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862B1 -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862B1
KR101563862B1 KR1020150072623A KR20150072623A KR101563862B1 KR 101563862 B1 KR101563862 B1 KR 101563862B1 KR 1020150072623 A KR1020150072623 A KR 1020150072623A KR 20150072623 A KR20150072623 A KR 20150072623A KR 101563862 B1 KR101563862 B1 KR 10156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door
doors
weight
low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람
Priority to KR10201500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8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valves or flaps in the container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입되는 투입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중량이 측정된 투입물을 하부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하부개방구를 구비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를 개폐시키는 제1,2도어가 제1,2힌지부에 의해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양문개폐형 도어부와,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가 양문개폐형 도어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내로 투입된 투입물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가 제1,2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weight of downstream opening type}
본 발명은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되는 투입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한 후, 하부에 이송시킬 수 있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 측정장치는 피계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scale)에 사용되는 것으로, 과일, 고철, 자동차, 동물, 광석, 액상의 물질 등의 다양한 피계량물을 올려 놓고, 피계량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무게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중량측정장치는 피계량물이 놓여질 수 있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 하부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량측정장치는 단순히 베이스패널에 올려져 있는 피계량물의 무게만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어,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한 후 이를 이송시키는 공정에서는 적용될 수 없었다.
물론, 피계량물의 무게를 측정한 후, 이송시키는 자동화설비도 있으나, 이와 같은 자동화설비는 중량측정장치 자체의 기능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자동이송장치에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연결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목적하는 피계량물에만 적용될 수 있을 뿐, 다양한 피계량물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10761(2013.10.10)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66655(2011.06.17)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89914(2007.09.04)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0-0008878(1990.12.11)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되는 투입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중량이 측정된 투입물을 하부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하부개방구를 구비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를 개폐시키는 제1,2도어가 제1,2힌지부에 의해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양문개폐형 도어부와,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가 양문개폐형 도어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내로 투입된 투입물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가 제1,2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부본체부내로 투입된 투입물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에 의해 자동측정된 후, 제1,2도어부의 작동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투입물(피계량물)의 중량측정 및 이송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양문도어 타입으로 개폐되는 제1,2도어에 끝단수밀재재와 돌출씰링재에 의해 다단수밀구조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투입물이 액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흘러내림 현상없이 투입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2구동실린더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가 작동되어 투입물이 위치한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내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량측정후 하부로 투입물이 이송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과 같이 투입물이 낙하되는 장치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부에 교반기 등의 회전구동장치가 위치하고 있어도, 중량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적용할 경우, 투입구에 연결설치될 수 있어,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모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측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도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도어의 내측단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도 6 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측면)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도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도어의 내측단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110)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를 개폐시키는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된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투입물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본체(110)는 중량측정을 위한 투입물이 투입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11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 개방구(111)에 호퍼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부(1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110)에는 외부면 둘레를 따라 제1,2중량센서부(121,122)가 접촉지지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에는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연결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편(116)이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문개폐형 도어부(130)는 제1,2도어(131,132)가 양문도어 타입으로 하향 작동되도록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양문개폐형 도어부(130)는 제1도어의 외측단(135)이 제1힌지부(133)에 의해 상부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도어의 외측단(136)이 제2힌지부(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양문도어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ㄷ다.
이와 같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는 제1힌지부(133)를 중심으로 상부본체(110)에서 제1도어(131)의 내측단(137)이 하향회전되고, 제2힌지부(134)를 중심으로 상부본체(110)에서 제2도어(132)의 내측단(138)이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오픈 또는 폐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도어의 내측단(137,138)에는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는 끝단수밀재(137a,138a)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도어에 설치되는 끝단수밀재(137a,138a)는 제1,2도어에 의한 하부개방구(112)의 폐쇄시, 서로 접촉되어 제1,2도어(131,132) 사이가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접촉된다.
이때, 상기 내측단(137,138)은 하부개방구(112)의 폐쇄시, 서로 접촉되는 제1,2도어의 일측단을 의미하고, 외측단(135,136)은 제1,2힌지부(133,134)가 설치되는 제1,2도어의 타측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2도어(131,132)는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접촉되는 상부면(131a,132a)에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삽입되는 단차부(131b,132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131b,132b)를 따라 수밀씰(131c,132c)이 설치되어 하부개방구(112)와 수밀씰(131c,132c)의 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113)내로 액상을 함유하는 투입물이 투입되더라도 제1,2도어의 단차부(131b,132b)와 수밀씰(131c,132c)에 의해 액상이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홀(151)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한 투입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임시저장공간(113)은 투입물이 투입되어 중량측정을 위해 일시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부본체(110)와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부개방구(112)가 제1,2도어(131,132)에 의해 폐쇄될 시 형성되는 상부본체(110)내의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의 내측단(138)에는 제1도어의 내측단(137)을 수밀지지하는 안착부(139)가 더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139)는 제2도어(132)의 하부면(132d)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부(139a)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39b)와, 상기 지지부(139b)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39c)와, 상기 돌출부(139c)에 끼움설치되어 제1도어의 하부면(131d)에 수밀접촉되는 돌출씰링재(139d)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는 지지부(139b)에 의해 형성되어 연결부(139a)와 돌출부(139c) 사이에 위치하는 수밀홈(139e)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씰링재(139d)는 제1도어의 내측단(137)에 설치되는 끝단수밀재(137a)가 접촉되도록 걸림턱(139f)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의 내측단(137)에 끝단수밀재(137a)가 설치되고, 제2도어의 내측단(138)에 안착부(139)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돌출부(139c)에 돌출씰링재(139d)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제1,2도어(131,132)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될 시,
상기 제1,2도어의 끝단수밀재(137a)가 서로 밀착접촉되어 1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제1도어의 끝단수밀재(137a)가 제2도어에 설치된 돌출씰링재의 걸림턱(139f)에 접촉되어 2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제2도어의 돌출씰링재(139d)와 제1도어의 하부면(131d)이 수밀접촉되어 3차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도어의 끝단수밀재(137a)와 제2도어의 돌출씰링재(139d) 사이에 수밀홈(139e)이 위치하고 있어, 액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제1,2도어의 끝단수밀재 사이를 통과하더라도 수밀홈(139e)에 의해 차단된다. 즉, 수밀홈내로 액상이 흘러들게 되면, 수밀홈(139e)의 체적에 의해 수밀홈(139e)이 하나의 씰링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수밀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상기 제1,2중량센서(121,122)는 양문개폐형 도어부(150)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의 임시저장공간(113)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자동측정하는 것으로, 상부본체의 지지플레이트(115) 또는 지지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된 돌출편(116)에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센서브래킷(123,124)에 의해 설치대상물(23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중량센서(121,122)는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중량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4개 또는 그 이상의 중량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대상물(230)은 본 발명이 설치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므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하향개방될 수 있는 공간(231)을 구비하면 충분하다.
상기 제1,2구동실린더(141,142)는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제1,2도어(131,132)를 회전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실린더(141)는 제1도어(131)에 실린더로드(143)가 힌지부 연결되고 실린더몸체(144)가 고정브래킷(145)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실린더(142)는 제2도어(132)에 실린더로드(146)가 힌지부 연결되고 실린더몸체(147)가 고정브래킷(148)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브래킷(145,148)은 상부본체(1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115) 또는 지지플레이트의 돌출편(116)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상부본체(110)의 4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거나,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중량센서(121,122)와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상부본체(110)의 양측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 양측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를 개폐시키는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된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제1,2중량센서(121,1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포함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121,122)에 의해 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량측정장치는 소정의 액상을 구비하는 투입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 또는 저장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량측정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와 교반기(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도록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내에 설치되어 교반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담체를 혼합반응시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투입구(400)를 통해 상부본체(110)내 임시저장공간(113)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자동측정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이 측정이 완료되면, 제1,2구동실린더(141,142)의 작동에 의해 제1,2도어의 내측단(137,138)이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를 개방시킴으로써, 상부본체(110)내 임시저장공간(113)내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부(300) 방향으로 낙하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의 낙하가 완료되면, 다시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작동되어, 제1,2도어에 의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중량측정장치 (110) : 상부본체
(111) : 상부개방구 (112) : 하부개방구
(113) : 임시저장공간 (114) : 상단부
(115) : 지지플레이트 (116) : 돌출편
(121) : 제1중량센서 (122) : 제2중량센서
(123) : 센서브래킷 (124) : 센서브래킷
(130) : 양문개폐형 도어부 (131) : 제1도어
(132) : 제2도어 (131a,132a): 상부면
(131b,132b): 단차부 (131c,132c): 수밀씰
(131d,132d): 하부면 (133) : 제1힌지부
(134) : 제2힌지부 (135) : 제1도어 외측단
(136) : 제2도어 외측단 (137) : 제1도어 내측단
(138) : 제2도어 내측단 (139) : 안착부
(139a): 연결부 (139b): 지지부
(139c): 돌출부 (139d): 돌출씰링재
(139e): 수밀홈 (139f): 걸림턱
(141) : 제1구동실린더 (142) : 제2구동실린더
(143,144): 고정브래킷

Claims (7)

  1. 상/하부개방구(111,112)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상부본체(110)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설치되는 제1,2중량센서(121,122)와,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를 개폐시키는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에 의해 상부본체(110)에 연결설치된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의 제1,2도어(131,132)에 연결설치되고 상부본체에 연결설치된 고정브래킷(145,148)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포함되고,
    제2도어는 내측단(138)에 제1도어의 내측단(137)을 수밀지지하는 안착부(139)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139)는 제2도어(132)의 하부면(131d,132d)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부(139a)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39b)와, 상기 지지부(139b)의 끝단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39c)와, 상기 돌출부(139c)에 끼움설치되어 제1도어의 하부면(131d)에 수밀접촉되는 돌출씰링재(139d)와, 상기 연결부(139a)와 층을 이루는 지지부(139b)에 의해 형성되어 연결부(139a)와 돌출부(139c) 사이에 위치하는 수밀홈(139e)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양문개폐형 도어부(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10)내로 투입된 투입물의 중량이 제1,2중량센서부(121,122)에 의해 자동측정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에 의해 양문개폐형 도어부의 제1,2도어(131,132)가 제1,2힌지부(133,134)를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회전되어,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부본체(110)에는 외부면 둘레를 따라 중량센서부(120)가 접촉지지되고 제1,2구동실린더(141,14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에는 제1,2중량센서(121,122) 및 제1,2구동실린더(141,142)가 연결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편(116)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도어는 내측단(137,138)에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는 끝단수밀재(137a,138a)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제1,2도어(131,132)는,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에 접촉되는 상부면(131a,132a)에 상부본체의 하부개방구(112)가 삽입되는 단차부(131b,132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131b,132b)를 따라 수밀씰(131c,132c)이 설치되어 하부개방구(112)와 수밀씰(131c,132c)의 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돌출씰링재(139d)는 제1도어의 내측단(137)에 설치되는 끝단수밀재(137a)가 접촉되도록 걸림턱(139f)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구동실린더(141,142)는 제1,2중량센서(121,122)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 또는 지지플레이트의 돌출편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KR1020150072623A 2015-05-26 2015-05-26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KR10156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23A KR101563862B1 (ko) 2015-05-26 2015-05-26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23A KR101563862B1 (ko) 2015-05-26 2015-05-26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862B1 true KR101563862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623A KR101563862B1 (ko) 2015-05-26 2015-05-26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631B1 (ko) 2020-09-14 2021-01-15 주식회사 우람 슬라이드 개폐타입 중량측정장치와 이를 구비한 음식물 감량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60Y1 (ko) * 2001-12-31 2002-04-20 황국현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JP2006110936A (ja) * 2004-10-18 2006-04-27 Oru Japan Kk コンクリートホッパ。
KR101428586B1 (ko) * 2014-04-10 2014-08-12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액 유출을 방지하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60Y1 (ko) * 2001-12-31 2002-04-20 황국현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JP2006110936A (ja) * 2004-10-18 2006-04-27 Oru Japan Kk コンクリートホッパ。
KR101428586B1 (ko) * 2014-04-10 2014-08-12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액 유출을 방지하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631B1 (ko) 2020-09-14 2021-01-15 주식회사 우람 슬라이드 개폐타입 중량측정장치와 이를 구비한 음식물 감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3687A (zh) 自动分析装置
KR101563862B1 (ko) 하향 개방식 중량측정장치
CN106030277B (zh) 真密度测定装置
NO339468B1 (no) Boreslambeholder
KR101543716B1 (ko) 슬라이드 타입 중량측정장치
CN208878563U (zh) 一种便于取样的合成反应釜
CN206897277U (zh) 一种食品检测的搅拌装置
CN215693800U (zh) 一种反应釜的加料装置
DE3933763A1 (de) Waage zum bestimmen des gewichts von schuettgut
CN205173500U (zh) 下展式放料阀
CN116173826A (zh) 一种物料混合机
CN206038666U (zh) 一种在线式水质监测系统
CN211347015U (zh) 一种电子天平
CN106346605B (zh) 核电站水泥固化线精细化搅拌控制方法和生产线
CN211652175U (zh) 一种食品安全监测用的密封性检测装置
CN211235376U (zh) 一种定量混合斗
CN209466516U (zh) 一种上辅机中间称量装置
KR101826751B1 (ko) 탱크로리용 저장탱크의 주입구 구조
US2721073A (en) Sealed cupolas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CN206927595U (zh) 液体物料灌装用输出管路系统
CN210910638U (zh) 混凝土取样装置及混凝土搅拌站
CN220759129U (zh) 一种玻璃蒙砂粉加工用定量下料装置
CN208313394U (zh) 一种防水型电子流量秤
CN220055022U (zh) 一种滑动开顶集装箱
US918265A (en) Oyster-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