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870B1 - Balance hanger - Google Patents

Balance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870B1
KR101563870B1 KR1020130118802A KR20130118802A KR101563870B1 KR 101563870 B1 KR101563870 B1 KR 101563870B1 KR 1020130118802 A KR1020130118802 A KR 1020130118802A KR 20130118802 A KR20130118802 A KR 20130118802A KR 101563870 B1 KR101563870 B1 KR 10156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rane
disk
pipe
wi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0163A (en
Inventor
김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870B1/en
Publication of KR2015004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밸런스 행어가 개시된다. 크레인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밸런스 행어로서,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호 형상의 와이어파이프, 와이어파이프를 관통하며 양단이 중량물에 결합되는 와이어, 및 크레인의 리프팅에 따라 와이어파이프의 개구부에 노출된 와이어를 압착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한다.The balance hanger starts. 1. A balance hanger for lifting a heavy object by being coupled to a crane, comprising: an arc-shaped wire pip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inside thereof; a wire penetrating the wire pip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heavy object; And a wire fixing portion for pressing the wire.

Description

밸런스 행어 {Balance hanger}Balance hanger {Balance hanger}

본 발명은 밸런스 행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중량물에 체결된 와이어가 중량물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밸런스 행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hang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hanger in which a wire fastened to a heavy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when the heavy object is lifted using a crane.

각종 중량물을 수평과 수직 방향의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사용되는 크레인은 고중량의 운반물을 취급하는 장비이므로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며, 이러한 안전사고 중 하나는 운반물의 낙하에 의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이다.The crane used to move various heavy objects in three dimensions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a device handling heavy goods, and therefore, there is always a risk of safety accidents. One of these safety accidents is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Of losses.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중량물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와이어를 중량물에 체결하고, 와이어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크레인의 리프팅 작동에 의해 중량물을 들어 올리게 된다. In order to lift a heavy object using a crane, the length of the wire is adjusted to match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the wire is fastened to the heavy object, the hook of the crane is hooked on the wire, and the heavy object is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그런데, 중량물의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와이어를 중량물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길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the length of the wire is manually adjusted dur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wire to the heavy object, which results in a waste of work time and manpower.

또한, 와이어가 고정되는 않는 경우,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의 무게 균형이 흔들리면서 사고가 발생되거나 운반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case where the wire is not fixed, the weight balance of the heavy object is shake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heavy object, thereby causing an accident or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중량물에 체결된 와이어가 중량물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밸런스 행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a heavy object by using a crane, a balanced hanger can be provided which can easily adjust the weight of the wire fastened to the heavy object to balance the weigh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가 확고히 고정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 균형이 유지되어 운반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밸런스 행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alance hanger in which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is balan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work is improved by firmly fixing the wi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밸런스 행어로서,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와이어파이프; 상기 와이어파이프를 관통하며 양단이 중량물에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노출된 와이어를 압착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하는 밸런스 행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lance hanger coupled to a crane to lift a heavy object, comprising: a wire pip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wire penetrating the wire pip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weight; And a wire fixing part for pressing the wire exposed in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crane.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는 크레인고정부; 및 상기 크레인고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 작동에 의해 리프팅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파이프에 압착고정하는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 fixing part includes: a crane fix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rane; And a disk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e fixing part and lifting by a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to press-fix the wire to the wire pipe.

상기 크레인고정부는,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ne fixing part may include a pair of plate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k.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관통되도록 내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wire pipe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the plurality of wires penetrate through the wire pipe.

상기 와이어파이프는 양단이 상기 홀에 따라 분기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wire pipe may be branched along the hole.

또한, 상기 와이어파이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wire pipe to guide movement of the disk.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to slide the end of the disk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cr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중량물에 체결된 와이어가 중량물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a heavy object using a crane, the wire fastened to the heavy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to match the weight balance of the heavy object.

또한, 중량물 운반 중에 와이어의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 균형이 유지되어 운반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movement of the wire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heavy object is prevented, the weight balance of the heavy object can be maintained and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work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와이어파이프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와이어파이프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use state view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a wire pipe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wire pipe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빈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 inflow apparatus of a turb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는 와이어파이프(10), 와이어(12), 와이어고정부(14), 개구부(16), 홀(18)(도 5 참조), 크레인고정부(20), 디스크(22), 플레이트(24), 가이드부(26), 슬라이딩홈(28), 차단부(30), 크레인연결부(32), 중량물(34), 크레인(36)이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wire pipe 10, a wire 12, a wire fixing portion 14, an opening portion 16, a hole 18 (see FIG. 5), a crane fixing portion 20, A plate 24, a guide portion 26, a sliding groove 28, a blocking portion 30, a crane connecting portion 32, a heavy object 34 and a crane 36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36)에 결합되어 중량물(34)을 들어올리는 밸런스 행어로서, 와이어파이프(10), 와이어파이프(10)를 관통하는 와이어(12), 및 크레인(36)의 리프팅에 따라 와이어파이프(10)의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를 압착하는 와이어고정부(14)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12)의 양단을 중량물(34)에 체결시킨 후 크레인(36)의 리프팅 동작이 이루어지면, 와이어파이프(10)를 관통하는 와이어(12)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중량물(34)의 무게 균형이 이루어진다.4,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alance hanger which is coupled to a crane 36 and lifts a heavy object 34. The balance hanger includes a wire pipe 10, a wire penetrating the wire pipe 10, And a wire fixing portion 14 for pressing the wire 12 exposed in the opening portion 16 of the wire pipe 1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crane 36.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36 is performed after both ends of the wire 12 are fastened to the heavy object 34, the length of the wire 12 passing through the wire pipe 10 is automatically adjusted, ).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파이프(10)는, 호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서, 호의 내측에 개구부(16)가 형성된다. 와이어파이프(10)의 내부에 관통되는 와이어(12)가 개구부(16)를 통해 노출되고 와이어(12)의 노출된 부위는 와이어고정부(14)에 의해 압착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와이어파이프(10)의 가운데 부분에 와이어고정부(14)가 압착되도록 개구부(16)는 와이어파이프(10)의 내측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 pipe 10 is an arc-shaped pipe, and an opening 16 is formed inside the arc. A wire 12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wire pipe 1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6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wire 12 can be pressed and fixed by the wire fixing portion 14. At this time, The opening portion 16 may be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wire pipe 10 so that the wire fixing portion 14 is press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wire pipe 10.

와이어파이프(10)에는 와이어(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삽입되는 경우 와이어파이프(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At least one wire 12 may be inserted into the wire pipe 10, and the shape of the wire pipe 10 may be deformed when a plurality of wires 12 are inserted.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12)는 와이어파이프(10)를 관통하고 양단이 중량물(34)에 결합된다. 와이어(12)의 양단이 중량물(34)(도 4 참조)에 체결된 후 크레인(36)(도 4 참조)의 리프팅 동작이 이루어지면, 호 형상의 와이어파이프(10)를 관통하는 와이어(12)가 와이어파이프(1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중량물(34)의 무게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1, the wire 12 passes through the wire pipe 10 and is connected to the weight 34 at both ends.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36 (see Fig. 4) is performed after both ends of the wire 12 are fastened to the heavy object 34 (see Fig. 4), the wire 12 Is moved in the interior of the wire pipe 10 to adjust the weight so that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34 is balanced.

크레인(36)의 리프팅에 의해 와이어파이프(10)가 들어 올려지고 이 과정에서 중량물(34)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와이어(12)가 와이어파이프(10) 내부를 이동하면서 길이 조절이 되고 지속적인 크레인(36)의 리프팅에 의해 와이어고정부(14)가 위로 올라가면서 와이어파이프(10)의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를 압착고정하여 와이어(12)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The wire pipe 10 is lifted by the lifting of the crane 36 and the length of the wire 12 is adjusted while moving the wire 12 in the wire pipe 10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heavy material 34 in this process, The wire fixing portion 14 is lifted up by the lifting of the wire 36 and the wire 12 exposed in the opening portion 16 of the wire pipe 10 is pressed and fixed to prevent the wire 12 from moving.

중량물(34)의 무게 또는 형상에 따라 와이어(12)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파이프(10)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pending on the weight or shape of the heavy object 34, one or a plurality of wires 1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wire pipe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와이어고정부(14)는 크레인(36)의 리프팅에 따라 와이어파이프(10)의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를 압착한다. 따라서, 와이어(12)와 접촉하는 와이어고정부(14)의 외주면은 와이어파이프(10)의 내측 형상에 상응하여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fixing portion 14 presses the wire 12 exposed in the opening portion 16 of the wire pipe 1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crane 36.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fixing portion 1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ire 12, can be formed into a curved lin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wire pipe 10.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14)는, 일단이 크레인(36)에 고정되는 크레인고정부(20) 및 크레인고정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크레인(36)의 리프팅 작동에 의해 리프팅되면서 와이어(12)를 와이어파이프(10)에 압착고정하는 디스크(22)를 포함한다.The wire fixing portion 1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e fixing portion 20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rane 36 and is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36, And a disk 22 that presses and fixes the wire 12 to the wire pipe 10 as it is.

크레인고정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플레이트(24)는 일단이 크레인연결부(3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디스크(22)의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크레인연결부(32)에는 크레인(36)의 후크 등이 연결되어 크레인(36)의 작동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를 통해 중량물(34)을 리프팅하게 된다.1, the crane fixing section 20 may include a pair of plates 24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rane connecting section 32,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c 22, respectively. 4, a hook or the like of the crane 36 is connected to the crane connecting portion 32 to lift the heavy object 34 through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ane 36. [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디스크(22)를 와이어고정부(14)로 사용하고 있으나, 디스크(22)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파이프(10)의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측에 곡선의 외주면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 좋다.The shape of the disk 22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the shape of the disk 22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and the shape of the wire exposed from the opening 16 of the wire pipe 10 12 in order to secure the contact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a.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이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원형의 디스크(22)를 와이어고정부(14)로 사용한 형태를 제시한다. 이러한 디스크(22)는 크레인(36)의 리프팅에 따라 크레인고정부(20)와 함께 리프팅되어 와이어(12)를 압착고정시키도록, 크레인고정부(20)에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a circular disk 22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ed to the wire 12 exposed in the opening 16 is used as the wire fixing portion 14. [ This disk 22 is coupled to the crane fixing portion 20 so as to be lifted together with the crane fixing portion 2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crane 36 to press and fix the wire 12.

또한, 디스크(22)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2)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크(22)가 와이어(12)를 압착할 때 와이어(12)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 groove into which the wire 12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22 and the wire 1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when the disk 22 presses the wire 12.

한편, 디스크(22)의 외주면에 패드를 구비하여, 디스크(22)가 와이어(12)를 압착할 때 마찰력을 부가함으로써 와이어(1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2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wire 12 can be prevented by applying frictional force when the disk 22 presses the wire 12.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는 디스크(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6)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guide portion 26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isk 2. [

가이드부(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파이프(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고정부(14)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고정부(14)의 디스크(22)와 접촉된다.1, the guide portion 26 may be provided as a pai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ire pipe 10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wire fixing portion 14,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4 The disk 22 of FIG.

가이드부(26)에는 디스크(22)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홈(28)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홈(28)의 하단에는 디스크(22)의 하측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30)가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groove 28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26 with a cut-off portion (not shown) for block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isc 22, 30 may be formed.

슬라이딩홈(28)은 한 쌍의 가이드부(26)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디스크(22)의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어야 하므로 디스크(22) 두께 또는 그 이상의 폭넓이를 갖는다.The sliding grooves 28 are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pair of guide portions 26 and have the width or the width of the disk 22 because the end portion of the disk 22 has to be inserted and moved.

차단부(30)는 슬라이딩홈(28))의 하단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홈(28)을 따라 이동되는 디스크(22)가 가이드부(26)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한다.The blocking portion 3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groove 28 so as to prevent the disk 22 moving along the sliding groove 28 from moving out of the guide portion 26.

계속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와이어(12)의 양단이 중량물(도 4의 34)에 결합된 상태에서 크레인(도 4의 36)이 작동되면 디스크(22)가 가이드부(26)의 슬라이딩홈(28)을 따라 리프팅되면서 와이어파이프(10)를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2)가 와이어파이프(10) 내부를 이동하면서 중량물(34)의 무게 균형에 맞도록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크레인(36)의 지속적인 리프팅에 따라 디스크(22)는 와이어파이프(10)의 개구부(16)에 노출된 와이어(12)를 압착고정하면서 크레인(36)의 중량물(34) 운반이 이루어진다. 중량물(34) 운반이 완료되어 크레인(36)이 중량물(34)을 내려놓으면 디스크(22)가 가이드부(26)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크(22)와 와이어(12)의 압착상태가 해제된다.When the crane (36 in Fig. 4)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wire 12 are coupled to the weight (34 in Fig. 4), the disk 22 is lifted along the sliding groove 28 of the guide portion 26, The pipe 10 is lifted so that the wire 12 is moved inside the wire pipe 10 to adjust the length so as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weight 34. [ According to the continuous lifting of the crane 36, the disk 22 carries the weight 34 of the crane 36 while pressing and securing the wire 12 exposed in the opening 16 of the wire pipe 10. When the conveyance of the heavy object 34 is completed and the crane 36 releases the heavy object 34, the disk 22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26 and the state of the disk 22 and the wire 12 is released do.

이때. 슬라이딩홈(28)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와이어고정부(14)는 차단부(30)에 걸리면서 가이드부(26)를 벗어나지 않고, 이에 따라 크레인(36)의 리프팅 동작이 해제되어도 와이어파이프(10), 와이어(12), 및 와이어고정부(14)가 조립된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wire fixing portion 14 moved downward along the sliding groove 28 does not come off the guide portion 26 while being caught by the blocking portion 30 so that even i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36 is released, ), The wire 12,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4 are not assembl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와이어파이프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행어의 와이어파이프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ire pipe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wire pipe of the balance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는, 와이어파이프(10), 개구부(16) 및 홀(18)이 도시되어 있다.5 and 6, the wire pipe 10, the opening 16 and the hole 18 are shown.

도 5는 와이어파이프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파이프(10)는 복수의 와이어(도 1의 12)가 각각 관통되도록 내부에 복수의 홀(18)이 형성될 수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wire pipe.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holes 18 are formed in the wire pipe 10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12 in FIG. 1) .

이러한 와이어파이프(10)의 경우, 개구부(16)를 통해 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도 1의 12)가 함께 와이어고정부(도 1의 14)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16)의 내측에서 복수의 홀(18)이 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such a wire pipe 10,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portion 16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12 in Fig. 1) expos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6 can be pressed together by the wire fixing portion A plurality of holes 18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6은 와이어파이프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파이프(10)의 양단은 복수의 와이어(도 1의 12)가 각각 관통되는 홀(18)에 따라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wire pipe. As shown in FIG. 6, both ends of the wire pipe 10 are connected to a branch (not shown) along a hole 18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wires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와이어파이프 12 : 와이어
14 : 와이어고정부 16 : 개구부
18 : 홀 20 : 크레인고정부
22 : 디스크 24 : 플레이트
26 : 가이드부 28 : 슬라이딩홈
30 : 차단부 32 : 크레인연결부
34 : 중량물 36 : 크레인
10: wire pipe 12: wire
14: wire fixing portion 16: opening
18: hole 20: crane fixing section
22: Disk 24: Plate
26: guide portion 28: sliding groove
30: breaking portion 32: crane connecting portion
34: Heavyweight 36: Crane

Claims (7)

크레인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밸런스 행어로서,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와이어파이프;
상기 와이어파이프를 관통하며 양단이 중량물에 결합되는 와이어;
일단이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는 크레인고정부와, 상기 크레인고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 작동에 의해 리프팅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파이프에 압착고정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와이어를 압착하는 와이어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파이프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디스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밸런스 행어.
As a balance hanger which is coupled to a crane to lift a heavy object,
A wire pip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wire penetrating the wire pip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weight;
And a disk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e fixing part and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rane and pressing and fixing the wire to the wire pipe while lifting the crane, A wire fixing part for pressing the wire exposed by the opening part; And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wire pipe and guiding movement of the disk.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고정부는,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밸런스 행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ne-
And a pair of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개이며,
상기 와이어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관통되도록 내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밸런스 행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he wires is plural,
Wherein the wire pipe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allow the plurality of wires to pass therethrough,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파이프는, 양단이 상기 홀에 따라 분기되는, 밸런스 행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 pipe is branched at both ends along the ho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리프팅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밸런스 행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end of the disk is inserted and slid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crane.
KR1020130118802A 2013-10-04 2013-10-04 Balance hanger KR101563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02A KR101563870B1 (en) 2013-10-04 2013-10-04 Balance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02A KR101563870B1 (en) 2013-10-04 2013-10-04 Balance 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63A KR20150040163A (en) 2015-04-14
KR101563870B1 true KR101563870B1 (en) 2015-10-29

Family

ID=5303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802A KR101563870B1 (en) 2013-10-04 2013-10-04 Balance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8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53B1 (en) 2003-08-25 2006-02-09 구경환 Coil demage prevention by using wire ro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53B1 (en) 2003-08-25 2006-02-09 구경환 Coil demage prevention by using wire r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63A (en)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4045616A1 (en) Grabber
US20160200549A1 (en) Braking device for braking a hoisted object relative to a guide member
KR101405010B1 (en)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KR101563870B1 (en) Balance hanger
CN105800420A (en) Rope lifting tool and rope lifting arrangement
KR200474265Y1 (en) A mobile lifting device for manhole cover
CN203345975U (en) Installation device of hoisting steel wire rope and tower crane
KR101452409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wire-rope of wedge socket
JP5049719B2 (en) Electric pole cutting machine hanging tool
CN211664541U (en)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suspended transportation rope of high-rise building
KR101311429B1 (en) Cable hanger
KR101465958B1 (en) Braking apparatus for trolly and trolly having the same
JP2008045364A (en) Safety rope fastener
KR20120065004A (en) Handling jig for heavy weight product
US1858432A (en) Work handling device
CN103693548A (en) Lifting hook
JP6470012B2 (en) Lift type segment assembly equipment
CN213865035U (en) Hoisting protection device
KR101945377B1 (en) Tong crane for slab and protecting device for slab in tong crane
KR101359406B1 (en) Overall Heat Transmission Test Piece Cartridge Feeding Apparatus
KR101024584B1 (en) Supporting device of traction ring for crane
CN207511673U (en) A kind of cage guide handling apparatus
CN206599346U (en) A kind of skyscraper hoisting elevator trolley release binding
JP6163403B2 (en) Antenna moving apparatus and antenna moving method
JP5349539B2 (en) Fall-off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