b) 일단은 예를 들어, 상기 다공판(20)의 구동축(50) 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조(10) 내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동 브러쉬부(40)는 상기 구동축(50)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축 회전하는 종동축(41b)(41b')(42b)(42b')과, 상기 수조의 개구에 일정 부분 노출되며 상기 종동축(41b)(41b')(42b)(42b')의 일단에 결합되는 종동 브러쉬(41a)(41a')(42a)(42a')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종동 브러쉬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동 브러쉬부(40)는 상기 수조(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10)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10)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종동축(41b)(41b')과, 상기 제1 종동축(41b)(41b')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종동 브러쉬(41a)(41a')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종동 브러쉬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 브러쉬부(40)는 상기 수조(1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10)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10)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종동축(42b)(42b')과 상기 제2 종동축(42b)(42b')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종동 브러쉬(42a)(42a')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종동 브러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종동 브러쉬(41)(42)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종동 브러쉬부(41)는 연접한 한 쌍의 제1 종동 브러쉬(41a)(41a')가 서로 대향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쌍의 제1 종동 브러쉬(41a)(41a') 사이에 예를 들어, 신발의 전면이 놓여지면 전면 뿐만 아니라 전면의 좌, 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도 세척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종동 브러쉬부(41)의 제1 종동 브러쉬(41a)(41a') 직경은 상기 중앙 브러쉬부(30)의 중앙 브러쉬(30a)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신발의 내측면보다 신발 전, 후면에 더 광범위하게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종동 브러쉬부(40)는 상기 다공판(20)의 축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축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다공판(20)과 결합되는 구동축(50) 및 각 종동축(41b)(41b')(42b)(42b')에는 후술할 동력전달유닛(51a)(51a')(52a)(52a')(55)(5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41b)(41b')(42b)(42b')이 설치되는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종동축(41b)(41b')(42b)(42b')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종동축(41b)(41b')(42b)(42b')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베어링(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50)(51a)(51a')(52a)(52a')(55)은 상기 구동축(50)의 축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종동 브러쉬부(4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유닛(51a)(51a')(52a)(52a')(55)(57)은 기어와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50)에는 구동 기어(57)가 압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종동 브러쉬부(41)의 제1 종동축(41b)(41b')에는 제1 종동 기어(51a)(51a')가 압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종동 브러쉬부(42)의 제2 종동축(42b)(42b')에는 제2 종동 기어(52a)(52a')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50)와 상기 제1 및 제2 종동 기어(51a)(51a')(52a)(52a')는 체인(5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0)이 축 회전되면, 상기 체인(55)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 및 제2 종동 브러쉬부(41)(42)가 축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발 세척기는 별도의 전원 장치나 모터 없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유닛(51a)(51a')(52a)(52a')(55)(57)은 상기 수조(10) 내의 세척액(15)에 잠겨 있기 때문에 녹 등 부식이 발생될 수 있어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구동 기어(57)의 직경은 상기 제1 및 제2 종동 기어(51a)(51a')(52a)(5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다공판(20)의 축 회전은 상대적으로 느리고 단속적이기 때문에, 상기 종동 브러쉬부(40)의 축 회전 속도를 높이고 회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경의 크기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사이드 브러쉬부(45)는 상기 종동 브러쉬부(40)가 배치된 면과 인접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고정축과 상기 사이드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사이드 브러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브러쉬부(45)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발 세척기에 사용되는 브러쉬는 장기간 사용하면 마모로 인해 세척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교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브러쉬는 상기 고정축, 종동축 및 사이드 고정축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봉(60)은 사용자가 축 회전 가능한 상기 다공판(20) 위에 탑승한 상태에서 균형을 잃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손잡이 봉(60)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타단이 수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 봉(60)은 상기 신발 세척기를 이동시킬 때,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봉(60)의 타단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너트 모양의 체결구(61)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봉(60)을 잡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다공판(20)을 축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50)에는 제1 구동 기어(57a) 및 제2 구동 기어(57b)가 압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종동 브러쉬부(41)의 제1 종동축(41b)(41b')에는 제1 종동 기어(51a)(51a')가 압입되어 설치되고, 제2 종동 브러쉬부(42)의 제2 종동축(42a)(42a')에는 제2 종동 기어(52a)(52a')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동 기어(57a)와 상기 제1 종동 기어(51a)(51b)는 제1 체인(55a)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 기어(57b)와 상기 제2 종동 기어(52a)(52b)는 제2 체인(55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0)이 축 회전되면, 상기 제1 체인(57a) 및 제2 체인(57b)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 및 제2 종동 브러쉬(41)(42)가 축 회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수조 20; 다공판
25; 식모판 25; 세척솔
30; 중앙 브러쉬부 40; 종동 브러쉬부
45; 사이드 브러쉬부 50; 구동축
55; 체인 60; 손잡이 봉

Claims (9)

  1. 상부면의 일부가 개구되며, 신발의 일부가 잠기도록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가하고,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다공판;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다공판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축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중앙 브러쉬로 구성되는 중앙 브러쉬부;
    상기 구동축의 축 회전에 연동하여 축 회전하는 종동축과, 상기 수조의 개구에 일정 부분 노출되며 상기 종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 브러쉬부;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브러쉬부에 전달하며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디스크 형상의 매쉬 부재인 신발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브러쉬부는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종동축과 상기 제1 종동축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종동 브러쉬부; 및
    상기 수조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수조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종동축과 상기 제2 종동축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종동 브러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2 종동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브러쉬부가 배치된 면과 인접한 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고정축과, 상기 사이드 고정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축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사이드 브러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브러쉬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고무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종동 브러쉬부의 종동축에 설치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의 직경은 상기 종동 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신발 세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에 잠겨있는 복수 개의 세척솔이 식모되어 상기 다공판의 통공을 통해 상기 세척솔의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다공판의 연직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모판을 더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판은 상기 다공판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식모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가 상기 식모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신발 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상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조 바닥면의 체결구와 나사결합하는 손잡이 봉을 더 포함하는 신발 세척기.
KR1020140018217A 2014-02-18 2014-02-18 신발 세척기 KR10156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17A KR101564218B1 (ko) 2014-02-18 2014-02-18 신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17A KR101564218B1 (ko) 2014-02-18 2014-02-18 신발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83A KR20150097083A (ko) 2015-08-26
KR101564218B1 true KR101564218B1 (ko) 2015-10-29

Family

ID=5405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217A KR101564218B1 (ko) 2014-02-18 2014-02-18 신발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2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251A (zh) * 2016-11-17 2017-02-01 陈毅桦 改进的皮鞋除尘机
KR101999110B1 (ko) 2018-11-06 2019-07-1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KR102275992B1 (ko) 2020-08-31 2021-07-12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세척장치
KR20220040946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세척시스템
KR20230068884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건식 세정이 가능한 신발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05B1 (ko) * 2018-07-27 2020-07-13 김응진 야외용 먼지 떨이장치
KR102042691B1 (ko) * 2019-03-20 2019-11-27 원동춘 세척솔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신발 세척장치
KR102026795B1 (ko) * 2019-09-02 2019-09-30 원동춘 신발 세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252A (ja) 2003-07-25 2005-02-17 Midori Anzen Co Ltd 靴底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252A (ja) 2003-07-25 2005-02-17 Midori Anzen Co Ltd 靴底洗浄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251A (zh) * 2016-11-17 2017-02-01 陈毅桦 改进的皮鞋除尘机
KR101999110B1 (ko) 2018-11-06 2019-07-1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KR102275992B1 (ko) 2020-08-31 2021-07-12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세척장치
KR20220040946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세척시스템
KR20230068884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건식 세정이 가능한 신발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83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218B1 (ko) 신발 세척기
KR101215822B1 (ko) 원통식 자동 운동화 세척기
US6584636B2 (en) Footwear cleaning apparatus
WO2018144604A1 (en) Animal treadmill and waste disposal apparatus
KR20160073938A (ko) 천엽 세정기
JP2011078929A (ja) バケツ等の洗浄装置
JP2006218469A (ja) 湿式靴底脱脂洗浄装置
JP5912733B2 (ja) 麻雀牌の自動清掃装置
JP2008136998A (ja) 流体材料混練機および流体材料混練方法
KR20140127968A (ko) 친환경 코팅 수지 원료 배합장치
JP2009018273A (ja) 容器洗浄機および容器の洗浄方法
KR101515461B1 (ko) 운반대차의 바퀴 세척장치
JP2012217954A (ja) 揺動装置
KR20150105163A (ko) 자전거용 세륜기
KR100898187B1 (ko) 더블그라인더와 원통형브러쉬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의고품위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CN112005676A (zh) 一种用于种植施肥的农业机械
KR200283815Y1 (ko) 전복 양식용 판 세척기
JP2015008886A (ja) 靴底清掃装置
TW201000005A (en) Cleaning device for uncooked egg
CN117505373B (zh) 一种骨科康复用器械消毒清洁设备
KR101617768B1 (ko) 골프클럽 세척장치
KR100325838B1 (ko) 장화 세척기
KR101514215B1 (ko) 건설현장의 친환경적인 작업화 세척기
KR20110138942A (ko) 작업성 향상 기능을 갖는 바렐 겸용 세척장치
CN215903294U (zh) 一种树脂产品加工用抛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