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540B1 -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540B1
KR101563540B1 KR1020140078972A KR20140078972A KR101563540B1 KR 101563540 B1 KR101563540 B1 KR 101563540B1 KR 1020140078972 A KR1020140078972 A KR 1020140078972A KR 20140078972 A KR20140078972 A KR 20140078972A KR 101563540 B1 KR101563540 B1 KR 10156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elete delete
evacuation
frame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미나
Original Assignee
박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화 filed Critical 박선화
Priority to KR102014007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5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structure capable of easily preventing that a secondary accident is generated as drivers, pedestrians, or the like who had an accident such as vehicle breakdown, traffic accident, or the like can safely evacuate to a bottom plate for evacuation located in the rear of a guard rail installed in a roadside; safety evacuating drivers, pedestrians, or the like who had a traffic accident to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while the location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is easily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a fluorescent cap or a light-emitting part; not allowing weeds from causing interference to visibility of a vehicle driver by preventing the weeds or the like from growing in the ground around a guard rail through an anti-weed sheet; and more easily preventing wild animals or the like from breaking into a road or vines or the like from breaking into a road die to a roadkill preventing part.

Description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후측에 위치하는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어 2차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형광캡 또는 발광부를 통해 교통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방초시트를 통해 가드레일 주변 지면에 잡풀 등이 생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풀이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로드킬방지부를 통해 야생동물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거나 넝쿨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vacuat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or a traffic accident to a floor plate for evacua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a guard rail installed on the road sid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been exposed to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fluorescent cap or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safely evacuate the floor plate portion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weeds and the like on the ground around the guard rail through the feces sheet, so that the weeds can prevent the driver's visibility from being obstructed, and wild animals can enter the road through the rod-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that can easily prevent intruding into the road will be.

야생에서 서식하는 포유류, 파충류 등의 야생동물은 대부분 일정한 생활영역에서 이동하면서 서식하게 되는데,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산이 절개되고 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야생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도로를 횡단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Wild animals such as mammals and reptiles migrate in a certain area of life. As human beings artificially dissect mountains and open roads, wild animals cross the road to save food There are many cases of moving.

물론, 최근에는 이러한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의 상측을 터널 형태로 만들어 양측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를 만들어 주거나, 도로의 하부를 횡으로 관통하는 관통통로를 만들어 야생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나, 인간과는 달리 이러한 이동통로를 찾지 못한 야생동물은 여전히 도로를 횡단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Of course, recently, in order to protect these wild animals, the upper part of the road is made into a tunnel shape, and the two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reate a passage for wild animals, or a passage for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road, However, unlike humans, wild animals that can not find such a passage are still moving across the road.

따라서, 이렇게 도로를 횡단하기 위해 도로의 일측을 무사히 통과할지라도, 중앙분리대에서 다시 주행하는 차량을 피해 도로의 타측으로 건너거나, 되돌아 오기 위해 당황하다가 피신처를 찾지 못하고 횡단을 하는 도중에 참사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Therefore, even if one side of the road passes safely in order to cross the road like this, it is possible to cross the road to the other side of the road to avoid the vehicle running again on the median separator, or to panic while returning, There are many.

이에 최근에는 도로에 진입하여 중앙분리대 측에 도달한 야생동물이 주행하는 차량을 피해 도로를 횡단하거나 되돌아 올 수 있도록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대피구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분리대에 형성되는 야생동물 대피구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751751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recent years, wild animals such as wild animals have been formed on the median to provide a large escape route so that wild animals that enter the road and reach the median side can safely escape from traversing the road It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1751.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751751호는 도로에 진입한 야생동물이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대피구를 제공할 뿐 교통사고 등을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시설물에 관한 내용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1751 discloses a method for providing safeguarding of wild animals entering the road, and a method of disposing of the evacuation facility in which a driver, a pedestrian, Is not described at all.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75175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1751

본 발명은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후측에 위치하는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어 2차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형광캡 또는 발광부를 통해 교통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방초시트를 통해 가드레일 주변 지면에 잡풀 등이 생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풀이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로드킬방지부를 통해 야생동물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거나 넝쿨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vacuat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or a traffic accident to a floor plate for evacua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a guard rail installed on the road sid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been exposed to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fluorescent cap or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safely evacuate the floor plate portion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weeds and the like on the ground around the guard rail through the feces sheet, so that the weeds can prevent the driver's visibility from being obstructed, and wild animals can enter the road through the rod- Provides a road safety evacuation structure that can easily prevent intruders from entering the road And that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구비되는 대피용 바닥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ad safety evacuation system including a floor plate for evacuation, the ground plate being located on a rear side of a side opposite to a front side of a guard rail installed on a road .

여기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가 상부에 안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oor panel may further include a frame fixed to the ground in a state that the floor panel portion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드레일의 전측에 위치한 경계석 상부에 고정되는 일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드레일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경계석의 상부에 고정되는 타측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과 상기 타측고정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가 안착고정되는 안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fixed fram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ardrail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and a fixed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guard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ardrail, A fixed frame formed of a frame; And a seating frame formed between the one fixing frame and the other fixing frame and having the floor plate portion for seating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프레임에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내에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지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rame includes a tubular body formed on the seating frame; And a fixed post inserted into the pipe with a predetermined depth inserted into the pipe while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pipe.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이 전측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분기관체와; 상기 분기관체의 상측 내부에 하측이 삽입고정되는 상부고정지주와, 상기 분기관체의 하측 내부에 상측이 삽입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로 구성되는 고정지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frame may include a branch pipe body having a rear side of the fixed fram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front side; An upper fixed stanchion whose lower side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ranch tube and a lower fixed stanchion which is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while the upper side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branch tub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또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후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지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frame may include a tubula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stationary frame; And a fixed post vertic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ubular body and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나아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로드킬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킬방지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수직지주와; 상기 수직지주에 고정되는 로드킬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a rod lock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and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is vertical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And a rod lock preventing plat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또는,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고정지주의 전측에 로드킬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킬방지부는 상기 상부고정지주에 고정되는 로드킬방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a rod lock preve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fixed post of the fixed post, and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may be a rod lock preventing plate fixed to the upper fixed post.

또는, 상기 고정지주의 전측에 로드킬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킬방지부는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고정되는 로드킬방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rod lock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ost, and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is a rod lock preventing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ost.

더불어, 상기 수직지주의 상부에 형광캡 또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luorescent cap or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vertical column.

또한, 상기 상부고정지주의 상부에 형광캡 또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luorescent cap or a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fixed post.

또한,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형광캡 또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luorescent cap or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ost.

아울러,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전측에 방초시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eces shee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그리고,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상부 일측에 수직구비되는 일측수직프레임과,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상부 타측에 수직구비되는 타측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rame having one vertical frame vertic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and a second vertical frame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op of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And a cov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여기서, 상기 일측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측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상부에 의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hair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plate for evacua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ne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vertical frame.

또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2차 사고방지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warning unit installed on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plate for evacuation to output a secondary accident prevention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여기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수직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사고알림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rning unit includes: a column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for evacuation;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olumn for notifying the driver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for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경고부는 상기 기둥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부와;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발생된 전기가 축전되고, 상기 사고알림표시부로 축전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rning unit includes a solar battery unit provided on the column; And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battery unit and supplying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경고부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n emergency switch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warning unit is provided.

또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로 대피한 대피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terminal carried by the evacuant escaping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 또는 상기 프레임에 사고지점의 확인을 위한 일련번호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serial number for identifying an accident point is displayed on the floor plate for evacuation or on the frame.

아울러, 전측사다리부와, 상기 전측사다리부의 상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후측사다리부로 구성되는 후측사다리부로 구성되는 사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측사다리부와 상기 후측사다리부 사이에 상기 가드레일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ladder portion including a front ladder portion and a rear ladder portion constituted by a rear ladder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is provided, and the guard rail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adder portion and the rear ladder portion desirable.

여기서, 상기 전측사다리부의 상부와 상기 후측사다리부의 상부는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adder portion are preferably axially coupled.

그리고, 상기 후측사다리부의 하부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에 고정되고, 평상시에 상기 전측사다리부의 하부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ladder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for evacua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is normally fixed in a stat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portion for evacuation.

그리고, 상기 커버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본 발명은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후측에 위치하는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어 2차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형광캡 또는 발광부를 통해 교통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방초시트를 통해 가드레일 주변 지면에 잡풀 등이 생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풀이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로드킬방지부를 통해 야생동물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거나 넝쿨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vacuat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or a traffic accident to a floor plate for evacuatio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a guard rail installed on the road side,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been exposed to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fluorescent cap or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safely evacuate the floor plate portion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of weeds and the like on the ground around the guard rail through the feces sheet, so that the weeds can prevent the driver's visibility from being obstructed, and wild animals can enter the road through the ro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intruding into the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지면에 제 1, 2, 3실시예의 대피용 바닥판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지면에 제 4실시예의 대피용 바닥판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경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대피용 바닥판부와 경고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사다리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사다리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7 and 8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floor part of the escape hat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s fixed on the ground,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 plate for evacu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is fixed on the groun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rning sec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and the warning portion ar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ladder portion,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dder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도 7의 7)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지면(도 7 및 도 8의 3)에 수평구비되는 대피용 바닥판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ground surface (Figs. 7 and 8)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in Fig. 7) (3) of Fig. 8).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frame 20 for supporting the escape floor plate 1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20 may include a stationary frame 200 and a seat frame 210.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일측고정프레임(201)과 타측고정프레임(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200 may include one fixed frame 201 and the other fixed frame 202.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은 상기 가드레일(7)의 전축에서 상기 가드레일(7)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one-side fixing frame 201 may be formed to extend longitudinally from the front axis of the guard rail 7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guard rail 7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가드레일(7)의 전측에 위치한 경계석(도 7의 6)의 상부에 수평안착된 상태로 앵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일측고정판(201a)이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fixing plate 201a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one fixing frame 201 in various ways such as anchor fixing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undary stones (6 in Fig. 7)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fixing frame 202 may be formed to extend longitudinally along the one side fixing frame 201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ne side fixing frame 201.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가드레일(7)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경계석(6)의 상부에 수평안착된 상태로 앵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타측고정판(20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fixing plate 202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fixing frame 202 in such a manner that it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undary 6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

상기 안착프레임(210)은 상기 안착프레임(210)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frame 210 may be formed between the one side fixing frame 201 and the other side fixing frame 202.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에서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And may extend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one fixing frame 201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fixing frame 202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안착프레임(210)은 전측안착프레임(211), 후측안착프레임(212) 및 연결대(2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t frame 210 may include a front seat frame 211, a rear seat frame 212, and a connecting rod 213.

상기 전측안착프레임(211)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 상부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The front seat frame 211 may be fixed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stationary frame 20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상기 후측안착프레임(212)은 상기 전측안착프레임(211)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 상부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eat frame 212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stationary frame 200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frame 211.

상기 연결대(213)는 상기 전측안착프레임(211)와 상기 후측안착프레임(212)사이에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2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or more than two between the front seat frame 211 and the rear seat frame 212.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상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가 수평으로 안착된 상태로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One or two or more of the floor panels 10 can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frame 210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with the floor panel 10 mounted horizontally.

상기 프레임(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체(220)와 고정지주(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20 may further include a tubular body 220 and a fixed stanchion 230.

상기 관체(220)는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ubular body 2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관체(220)는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프레임(210)의 후측안착프레임(212)의 전면 일측 및 상기 후측안착프레임(212)의 전면 타측에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The tubular body 220 is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ront seat frame 212 of the seat frame 210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seat frame 21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stationary frame 201 and the other side stationary frame 202. [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urface.

상기 고정지주(230)는 내부가 빈 관체 또는 내부가 꽉 찬 봉형태 등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stationary struts 230 may be vertically formed in an inner hollow tube or a rod-like rod shape.

상기 고정지주(230)의 단면 형상은 상기 관체(2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xed struts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bular body 220.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가 상기 관체(220)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지주(230)의 하부는 지면(3) 특히, 상기 고정지주(230)의 하부방향에 사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strut 230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220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strut 230 is inser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downward slope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3 at a predetermined depth.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기관체(221)와 고정지주(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and 4, the frame 20 includes a branch pipe 221 and a fixed support (not shown) 230).

상기 분기관체(221)는 수직분기관체(221a)와 수평분기관체(221b)로 구성될 수 있다.The branch pipe body 221 may include a vertical branch pipe body 221a and a horizontal branch pipe body 221b.

상기 수직분기관체(221a)는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branch tube 221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in section.

상기 수평분기관체(221b)는 상기 수직분기관체(221a)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분기관체(221a)의 전측 중심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branch pipe 221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er of the vertical branch pipe 221a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vertical branch pipe 221a.

상기 수평분기관체(221b) 또한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ranching tube 221b may also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in section.

상기 분기관체(221)의 수평분기관체(221b)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fixed frame 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horizontal branch tube 221b of the branch tube 221.

상기 고정지주(230)는 상부고정지주(231)와 하부고정지주(2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strut 230 may include an upper fixed strut 231 and a lower fixed strut 232.

상기 상부고정지주(231)의 하부는 상기 분기관체(221)의 수직분기관체(221a)의 상측 내부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post 231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ranch pipe 221a of the branch pipe 221. [

상기 하부고정지주(232)의 상부는 상기 분기관체(221)의 수직분기관체(221a)의 하측 내부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ixed post 23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ranch pipe 221a of the branch pipe body 221. [

상기 하부고정지주(232)의 하부는 지면(3) 특히, 상기 하부고정지주(232)의 하부방향에 사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xed column 232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3 and in particular the ground 3 sloping downwar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lower fixed column 232.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체(220)와 고정지주(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5 and 6, the frame 20 includes a tubular body 220 and a stationary support frame 220. The frame 220 is fixed to the frame 220, (230) < / RTI >

상기 관체(220)와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이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관체(22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fixing frame 20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220 so that the tube 220 and the rear side of the fixing frame 200 can be separated.

상기 관체(220)가 상기 고정지주(230)의 전측에 수평형성되도록 상기 고정지주(230)는 상기 관체(220)의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pillars 230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ubular body 220 so that the tubular body 220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illars 230.

상기 고정지주(230)의 하부는 지면(3) 특히, 상기 고정지주(230)의 하부방향에 사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column 230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3, particularly on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3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column 230.

도 7 및 도 8은 지면(3)에 제 1, 2, 3실시예의 대피용 바닥판부(1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10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s fixed to the paper surface 3. Fig.

다음으로, 도 2, 도 4,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야생동물 등이 도로밖에서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드킬방지부(30)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2, 4, 6, 7, and 8, a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for preventing wild animals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road from outside the road is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portion 10 for evacuati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제 1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드킬방지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지주(310)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로드킬방지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may include a vertical pillar 310 and one or more rod lock preventing plates 320.

상기 수직지주(310)의 하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31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0 by welding or bolt fixing.

상기 수직지주(310)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일측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pillar 310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loor plate for evacuation 10, .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d lock prevention plate 32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or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etal material.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은 상기 수직지주(3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od lock prevention plate 320 may be fix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3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제 2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드킬방지부(30)는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may be formed of the rod lock preventing plate 320.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은 상기 상부고정지주(23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od lock prevention plate 320 may be fix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pper fixed post 2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제 3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드킬방지부(30)는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은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 전면 또는 상부 후면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rod lock preventing plate 30 is formed of the rod lock preventing plate 320, and the rod lock preventing plate 320 is welded to the upper front surface or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ixed post 230 And may be fix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fixing or bolt fixing.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을 통해 야생동물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가드레일(7) 주변 지면(3)의 넝쿨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의 상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의 전방의 반대측인 후방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되는 것이 좋다.7,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may be vertically formed in a plate shape. Preferably,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prevents wild animals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road through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8,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see FIG. 8) so as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trusion of the vine, etc. of the ground 3 around the guard rail 7 into the road. 320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upper side.

상기 로드킬방지판(320)을 통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대피자가 상기 바닥판부(10)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방방향에 위치한 사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지면(3)으로 낙상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A driver or a pedestrian who is caught in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ar breakdown or a traffic accident evacuated to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through the rod kill prevention plate 320 can be removed from the bottom plate 10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vent falling to the ground surface 3 that is inclined downward in the diagonal line direction loc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직지주(310)의 상부에 형광캡(311) 또는 LED캡 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312)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Next, a driver, a pedestrian, or the like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a traffic accident, or the like can safely evacuate the floor plate portion 10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10 with the visual confi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10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2, which may be a fluorescent cap 311 or an LED cap or an LED, may be detachably fit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310 in the first embodiment .

제 2실시예의 경우,상기 형광캡(311) 또는 상기 발광부(312)는 상기 상부고정지주(23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luorescent cap 311 or the light emitting unit 312 may be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fixed post 231.

제 3실시예의 경우, 상기 형광캡(311) 또는 상기 발광부(312)는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uorescent cap 311 or the light emitting unit 312 may be detachably fi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ost 230.

다음으로, 상기 가드레일(7) 주변 지면(3)에 잡풀 등이 생장하는 것을 방지하여 잡풀이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방초시트(40), 특히 투수성 방초시트(4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8, in order to prevent the growth of weeds and the like on the ground 3 around the guard rail 7, One or two or more bedding sheets (40), particularly a water permeable bedding sheet (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d (10).

상기 방초시트(40)의 전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전측 상부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bedding sheet 40 may be fixed to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00 by bolt fixing or the like.

상기 방초시트(40)의 후측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fake sheet (40) can be fix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bolt fixing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part (10) for escape.

상기 방초시트(40)의 중간부에는 상기 가드레일(7)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주(2)를 수용하는 수용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guard rail 7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dding sheet 40 and the receiving port 410 for receiving the pillars 2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surface 3 at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

상기 수용구(410)내에 상기 지주(2)를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키기 위해 상기 방초시트(40)의 전측에는 상기 수용구(4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구(410)에서 상기 방초시트(40)의 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절개선(42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eces sheet 410 is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feces sheet 40 in such a manner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ort 410 in order to more easily accommodate the strut 2 in the receiving port 410. [ 40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ont side.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지면에 제 4실시예의 대피용 바닥판부(1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floor plate 1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fixed on the groun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는 제 1, 2, 3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레임(20)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수직프레임(240)과 타측수직프레임(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9 and 10, the structure of the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y,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n that the frame 20 has one vertical frame 240 and the other vertical Frame 250 as shown in FIG.

상기 일측수직프레임(240)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상부 일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one vertical frame 240 may be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bottom plate 10 for evacuation.

상기 타측수직프레임(250)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상부 타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side vertical frame 250 may be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수직프레임(240)의 상부와 타측수직프레임(250)의 상부에는 커버(50)가 수평으로 안착된 상태로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5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240 at one side of the frame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vertical frame 250 by welding or bolt fixing.

상기 커버(5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5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or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제 4실시예의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50)의 하부면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3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driver, a pedestrian, or the like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breakdown or traffic accident can safely evacuate the floor plate portion 10 for evacuation with the naked eye of the position of the floor plate portion 10 of the fourth embodiment more easily The cover 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312 formed of LED or the lik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부(510)와 축전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solar battery 510 and a power storage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ver 50.

상기 태양전지부(510)는 기둥(511)과 태양전지판(51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lar cell unit 510 may include a column 511 and a solar panel 512.

상기 기둥(511)의 하부는 상기 커버(50)의 상부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511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5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상기 태양전지판(512)은 상기 기둥(5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olar cell plate 512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column 511.

상기 태양전지판(512)은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 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olar panel 512 may generate electricity by condensing the sunlight or generate solar electricity by collecting sunlight.

상기 축전부(미도시)에는 상기 태양전지판(512)이 발생시킨 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512 may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not shown).

상기 축전부(미도시)에 축전된 전기는 상기 커버(50)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312)로 공급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power storage unit (not shown) may be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31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50.

다음으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대피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기 위한 온열의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의자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chair portion 60 (see FIG. 1), which can be composed of a warm chair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uttocks of a driver, a pedestrian, or the like who has been caught in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breakdown or a traffic accident evacuated by the floor plate portion for evacuation 10 )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의자부(60)는 상기 일측수직프레임(240)과 상기 타측수직프레임(2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chair part 6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panel part 1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ne vertical frame 240 and the other vertical frame 250.

상기 의자부(60)는 크게, 둔부지지판(610)과 지지다리(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hair portion 60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buttock supporting plate 610 and a support leg 620.

상기 둔부지지판(6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250)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buttock supporting plate 610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vertical frame 25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상기 둔부지지판(610)은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대피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The buttress support plate 610 can seat and support the buttocks of the driver, the pedestrian, and the like who have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a traffic accident, or the like.

상기 지지다리(620)는 상기 둔부지지판(6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되거나, 상기 둔부지지판(610)의 전측 하부면 일측과 상기 둔부지지판(610)의 전측 하부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어 상기 둔부지지판(610)을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legs 620 may b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ck supporting plate 610 or may be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uttress supporting plate 6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uttock supporting plate 610 So that the buttock supporting plate 610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상기 지지다리(620)의 하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상부면에 용접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62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도 11은 경고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rning section 70. Fig.

다음으로, 경고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warning unit 7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경고부(7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710)과 사고알림표시부(7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rning unit 70 may include a column 710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as shown in FIG.

상기 기둥(710)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에 수직설치될 수 있다.The pillars 710 may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3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oor plat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는 LED 디스플레이 또는 LCD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may include various displays such as an LED display or an LCD display.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는 상기 기둥(7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7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fixing bolts.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사고발생' 등과 같은 문구 및 '←'형상의 화살표 등과 같은 도형으로 이루어진 2차 사고방지 경고신호를 가령 적색빛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키면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접근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11,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may display a secondary accident prevention warning signal composed of a figure such as 'forward accident occurred' or an arrow of '←' shape or the lik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driver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evacuation floor plate 10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forward direction.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고부(70)는 태양전지부(730)와 축전부(도 13의 7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1, the warning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solar battery unit 730 and a power storage unit 740 (FIG. 13).

상기 태양전지부(730)는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둥(71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olar battery unit 73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lumn 710 so as to be locat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상기 태양전지부(730)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 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lar battery unit 730 may be a solar panel that collects sunlight to generate electricity or collects solar heat to generate electricity.

상기 축전부(740)는 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태양전지부(7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기둥(7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1, the power storage unit 74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710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olar battery unit 730.

상기 축전부(740)는 상기 태양전지부(730)에서 발생된 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solar battery unit 730 may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740.

상기 축전부(740)는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로 축전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740 can supply electricity stored in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또한, 상기 축전부(740)는 제 1, 2, 3실시예의 상기 발광부(312)로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storage unit 740 can supply electricity to the light emitting unit 312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도 12는 대피용 바닥판부(10)와 경고부(70)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2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10 and the warning portion 70 are kept at a constant interval.

상기 경고부(70)의 사고알림표시부(72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에 설치되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접근하는 차량운전자에게 2차 사고방지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12, the warning notice display unit 720 of the warn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ground 3 in a state of being kep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도 13은 제어부(3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30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상스위치(80)와 충전부(90) 및 제어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3, the emergency switch 80, the charging unit 90,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비상스위치(80)는 경고부(7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가령 제 1, 2, 3실시예의 상기 로드킬방지부(30)의 로드킬방지판(320)의 상부 전측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거나, 제 1, 2, 3실시예의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 전측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 또는 제 4실시예의 프레임(2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emergency switch 80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warning unit 70 and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front side of the rod lock prevention plate 320 of the rod lock preventing unit 30 of the first,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metho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fixed post 230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r in various ways such as a dial button method or a frame method of the fourth embodiment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method.

상기 충전부(90)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대피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The charging unit 90 is for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arried by the evacuator with the evacuation floor plate 10,

가령, 상기 비상스위치(8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제 1, 2, 3실시예의 상기 로드킬방지부(30)의 로드킬방지판(320)의 상부 전측에 구비되거나, 제 1, 2, 3실시예의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 전측에 구비 또는 제 4실시예의 프레임(20)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rod lock prevention plate 320 of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mergency switch 80, 2 and 3, or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t the upper front side of the fixed post 230 or at the frame 20 of the fourth embodiment.

상기 경고부(70)의 축전부(740)는 상기 충전부(9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740 of the warning unit 70 can supply electricity to the charging unit 90.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대피자가 상기 비상스위치(80)를 ON상태로 조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전부(740)는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로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가 '전방사고발생' 등과 같은 문구 및 '←'형상의 화살표 등과 같은 도형으로 이루어진 2차 사고방지 경고신호를 가령 적색빛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escape person such as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is caught in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or a traffic accident evacuated to the escape floor plate 10 operates the emergency switch 80 to the ON state, The power storage unit 740 supplies electricity to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so that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displays a message such as' The car accident prevention warning signal can be turned on or off with red light, for example.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 또는 상기 프레임(20)에는 사고지점의 확인을 위한 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일련번호가 양각 또는 음각 등의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rial number composed of numerals or the like for confirming an accident point may be displayed on the bottom floor part 10 or the frame 20 by a method such as embossing or engraving.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의 대피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119구급대, 경찰서 등으로 일련번호를 통보하여 사고지점의 위치를 전달할 수 있다.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been caught in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ar breakdown or a traffic accident evacuated by the floor plate portion for evacuation 10 notifies the 119 emergency number and the police st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position of the point can be conveyed.

도 14는 사다리부(10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ladder portion 100. Fig.

다음으로,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가드레일(7)을 넘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보다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다리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ladder portion 100 for allowing a driver, a pedestrian, or the like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a traffic accident, or the like to easily escape from the guard rail 7 to the escape floor plate 1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사다리부(100)는 전측사다리부(101)와 후측사다리부(102)로 구성될 수 있다.The ladder portion 100 may include a front ladder portion 101 and a rear ladder portion 102.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하부는 상기 경계석(6)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slab 6.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하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ladder portion 102 can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0 for evacuation.

일예로,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상부에는 관상의 연결대(103)가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tubular connecting rod 103 may be integrally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상부는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상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전측 사다리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관상의 상기 연결대(103)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adder portion 102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linkage 103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Can be connected.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와 상기 후측사다리부(102) 사이에는 상기 가드레일(7)이 위치할 수 있다.
The guard rail 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and the rear ladder portion 102.

도 15 및 도 16은 사다리부(10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s.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dder portion 100. Fig.

다른예로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에 상기 사다리부(100)의 전측사다리부(101)가 방해요소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하부가 평상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상부와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상부는 축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of the ladder portion 100 from acting as an obstacle element on the running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roa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is normally located on the floor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adder part 101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ladder part 102 may be axially coupled so as to be fixed in a stat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part 10. [

특히, 상기 사다리부(100)의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하부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 상부에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상부와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상부 및 상기 가드레일(7)의 상부는 축결합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ladder part 100 from being lost, the lower part of the rear ladder part 102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loor plate part for evacuation 10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101,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adder portion 10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uard rail 7 may be axially coupl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 고장,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도로변에 설치된 상기 가드레일(7)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어 2차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형광캡(311) 또는 발광부(312)를 통해 교통사고를 당한 운전자, 보행자 등이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방초시트(40)를 통해 가드레일(7) 주변 지면(3)에 잡풀 등이 생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풀이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로드킬방지부(30)를 통해 야생동물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거나 넝쿨 등이 도로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safely evacuate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portion 1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guard rail 7 installed on the roadside by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has suffer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vehicle failure, A pedestrian or the like who has been exposed to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fluorescent cap 311 or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floor panel portion 10 for evacu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ly escape to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while visually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guard rail 7 and to secure the escape floor plate 10 to the ground surface 3 around the guard rail 7 through the bedding sheet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rsetail from obstructing the view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lso to prevent the wild animals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road through the road kill preventing portion 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easily prevented from infiltrating into.

10; 바닥판부, 20; 프레임.10; Bottom plate, 20; frame.

Claims (25)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7)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위치하도록 지면(3)에 구비되는 대피용 바닥판부(10)와;
상기 가드레일(7)의 전측에 위치한 경계석(6) 상부에 고정되는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드레일(7)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경계석(6)의 상부에 고정되는 타측고정프레임(202)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200)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201)과 상기 타측고정프레임(202)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가 안착고정되는 안착프레임(21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후측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체(220)와, 상기 관체(220)의 후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지주(230)로 구성되는 프레임(20)과;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의 전측에 구비되고, 중간부에 지면(3)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주(2)를 수용하는 수용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410)내에 상기 지주(2)를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키기 위해 전측에 상기 수용구(410)와 연통되는 절개선(420)이 전후연장형성되는 방초시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10) provided on the ground (3)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installed on the road side;
A fixed frame 201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slab 6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and a fixed frame 201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guard rail 7 And a second fixed frame 202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block 6 and a second fixed frame 200 formed between the one fixed frame 201 and the second fixed frame 202, A mounting frame 210 on which the bottom plate 10 is seated and fixed; a body 220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ixing frame 200; 3; and a fixed post 230 insert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frame 20;
A receiving port 410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10 for evacuation and receives a column 2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3 at a predetermined depth. (40)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ort (410) at the front side for more easily receiving the pillars (2) Evacuation facility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광캡(311) 또는 발광부(3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uorescent cap (311) or a light emitting portion (312) provided on the fixed strut (2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230)의 전측에 로드킬방지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킬방지부(30)는 상기 고정지주(230)의 상부에 고정되는 로드킬방지판(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strut 230 and the rod lock preventing portion 30 is formed of the rod lock preventing plate 32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strut 230 Features of road safety evacuation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면(3)에 수직설치되는 기둥(710)과, 상기 기둥(710)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사고알림표시부(720)와, 상기 기둥(710)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부(730)와, 상기 태양전지부(730)에서 발생된 전기가 축전되고 상기 사고알림표시부(720)로 축전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부(740)로 구성되는 경고부(70)와;
상기 경고부(7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스위치(80)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로 대피한 대피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lumn 7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3 in a state of being kep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plate 10 for evacuation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10 provided on the column 710 to notify the driver of an accident A solar battery unit 730 provided in the column 710 and a storage battery 730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solar battery unit 730 and storing electricity stored in the accident notification display unit 720, (740);
An emergency switch (80)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warning part (70);
And a charging unit (90) for charging the terminal carried by the evacuator to the evacuation floor plate part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 또는 상기 프레임(20)에 사고지점의 확인을 위한 일련번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rial number for identifying an accident point is displayed on the bottom floor part (10) for escape or on the frame (20).
제 1항에 있어서,
전측사다리부(101)와,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상부에 상부가 축결합되는 후측사다리부(102)로 후측사다리부(102)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와 상기 후측사다리부(102) 사이에 상기 가드레일(7)이 위치하며, 상기 후측사다리부(102)의 하부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에 고정되고, 평상시에 상기 전측사다리부(101)의 하부가 상기 대피용 바닥판부(10)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는 사다리부(1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대피시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ladder portion 101,
And a rear ladder portion 102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The front ladder portion 101 and the rear ladder portion 102 The lower part of the rear ladder part 102 is fixed to the floor plate part for evacuation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ladder part 101 is fixed to the floor plate part for evacuation 10 And a ladder (100) fixed in a rotated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8972A 2014-06-26 2014-06-26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KR101563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72A KR101563540B1 (en) 2014-06-26 2014-06-26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72A KR101563540B1 (en) 2014-06-26 2014-06-26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540B1 true KR101563540B1 (en) 2015-10-27

Family

ID=5442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972A KR101563540B1 (en) 2014-06-26 2014-06-26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5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31B1 (en) 2019-12-10 2020-08-24 이동진 Guide evacuation structure for road installation
KR102188642B1 (en) 2020-01-14 2020-12-08 이동진 Folding shel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692B1 (en) * 2013-05-20 2013-10-08 이철우 Weed-proof mat device having ecological protection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692B1 (en) * 2013-05-20 2013-10-08 이철우 Weed-proof mat device having ecological protection constr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31B1 (en) 2019-12-10 2020-08-24 이동진 Guide evacuation structure for road installation
KR102188642B1 (en) 2020-01-14 2020-12-08 이동진 Folding she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en) Fence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KR101091033B1 (en) Shelter for route bus platform and route bus platform the same
KR101851214B1 (en) Median strip for road
KR101794566B1 (en) Advertisement fence with road washing function
ES2310120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KR101563540B1 (en) Structure of road safety evacuation facilities
KR101923675B1 (en) Rain water pump station's forecast warning system using motor operated entrance blocking bar
KR20160007489A (en) Protective guardrail for road
JP2016113833A (en) Gate displaying height limitation
CN205530028U (en) Green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uardrail for municipal transportation
KR20070101740A (en) Hwenseuyong safety cap that light is emited light
CN211818605U (en) Park landscape protective fence
KR101649932B1 (en) fence combined with a guard rail for preventing road-kill
JP3204514U (en) Safety sign guide light
KR20130003939A (en) Prevention fence of climbing plants
CN210975437U (en) Multifunctional permeable pedestrian blind sidewalk
KR20100116246A (en) Display fence for use of bicycle road
CN209114353U (en) A kind of extreme weather road gully safety alarm device
KR101766880B1 (en) Holding reinforcing structure
CN209011040U (en) A kind of municipal administration greening isolating and protecting column
CN216864943U (en) Multi-functional municipal isolated column
AT505291B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FFIC ROAD TRAVEL DISTINGUISHED FROM THE PRESCRIBED DIRECTION
CN213927794U (en) Building construction protective fence
CN212316772U (en) Greening environment-friendly urban road traffic protective fence
CN217601271U (en) Warning lamp for barricade rail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