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15B1 -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15B1
KR101563215B1 KR1020150129758A KR20150129758A KR101563215B1 KR 101563215 B1 KR101563215 B1 KR 101563215B1 KR 1020150129758 A KR1020150129758 A KR 1020150129758A KR 20150129758 A KR20150129758 A KR 20150129758A KR 101563215 B1 KR101563215 B1 KR 10156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tank
steam
water level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시스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6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hot liquid or hot vapour, e.g. waste liquid, waste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은, 가열장치치가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급된 용수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 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배출관;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형성되어 정수기로부터 오는 용수를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공급관; 상기 압력탱크 측부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회된 물을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회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압력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탱크의 상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 발생 및 공급에 있어서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Heating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출 금형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품의 외관 향상을 위해서는 금형의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제품의 광택을 위한 표면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온도를 고온으로 단시간에 제어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가열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가열하기 위해서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이를 금형에 공급하여 금형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보급되었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113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스팀을 발생시켜 사출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증기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압력용기 내부의 수위 및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압력용기 상판에 구비되어 압력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의 수위 및 온도를 정밀하게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압력용기 내부의 상태 제어 및 용수의 공급, 배출, 히터의 구동 등과 같은 동작 제어가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가열장치의 구동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압력탱크 측부에 별도의 수위 감지공간을 가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정밀한 수위 감지가 구현되는 기술을 제공한다.
둘째, 압력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을 용수온도감지부와 스팀온도감지부로 세분화시키고, 각각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값과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압력탱크 내부의 상태 제어 및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스팀 발생 및 공급에 있어서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셋째, 스팀의 공급을 위해 사용된 열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은,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발생된 스팀을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공급된 후 상기 사출 금형을 거쳐 회수되는 스팀을 액화시킨 후 상기 가열장치로 재공급하는 응축기; 및 상기 가열장치 및 응축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장치는,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급된 용수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 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배출관;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정수기로부터 오는 용수를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공급관; 상기 압력탱크 측부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회된 물을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회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압력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탱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와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의 감지값을 기반으로 상기 히터의 구동 제어, 용수 및 스팀의 공급, 배출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용수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팀온도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수온도센서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설치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온도센서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설치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스팀온도센서부와 상기 용수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값을 비교하여 스팀 배출 여부 및 상기 히터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가동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토대로 압력탱크의 용수 배출 또는 용수 공급을 결정한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압력탱크의 측벽으로부터 연통되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연통로를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의 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직립 설치되는 수위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로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압력탱크 측부에 별도의 수위 감지공간을 가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정밀한 수위 감지가 구현된다.
둘째, 압력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을 용수온도감지부와 스팀온도감지부로 세분화시키고, 각각의 감지부를 통해 센싱된 값과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압력탱크 내부의 상태 제어 및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스팀 발생 및 공급에 있어서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셋째, 열에너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적용된 가열장치 및 응축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공지되었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참고로 설명의 명확함을 위해 도면은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장치(100)는, 압력탱크(110), 히터(120), 스팀배출관(130), 용수배출관(140), 용수공급관(150), 수위센서(160), 온도센서(170), 압력센서(180) 및 용수회수관(190)을 포함한다.
압력탱크(110)는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내부의 높은 압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후술할 구성요소가 압력탱크(110)의 내, 외부에 걸쳐 설치된다.
히터(120)는 용수를 가열시키는 구성으로 압력탱크(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가열장치(100)의 스펙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구동 여부가 제어된다.
스팀배출관(130)은 압력탱크(110) 내부에서 용수가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압력탱크(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스팀배출관(130)에는 제어유닛(400, 도 2 참조)의 제어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스팀배출밸브(132)가 설치된다.
용수배출관(140)은 압력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용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압력탱크(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며, 용수배출관(140) 또한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용수배출밸브(142)가 설치된다.
용수공급관(150)은 압력탱크(110)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압력탱크(1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용수공급밸브(152)가 설치된다. 이러한 용수공급관(150)은 압력탱크(110)의 일 측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수위센서(160)는 압력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용수공급관(150)의 구비 위치에 대향하는 측인 압력탱크(110)의 타 측 중단 부분에 설치되며, 연결부(162), 하우징부(164) 및 수위감지부(166)를 포함한다.
연결부(162)는 압력탱크(110)의 측벽으로부터 연통되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연통로(162a, 162b)를 가진다.
하우징부(164)는 연결부(162)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연결부(162)의 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위감지부(166)는 하우징부(164)의 내부에 직립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감지부(166)는 액체에 접하는 부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태의 감지수단으로 마련되며, 연결부(162)를 통해 하우징부(164)로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물론, 수위감지부(166)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유닛(400)으로 전달되며, 제어유닛(400)은 수위감지부(166)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용수의 배출 및 공급을 제어하여 용수의 수위(WL)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위센서(160)의 형태를 압력탱크(110)와는 일체로 구비하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해당 소정의 공간에 수위감지부(166)를 내장시켜 수위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수위감지부(166)가 용수 배출 및 용수 공급에 따른 수위변화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용수 공급 및 배출에 대한 제어유닛(400)의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연통로(162a, 162b)를 두 개소로 마련한 연결부(162)의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장치(100)의 설계 및 요구사항에 따라 연통로의 형성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온도센서(170)는 압력탱크(110) 내부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도센서(170)를 용수가 수용된 부분과 스팀이 수용된 부분에서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센싱 구조를 채택하여 상이 다른 매체(기체상의 스팀 온도와 액체상의 용수 온도)에 대한 각각의 온도를 실시간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한 감지값을 제어유닛(400)으로 전송하여 압력탱크(110) 내부의 정밀한 상태 제어를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170)는 용수온도센서부(172) 및 스팀온도센서부(174)를 포함한다.
용수온도센서부(172)는 압력탱크(110)의 일 측부에 설치되며, 압력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용수온도센서부(172)는 수위센서(160)의 설치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스팀온도센서부(174)는 압력탱크(110)의 일 측부이면서 용수온도센서부(172)보다 상측에 설치되며, 압력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스팀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스팀온도센서부(174)는 수위센서(160)의 설치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용수온도센서부(172)와 스팀온도센서부(174)를 위와 같이 배치시킨 이유는 용수온도센서부(172)가 항상 용수의 수위보다 낮게 설치되어 용수의 정확한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스팀온도센서부(174)가 항상 용수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어 용수의 가열에 의해 발생된 스팀의 정확한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수위센서(160)는 압력탱크(110)의 타 측부 중단에 배치되고, 용수온도센서부(172) 및 스팀온도센서부(174)는 압력탱크(110)의 일 측부에서 각각 용수가 수용된 부분 및 스팀이 수용된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센서(180)는 압력탱크(110) 내부의 압력, 즉, 히터(120)의 가열 작동에 의해 발생된 스팀에 의한 압력탱크(110)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스팀온도센서부(17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수회수관(190)은 스팀이 액화된 물을 회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계속하여 도 1의 가열장치(100)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시스템은 가열장치(100), 사출 금형(M), 정수기(200), 응축기(300) 및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의 가열장치(100)는 각각 사출 금형(M), 정수기(200) 및 응축기(30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출 금형(M)과는 스팀배출관(130)에 의해 연결되고, 정수기(200)와는 용수공급관(150)에 의해 연결되며, 응축기(300)와는 용수회수관(19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탱크(110) 내의 스팀은 스팀배출관(130)을 통해 사출 금형(M)으로 공급되고, 정수기(200)로부터 오는 물은 용수공급관(150)을 통해 압력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응축기(300)에서 액화된 물은 용수회수관(190)을 통해 압력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사출 금형(M)은 용용된 수지를 고화된 사출 성형품으로 생산하기 위해 마련된다.
정수기(200)는 가열장치(100)의 압력탱크(110)의 내부로 정수된 용수를 공급한다.
응축기(300)는 사출 금형(M)에서 스팀회수배관(B)을 통해 회수되는 스팀을 액화시킨다. 즉, 스팀배출관(30)을 통해 사출 금형(M)으로 공급된 고온(160~200℃)의 스팀은 사출 금형(M)의 가열에 이용된 후 스팀회수배관(B)을 통해 회수된다. 이 때, 회수되는 스팀은 비교적 고온(120~150℃)인 기체 상태이다. 따라서 회수되는 스팀을 응축기(300)에서 소정의 온도(대략 70~90℃)를 가진 상태로 액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응축기(300)에서 액화된 물은 용수회수관(190)을 통하여 압력탱크(110) 내부로 회수되어 폐열 회수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수된 물을 가열장치(100)에서 재가열하여 사용함으로써 히터(120)의 구동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수기(200)에서 공급되는 상온(대략 25℃)의 물을 70~90℃의 온도로 올리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장치(100)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 만큼 정수기(200)의 구동도 줄일 수 있어서 정수기(200)의 구동에 따른 에너지도 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300)는 액화된 물이 중력에 의해 압력탱크(11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응축기(300)가 압력탱크(11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응축기(300)는 응축수단(310), 저장수단(320) 및 이동단속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단(310)은 응축배관(311)과 송풍팬(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배관(311)은 스팀이 응축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도록 길이가 확장된다. 이러한 응축배관(311)에는 응축기(300)의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방열핀(P)들이 설치될 수 있다. 방열핀(P)들은 응축배관(311)에 일체 또는 결합 형태로 설치되어 응축배관(311)의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지나가는 스팀이 신속하게 설정된 온도의 물로 액화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물론, 응축배관(311)은 스팀회수배관(B)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12)은 응축배관(311)으로 상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응축배관(311) 내의 스팀을 액화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팬(312)을 이용하여 스팀을 액화시키는 공랭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수냉식을 이용하여 스팀을 액화시키는 수냉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저장수단(320)은 응축배관(311)을 지나가면서 액화된 물(W)을 저장하는 탱크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저장수단(320)에 저장된 물(W)은 압력탱크(110)로 재공급된다. 이를 위해 저장수단(320)은 응축배관(311)과 압력탱크(1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단속밸브(330)는 제어유닛(400)에 의해 제어되며, 저장수단(320)에 저장된 물(W)이 중력에 의해 압력탱크(110)로 이동하는 것을 단속한다. 따라서 압력탱크(110)에서 물(W)이 필요한 경우, 제어유닛(400)은 이동단속밸브(330)를 개방시킴으로써 액화된 후 저장수단(320)에 저장된 물(W)이 중력에 의해 압력탱크(110)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응축기(300)는 압력탱크(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력탱크(110)의 내부에 요구되는 정도의 물(W)이 충족되면, 제어유닛(400)은 스팀의 역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이동단속밸브(330)를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물론, 압력탱크(110)로 공급된 물(W)은 히터(120)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 후 스팀배출관(130)을 통해 금형(M)으로 다시 공급된다.
제어유닛(400)은 전술한 수위센서(160), 온도센서(170) 및 압력센서(180)로부터 오는 감지값을 기반으로 히터(120)의 구동 제어, 용수 및 스팀의 공급, 배출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어유닛(400)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스팀온도센서부(174)와 용수온도센서부(172)에서 감지된 값을 비교하여 스팀 배출 여부 및 히터(120)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가동 여부를 결정하며, 이때 스팀 배출은 스팀배출밸브(13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00)은 수위센서(160)에서 감지된 값을 토대로 압력탱크(110)의 용수 배출 또는 용수 공급을 결정하도록 마련되며, 용수 배출은 용수배출밸브(142)의 개폐 동작을 통해, 용수 공급은 용수공급밸브(152)의 개폐 동작을 통해 제어된다.
즉, 제어유닛(400)은 수위센서(160)의 감지값을 통해 용수 배출 및 공급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온도센서(170) 및 압력센서(180)의 감지값을 통해 스팀의 배출 및 히터(110)의 가동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제어유닛(400)은 이동단속밸브(330)의 개폐를 제어하여 저장수단(320)에 저장된 물(W)이 압력탱크(110)로 이동되거나 이동이 차단도록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은 압력탱크(110)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60)를 압력탱크(110)의 타측 측부에 별도의 수위 감지공간을 가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정밀한 수위 감지가 구현된다. 또한, 압력탱크(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을 용수온도감지부(172)와 스팀온도감지부(174)로 세분화시키고, 각각의 감지부(172, 174)를 통해 감지된 값과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압력탱크(110) 내부의 상태 제어 및 히터(12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스팀 발생 및 공급에 있어서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가열장치
110 : 압력탱크 120 : 히터
130 : 스팀배출관
132 : 스팀배출밸브
140 : 용수배출관
142 : 용수배출밸브
150 : 용수공급관
152 : 용수공급밸브
160 : 수위센서
162 : 연결부 164 : 하우징부
166 : 수위감지부
170 : 온도센서
172 : 용수온도센서부 174 : 스팀온도센서부
180 : 압력센서
200 : 정수기 300 : 응축기
400 : 제어유닛
WL : 용수의 수위 M : 사출 금형
B : 스팀회수배관

Claims (3)

  1.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발생된 스팀을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공급된 후 상기 사출 금형을 거쳐 회수되는 스팀을 액화시킨 후 상기 가열장치로 재공급하는 응축기; 및
    상기 가열장치 및 응축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장치는,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급된 용수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
    상기 압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배출관;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정수기로부터 오는 용수를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공급관;
    상기 압력탱크 측부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회된 물을 상기 압력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용수회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압력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탱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와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의 감지값을 기반으로 상기 히터의 구동 제어, 용수 및 스팀의 공급, 배출 제어를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용수온도센서부; 및
    상기 압력탱크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 수용된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팀온도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수온도센서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설치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온도센서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설치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미리 설정된 범위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스팀온도센서부와 상기 용수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값을 비교하여 스팀 배출 여부 및 상기 히터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가동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토대로 압력탱크의 용수 배출 또는 용수 공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압력탱크의 측벽으로부터 연통되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둘 이상의 연통로를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의 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직립 설치되는 수위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압력탱크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로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KR1020150129758A 2015-03-16 2015-09-14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KR101563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23 2015-03-16
KR20150036023 2015-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215B1 true KR101563215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758A KR101563215B1 (ko) 2015-03-16 2015-09-14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757B1 (ko) * 2021-07-07 2023-01-04 고현경 유압 프레스의 작동유 과열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279A (ja) 2006-04-26 2007-11-08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金型温度制御方法および金型温度制御装置
JP2008105271A (ja) 2006-10-25 2008-05-08 Shisuko:Kk 過熱蒸気を利用した金型の加熱冷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279A (ja) 2006-04-26 2007-11-08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金型温度制御方法および金型温度制御装置
JP2008105271A (ja) 2006-10-25 2008-05-08 Shisuko:Kk 過熱蒸気を利用した金型の加熱冷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757B1 (ko) * 2021-07-07 2023-01-04 고현경 유압 프레스의 작동유 과열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5479B2 (ja) 成形装置
CN102171019B (zh) 注塑成形装置及注塑成形方法
JP5250223B2 (ja) 成形用金型の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CN1758168B (zh) 控制制冷剂液位的装置
KR101563215B1 (ko) 사출 성형용 가열 시스템
KR20100004860A (ko) 금형의 멀티 가열냉각 시스템
CN1435309A (zh) 模具温度控制系统
JP2008105271A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金型の加熱冷却システム
KR100857264B1 (ko) 금형온도 제어장치
JP2006213041A (ja) 金型の加熱冷却システム及び中空射出成形品用の金型装置
CN101531052B (zh) 节能型水热高光无痕注塑模具温度控制系统
JP5184300B2 (ja) ドライアイス製造装置及びドライアイス製造方法
CN102458714A (zh) 树脂覆膜砂的温度调节单元和温度调节系统
KR100486559B1 (ko) 스팀 청소기의 유도 가열 장치
CN104711820A (zh) 织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207290755U (zh) 一种车灯透镜急冷急热模具
KR101577603B1 (ko) 사출 금형의 가열 및 냉각을 위한 매체를 공급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사출 스팀 시스템
JP3116918U (ja) 成形機システム
CN206952096U (zh) 一种蒸汽脱蜡装置
KR101563216B1 (ko) 폐열 회수 기능을 구비하는 스팀 공급 시스템
CN103372958A (zh) 一种利用高光模蒸汽控制器
CN205572980U (zh) 基于环氧树脂挤出机的过水冷却装置
CN105737467A (zh) 一种制冷混合液分离装置
KR20170112046A (ko) 사출시스템을 위한 폐스팀 재활용장치
SE512588C2 (sv) Metod och anordning för punktkylning av y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