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516B1 -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516B1
KR101563516B1 KR1020130165327A KR20130165327A KR101563516B1 KR 101563516 B1 KR101563516 B1 KR 101563516B1 KR 1020130165327 A KR1020130165327 A KR 1020130165327A KR 20130165327 A KR20130165327 A KR 20130165327A KR 101563516 B1 KR101563516 B1 KR 10156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ask
face
mask bod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765A (ko
Inventor
한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기술
한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기술, 한석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기술
Priority to KR102013016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5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안면 또는 두상에 최적화된 입체 형상을 가지는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시트 형태로 배치되어 안면 피부에 미용 또는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팩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본체 내측으로 피부에 압력을 제공하여 피부 처짐과 주름을 방지하는 맞춤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CUSTOMIZED 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의 안면 또는 두상에 최적화된 입체 형상을 가지는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얼굴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기 위한 방법으로 얼굴 마사지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세안 이후에 마사지를 행하게 되는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이나 귤 등의 천연재료나 마사지용 크림, 영양팩, 클린징팩, 표백팩 등의 제재를 안면에 부착하거나 도포한 이후에 미용티슈나 보조수단을 사용하여 덮어주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영양제 등이 도포된 마스크팩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마스크팩은 보통 부직포와 같은 연질의 재질을 얼굴이나 얼굴의 부분에 적절한 모양으로 절단하고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나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물질에 함침시켜서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마스크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부직포 등의 시트(10)를 평면으로 펼친 상태에서 눈이나 입에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구(11)를 형성하고, 코 부위와 안면의 굴곡 부위에 절개부(1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용자는 관통구(11)의 위치를 눈과 입에 대응되게 안면에 시트(10)를 배치시킨 이후에 굴곡면에 적절하게 절개부(12)를 중첩시키거나 접는 방식으로 얼굴 전체에 맞게 두드리면서 밀착을 시키는 방식으로 마사지팩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용자 각각의 얼굴의 형상과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며, 주로 마스크 팩의 크기가 작아서 이마의 윗부분이나 귀 근처의 얼굴 옆면과 턱 부분에는 마스크 팩과 접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큰 경우 머리 부분을 덮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람의 안면은 부위마다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진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하게 규격화된 크기를 가진 평면적인 형상의 시트를 절단하여 만들어진 마스크 팩은 다양한 이용자 개개인의 안면에 최적화된 형상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마스크 팩은 단순히 얼굴에 붙이는 방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말을 하거나 안면 근육을 움직일 경우 얼굴에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떨어지므로 제재의 피부 침투가 완료될 때까지는 누워있거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장시간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이 매우 크다. 이로 인하여 사용 중에는 사실상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안면에 부착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 안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처리하는 과정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마스크 팩은 사용 후 시트를 폐기하므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되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연한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마스크 팩은 단순히 안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안면의 살과 피부를 받쳐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안면 피부는 물론 아래턱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거더(Girder)로서의 기능이 없다.
또한, 시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마스크 팩은 단순히 안면에 부착되어 피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안면의 일부를 눌러주거나 다른 일부로 팽창되도록 하는 등과 같은 안면 윤곽 보정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이용자에 최적화된 입체 형상을 가지는 맞춤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고, 움직임이 있더라도 안면에 밀착이 가능하여 팩을 이용하는 중에도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안면 윤곽을 보정할 수 있고 안면 피부 및 아래턱 등의 처짐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 후 세척하고 영양제 등의 제재를 도포하여 재사용도 가능한 맞춤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시트 형태로 배치되어 안면 피부에 미용 또는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팩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본체 내측으로 피부에 압력을 제공하여 피부 처짐과 주름을 방지하는 맞춤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는, 피부와 근육에 압력을 제공하여 안면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는,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면에서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피부를 이완하여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압송 유체를 공급받아 피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는, 내측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멤브레인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로서, 맞춤형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되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머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두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로서, 상기 두부커버는, 머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커버의 하단측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통하여 머리에 밀착되도록 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부커버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부 사이의 공간에 머리카락이 배치되고 단부측에서 두피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턱, 목 또는 어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측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는 초음파, 진동 또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피부를 마사지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스캔부를 통하여 두상에 대해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두상촬영단계, 모델링서버를 통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두상의 입체 형상으로 모델링하는 3D모델링단계, 모델링된 그래픽 데이터를 프린터부로 송출하여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틀을 형성하는 형틀가공단계 및 상기 형틀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면에서 마스크를 고형화하는 마스크성형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D모델링단계 이후에, 모델링된 두상의 입체 형상에서 안구와 입 부위에 개구를 형성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보정하는 형상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보정단계는,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모델링된 그래픽데이터에서 선택된 부위에 융기부 또는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형상보정단계는, 각각의 이용자에 해당되는 두상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화 모델을 적용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자의 안면에 대해 본을 떠서 형틀을 형성하는 형틀가공단계, 상기 형틀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면에서 마스크를 고형화하는 마스크성형단계 및 상기 마스크의 내면에 안면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이 흡수되는 팩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되는 맞춤형 마스크는, 각각의 이용자의 두상 또는 안면에 최적화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종래의 연질의 시트를 피부에 밀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밀착되는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내면의 시트를 교환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따른 경제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소정의 두부 등에의 고정 구조를 통하여 안면에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마스크팩의 사용 중에 일상생활 등의 움직임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소정의 압력에 의한 압박과 이완을 통하여 피부의 개선 성능을 극대화하고, 착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피부 주름개선, 처짐방지 등의 미용효과는 물론 성형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마스크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상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본체의 형성방법을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우선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크본체는 얼굴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재질은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직포, 섬유재, 면화, 천연펄프, 천연고무 등의 다양한 재질 또는 이들의 결합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맞춤형 마스크는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의 내면에 배치되고 안면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팩(pack)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팩은 마스크본체 내면에 배치되는 시트와 같은 별도의 부재이거나 마스크본체 내면에 도포되는 형식으로 배치되는 미용제재와 같은 물질 자체를 의미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마스크본체는, 내면에 팩을 구비하는 부재로서의 소정의 마스크 바디를 의미하거나 그 자체로서 팩으로 기능하는 마스크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된 별도의 부재로서의 팩은 마스크본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안면에 적용되는 미용액이나 치료액 등의 성분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팩은 부직포, 종이, 겔상의 막,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본체는 사람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테두리부는 안면의 윤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소정의 밀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람의 얼굴과 대면되는 부위를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안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틀을 이용하여 입체 형상의 마스크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면에 소정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는 후술될 바와 같이 안면의 본을 뜨거나 입체이미지를 모델링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개념은 안면의 입체적인 형상에 대응하여 간이한 방식으로 형틀을 형성한 이후에 이러한 형틀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최적화되는 맞춤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안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틀을 형성하는 단계가 입체적인 형상을 모델링하고 입체프린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이러한 형상을 제조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두상 촬영단계(S100)와, 3D모델링단계(S210)와, 형틀가공단계(S300) 단계와, 마스크성형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두상 촬영단계(S100)는 마스크가 적용될 이용자의 머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촬영수단을 통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캔부(1100)가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스캔부는 소정의 광선 센서가 머리의 주위를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머리의 입체적인 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두상 촬영단계는 각도에 따른 두상의 평면적인 영상을 추출하고 조합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모델링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주로 안면에 적용되는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두상 전체보다는 안면에 대응되는 부위가 이미지화의 대상이 되므로, 상기된 입체적인 형상의 도출은 머리의 전면 부위에 대한 촬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캔부(1100)는 머리 또는 안면에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3차원적으로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신호를 모델링서버(1200)에 제공하는 비접촉식의 측정장비에 해당된다.
3D모델링단계(S210)는 스캔부(110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 또는 분할 이미지를 소정의 모델링서버(1200)를 통하여 입체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모델링 서버는 입체적인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스캔된 화상들을 소정의 정합 프로세싱을 통하여 이용자의 두상 또는 안면에 대한 기초그래픽데이터를 디지털화된 데이터 형태로 출력해준다. 이를 위해 모델링서버(1200)는 영상의 자동적인 정합을 통해 3차원 좌표 정보를 연산하고 이를 입체모델링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로 구현할 수 있는 소정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안면에 대한 3D모델링이 완료되면 이를 기초로 하여 형틀가공(S300)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틀의 제작을 위하여 입체형상의 직접적인 출력이 가능한 프린터부(1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모델링서버(1200)에서 프린터부(1300)로 형틀의 모양의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전에 마스크로서의 용도에 적절하도록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즉, 마스크의 경우 두상 전체가 아닌 안면 부위에만 적용되면 족하므로 모델링서버(1200)에서 모델링된 입체 두상의 이미지에서 이용자의 안면 부위에 해당되는 모양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안구 및/또는 코 및/또는 입의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어야 비교적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되는 모양을 형성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들을 모델링의 과정에서 또는 모델링 이후에 보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안면 이미지의 경계선의 지정 및 개구 등의 형성과 같은 경우 각각의 이용자에 최적화된 모양이 선택될 수 있지만, 공정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모양은 표준화 된 모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모델은 두상의 크기나, 남성 및 여성의 분류와, 성인 및 어린이 등의 분류에 따라 미리 선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틀의 제작을 위한 최종적인 이미지의 그래픽 데이터가 준비되면, 형틀가공(S3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형틀의 가공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3D프린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예가 설명된다.
도 3b에 도시된 사항은 프린터부(1300)를 통하여 형틀이 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의 방식으로 입체형상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FDM방식의 경우 소정의 필라멘트 형태의 원료가 권취되는 릴과, 필라멘트를 노즐로 밀어주는 익스트루터와, 노즐을 가열하는 히트블록과, 녹은 필라멘트를 배출하는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M방식은 장비가 비교적 저가인 장점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레이저의 소결을 이용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방식, 액상의 재료를 광조형으로 형성시키는 SLA(Stereolithography)방식, 레이어를 적층하는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형틀(1400)이 소정의 블록 형태로서 모델링된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나, 재료의 절감을 고려하여 형틀(1400)이 비교적 두께가 작은 마스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의 예와 같이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LOM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적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미세한 입자 또는 레이어를 프린터부(1300)에서 적분하는 방식으로 형틀(1400)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블록을 깎는 방식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틀의 가공이 이루어지면, 이에 의하여 마스크성형(S400)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c는 형틀(1400)을 통하여 마스크본체(110)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형틀(1400)에 대해 마스크본체(110)는 경화성을 가지는 소정의 물질이 형틀(1400)의 입체면에 도포되거나 주입되는 방식으로 마스크본체 형태를 이루고 이를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마스크본체가 소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형틀(1400)의 면에 대해 부직포, 종이, 유리섬유 등의 시트들이 적층되어 경화되는 방식으로 마스크본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면에는 후술될 바와 같은 미용액이나 치료액이 함침되거나 함침될 수 있는 팩이 배치됨으로써 마스크의 성형이 완료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팩은 이용자가 팩의 이용시 마스크 내면에 탈착하는 방식으로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형틀가공(S300)과 마스크성형(S400)이 하나의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즉 모델링된 이미지데이터가 직접적으로 3D프린팅 되는 방식으로 마스크본체가 직접 제조될 수 있다.
상기된 일실시예에서는 자동화되는 방식으로 입체적인 이미지를 모델링하고 3D프린터를 통하여 형틀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시되므로, 안면에 대해 비접촉의 방식으로 마스크본체의 성형이 진행되고 신속하고 정확한 형상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장비가 과도하게 소요되고 초기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틀의 가공이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본체의 제조방법은, 안면에 대해 본을 떠서 형틀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형틀을 통하여 마스크본체를 형성하는 마스크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틀가공은, 실리콘이나 석고와 같은 재질을 안면에 대해 직접 본을 떠서 형틀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일실시예에 비하여 비용적인 절감이 가능하고 형틀의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되는 이점을 가진다.
마스크성형(S400)과 관련하여서는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맞춤형 마스크는 각각의 이용자의 두상 또는 안면에 최적화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종래의 연질의 시트를 피부에 밀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밀착되는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마스크가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내면의 시트 형태의 팩을 교환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따른 경제성 향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소정의 두부 등에의 고정 구조를 통하여 안면에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마스크의 사용 중에 일상생활 등의 움직임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이하, 상기한 마스크의 구조를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마스크가 마스크본체(110)와 연결되며 머리를 감쌀 수 있는 두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부커버는 마스크본체의 상측에서 연결되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두부커버의 모양과 머리와의 결합관계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두부커버는 마스크본체보다 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착성을 고려하여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측에는 안면부위의 피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영양제, 화장품, 화이트닝재, 피부 치료제 등이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배치되는 별도의 팩이 함침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두부커버에는 두피나 모발에 흡수될 수 있는 영양제, 컨디셔너, 모발보호제, 두피 치료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상기된 맞춤형 마스크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본사상은 반드시 아래에 설명될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각각의 실시예들이 상호 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맞춤형 마스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안면에 대응되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110)가 내면으로 돌출되는 융기부(302)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얼굴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가 아닌 눈이 배치되는 개구부(111) 부위에서 종방향을 따라 절개된 상태로써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0)는 내면이 안면의 윤곽과 굴곡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념에서는 상기 내면의 일부에서 돌출되는 융기부(302)를 포함함으로써 융기부(302)에 접촉되는 안면의 부위에서 압박이 가능하다.
이러한 융기부(302)가 돌출되는 크기와 형상 및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서의 배치부위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융기부(302)는 안면의 피부와 근육을 압박함으로써 마스크본체(110)의 착용시 안면을 원하는 모양으로 교정하거나 성형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최근에는 갸름한 턱선이나 작은 광대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마사지 방법 등이 제시되는데, 본 발명의 융기부(302)를 포함하는 마스크본체(110)에 따라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원하는 부위의 압박이 이루어짐으로써 간편한 방법으로 안면의 성형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고 안면의 성형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므로 이용자의 만족감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서 안면의 형상보다 더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3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01)는 압박력을 제공하는 융기부(302)와 반대로 해당 피부를 이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피부의 살이 재생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301)의 내부에 더욱 많은 미용 또는 재생물질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피부의 재생기능은 이러한 함몰 구조로 인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함몰부(301)의 함몰된 크기와 형상 및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서의 배치부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함몰부(301)와 융기부(30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부위에 형성되어 각각 피부의 재생 또는 성형의 기능을 하게 되며 상호 독립적 또는 보완적으로 피부의 처짐과 주름 등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마스크는 상기된 맞춤형 마스크 제조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이용자에 최적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된 바와 같이 안면의 형상에 대한 스캐닝이 완료되면 형상 보정(S220) 단계에서 피부의 성형, 재생, 주름개선 또는 처짐개선 등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부위에 함몰 또는 융기부위를 가질 수 있도록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을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된 사항과 같이 마스크본체(110)의 성형이 완료되면 내면측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는 시트부(310)가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310)는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트부(310)가 안면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된 융기부(302)와 같이 피부나 근육을 압박하여 성형하거나 안면에 자극을 제공하여 미용 또는 치료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시트부(310)는 표면에 균등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트부(310)가 소정의 수용공간으로 작용하여 그 내면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팩 부위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안면에서는 압력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압력은 경우에 따라 안면의 부위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분배는 시트부(310)의 내부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에 따라 융기된 부위와 돌출되는 부위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상기된 제1실시예의 융기부와 함몰부의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트부(310)의 내측으로 복수의 배출구(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란 피부의 미용, 치료, 재생, 미백 또는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액상의 물질이거나 공기와 같은 기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시트부(310)에서 상기 유체를 압송함으로써 피부에 압박력을 제공하면서 소정의 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상기 배출구가 균등하게 형성되어 피부에 고른 물질의 공급이나 압력의 제공이 가능하나 경우에 따라 배출구의 배치되는 밀도나 이격된 간격 등을 조정함으로써 부위마다 서로 다른 유량이나 압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시트부(310)의 내부로 소정의 압력 또는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유로(410)와 상기 공급유로에 유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시트부(310)의 재질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멤브레인(membr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마스크본체(110)는 얼굴이나 머리 부위에의 고정을 위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머리를 감싸는 형태 내지는 귀에 걸리는 형태와 같이 고정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을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안면에 대응되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110)와, 상기 마스크본체(110)의 상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며 머리를 감쌀 수 있는 두건부(210)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을 제공한다.
상기 두건부(210)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머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밀착력의 향상을 위하여 어느 정도 신축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건부(210)는 두피 또는 모발의 대부분을 내측에 감쌀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착탈의 편의를 고려하여 두 개의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사용상태는 상기된 두건부(210)가 체결되는 모양을 나타내는데, 마스크본체(110)의 상측 단부에서 소정의 접합부(215)가 형성되고 두 개의 연장면인 제1두건부(211)와 제2두건부(212)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용자는 두 개의 두건부의 일부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두피 또는 모발에 밀착시킨 후 모서리측을 상호 매듭을 지어 완전히 감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두부커버와 마스크를 머리의 대부분에 걸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0)의 내측에는 피부의 팩을 위한 미용액이나 치료액과 같은 소정의 물질이 배치되고, 두건부(210)의 내측에는 모발이나 두피의 팩을 위한 다른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된 맞춤형 마스크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내부에 소정의 물질이 도포되거나 별도의 시트에 함침되는 방식으로 팩이 배치되고 사용 후에는 세척하여 반복적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건부(210)는 액상의 물질이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건부(210)가 방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두피나 모발 부위에서 내외부의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두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보존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두피나 모발에 소정 물질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과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서도 마스크본체(110)의 후방측으로 두부커버가 연장되어 머리를 감싸게 되는데, 상기 두부커버가 소정의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버부(220)는 대략 머리의 크기에 대응되는 주머니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으로부터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이러한 커버부(220)는 마스크본체(110)의 상측에서 접합부(2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접합은 이종 재질 간의 접합이나 열융착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220)는 하측에 밴드부(221)가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밴드부(221)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221)의 초기 형상은 일반적인 머리의 크기보다 작은 둘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보관시에는 커버부(220)를 주름진 형태로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 가능하도록 하며, 착용시에는 머리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압박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정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밴드부(221)는 커버부(220)에 내측에 배치되는 물질이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실링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5실시예에서는 두부커버가 메쉬 형상의 망부(230)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설명된 사항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의 예와는 달리 두부커버가 소정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망부(230)로서 이루어지는 경우 모발이나 두피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들의 존재로 인하여 착용 이후에 모발이나 두피에 흡수될 수 있는 물질들의 배치가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안면에 마스크본체(110)를 배치하고, 망부(230)를 머리에 뒤집어 쓰는 방식으로 고정한 이후에, 망부(230)의 관통홀을 통하여 물질들을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이용자는 상기 관통홀들 사이로 손가락을 배치시키고 주무르는 방식으로 마사지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안면의 피부와는 달리 두피의 경우 모발의 배치로 인하여 표면적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물질들이 두피까지 침투하지 못하거나 모발에 골고루 도포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렇게 망부(23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마사지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머리에의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능상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예와 달리 마스크본체(11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측커버부(213)를 포함게 된다. 이러한 하측커버부(213)는 턱 및/또는 목 및/또는 어깨의 부위까지 연장되는 연성의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두부커버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측커버부(213)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에서의 두건부(210)의 구성에 대응될 수 있는데, 2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측에서 매듭되는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커버부(213)의 면적이나 모양은 배치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스크본체(110)는 어느 정도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기술과는 달리 안면에서의 형상 유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은 상기된 바와 같다.
그런데, 안면에 충분한 밀착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이 도포되는 경우 마사지팩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안면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이 흡수되는 시트팩(310)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팩(310)은 섬유재질이나 부직포 등의 연성이며 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크본체(110)의 내면에서 교체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부커버(200)의 내면에도 마찬가지로 두부시트(201)가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두부시트(201)는 두피나 모발에 적용되는 물질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두부커버(200)의 내측은 두피와의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소정의 돌부(20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렇게 돌부(202)를 포함하는 경우 그 사이의 공간들에 모발이 배치되고 손으로 마사지하는 경우 두피의 자극과 두피까지 물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상기 돌부(202)는 두부커버(200)의 내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10)는 기본적으로 미리 입체성형 제작되는 어느 정도 경화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마스크본체(110)는 이용자의 얼굴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면 및/또는 머리의 모양을 입체적으로 스캔하여 이를 디지털 이미지화한 이후에 3D 프린터를 통하여 마스크본체(110)를 성형하거나, 형틀을 형성하여 이러한 형틀을 이용하여 주조하는 방식으로 마스크본체(110)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안면이나 두부의 미용 또는 치료의 효과를 위하여 초음파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가 발진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진동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압송유체의 경우는 피부에 자극을 제공하여 마사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는 머리를 감싸면서 전체적인 형상과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장시간 착용시에도 효율의 저하가 없으며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두피나 모발에 소정의 물질을 추가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시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두 가지 이상의 부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마스크본체 111...개구부
200...두부커버 201...두부시트
202...돌부 210...두건부
211...제1두건부 212...제2두건부
213...하측커버부 215...접합부
220...커버부 221...밴드부
230...망부 301...함몰부
302...융기부 310...시트부
410...공급유로 420...공급부
1100...스캔부 1200...모델링서버
1300...프린터부 1400...형틀

Claims (17)

  1.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시트 형태로 배치되어 안면 피부에 미용 또는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팩;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본체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와 반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에 미용 또는 재생물질을 수용하며 피부를 이완시키는 함몰부를 구비하며, 피부 처짐과 주름을 방지하고 안면 윤곽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압송 유체를 공급받아 피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내측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멤브레인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7.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시트 형태로 배치되어 안면 피부에 미용 또는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팩; 및
    상기 마스크본체에 결합되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머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두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커버는,
    머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커버의 하단측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통하여 머리에 밀착되도록 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커버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부 사이의 공간에 머리카락이 배치되고 단부측에서 두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11. 각각의 이용자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면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도포되거나 내측에 시트 형태로 배치되어 안면 피부에 미용 또는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팩; 및
    상기 마스크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턱, 목 또는 어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측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초음파, 진동 또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피부를 마사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
  13. 제1항,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스캔부를 통하여 두상에 대해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두상촬영단계;
    모델링서버를 통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두상의 입체 형상으로 모델링하는 3D모델링단계;
    모델링된 그래픽 데이터를 프린터부로 송출하여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틀을 형성하는 형틀가공단계; 및
    상기 형틀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면에서 마스크본체를 고형화하는 마스크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D모델링단계 이후에,
    모델링된 두상의 입체 형상에서 안구와 입 부위에 개구를 형성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보정하는 형상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보정단계는,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모델링된 그래픽데이터에서 선택된 부위에 융기부 또는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보정단계는,
    각각의 이용자에 해당되는 두상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화 모델을 적용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17. 제1항,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이용자의 안면에 대해 본을 떠서 형틀을 형성하는 형틀가공단계;
    상기 형틀의 안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면에서 마스크본체를 고형화하는 마스크성형단계; 및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면에 안면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130165327A 2013-12-27 2013-12-27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327A KR101563516B1 (ko) 2013-12-27 2013-12-27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327A KR101563516B1 (ko) 2013-12-27 2013-12-27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765A KR20150076765A (ko) 2015-07-07
KR101563516B1 true KR101563516B1 (ko) 2015-10-27

Family

ID=5378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327A KR101563516B1 (ko) 2013-12-27 2013-12-27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83B1 (ko) * 2017-01-10 2018-05-11 이태경 미용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1699A (ko) * 2019-01-23 2020-07-31 오병이어 주식회사 개인별 맞춤형 미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3441A1 (ko) * 2021-10-13 2023-04-20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체압 분석을 이용한 제품 형상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1061B (zh) * 2015-02-10 2017-08-29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3d面膜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3d面膜
KR101867564B1 (ko) 2015-12-29 2018-07-17 엘리셀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과 그 장치
KR102433392B1 (ko) 2016-03-04 202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볼륨 마스크 모델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9526297A (ja) * 2016-06-08 2019-09-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The P 精密アプリケータ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US10842242B2 (en) 2016-12-22 2020-11-2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System for targeted application of topical agents to an isolated body part
US11040227B2 (en) 2018-06-28 2021-06-22 The Gmn Group Llc Respirator fitting device and method
US11113508B2 (en) 2018-06-28 2021-09-07 The Gmn Group Llc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itting device and method
WO2021080924A1 (en) * 2019-10-21 2021-04-29 The Gmn Group Llc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itting device and method
KR102487011B1 (ko) * 2019-11-05 2023-01-10 주식회사 피치텍 마스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09041A1 (en) * 2020-07-08 2022-01-13 The Gmn Group Llc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itting device and method
KR102522713B1 (ko) * 2022-10-21 2023-04-18 고경용 얼굴 압박 미용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842A (ja) 2006-02-15 2007-09-27 Kenji Katsuta 美顔マッサージ器具
JP2009247906A (ja) * 2008-04-04 2009-10-29 Gi-Jun Son 美顔マッサージマスク
JP2011120674A (ja) * 2009-12-09 2011-06-23 Shiseido Co Ltd 美顔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5857A (ja) 2010-09-24 2012-04-05 Kashiwagi Mold:Kk 美顔パック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842A (ja) 2006-02-15 2007-09-27 Kenji Katsuta 美顔マッサージ器具
JP2009247906A (ja) * 2008-04-04 2009-10-29 Gi-Jun Son 美顔マッサージマスク
JP2011120674A (ja) * 2009-12-09 2011-06-23 Shiseido Co Ltd 美顔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5857A (ja) 2010-09-24 2012-04-05 Kashiwagi Mold:Kk 美顔パック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83B1 (ko) * 2017-01-10 2018-05-11 이태경 미용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31847A1 (ko) * 2017-01-10 2018-07-19 이태경 미용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1699A (ko) * 2019-01-23 2020-07-31 오병이어 주식회사 개인별 맞춤형 미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067B1 (ko) * 2019-01-23 2021-03-19 오병이어 주식회사 개인별 맞춤형 미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3441A1 (ko) * 2021-10-13 2023-04-20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체압 분석을 이용한 제품 형상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765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516B1 (ko) 맞춤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US10286173B2 (en) Facial mask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KR101109819B1 (ko) 안면 가압 마사지기
JP5311723B2 (ja) 立体フェイスマスク
KR20150040731A (ko) 구강내 청소기기
KR20150124022A (ko) 입체형상 헤어 마스크팩
KR200459012Y1 (ko) 머리카락를 눌러주는 헤어밴드
KR20180072179A (ko)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522713B1 (ko) 얼굴 압박 미용 마스크
JP2013099597A (ja) 立体フェイスマスク
CN205814605U (zh) 一种眼科手术后俯卧位顺畅呼吸枕头
US20040172738A1 (en) Ear protector
KR102202212B1 (ko) 마스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패키지
CN211068499U (zh) 一种美容面罩
CN210184851U (zh) 脸部肌肤护理用品
CN205597191U (zh) 口罩
CN102387770A (zh) 头部按摩机
JP2006167215A (ja) 発毛育毛装置及び発毛育毛方法
CN213941133U (zh) 一种美容保养用的冰敷头罩
JP3126065U (ja) マスク
CN213851411U (zh) 一种雾化理疗眼护罩
CN109496147B (zh) 面膜用片
KR101698325B1 (ko) 마스크 팩 커버
JP6048938B2 (ja) 人頭模型の製造方法
JP2011136073A (ja) 美容用フェイス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