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931B1 -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931B1
KR101562931B1 KR1020140106096A KR20140106096A KR101562931B1 KR 101562931 B1 KR101562931 B1 KR 101562931B1 KR 1020140106096 A KR1020140106096 A KR 1020140106096A KR 20140106096 A KR20140106096 A KR 20140106096A KR 101562931 B1 KR101562931 B1 KR 10156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device
driving
device bod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원
김진효
배일
손표웅
문재영
이준효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입력 장치 본체;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INPUT/OUTPUT DEVICE RESPONSIVE TO 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미래창조과학부의 IT명품인재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과제번호 NIPA-2014-H0201-14-1002)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기계 및 로봇 기술은 끈임 없이 발전해 왔으나,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 중 가장 많은 점유 시간을 가지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의 기술 발전은 단순히 디자인의 변경에 머무르는 수준으로 수년째 정체 현상을 겪고 있다. 최근의 입력 장치는 무선화에 의하여 선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입력 장치는 정적인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및 다양한 기능 구현에 한계가 따랐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 측으로 혹은 사용자의 작업 영역 측으로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작동하도록 인터랙션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재미 요소를 줄 수 있는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시작시 입력/출력 장치가 작업 위치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고, 컴퓨터 작업의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입력 장치 본체;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 본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상기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를 중단하는 모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시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상기 구동 모드에서 상기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한 후,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본체는 마우스이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장치 본체의 하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의 일측에 손을 얹지 않은 경우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의 일측에 손을 얹으면 상기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우스에 구비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 측에 접촉시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휠의 샤프트축을 회전시키거나, 복수의 구동휠 각각의 회전 수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장치 본체;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장치 본체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지지판을 주행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용 사용자 감응 구동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구동휠;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구동휠을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가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로 동작시키는 동안,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시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상기 구동 모드에서 상기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가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 측으로 혹은 사용자의 작업 영역 측으로 자동으로 주행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작동하도록 인터랙션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재미 요소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시작시 입력/출력 장치가 작업 위치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고, 컴퓨터 작업의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사용자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입력 장치 본체(110)의 덮개(111) 상부 측을 절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마우스(mouse)의 형태로 제공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는 키보드(keyboard)와 같은 다른 입력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는 입력 장치 본체(110), 사용자 감지부(120), 구동부(130), 구동 제어부(140), 모드 제어부(150) 및 접촉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 본체(110)는 통상의 마우스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 본체(110)는 덮개(111)의 하면 측에 마우스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112)가 구비되고, 덮개(111)의 상면 측에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 이동, 모니터 화면상의 포인터 이동, 메뉴의 선택 또는 명령 실행 등의 기능을 위한 좌/우 클릭버튼(113,114), 스크롤휠(115)이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120)는 입력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감지부(120)는 덮개(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영상 처리 기반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 감지부(120)는 레이저 근접 센서와 같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사용자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감지부(120)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21), 영상 촬영부(121)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에서 사용자에 해당하는 객체(object)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122) 및 객체의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거리 혹은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123)를 포함한다.
일 예로, 사용자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전신이나 특정 신체 부위, 예를 들어 머리(얼굴) 혹은 손이나 팔 등의 형상 정보나 특징점을 이용하여 전신이나 머리 또는 손과 같은 객체를 추출하고, 영상에 나타난 사용자의 신장이나 머리 또는 손 등의 객체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의 거리 또는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감지부(120)는 스테레오(stereo)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객체의 3차원 깊이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거리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시간순으로 연속된 영상 프레임들 간의 객체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120)에서 사용자를 감지시 해당 감지 정보에 따라 구동부(130)가 구동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입력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고, 사용자 감지부(1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입력 장치 본체(110)를 주행시킨다. 일 실시 예로, 구동부(130)는 사용자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거리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 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입력 장치 본체(110)를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구동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모션을 취한 경우에 사용자 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입력 장치 본체(110)를 구동하거나, 사용자 감지부(120)에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시 미리 결정된 작업 영역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입력 장치 본체(11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작업 시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감지부(120)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해당 감지 정보는 구동 제어부(140)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40)는 사용자 감지부(1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작업 영역 측으로 입력 장치 본체(110)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여 구동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구동한다. 구동 제어부(140)는 복수의 구동휠 각각의 구동 정보를 통해 입력 장치의 조향 및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고, 하나의 구동휠을 조향 및 구동하여 입력 장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모드 제어부(150)는 입력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에 따라 입력 장치 본체(110)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로 동작시키는 동안,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중단시킨다. 여기서, 구동 모드는 사용자에 감응하여 입력 장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입력 모드는 통상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모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 장치를 구동 모드와 입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접촉 감지부(160)는 입력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 감지부(160)는 덮개(111) 상면 측에서 마우스 사용시 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6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드 제어부(150)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구동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좌/우 클릭버튼(113,114), 스크롤휠(115)을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을 이동하거나, 모니터 화면상의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메뉴를 선택하거나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하지 않으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한 다음,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입력 장치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후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구동부(130)는 입력 장치 본체(110)에 구비되는 힌지축(131), 회동부재(132), 구동휠(133) 및 구동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10)의 하부 측에는 케이스의 내측 면에 지지부재(131a)가 형성된다. 힌지축(131)은 받침점에 해당하는 지지부재(13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재(132)는 힌지축(131)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한다.
구동휠(133)은 사용자가 힘점에 해당하는 회동부재(132)의 일단 측에 손바닥을 접촉시 바닥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지도록, 작용점에 해당하는 회동부재(132)의 타단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부재(132)의 일단 측은 사용자의 손바닥에 접촉 가능하도록, 덮개(111)의 후방 측에 형성된 홈부(111a)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구동휠(133)은 사용자가 마우스의 일측에 손을 얹지 않은 경우 자중에 의하여 덮개(111)의 하면에 형성된 홈을 통해 바닥에 접촉되며, 사용자가 마우스의 일측에 손을 얹으면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바닥과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구동실린더 등을 이용한 승강 기구에 의하여 구동휠(133)을 승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동부재(134)는 구동 제어부(140)의 구동 신호에 따라 복수의 구동휠(133) 각각의 회전 수를 조절하여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재(134)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구동휠(133)의 회전축에 직접 혹은 기어 부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입력 장치 측으로 접근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가 사용자 측으로 혹은 사용자의 작업 영역 측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의 이동시 컴퓨터로의 입력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동 모드에서 입력 장치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시작시 입력 장치가 작업에 필요한 위치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고, 컴퓨터 작업의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에 손바닥을 접촉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가 자동으로 입력 모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본연의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마우스에 손을 얹으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구동휠(133)이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입력 모드로 동작시 구동휠(133)을 비롯한 구동부(130)에 의한 불필요한 마찰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불편함이 없이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하나의 구동휠(133)로 이루어져 기어(gear), 링크(link) 등의 구조를 활용하여 구동휠(133)의 샤프트축(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에 조향 능력을 부여하고,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키보드(keyboard)의 형태로 제공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키보드의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 장치 본체(210), 사용자 감지부(220), 구동부(230), 구동 제어부(240), 모드 제어부(250) 및 접촉 감지부(26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부(220)는 입력 장치 본체(2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의 거리,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로, 사용자 감지부(220)는 영상 처리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레이저 근접 센서와 같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입력 장치 본체(210)에 설치되고, 사용자 감지부(2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입력 장치 본체(210)를 주행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작업 시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40)는 사용자 감지부(2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작업 영역 측으로 입력 장치 본체(210)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여 구동부(23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를 구동한다. 일 실시 예로, 구동 제어부(240)는 복수의 구동휠 각각의 구동 신호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거나, 구동휠의 샤프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신호를 통해 입력 장치의 조향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250)는 입력 장치 본체(2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 장치를 구동 모드와 입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모드 제어부(250)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를 구동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접촉 감지부(260)는 입력 장치 본체(2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 감지부(260)는 키보드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 사용을 위해 키보드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접촉시키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구동 모드로부터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230)가 바닥으로 들어 올려지고, 그 결과로서 입력 장치 본체(210)의 하면이 바닥에 접촉되므로, 구동부(230)의 구동휠에 의하여 키보드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하지 않으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한 다음,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 감지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입력 장치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후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30)는 입력 장치 본체(210)의 내부 공간(211)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부(230)는 입력 장치 본체(2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나, 구동부(23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구동부(230)는 승강실린더(231), 구동휠(233) 및 구동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231)는 내부 공간(211)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휠(233) 및 구동부재(234)를 승강시킨다. 구동부재(234)는 승강실린더(231)의 실린더로드(232)에 고정되어 구동휠(233)을 구동한다. 구동부재(234)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근처에 접근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에 손을 얹지 않은 상태인 경우, 구동휠(233)은 승강실린더(231)에 의해 하강하여 바닥에 접촉되면서 입력 장치 본체(210)를 들어올리며, 구동부재(234)에 의하여 구동되어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키보드를 이동시킨다.
만약, 키보드가 정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키보드 사용을 위해 키보드에 손을 얹게 되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구동 모드로부터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구동휠(2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23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승하여 내부 공간(211)으로 반입된다. 이에 따라 입력 장치 본체(210)의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므로, 키보드를 통해 입력 기능을 구현시 키보드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입력 장치 측으로 접근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가 사용자 측으로 혹은 사용자의 작업 영역 측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시작시 입력 장치가 작업에 필요한 위치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고, 컴퓨터 작업의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해 키보드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접촉시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가 자동으로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230)로 인해 키보드가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키보드의 형태로 제공되는 입력 장치 본체(210), 입력 장치 본체(210)를 수용하는 수용부(212a)를 구비한 지지판(212), 사용자 감지부(220), 구동부(230), 구동 제어부(240), 모드 제어부(250) 및 접촉 감지부(26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부(220), 구동부(230), 구동 제어부(240), 모드 제어부(250) 및 접촉 감지부(260)는 지지판(212)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212)은 키보드가 설치된 바닥면과 키보드의 상면 간을 곡면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하는 곡면부(212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곡면부(212b)에 손바닥을 얹어 키보드를 통해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260)는 곡면부(212b)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키보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230)는 지지판(212)의 내부 공간(212c)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부(230)는 지지판(212)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나, 구동부(23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승강실린더(231), 구동휠(233), 구동부재(234) 및 회전부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231)는 내부 공간(212c)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휠(233), 구동부재(234) 및 회전부재(235)를 승강시킨다. 구동부재(234)는 구동휠(23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재(235)는 구동휠(233)을 바닥면에 수직한 축(Z)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구동휠(233)을 조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근처에 접근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에 손을 얹지 않은 상태인 경우, 구동휠(233)은 승강실린더(231)에 의해 하강하여 바닥에 접촉되면서 지지판(212)과 입력 장치 본체(210)를 들어올리며, 구동부재(234)에 의하여 구동되어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키보드를 이동시킨다.
만약, 키보드가 정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키보드 사용을 위해 키보드에 손을 얹게 되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200)는 구동 모드로부터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구동휠(233)은 승강실린더(23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상승하여 내부 공간(212c)으로 반입된다. 이에 따라 입력 장치 본체(210)를 지지하는 지지판(212)의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게 되므로, 키보드를 통해 입력 기능을 구현시 키보드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된 이점 외에도, 종래의 키보드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도, 지지판(212)에 구비된 입력/출력 장치용 사용자 감응 구동 제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컴퓨터 모니터(computer monitor)의 형태로 제공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는 모니터의 형태로 제공되는 출력 장치 본체(310), 사용자 감지부(320), 구동부(330), 구동 제어부(340), 모드 제어부(350) 및 접촉 감지부(36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부(320)는 출력 장치 본체(3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의 거리,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감지한다. 사용자 감지부(320)는 영상 처리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감지하거나, 레이저 근접 센서와 같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출력 장치 본체(310)에 설치되고, 사용자 감지부(3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출력 장치 본체(310)를 주행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작업 시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한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출력 장치 본체(310) 혹은 출력 장치 본체(31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판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30)는 출력 장치 본체(3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구동부(33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340)는 사용자 감지부(32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측으로 혹은 작업 영역 측으로 출력 장치 본체(310)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여 구동부(33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를 구동한다. 일 실시 예로, 구동 제어부(340)는 복수의 구동휠 각각의 구동 신호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거나, 구동휠의 샤프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신호를 통해 출력 장치의 조향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350)는 출력 장치 본체(3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 장치를 구동 모드와 출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모드 제어부(350)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시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를 구동 모드에서 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접촉 감지부(360)는 출력 장치 본체(3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한다. 접촉 감지부(360)는 모니터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출력 장치 본체(310)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촉 감지부(360)를 터치시,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는 구동 모드로부터 출력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330)는 바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 결과로서 출력 장치 본체(310)의 하면이 바닥에 접촉되므로, 구동부(330)의 구동휠에 의하여 모니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출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근접하지 않으면,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한 다음,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 감지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출력 장치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컴퓨터의 전원이 꺼질 때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접근시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가 사용자 측으로 혹은 사용자의 작업 영역 측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출력 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시작시 출력 장치가 작업에 필요한 위치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고, 컴퓨터 작업의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를 사용하기 위해 접촉 감지부(360)를 터치시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는 자동으로 출력 모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330)가 바닥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면서 출력 장치 본체(310)가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모니터가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은 마우스, 키보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200)와 모니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10)의 주변에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들(100,200,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에 대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사용자가 작업 공간(예를 들어, 컴퓨터 데스크)(20) 측으로 접근시,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들(100,200,300)은 구동부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측이나 미리 설정된 작업 영역으로 이동한다.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10)은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100,200,300)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접촉 감지시 입력/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동부를 바닥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입력/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을 완료하여 작업 공간(20)에서 벗어나거나 컴퓨터의 전원을 종료시,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들(100,200,300)은 초기 위치로 이동한 후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는 특히, 스마트 데스크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다개체의 군집 주행 및 충돌 회피 등의 무인 자율 주행 기술과 접목시 효용성이 커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춰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랙션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재미 요소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작업 시작시 자동으로 입력/출력 장치가 셋팅되도록 하고, 작업 완료시 자동으로 정리 정돈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10)은 회의실 등에서 한 세트의 입력 장치(100,2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번갈아 입력 기능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100,200)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 예를 들어 팔을 회의실 탁자(30) 측으로 뻗는 행동을 감지하여, 입력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 측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한 세트의 입력 장치(100,2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시스템
20: 작업 공간
100,200: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110,210: 입력 장치 본체
111: 덮개
112: 광센서
113,114: 좌/우 클릭버튼
115: 스크롤휠
120,220,320: 사용자 감지부
121: 영상 촬영부
122: 영상 분석부
123: 사용자 정보 분석부
130,220,320: 구동부
131: 힌지축
132: 회동부재
133,233: 구동휠
134,234: 구동부재
140,240,340: 구동 제어부
150,250,350: 모드 제어부
160,260,360: 접촉 감지부
212: 지지판
231: 승강실린더
232: 실린더로드
235: 회전부재
300: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

Claims (20)

  1. 입력 장치 본체;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에서 입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상기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 정보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를 중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는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한 후,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장치 본체의 하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 본체의 일측에 손을 얹지 않은 경우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장치 본체의 일측에 손을 얹으면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지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는 마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마우스에 구비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 측에 접촉시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 측에 설치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휠의 샤프트축을 회전시키거나, 복수의 구동휠 각각의 회전 수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
  12. 출력 장치 본체;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에서 출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
  13. 입력 장치 본체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지지판을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에서 입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용 사용자 감응 구동 제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구동휠;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구동휠을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용 사용자 감응 구동 제어 장치.
  15.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가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에서 입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인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를 중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를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입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20.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감지부가 사용자의 위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가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측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작업 영역 측으로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상기 출력 장치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 모드에서 출력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응 출력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KR1020140106096A 2014-08-14 2014-08-14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56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96A KR101562931B1 (ko) 2014-08-14 2014-08-14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96A KR101562931B1 (ko) 2014-08-14 2014-08-14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931B1 true KR101562931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096A KR101562931B1 (ko) 2014-08-14 2014-08-14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98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96769Y (zh) * 2008-03-27 2009-02-18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输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96769Y (zh) * 2008-03-27 2009-02-18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输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98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19385B1 (ko) * 2018-12-19 2021-02-25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continuing action of user gestures performed upon a touch sensitive interactive display in simulation of inertia
JP6953778B2 (ja) 協調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方法
JP52826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5164713A (en) Cursor position controller for use with mouse and display systems
KR101932688B1 (ko) 휴대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ui 모드 제공 방법
US7042445B2 (en) Input device for moving cursor and scrolling image on screen
US20110205185A1 (en) Sensor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 Detection
US20110216007A1 (en) Keyboards and methods thereof
EP2575006A1 (en)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JP20102771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14001A (ja) 入出力デバイス及び奥行き感知システム
KR101562931B1 (ko) 사용자 감응 입력/출력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JP2012094085A (ja) 入力装置
JP4856136B2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KR101019163B1 (ko) 마우스
KR102301763B1 (ko) 이동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289931B2 (ja) 持ち手判定機能付き携帯端末
JP2014155856A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JP2536253B2 (ja) 位置指定装置
JPH0399312A (ja) 情報処理装置
KR101638777B1 (ko) 초음파 영상장치의 터치 기반 제어패널 어셈블리
JPH10171597A (ja) マウス
JPH0619611A (ja) 情報処理装置
CN112706148A (zh) 一种机器人操作装置及方法
KR20180007569A (ko) 회전 센서를 이용한 3차원 공간 좌표 인식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