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189B1 -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189B1 KR101564189B1 KR1020150002207A KR20150002207A KR101564189B1 KR 101564189 B1 KR101564189 B1 KR 101564189B1 KR 1020150002207 A KR1020150002207 A KR 1020150002207A KR 20150002207 A KR20150002207 A KR 20150002207A KR 101564189 B1 KR101564189 B1 KR 101564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moving pin
- pin
- guide bar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회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마련된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는 후드힌지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유지장치로는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와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가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hood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gine room provided in front of a vehicle is rotatably installed on a vehicle body via a hood hinge, and an open h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an open state of the hood includes a device using a support and a gas lift There is a device.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는 후드 스테이 로드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스테이 로드를 후드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린더부재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후드의 개방 시에 실린더부재가 개방력을 보조하게 되어 후드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 apparatus using a support stand is a device that keeps the hood open by using a hood stay rod, and a hood stay rod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is inserted into a retaining hole formed in the hood to maintain the hood open. An apparatus using a gas lift is an apparatus that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hood by using a cylinder member. When the hood is opened, the cylinder member assists the opening force, so that the hood can be opened easily.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1770호(1999.07.26. 공개, 고안의 명칭 :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31770 (published on July 26, 1999, design name: hood hinge of automobile).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의 회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ing pin device for a hood hinge of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hood in an opened state while being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o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는: 후드의 개폐에 연동하여 고정캠장치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캠장치에 형성된 안착부에 착탈되는 이동핀; 상기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상에 상기 이동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일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타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ving pin device for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ving pin which is moved along an edge portion of a fixed cam device in associa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f a hood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xed cam device; A guide bar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pin on the hood assembly connected to the hood and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in;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ving pi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in.
또한, 상기 이동핀은, 상기 가이드바에 관통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는 왕복이동부; 및 상기 왕복이동부의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장치와 접하는 캠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pin may include a reciprocating moving part that is passed through the guide bar and is moved along the guide bar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 cam contact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ne side portion of the reciprocating movement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xed cam device.
또한, 상기 이동핀은, 상기 왕복이동부의 타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오작동방지부 또는 회전구속안내부와 접하는 회전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ving pin further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malfunction preventing portion or the rotation restricting guide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바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guide bar.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바결합부;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바결합부; 및 상기 제1바결합부와 상기 제2바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바를 커버하는 연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ar coupl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guide bar is coupled; A second ba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guide bar is coupled; And a connection cover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ar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bar coupling portion and covering the guide ba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핀의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상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오작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lfunction prevention part that is opened on the cover par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in can be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상에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핀과 접하여 상기 이동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otation restraint guide portion having a structure of a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in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guide bar on the cover portion and restricting rotation of the moving pin in contact with the moving pin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를 상기 후드조립부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cover portion on the hood assembly.
또한,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후드조립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착탈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단부를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후드조립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고정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detachable detachable portion detachably connecting one end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to the hood assembly portion by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ixed detachable part detach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 part to the hood assembly part by a second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회동착탈부는, 상기 후드조립부를 차체와 연결되는 차체조립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축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고정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pivotal detachable portion may include: a pivot shaft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hood assembly portion to a body assembly portion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rst fixing detachable part detach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cover part to the pivot shaft part by a first lock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에 의하면,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핀장치를 설치하고, 이동핀장치의 이동핀을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고정캠장치를 차체조립부상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힌지의 기능 뿐만 아니라 후드의 개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후드 스테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서, 후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테이 로드나 가스리프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The moving pin device for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od assembly part connected to a hood and a fixed cam device The hood of the vehicle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hood can be supported in an open state.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tay rod or gas lift for maintaining the hood open state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hood hinge and the hood stay function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hood open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에 의하면, 후드의 개방 상태를 별도의 지지대 없이 유지할 수 있어,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엔진룸을 점검 시 사용자의 동선이나 시야를 제한하지 않아 차량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state of the hood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support, the moving line or the field of view of the user is not limited when the engine room is insp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hood is opened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후드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면 이동핀장치의 이동핀이 고정캠장치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이후 후드를 들어올리는 힘을 해제하더라도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를 소정 각도 더 들어올린 후 내리는 동작을 수행하면 이동핀이 안착부로부터 자연히 이탈되며 후드가 닫히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를 단지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사용자의 동작만으로 후드의 개폐 작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ving pin apparatus for the hood hing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lifts the hood, the moving pin of the moving pin apparatus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fixed cam apparatus, The hood is held in an open state. Further, when the user lifts the hoo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performs an operation of lowering the hood, the moving pin is naturally released from the seat and the hood is close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ood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only by the user's operation of lifting or lowering the h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과 개방안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의 개방안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차량의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차량의 후드가 상향 회동되는 중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차량의 후드가 더 상향 회동되는 중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우측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차량의 후드가 설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는 차량의 후드를 닫기 위해 차량의 후드를 설정 각도보다 더 상향 회동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이동핀이 후드의 하향 회동력에 의해 캠본체부의 좌측단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 is an assembled view of a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art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a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am and an opening portion of a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ed cam of the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ing part of the fixed cam of the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state of the ho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that the hood of the vehicle is closed.
19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main body while the hood of the vehicle is rotated upward.
2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end of the cam body portion while the hood of the vehicle is further rotated upward.
21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cam main body with the hood of the vehicle opened at a set angle.
2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ing pin is disengaged from the sea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d of the vehicle is turned upward more than the set angle to close the hood of the vehicle.
2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pi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ward the left end side of the cam body part by the downward turning force of the hoo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oving pin apparatus for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d hing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의 커버부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nd FIG.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of a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ver of the moving pi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를 도시한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를 도시한 후방측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과 개방안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의 고정캠의 개방안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3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ionary cam of the stationary c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ionary cam of the stationary cam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ing of the fixed cam of the fixed ca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8은 차량의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9는 차량의 후드가 상향 회동되는 중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0은 차량의 후드가 더 상향 회동되는 중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우측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8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the ho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hood of the vehicle is closed, and FIG. 19 is a conceptual view FIG. 20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body portion. Which is shown in FIG.
도 21은 차량의 후드가 설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캠본체부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2는 차량의 후드를 닫기 위해 차량의 후드를 설정 각도보다 더 상향 회동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이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이동핀이 후드의 하향 회동력에 의해 캠본체부의 좌측단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21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cam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hood of the vehicle is opened at a set angle, FIG. 23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ing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the seat portion when the hood of the vehicle is turned upward more than the set angle. FIG. FIG. 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moving pi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a hood by a downward turning force of a hood to a left end side of a cam bod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1)는 차체조립부(10), 후드조립부(20), 이동핀장치(30), 고정캠장치(40)를 포함한다.1 to 3, a
차체조립부(10)는 차체(2)에 조립, 고정된 상태로 후드조립부(20)를 통해 전달된 후드(3)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힙부(10)는 본체부(11), 힌지연결부(12), 캠설치부(13), 센서설치부(14), 감지통로부(15), 차체연결부(16), 회동구속부(17)를 포함한다.The
본체부(11)는 차체조립부(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형성된다. 본체부(11)상에는 후드조립부(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12), 고정캠장치(40)가 설치되는 캠설치부(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11)는 후드조립부(20),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 고정캠장치(40)의 고정캠(41)을 통해 전달되는 후드(3)의 하중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The
힌지연결부(12)는 후드조립부(20)와 이동핀장치(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후드조립부(20)와 이동핀장치(30)는 회동착탈부(381)에 의해 힌지연결부(12)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도 8 참조). 이동핀장치(30)는 후드조립부(20)의 정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힌지연결부(12)를 중심으로 후드조립부(20)와 이동핀장치(30)가 함께 회동하게 된다.The
캠설치부(13)는 고정캠장치(4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힌지연결부(1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설치부(13)는 후드(3)의 개방 시 후드조립부(20)와 함께 상향 회동되는 이동핀장치(30)의 회동 동선상에 위치된다. 후드(3)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드(3)의 하중은 후드조립부(20),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 고정캠장치(40)의 고정캠(41)을 통해 캠설치부(13)로 전달되고, 캠설치부(13)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본체부(11)는 이러한 후드(3)의 하중을 안정되게 분산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도 21 참조).The
센서설치부(14)는 고정캠장치(40)의 안착알림부(48)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안착알림부(48)와 이동핀(31)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캠설치부(13)와 반대측에 마련된다(도 1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캠(41)이 설치되는 캠설치부(13)는 본체부(11)의 전면부상에 형성되고, 안착알림부(48)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14)는 후면부상에 형성된다.The
감지통로부(15)는 캠설치부(13)와 센서설치부(14)의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통로부(15)는 본체부(11) 중 고정캠장치(40)의 안착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체부(11)의 후면부에 설치된 안착알림부(48)는 감지통로부(15)를 통해 본체부(11)의 전면부에 설치된 고정캠장치(40)의 안착부(44)에 이동핀(31)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차체연결부(16)는 차체(2)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본체부(11)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차체연결부(16)상에는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차체(2)에 조립, 고정된다.The
회동구속부(17)는 후드조립부(20)의 하향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본체부(11)의 측면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후드(3)가 폐쇄된 상태, 즉 후드조립부(20)가 하향 회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후드조립부(2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태보다 더 하향 회동되면 후드조립부(20)의 가장자리부가 회동구속부(17)에 걸려 그 하향 회동이 저지된다.The
회동구속부(17)는 후드조립부(20)의 일측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선 형상을 가지는 후드조립부(20)의 이동핀설치부(21)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후드조립부(20)의 하향 회동 시 회동구속부(17)는 후드조립부(20)와 면접촉되고, 후드조립부(20)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The
후드조립부(20)는 차체조립부(10)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후드(3)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부재이다. 후드조립부(20)의 일측부는 차체조립부(1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그 타측부는 후드(3)에 조립,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20)는 이동핀설치부(21), 회동연결부(22), 연장부(23), 후드연결부(24), 핀조립구속부(25), 핀연장홀부(26)를 포함한다.The
이동핀설치부(21)는 이동핀장치(3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핀설치부(21)는 이동핀장치(30)에 대응되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회동연결부(22)는 이동핀장치(30)와 함께 차체조립부(10)의 힌지연결부(12)에 에 힌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동핀설치부(21)의 일측부에 형성된다.The moving
연장부(23)는 이동핀설치부(21)의 타측부에서 후드(3)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3)가 폐쇄된 상태에서, 즉 후드(3)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설치부(21)는 하향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연장부(23)는 이동핀설치부(21)의 하단부에서 회동연결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되, 후드(3)가 위치한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The
후드연결부(24)는 후드(3)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동핀설치부(21)로부터 후드(3)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23)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후드연결부(24)상에는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후드(3)에 조립, 고정된다.The
핀조립구속부(25)는 이동핀장치(30)를 이동핀설치부(21)상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이동핀장치(30)의 조립 위치를 한정하는 조립턱과, 이동핀장치(30)의 정위치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이다. 핀조립구속부(25)는 이동핀설치부(21)의 가장자리부에 이동핀장치(3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핀조립구속부(25)는 이동핀설치부(21)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이동핀장치(30)의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직선 형상으로 벤딩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핀조립구속부(25)는 이동핀장치(30)의 양측면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이동핀장치(30)의 양측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 보호할 수 있다.The pin
핀연장홀부(26)는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이 이동핀설치부(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직선 경로로 원활하게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이다. 핀연장홀부(26)는 이동핀설치부(21)상에 직선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동핀(31)의 일단부는 핀연장홀부(26)를 통과하여 차체조립부(10)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후드(3) 및 후드조립부(20)의 상향 회동 시, 차체조립부(10)에 설치된 고정캠장치(40)와 접하게 된다.The pin
사용자가 후드(3)를 상향 회동시키면, 후드조립부(20)는 차체조립부(10)와의 연결부, 즉 회동연결부(22)를 중심으로 후드(3)와 함께 상향 회동되고, 후드조립부(20)상에 고정설치된 이동핀장치(30) 또한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중에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은 차체조립부(10)에 설치된 고정캠장치(40)와 만나게 된다(도 19 참조).When the user turns the hood 3 upwards, the
이후 후드(3) 및 후드조립부(20)의 상향 회동이 지속되는 중에 이동핀(31)은 고정캠장치(4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도 20 참조),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캠장치(40)의 안착부(44)에 이동핀(31)이 안착되면(도 21 참조), 사용자가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여도 이동핀(31)이 고정캠장치(40)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후드(3)의 하중은 후드조립부(20)에 설치된 이동핀장치(30)의 이동핀(31), 이동핀(31)이 안착된 고정캠장치(40)를 통해, 차체조립부(10)가 지지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이동핀(31)이 고정캠장치(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3)를 더 상향시키는 동작을 하면, 이동핀(31)은 고장캠장치(40)의 안착부(44)의 상측으로 이격되고(도 22 참조), 사용자가 후드(3)를 상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이동핀(31)이 고정캠장치(40)의 다른 가장자리부를 타고 신속하게 하향 이동되면서(도 23 참조) 고정캠장치(40)로부터 이격되고,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도 18 참조).When the user further moves the hood 3 upward in a state where the moving
이동핀장치(30)는 상기와 같이 후드(3)의 회동에 연동하여 고정캠장치(40)와의 접촉, 안착 상태가 변화되는 작동을 구현하도록, 양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직선 경로로 왕복이동되는 이동핀(31)을 구비하여 후드조립부(20)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장치(30)는 이동핀(31), 가이드바(32),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 커버부(35), 오작동방지부(36), 착탈결합부(38), 정위치표시부(39)를 포함한다.The moving
이동핀(31)은 후드(3)의 개폐에 연동하여 고정캠장치(4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캠장치(40)에 형성된 안착부(44)에 착탈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핀(31)은 왕복이동부(311), 캠접촉부(312), 회전구속부(313)를 포함한다.The moving
왕복이동부(311)는 가이드바(32)에 관통되고, 제1탄성부재(33)와 제2탄성부재(34)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바(32)를 따라 이동되는 부분이다. 캠접촉부(312)는 왕복이동부(311)의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드조립부(20)를 관통하여 고정캠장치(40)와 접하는 부분이다. 캠접촉부(312)는 고정캠장치(40)의 가장자리부와 다각도에서 접촉된 상태로 원활하게 미끄럼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The reciprocal moving
캠접촉부(312)는 고정캠장치(40)의 가장자리부가 이루는 상향 경사면 내지 곡면, 하향 경사면 내지 곡면과 접한 상태로 고정캠장치(40)의 우측단부 또는 좌측단부측으로 미끄럼이동된다. 캠접촉부(312)는 왕복이동부(311)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고정캠장치(40)의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경로로 이동되는 중에도, 이동핀장치(30)상에서는 가이드바(32)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 The
회전구속부(313)는 왕복이동부(311)의 타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커버부(35)에 형성된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에 의해 직선 경로로 가이드되는 부분이다. 회전구속부(313)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 양측부가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와 접한다. 회전구속부(313)는 가이드바(32)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왕복이동부(311), 캠접촉부(312)와 함께 가이드바(32)를 따라 왕복이동된다.The
이때, 회전구속부(313)는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에 양측부가 접하여 그 회전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고정캠장치(40)와의 접촉 시 캠접촉부(312)에 다각도로 작용하게 되는 접촉력에 밀려 이동핀(31)이 가이드바(3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캠장치(40)와 이동핀(31)의 접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왕복이동부(311)의 양측부를 가이드바(32)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하면, 왕복이동부(311)를 후드조립부(20)의 전면부 또는 커버부(35)의 후면부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이동핀(3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구속부(313)를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왕복이동부(311)의 너비를 확장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회전구속부(313)가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의 가장자리부에 해당되는 보다 축소된 면적에 걸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핀(31)을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즉, 회전구속부(313)에 의하면, 왕복이동부(311)가 후드조립부(20) 또는 커버부(35)와 면접촉되는 경우와 비교해, 오작동방지부(36) 또는 회전구속안내부(37)와 선접촉된 상태로 이동핀(3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부품들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이동핀(31)의 직선 이동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가이드바(32)는 이동핀(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동핀(3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33)는 가이드바(32)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이동핀(31)의 왕복이동부(311)의 일측부를 탄성지지한다. 제2탄성부재(34)는 가이드바(32)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이동핀(31)의 왕복이동부(311)의 타측부를 탄성지지한다. 제1탄성부재(33)와 제2탄성부재(34)로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동핀(31)은 제1탄성부재(33)와 제2탄성부재(34)에 의해 양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바(32)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
커버부(35)는 가이드바(32)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핀(31), 가이드바(32),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는 후드조립부(2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커버부(35)는 그 전면부에 설치된다. 커버부(35)는 가이드바(32)에 결합되는 이동핀(31),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의 작동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바(3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가이드바(32), 이동핀(31),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가 주변의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5)는 가이드바(32)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전방커버부와, 가이드바를 측방향에서 커버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35)는 가이드바(32)를 커버할 수 있다면, 가이드바(32)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전방커버부에 해당되는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가이드바(3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오작동방지부(36)는 이동핀(31)의 위치를 커버부(35)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즉 이동핀(31), 가이드바(32),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의 조립 상태 및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부(35)상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작동방지부(36)는 개방부(361)와 강성보강부(362)를 포함한다.The malfunction preventing portion 36 is provided to prevent the malfunction preventing portion 36 from moving the
개방부(361)는 커버부(35)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동핀(31)의 회전구속부(313)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가이드바(32)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강성보강부(362)는 이동핀(31)의 회전구속부(313)와 접하는 부분으로, 개방부(361)의 가장자리부에 커버부(35)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강성보강부(362)를 커버부(35)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커버부(35)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이동핀(31)의 회전구속부(313)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정위치표시부(39)는 이동핀(31)의 정위치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커버부(35) 또는 오작동방지부(36)상에 형성된다. 이동핀(31)의 정위치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후드힌지(1)의 사양, 작업자의 편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핀(31)의 초기 위치, 즉 이동핀장치(3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핀(31)의 위치를 이동핀(31)의 정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정위치표시부(39)는 이동핀(31)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화살표의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The correct
커버부(35)를 이용해 이동핀(31), 가이드바(32),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를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오작동방지부(36)를 통해 커버부(35)의 외부에서 이동핀(31)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핀(31)의 조립 및 작동 위치를 정위치표시부(39)의 위치와 비교하면서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moving
착탈결합부(38)는 커버부(35)를 후드조립부(20)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결합부(38)는 회동착탈부(381)와 제2고정착탈부(385)를 포함한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회동착탈부(381)는 커버부(35)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384)에 의해 후드조립부(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고정착탈부(385)는 커버부(35)의 타단부를 제2체결부재(386)에 의해 후드조립부(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체결부재(384)와 제2체결부재(386)로는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38 is a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착탈부(381)는 회동축부(382)와 제1고정착탈부(383)를 포함한다. 회동축부(382)는 후드조립부(20)의 회동연결부(22)를 차체조립부(10)의 힌지연결부(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축부(382)는 차체조립부(10)의 힌지연결부(12)에 끼워지는 부시부재(bushing)와, 후드조립부(20)의 회동연결부(22)와 부시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부재와, 차체조립부(10)의 후면부와 회전축부재의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washer)를 포함한다.The pivotal
제1고정착탈부(383)는 커버부(35)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384)에 의해 회동축부(38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고정착탈부(383)는 커버부(35)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T자 부시부재와, 커버부(35)의 전방에서 T자 부시부재를 관통하여 회전축부재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384)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제1체결부재(384)로서 볼트를 적용하면, 제1체결부재(38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커버부(35)의 일단부를 후드조립부(2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The first fixed attachment /
제2고정착탈부(385)는 커버부(35)의 타단부를 제2체결부재(386)에 의해 후드조립부(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고정착탈부(385)는 후드조립부(20)의 이동핀설치부(21)의 타단부를 후방으로부터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부재와, 커버부(35)의 타단부에 끼워지는 T자 부시부재와, 커버부(35)의 전방에서 T자 부시부재를 관통하여 회전축부재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386)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제2체결부재(386)로서 볼트를 적용하면, 제2체결부재(38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커버부(35)의 일단부를 후드조립부(2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The second fixed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5)는 제1바결합부(351), 제2바결합부(352), 연결커버부(353)를 포함한다. 제1바결합부(351)는 가이드바(32)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바결합부(351)는 가이드핀(32)의 일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中空部)를 가진다. 제2바결합부(352)는 가이드바(32)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바결합부(352)는 가이드핀(32)의 타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를 가진다. 9 and 10, the
연결커버부(353)는 제1바결합부(351)와 제2바결합부(352)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가이드바(32)를 커버하는 기능을 커버부(35)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이다. 연결커버부(353)는 가이드바(32)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바결합부(351)와 제2바결합부(35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바(32)는 이동핀(31),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와 함께 연결커버부(353)상에 조립된 후, 착탈결합부(38)에 의해 후드조립부(20)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커버부(35)상에 가이드바(32)를 직접 설치하면, 가이드바(32)와 이동핀(31),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를 후드조립부(20)의 전면부상에 설치한 후 커버부(35)를 그 전면부에 결합하는 경우와 비교해, 착탈결합부(38)를 이용해 이동핀(31), 가이드바(32),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 전체를 후드조립부(20)상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즉 착탈결합부(38)를 이용해 후드조립부(20)로부터 이동핀장치(30) 전체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핀장치(30) 등의 점검, 수리, 교체 등의 과정에서 이동핀(31), 제1탄성부재(33), 제2탄성부재(34)이 가이드바(32)에서 이탈되는 것을 주의하면서 커버부(35), 가이드바(32)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35)는 개방부, 즉 오작동방지부(36)가 형성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는 폐쇄형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커버부(35)상에는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핀(31)의 회전구속부(313)의 이동을 직선 경로로 안내하는 회전구속안내부(3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안내부(37)는 이동핀(3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의 구조를 가지고, 커버부(35)상에 가이드바(32)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전구속안내부(37)는 커버부(35)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이동핀(31)의 회전구속부(313)는 회전구속안내부(37)의 측면부와 접하여 가이드바(32)와 나란한 직선 경로로 안내되고, 그 회전이 구속된다.The rotation
고정캠장치(40)는 후드(3)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이동핀(31)을 설정 경로로 안내하면서 안착부(44)에 착탈시키는 장치이다.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장치(40)는 고정캠(41), 개방안정부(47), 안착알림부(48)를 포함한다.The fixed
고정캠(41)은 후드(3)를 설정 각도로 상향 개방 시 이동핀(31)이 안착되는 안착부(44)를 구비하여, 차체조립부(10)의 캠설치부(13)상에, 즉 차체조립부(10)의 전면부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후드조립부(20)에 설치된 이동핀(31)은 후드조립부(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중에 고정캠(41)과 접하거나 이격된다.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캠(41)은 캠본체부(42), 스토퍼부(45), 캠연결부(46)를 포함한다.The fixed
캠본체부(42)는 이동핀(31)이 안착되는 안착부(44)와, 이동핀(31)을 안착부(44)측으로 또는 안착부(44)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면이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이동핀장치(30)의 상향 또는 하향 회동 경로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본체부(42)는 핀가이드부(43)와 안착부(44)를 포함한다.The cam
핀가이드부(43)는 후드(3)의 개방 시 상향 이동 중인 이동핀(31)을 안착부(44)측으로 안내하면서, 후드(3)의 폐쇄 시 안착부(44)로부터 이탈된 이동핀(31)을 이동핀(31)을 초기 위치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가이드부(43)는 하부가이드부(431), 안착안내부(432), 상부가이드부(433), 작동안정부(434)를 포함한다.The
하부가이드부(431)는 후드(3)를 개방시키는 회동 시, 이동핀(31)을 후드조립부(20) 및 이동핀장치(30)의 회동중심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향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후드조립부(20)의 상향 회동 시, 이동핀(31)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본체부(42)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가이드부(431)와 최초로 접하게 된다. 하부가이드부(431)는 상향 이동 중인 이동핀(31)을 캠본체부(42)의 일단부, 예를 들어 우측단부측으로 안내하는 곡면을 이룬다. 즉 하부가이드부(431)는 우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The
본 발명의 설명에서 후드조립부(20)의 회동중심부는 힌지연결부(12), 회동착탈부(381), 회동축부(382)와 동축상에 위치되고, 혼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동핀장치(30)의 가이드바(32) 또한 후드조립부(20)와 동일한 회동중심부를 가지므로, 이동핀(31)이 가이드바(32)상에서 제2탄성부재(34)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드조립부(20)의 회동중심부로부터 더 이격된다고 표현할 수 있고, 이동핀(31)이 제1탄성부재(33)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드조립부(20)의 회동중심부측으로 더 근접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캠본체부(42)는 후드조립부(20)의 회동중심부로부터 우측에 위치되므로,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의 우측단부와 접하는 경우가 이동핀(31)이 가이드바(32)상에서 제2탄성부재(34)측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되고,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의 좌측단부와 접하는 경우가 이동핀(31)이 가이드바(32)상에서 제1탄성부재(33)측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cam
안착안내부(432)는 하부가이드부(431)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이동핀(31)을 안착부(44)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안착안내부(432)는 하부가이드부(431)의 우측단부에서 안착부(44)측으로 연속되는 곡면을 이룬다. 즉 안착안내부(432)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이동핀(3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이드부(431)의 우측단부까지 도달된 상태에서 안착안내부(432)와 연속하여 접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이동핀(31)이 하부가이드부(431)의 우측단부까지 도달된 상태에서, 제2탄성부재(34)는 최대로 압축변형된 상태가 되고 그 복원력 또한 최대가 된다. 이동핀(31)은 제1탄성부재(33)와 제2탄성부재(34)의 복원력의 차이에 해당되는 가압력을 받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안착안내부(432)로 진입된 이동핀(31)은 자연히 좌측의 제1탄성부재(33)측으로 밀려나면서 안착안내부(432)를 타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4)로 이동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상부가이드부(433)는 안착부(44)로부터 이격된 이동핀(31)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조립부(20) 및 이동핀장치(30)의 회동중심부측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하향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가이드부(433)는 이동핀(31)을 캠본체부(42)의 타단부, 예를 들어 좌측단부측으로 안내하는 곡면을 이룬다. 즉 상부가이드부(433)는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의 형상을 가진다.The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드(3)를 더 개방시키는 회동 시, 이동핀(3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4)로부터 상향 이동된다. 이후 후드(3)를 상향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이동핀(31)은 상부가이드부(433)를 타고 캠본체부(42)의 좌측단부측으로 하향 이동된다.The moving
작동안정부(434)는 후드(3)를 개방시키는 회동 시 이동핀(31)의 접촉이 개시되는 하부가이드부(431)의 좌측단부에서 회동축부(382)측으로, 즉 좌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작동안정부(434)가 하부가이드부(431)의 좌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이동핀(31)이 순간적으로 상향 이동 시 캠본체부(42)의 좌측단부를 거쳐 캠본체부(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핀(31)과 캠본체부(42)간의 접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작동안정부(434)의 하부는 하부가이드부(431)와 연속된 곡면 형상을 가지고, 그 상부는 상부가이드부(433)와 연속된 곡면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이드부(431)와 상부가이드부(433)를 연속하여 연결한다. 상부가이드부(433)측으로 이동된 이동핀(31)은 작동안정부(434)를 연속하여 거치면서 하향 이동되면서 작동안정부(434)의 좌측단부에 도달되고, 이후 작동안정부(434)로부터 이탈되면서, 즉 캠본체부(42)로부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The lower part of the
안착부(44)는 이동핀(31)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안착안내부(432)와 상부가이드부(433)의 사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캠본체부(42)의 가장자리부는 하부가이드부(431), 안착안내부(432), 안착부(44), 상부가이드부(433), 작동안정부(434)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하부가이드부(431), 안착안내부(432)를 따라 이동 중인 이동핀(31)은 안착부(44)에 안착되고, 이후 상부가이드부(433)와 작동안정부(434)를 따라 연속하여 이동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4)는 핀안착부(441), 제1걸림턱부(442), 제2걸림턱부(443), 센서안착부(444)를 포함한다.The seating
핀안착부(441)는 이동핀(31)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안착된 상태의 이동핀(31)을 하단지지한다. 제1걸림턱부(442)는 핀안착부(441)의 우측부에 핀안착부(441)보다 높게 형성되어, 핀안착부(441)에 안착된 상태의 이동핀(31)이 우측으로 유동(遊動)되는 것을 구속한다. 제2걸림턱부(443)는 핀안착부(441)의 좌측부에 핀안착부(441)보다 높게 형성되어, 핀안착부(441)에 안착된 이동핀(31)이 좌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구속한다. 핀안착부(441), 제1걸림턱부(442), 제2걸림턱부(443)는 함께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룬다.The
상기와 같이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더라도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후드(3)의 하중은 후드조립부(20), 이동핀(31), 캠본체부(42)를 통해 후드(3)의 하중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차체조립부(10)의 본체부(11)측으로 전달된다.Even if the force for upwardly supporting the hood 3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moving
센서안착부(444)는 이동핀(31)의 안착을 감지하는 감지부(481)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핀안착부(441)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안착부(444)는 핀안착부(441)의 상면부에 홈부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감지부(481)의 감지단부는 센서안착부(444)상에 설치된 상태로 이동핀(31)의 이동을 간섭, 저해하는 일 없이, 핀안착부(441)상에 안착된 이동핀(31)을, 즉 이동핀(31)의 안착 상태를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The
스토퍼부(45)는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캠본체부(42)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부분이다. 스토퍼부(45)는 캠본체부(42)의 상측에 마주하게 형성된다. 스토퍼부(45)를 구비함으로써 캠본체부(42)로부터 이탈되는 이동핀(31)을 캠본체부(42)측으로 구속하여,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의 궤적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45)는 제1핀이탈구속부(451), 핀안내부(452), 제2핀이탈구속부(453), 결합부(454)를 포함한다.The
제1핀이탈구속부(451)는 안착안내부(432)의 상측에 위치된다. 캠본체부(42)의 우측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이동핀(31)은 제1핀이탈구속부(451)와 접하게 된다. 핀안내부(452)는 제1핀이탈구속부(451)의 좌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핀이탈구속부(451)에 걸린 이동핀(31)을 안착부(44)측으로 하향 안내한다. 핀안내부(452)는 안착부(44)의 좌측부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pin releasing restricting
후드(3)가 급격하게 상향 회동 시,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되기 이전에 캠본체부(42)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이동핀(31)은 제1핀이탈구속부(451)와 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탄성부재(34)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핀안내부(452)와 연속하여 접한 후, 핀안내부(452)의 경사면을 타고 안착부(44)측으로 자연히 하강하여 안착부(44)에 안착된다.When the hood 3 abruptly turns upward, a phenomenon that the moving
제2핀이탈구속부(453)는 핀안내부(452)의 좌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안착부(44)를 통과한 이동핀(31)의 상향 이동을 구속한다. 후드(3)의 폐쇄 시, 사용자는 후드(3)를 더 상향 회동시키는 동작을 취하여 안착부(44)로부터 이동핀(31)을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의 상부가이드부(433)와 접하지 않고, 그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이동핀(31)은 제2핀이탈구속부(453)에 걸려 그 상향 이동이 구속된다.The second pin releasing restricting
제2핀이탈구속부(453)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캠본체부(42)의 좌측 상부는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캠본체부(42)의 좌측부와 스토퍼부(45)의 좌측부 사이에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안착부(44)의 좌측으로 이동된 이동핀(31)은, 또는 제2핀이탈구속부(453)에 걸린 후 캠본체부(42)로 하강된 이동핀(31)은, 제2핀이탈구속부(453)와의 간섭없이 캠본체부(42)와 스토퍼부(45)의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The second pin releasing restricting
결합부(454)는 개방안정부(47)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스토퍼부(45) 중 캠본체부(42)와 마주하는 일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안정부(47)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며, 결합부(454)는 개방안정부(47)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홈부의 형상을 가진다. The engaging
결합부(454) 중 개방안정부(47)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일측은 핀안내부(452)상에 형성되고, 개방안정부(47)의 타단부가 끼워지는 타측은 제2핀이탈구속부(453)상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방안정부(47)의 양단부를 결합부(454)에 끼워 고정하면, 개방안정부(47)는 핀안내부(452)에서 제2핀이탈구속부(453)에 걸쳐 연장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One side of the engaging
캠연결부(46)는 캠본체부(42)와 스토퍼부(45)를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캠연결부(46)는 이동핀(31)과 간섭되지 않도록 캠본체부(42), 스토퍼부(45)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캠본체부(42), 스토퍼부(45)의 후면부와 연결된다. 캠연결부(46)에 의해 캠본체부(42)와 스토퍼부(45)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캠본체부(42)와 스토퍼부(45)를 차체조립부(10)의 캠설치부(13)상에 개별적으로 조립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고, 캠본체부(42)와 스토퍼부(45)는 상시 일정한 상대 각도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The
개방안정부(47)는 스토퍼부(45)에 설치된 상태로 이동핀(31)과 탄성접촉되는 부재이다. 개방안정부(47)는 안착부(44)에 안착된 이동핀(31)이 안착부(44)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부(44)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이동핀(31)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간섭하는 작용을 구현한다. 안착부(44)는 개방안정부(47)와 접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그 이동이 간섭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안정부(47)는 핀안착지지부(471)와 고정부(475)를 포함한다.The
핀안착지지부(471)는 스토퍼부(45)로부터 안착부(44)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동핀(31)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핀안착지지부(471)는 스토퍼부(45)의 하부와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이동핀(31)과의 접촉 시 스토퍼부(45)측으로 밀려나는 탄성변형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안착지지부(471)는 충격감쇄부(472), 이탈간섭부(473), 연결부(474)를 포함한다.The pin
충격감쇄부(472)는 핀안내부(452)측으로 이동된 이동핀(31)과 탄성접촉되는 부분으로, 핀안내부(452)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충격감쇄부(472)는 핀안내부(452)와 충돌되는 이동핀(31)과 탄성적으로 접하여 그 충격력을 감쇄시킨다. 이탈간섭부(473)는 안착부(44)에서 상부가이드부(433)측으로 이동되는 이동핀(31)과 탄성접촉되는 부분으로, 제2핀이탈구속부(453)의 하측에 핀안내부(452)측으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The
사용자가 후드(3)를 닫기 위해 후드(3)를 더 상향 회동시키는 경우, 이동핀(3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4)의 좌측부와 이탈간섭부(473)의 사이, 또는 상부가이드부(433)의 우측부와 이탈간섭부(473)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걸렸다가, 이탈간섭부(473)가 이동핀(31)에 밀려 탄성 변형되면 이탈간섭부(473)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며 상부가이드부(433)의 좌측부로 이동된다. 이탈간섭부(473)는 안착부(44)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이동핀(31)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캠본체부(4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루어지는 이동핀(31)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further turns the hood 3 upward to close the hood 3, the mov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간섭부(473)는 상부가이드부(433) 또는 안착부(44)측으로 돌출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부가이드부(433)의 우측부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연속된 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좌측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부가이드부(433)와 이탈간섭부(473)의 사이에는 병목부(甁―部) 형상의 통로가 형성된다. 이동핀(31)은 좁은 병목부를 통과하면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보다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연결부(474)는 충격감쇄부(472)와 이탈간섭부(473)를 일체로 연결한다. 연결부(474)에 의해 충격감쇄부(472)와 이탈간섭부(473)는 스토퍼부(45)의 핀안내부(452)에서 제2핀이탈구속부(453)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된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감쇄부(472)와 이탈간섭부(473) 중 어디에 충격력이 작용하더라도 충격감쇄부(472)와 이탈간섭부(473)의 나머지 부분이, 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 감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핀(31)이 이탈간섭부(473)의 하부에 충돌 시 이탈간섭부(473)의 하부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이탈간섭부(473)의 상부 뿐만 아니라 충격감쇄부(472)측으로도 전달, 분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고정부(475)는 개방안정부(47)를 스토퍼부(45)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핀안착지지부(471)의 양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75)는 제1고정부(476), 제2고정부(477)를 포함한다.The fixing
제1고정부(476)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핀안착지지부(471)의 우측부에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고정부(477)는 핀안착지지부(471)의 좌측부에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475)가 상기와 같이 핀안착지지부(471)의 외부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스토퍼부(45)의 결합부(454)에 보다 안정되게 걸릴 수 있고, 하향력에 의해 스토퍼부(45)의 하측으로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는다.The
개방안정부(47)는 제1고정부(476), 충격감쇄부(472), 연결부(474), 이탈간섭부(473), 제2고정부(477)가 연속하여 연결되고, 다단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개방안정부(47)는 금속재 패널, 리본, 와이어 등을 굴곡되게 구부리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안정부(47)는 금속재 리본을 다단으로 구부린 판스프링의 구조를 가진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안정부(47)는 판스프링의 구조를 가지나, 이동핀(31)의 이동을 간섭하거나,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해 이동핀(31)과 탄성접촉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안착알림부(48)는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되면 알림 신호를 발생시켜,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알림부(48)는 감지부(481)와 알림부(484)를 포함한다.The
감지부(481)는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된 것을 감지한다. 감지부(481)는 차체조립부(10)의 후면부에 마련된 센서설치부(14)상에 설치된다. 캠본체부(42)는 차체조립부(10)의 전면부에 마련된 캠설치부(13)상에 설치되어 있어, 감지부(481)는 캠설치부(13)와 센서설치부(14)의 사이에 형성된 감지통로부(15)를 통해 센서설치부(14)상의 이동핀(31)을 감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81)는 이동핀(31)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이동핀(31)의 안착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의 구조를 가진다. 감지부(481)의 감지단부는 감지통로부(15)를 통해 캠설치부(13)측으로 연장되고, 안착부(44)에 형성된 센서안착부(444)상에 위치된다.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 시, 감지부(481)의 감지단부는 이동핀(31)과 접촉되고 감지부(481)의 회로부는 이러한 접촉에 반응하여 그 출력신호가 변환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81)의 감지단부는 제1스위치단자(482)와 제2스위치단자(483)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구조를 가진다. 제1스위치단자(482)의 단부는 안착부(44)의 센서안착부(444)에 위치된다. 제2스위치단자(483)의 단부는 제1스위치단자(482)의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되, 안착부(44)가 형성하는 오목한 공간부상에 위치된다. 이동핀(31)이 안착부(44)로 이동, 안착 시, 제2스위치단자(483)는 이동핀(31)에 눌려 제1스위치단자(482)와 접촉된다. 감지부(481)의 회로부는 이러한 제1스위치단자(482)와 제2스위치단자(483)간의 접촉에 반응하여 그 출력신호가 변환된다. The sense end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81)는 상기와 같은 접촉센서의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481)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이동핀(31)의 안착을 감지하는 비접촉센서를 포함하여, 이동핀(31)의 정상(正常)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비접촉센서로는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 시 빛, 초음파, 정전용량, 전자유도, 와전류 등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전센서, 근접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감지부(481)로서 비접촉센서를 적용하는 경우, 감지통로부(15)를 통해 캠설치부(13)와의 사이에 빛, 초음파, 정전용량, 전자유도, 와전류 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As the non-contact sensor, a photoelectric sensor,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which detects changes in light, ultrasonic waves, electrostatic capacity, electromagnetic induction, eddy current, etc. when the moving
알림부(484)는 감지부(481)의 출력신호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되면 감지부(481)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출력신호가 변환되어 알림부(484)로 입력된다. 알림부(484)는 이러한 알림부(484)의 출력신호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알림부(484)는 LED 등과 같은 램프의 점멸이나, 색상 변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시각적인 변화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시각적인 변화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면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알림부(484)의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빛의 변화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면 어두운 환경에서도 알림부(484)의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또한, 알림부(484)는 신호음, 음악, 음성 등과 같은 음향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면,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가 알림부(484)의 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알림부(484)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주목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Also, the
또한, 알림부(484)는 진동장치 등을 이용하여 진동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진동에 의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면, 사용자는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주목할 필요가 없이 진동음과, 후드(3)를 쥔 손으로 전달되는 진동 등의 형태로 알림부(484)의 신호를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시각적인 변화, 음향, 진동 등을 발생시키는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림부(484)는 시각적인 변화, 음향, 진동의 형태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실시예 외에도, 후드(3)를 개폐 중인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for generating visual changes, sounds, vibrations, etc. as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후드(3)를 개방시키기 위해 후드(3)를 설정 각도로 상향 회동시키면 이동핀(31)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4)에 안정되게 안착된다. 이후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더라도 후드(3)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후드(3)를 닫기 위해 후드(3)를 설정 각도를 초과하도록 더 상향 회동시키면 이동핀(31)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4)에서 상향 이격되고, 이어서 후드(3)를 하향 회동시키면 이동핀(31)이 캠본체부(42)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hood 3 is tur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open the hood 3, the moving
사용자가 후드(3)를 수동으로 개방 시 후드(3)를 설정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급격하게 상향 회동시키게 되면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되었는지를 확인, 주의하면서 후드(3)를 설정 각도로 상향 회동시키는 것이 곤란하다.When the user manually opens the hood 3, if the hood 3 is suddenly turned upward at an angle exceeding the set angle, the moving
안착알림부(48)를 구비하면 이동핀(31)이 안착부(44)에 안착된 것을 실시간으로 알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후드(3)를 상향 회동시키다가 알림부(484)의 램프가 점멸되는 것이 보이거나, , "삐-" 등의 신호음이 들리면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즉, 사용자가 후드(3)를 수동으로 개방시키는 중에 안착알림부(48)의 알림 신호가 발생되면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후드(3)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user notices the fact that the moving
또한, 사용자가 후드(3)를 수동으로 폐쇄하기 위해 후드(3)를 상측으로 더 젖혀올리면, 이동핀(31)이 안착부(44)로부터 이격되면서 안착알림부(48)의 알림 신호가 사라지거나 다르게 변형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알림 신호의 사라짐이나 변형이 확인되면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즉, 사용자가 후드(3)에 상향력을 더 가하는 중에 안착알림부(48)의 알림 신호가 사라지거나 변화되면 후드(3)를 상향 지지하는 힘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후드(3)를 폐쇄시키는 동작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user further raises the hood 3 upwardly to manually close the hood 3, the notification signal of the
상기와 같이 안착알림부(48)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드(3)를 수동으로 열거나 닫을 시 후드(3)의 회동 각도가 적합한지를 지속적으로 주의, 고려함에 따른 피로감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후드(3)의 회동 각도 조절이 안착알림부(48)의 알림 신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고민없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차량의 후드힌지 2 : 차체
3 : 후드 10 : 차체조립부
11 : 본체부 12 : 힌지연결부
13 : 캠설치부 14 : 센서설치부
15 : 감지통로부 16 : 차체연결부
17 : 회동구속부 20 : 후드조립부
21 : 이동핀설치부 22 : 회동연결부
23 : 연장부 24 : 후드연결부
25 : 핀조립구속부 26 : 핀연장홀부
30 : 이동핀장치 31 : 이동핀
32 : 가이드바 33 : 제1탄성부재
34 : 제2탄성부재 35 : 커버부
36 : 오작동방지부 37 : 회전구속안내부
38 : 착탈결합부 39 : 정위치표시부
40 : 고정캠장치 41 : 고정캠
42 : 캠본체부 43 : 핀가이드부
44 : 안착부 45 : 스토퍼부
46 : 캠연결부 47 : 개방안정부
48 : 안착알림부 311 : 왕복이동부
312 : 캠접촉부 313 : 회전구속부
351 : 제1바결합부 352 : 제2바결합부
353 : 연결커버부 361 : 개방부
362 : 강성보강부 381 : 회동착탈부
382 : 회동축부 383 : 제1고정착탈부
384 : 제1체결부재 385 : 제2고정착탈부
386 : 제2체결부재 431 : 하부가이드부
432 : 안착안내부 433 : 상부가이드부
434 : 작동안정부 441 : 핀안착부
442 : 제1걸림턱부 443 : 제2걸림턱부
444 : 센서안착부 451 : 제1핀이탈구속부
452 : 핀안내부 453 : 제2핀이탈구속부
454 : 결합부 471 : 핀안착지지부
472 : 충격감쇄부 473 : 이탈간섭부
474 : 연결부 475 : 고정부
476 : 제1고정부 477 : 제2고정부
481 : 감지부 482 : 제1스위치단자
483 : 제2스위치단자 484 : 알림부1: the hood of the vehicle hinge 2: the vehicle body
3: Hood 10: Body assembly part
11: main body part 12: hinge connection part
13: Cam mounting part 14: Sensor mounting part
15: sensing passage part 16: body connection part
17: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20: hood assembly portion
21: moving pin mounting portion 22:
23: extension part 24: hood connection part
25: pin assembly restricting portion 26: pin extension hole portion
30: moving pin device 31: moving pin
32: guide bar 33: first elastic member
34: second elastic member 35: cover part
36: malfunction prevention part 37: rotation restricting guide part
38: detachable coupling portion 39: positive position indicator
40: fixed cam device 41: fixed cam
42: cam body part 43: pin guide part
44: seat part 45: stopper part
46: cam connecting part 47:
48: a seating notification unit 311:
312: cam contact portion 313: rotation restraining portion
351: first bar coupling portion 352: second bar coupling portion
353: connection cover portion 361:
362: a rigid beam steel portion 381: a rotating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382: rotation shaft portion 383: first fixed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384: first fastening member 385: second fastening /
386: second fastening member 431: lower guide part
432: Seat guide part 433: Upper guide part
434: operating safety part 441: pin seating part
442: first engaging jaw 443: second engaging jaw
444: Sensor seating part 451: First pin releasing restricting part
452: pin guide portion 453: second pin releasing restricting portion
454: engaging portion 471: pin seating support
472: Impact damping unit 473:
474: connection 475:
476: first fixing portion 477: second fixing portion
481: Detection unit 482: First switch terminal
483: second switch terminal 484:
Claims (10)
상기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상에 상기 이동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일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핀의 타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A moving pin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xed cam device while being moved along an edge portion of the fixed cam device in conjun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od;
A guide bar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pin on the hood assembly connected to the hood and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in;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ving pin; A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in.
상기 이동핀은,
상기 가이드바에 관통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는 왕복이동부; 및
상기 왕복이동부의 일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장치와 접하는 캠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pin includes:
A reciprocating moving part penetrating the guide bar and being moved along the guide bar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nd a cam contact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ne side portion of the reciprocating mov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xed cam device.
상기 이동핀은,
상기 왕복이동부의 타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오작동방지부 또는 회전구속안내부와 접하는 회전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pin includes: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reciprocating movement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malfunction preventing portion or a rotation restricting guide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
상기 가이드바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guide bar.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바결합부;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바결합부; 및
상기 제1바결합부와 상기 제2바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바를 커버하는 연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ver portion
A first bar coupl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guide bar is coupled;
A second ba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guide bar is coupled; And
And a connection cover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ar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bar coupling portion and covering the guide bar.
상기 이동핀의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상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오작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cover part so as to be a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moving pin.
상기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상에 상기 가이드바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핀과 접하여 상기 이동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a rotation restraint guide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on the cover and having a rail structur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ement pin and restricting rotation of the movement pin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pin, And the moving pin device for the hood hinge of the vehicle.
상기 커버부를 상기 후드조립부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a detachable coupling part detachably fixing the cover part on the hood assembly part.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후드조립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착탈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단부를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후드조립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고정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achable-
A detachable detachable portion detachably connecting one end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to the hood assembly portion by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nd a second securing / detachment unit detach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 unit to the hood assembly unit by a second securing member.
상기 회동착탈부는,
상기 후드조립부를 차체와 연결되는 차체조립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축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고정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용 이동핀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ivotal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rotating shaft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hood assembly portion to a body assembly portion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And a first fixed attachment / detachment part detach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cover part to the pivot shaft part by a first coupl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2207A KR101564189B1 (en) | 2015-01-07 | 2015-01-07 |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2207A KR101564189B1 (en) | 2015-01-07 | 2015-01-07 |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4189B1 true KR101564189B1 (en) | 2015-10-29 |
Family
ID=5443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2207A KR101564189B1 (en) | 2015-01-07 | 2015-01-07 |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18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87983B2 (en) | 2015-01-27 | 2016-11-08 | Hyundai Motor Company | Detent hood hin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4043Y1 (en) | 2005-04-12 | 2005-08-31 | (주)천지테크 | Door-operating apparatus for automobiles |
JP2007055504A (en) | 2005-08-25 | 2007-03-08 | Toyota Motor Corp | Hood hinge structure for vehicle |
-
2015
- 2015-01-07 KR KR1020150002207A patent/KR10156418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4043Y1 (en) | 2005-04-12 | 2005-08-31 | (주)천지테크 | Door-operating apparatus for automobiles |
JP2007055504A (en) | 2005-08-25 | 2007-03-08 | Toyota Motor Corp | Hood hinge structure for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87983B2 (en) | 2015-01-27 | 2016-11-08 | Hyundai Motor Company | Detent hood hin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90465B2 (en) | Vehicle hood structure | |
JP5368318B2 (en) | Vehicle slide deck device | |
US20070040392A1 (en) | Door checker for automobile | |
EP1764557B1 (en) | Compact hinge device for a door | |
US8655226B2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KR101564189B1 (en) | Movable pin apparatus for hood hinge for vehicle | |
EP1980691A1 (en) | Vehicle door handle unit | |
EP2082910B1 (en) | Armrest structure for vehicle seat | |
JP2013173613A (en) | Device box for elevator | |
WO2014181265A1 (en) | A pivot mechanism for a vehicle external rear view mirror assembly | |
KR101564188B1 (en) | Hood hinge for vehicle | |
US4181337A (en) | Door holding apparatus | |
KR20160092217A (en) | Detent hood hinge | |
JP4022210B2 (en) | Window regulator | |
JP2017128312A (en) | Buckle device | |
KR101755452B1 (en) |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 |
JP2016013400A (en) | Upper part mounting apparatus of pachinko machine frame | |
KR20060132411A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home appliances | |
JP4454468B2 (en) | Electric cup holder with lid | |
KR101378617B1 (en) | Sub-doo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machining center | |
JP4126777B2 (en) | Vehicle sliding door structure | |
JP5219347B2 (en) | Switchgear | |
KR102189024B1 (en) | Testing Jig for frame inner cover | |
JP2008201299A (en) | Seat slide sensor fitting structure | |
KR101234322B1 (en) | Safety device for tray in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