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200B1 -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200B1
KR101562200B1 KR1020140053121A KR20140053121A KR101562200B1 KR 101562200 B1 KR101562200 B1 KR 101562200B1 KR 1020140053121 A KR1020140053121 A KR 1020140053121A KR 20140053121 A KR20140053121 A KR 20140053121A KR 101562200 B1 KR101562200 B1 KR 10156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waterproof
detection system
f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2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a large-space intelligent water cannon comprises: a fire detection system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from among a closed circuit camera, a thermovision camera, a flame sensor, a heat sensor, and a smoke sensor; a pump unit and a waterproof unit that works by being linked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 relay uni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which is linked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and, a remote control panel connected to the relay unit to enter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and to output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The waterproof unit comprises: a water cannon connected to the pump unit to sprinkle water on the fire point; a camera module placed in a position that is unobstructed by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prinkled area of the water cannon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n the fire site; and, a rotating and til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to which fire extinguishing water of the water cannon is sprinkled.

Description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지능형 화재감지 시스템의 발전으로 기존의 연기감지 및 불꽃감지를 이용한 화재감지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자동 화재감지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5202호에서는 실시간으로 화재 감지를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대상 건축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복수의 센서 및 영상정보 등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fire detection system, various types of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s other than conventional smoke detection and flame detection are being developed.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5202 discloses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real-time fire detection, which can manage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 target building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image information.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251865호 에서는 CCTV 등을 이용하여 화염 및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상장비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제어부가 자동 검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1251865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control unit can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y using video equipment capable of detecting a flame and a human body using CCTV or the like.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화염을 통해 발생된 연기나 불꽃 또는 온도 변화 등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였기 때문에, 넓은 공간 또는 센서가 미쳐 감지하지 못하는 구석진 공간 등의 화재 발생 시, 화재발생 초기에 대응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smoke, flame, or temperature change generated through the flame is sensed by the sensor,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 a fire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e when a large space or a corner space There was a problem.

특히, 공장과 같은 산업용 시설의 경우 넓은 공간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센서를 배치해야 하는데, 시설 특성상 천장의 넓이가 높게 설치될 경우, 별도의 화재감지 센서를 바닥면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지 않을 경우, 화재경보가 적시에 발령되기 어려우며, 옥외 또는 야적장과 같이 오픈된 공간 역시 온도,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따로 설치하기 어려워 화재의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게 어렵다.Especially, in the case of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sensors so as to cover the entire wide space. If the ceiling width is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and a separate fire detection sensor is not disposed close to the floor , It is difficult for a fire alarm to be issued in a timely manner. Also, it is difficult to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a fire occurs due to difficulty in installing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emperature, smoke, and flame, in an open space such as an outdoor or a yard.

또한, 공장이나 옥외 야적장 등과 같이 대면적 구역에서의 소방활동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스프링쿨러나 소화전 등으로는 화재의 초동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In addition, countermeasures are necessary for general fire-fighting activities in large-scale areas such as factories and outdoor yard.

본 실시예는 공장 내부 또는 야적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을 초동 대처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소방수 살포를 통해 화재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large space intelligent tarpaulins capable of effectively coping with the occurrence of fire in a relatively large space such as a factory or a yard, and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fire through effective fire water spray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은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 일단은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화재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펌프유닛과 연결되어 화점에 물을 살포하는 방수포;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영역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화재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위치를 상하좌우로 제어하는 회전 및 틸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space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osed circuit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A pump unit and a waterproof unit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detection system; A rela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to send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in response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a remote control panel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and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wherein the waterproof unit is connected to the pump unit, A tarp spraying water; A camera modul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e water spraying area of the waterproof film and acquires image information on a fire scene; And a rotation and til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position of the water spray gu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방수포와, 카메라 모듈 및 회전 밀 틸팅유닛을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proof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for protecting the waterproof film, the camera module, and the rotary tilting unit.

상기 방수유닛은 공장 및 창고와 같은 대규모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proof unit may be fixedly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f a large-scale building such as a factory and a warehouse.

상기 방수유닛은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야외 공간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The waterproof unit may be fixedly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where a fire may occur.

이때, 상기 방수유닛은 미사용 시에는 지중에 매설되고, 사용 시에만 지상으로 돌출 될 수 있도록 승강 유닛에 의해 지중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proof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ground when the waterproof unit is not in us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ground by the elevator unit so that it can protrude to the ground only when used.

또는, 상기 방수유닛은 지중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포와 회전 및 틸팅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챔버; 상기 수용 챔버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방수포와 회전 및 틸팅유닛을 출몰 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waterproof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chamber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to receive the waterproof film and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 A cover unit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an elevating unit for projecting and unblocking the waterproof film and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

상기 방수유닛은 소방차량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waterproof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fire fighting vehicl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원격 조작 패널은 상기 방수유닛을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remote contro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joystick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the waterproof unit.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방수포가 바라보는 방향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적외선 화상, 열 화상, 가시광선 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촬영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be arranged to capture a scre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roof film is viewed, and may be provided to captur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image, a thermal image, and a visible light image.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제어방법은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을 통해 화재 감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에서 화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방수유닛을 화재지점을 향하도록 회전 및 틸팅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펌프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방수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 원격 조작 패널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방수유닛의 카메라 모듈의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space fire fighting system control method of the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controlling fire fighting through the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osed circuit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Sensing; Controlling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 to direct the waterproofing unit toward the fire point through the relay when a fire is detected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Controlling the pump unit to supply water to the waterproof unit;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camera module of the waterproof unit through the monitoring equipment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panel.

상기 상기 방수유닛을 보관 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승강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aterproof unit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use position.

상기 회전 및 틸팅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 및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재 발생지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틸팅 및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tilting and rotation angles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area photographed by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the camera module.

상기 회전 및 틸팅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는 연기가 심해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가시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염의 위치를 파악하지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열화상 모드 및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 includes the steps of switching to a mode selected from a thermographic mode and an infrare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flame through photographing on the visualiz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As shown in FIG.

일반 및 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자의 제어 동작 없이 자동으로 초기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는 관리자가 직접 방수포의 방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 현장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방수포를 통해 화재진압이 가능하다.Since it is link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which can obtain general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volve an initial fire without the control operation of a separate manager.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administrator performing the monitoring can directly control the waterproof direction of the tarpaulin, so that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roach the fire scen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through the tarpaulin remotely.

또한, 공장과 같은 실내는 물론 옥외에도 설치 가능하며, 필요할 경우 출몰 수단을 통해 방수포 부분은 대기 모드시에는 지중에 보관하다, 화재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할 경우에만, 방수포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수포가 비바람에 노출되어 부식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doors as well as in a factory. If necessary, the tarpaulins can be stored in the ground during standby mode. If the fire detection system detects a fire, the tarpaulins can be exposed and u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rpaulin from being exposed to wind and rain to be corroded or damaged.

또한, 소방차와 같이 차량에 승강장치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화재감지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화재현장에서 방수포를 통해 소방수를 살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automobile fire extinguishing system such as a fire truck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elevating device,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tarpaulin at the fire scene automatically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fire detection system.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에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수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옥외 공간에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옥외 공간에 출몰 가능하게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에 승강 가능하게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rge space automatic waterproofing foam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arpaulin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 air defense system for large-sized air defense is installed in the outdoor sp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 defrost system based on a large-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foam is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S. 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large space-intelligent waterproofing foam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in a fire fighting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spo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에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수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옥외 공간에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옥외 공간에 출몰 가능하게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에 승강 가능하게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terproofing foam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proofing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rge-capacity intelligent waterpro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S. 5 and 6 are views FIG. 7 and FIG.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rge-space intelligent tarpauli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to and out of an out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은 화재감지 시스템(11), 펌프유닛(40), 방수유닛(100), 중계기(20), 원격 조작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제 1 실시예로서, 공장 또는 창고와 같이 대공간 건축 구조물(10)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the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e detection system 11, a pump unit 40, a waterproofing unit 100, a relay 20, a remote control panel 50 ).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large-space building structure 10 such as a factory or a warehouse.

화재감지 시스템(11)은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재감지 시스템은 대공간 건축 구조물(10)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기, 불꽃 및 화염 이미지 등을 획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system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losed-circuit camera, an infrared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At this time, the fire detection system can be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large-sized building 10,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by acquiring images of smoke, flame, and flame.

화재감지 시스템(11)의 일 예로, 공장 내부 공간 등을 보안 및 안전 관리를 위해 촬영하는 폐쇄회로 카메라는 물론, 화염 영상을 연기 발생 시에도 촬영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 기존의 연기, 불꽃 감지센서 등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is a closed circuit camera for photographing a factory interior space and the like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as well as a thermal image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a flame image even when smoke is generated, Etc. may be installed in combination.

한편,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11)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중계기(20)를 통한 연결일 수도 있고,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기지국 또는 통신사 도움 없이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which may be a connection through a repeater 20 or a separate wired /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Zigbee, Wi-Fi, Bluetooth, or the like is us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base station or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화재감지 시스템(11)에는 소정의 제어부가 마련되어, 이 제어부를 통해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화면 또는 센서 정보 등을 종합하여, 화재발생 영역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system 11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and can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not through the control unit. That is, the control unit can detect the fire occurrence area and the position by integrating the photographed screen or sensor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fire position to the remote control panel 50 side.

중계기(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 시스템(11)과 연동하여, 각각의 화재감지 시스템(11)에서 출력되는 감지 정보를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기(20)에는 펌프유닛(40)과 방수유닛(100)이 함께 연결되어,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펌프유닛(40)과 방수유닛(100)이 개별 또는 함께 동작 제어될 수 있다.The repeater 20 can communicate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from each fire detection system 11 to the remote control panel 50 in cooperation with at least one fire detection system 11. [ The pump unit 40 and the waterproofing unit 100 are connected to the relay 20 so that the pump unit 40 and the waterproofing unit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 panel 50. [ Or can be operated together.

원격 조작 패널(50)은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11)을 통해 전달 받은 화재 관련 정보를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펌프유닛(40)과 방수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panel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40 and the waterproof unit 100 automatically or manually while outputting the fir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using a monitor or the like. can do.

원격 조작 패널(50)에는 미도시된 조이스틱 등과 같은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상기 방수유닛(100)을 조작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11)을 통해 전달 받은 화재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수유닛(100)이 물을 방사하는 방향 및 각도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은 방수유닛(100)을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과 같은 수동 조작 유닛(30)과 연결될 수도 있다.The remote control panel 50 further includes control means such as an unillustrated joystick or the like to operate and control the waterproofing unit 100 remotely using the joystick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direction and angle in which the waterproof unit 100 radiates water by using the fire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Alternatively, the remote control panel 50 may be connected to a manual operation unit 30 such as a joystick which can manually control the waterproofing unit 100.

방수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포(110), 카메라 모듈(120), 회전 및 틸팅유닛(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proof unit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film 110, a camera module 120, and a rotation and tilting unit 131 (132) as shown in FIG.

방수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0) 및 펌프유닛(40)과 결합되어 소방용수를 방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방수포(110)의 구조 및 형상은 공지영역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수포(110)는 상기 회전 및 틸팅유닛(131)(132)의 제어 동작으로 소방용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1 and 2, the defoamer 110 is combined with the frame 150 and the pump unit 40 to water the fire-fighting water to suppress the fire. Sinc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waterproof film 110 are the description of a known are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waterproofing film 110 can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or fire fighting water is inject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rotation and tilting units 131 and 132.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 방수포(110)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방수포(110)의 상측 또는 후면 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시광선은 물론, 열화상, 적외선 촬영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상기 방수포(110)가 바라보는 방향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waterproof film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for fir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proof film 110, Lt; / RTI > The camera module 120 may be disposed to capture a scre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roof film 110 is viewed.

회전 및 틸팅유닛(131)(132)은 상기 방수포(110)를 프레임(150)과 체결하는 플랜지부(130)상에 회전유닛(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유닛(131)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방수포(110)의 틸팅 동작을 제어하는 틸팅유닛(1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및 틸팅유닛(131)(132)을 통해 상기 방수포(110)의 회전 및 각도 변화를 부가할 수 있어, 상기 방수포(110)를 화재가 발생된 지점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및 틸팅유닛(131)(1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액츄에이터의 제어 동작을 통해 전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6자유도를 가지는 스위블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고, 회전 및 틸팅 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rotation and tilting units 131 and 132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unit 131 on a flange 130 for fastening the waterproof film 110 to the frame 150, A tilting unit 132 for controll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waterproofing film 110 in one direction may be installed. Rotation and angle change of the waterproof film 110 can be added through the rotation and tilting units 131 and 132 so that the waterproof film 110 can be controlled to face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For example, the rotation and tilting units 131 and 132 may be electrically controlled through control operations of at least one control actuator. For example, a swivel actuator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or may be formed as a joint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nd tilting.

또한, 상기 방수유닛(100)은 상기 방수포(110)와, 카메라 모듈(120) 및 회전 밀 틸팅유닛(131)(132)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4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화염 또는 외부 환경적 요인, 예컨대 비바람 또는 먼지 등으로부터 상기 방수유닛(100)을 보호할 수 있다.The waterproof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40 for protecting the waterproof film 110 and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rotary tilting units 131 and 132. The cover member 140 may protect the waterproof unit 100 from a flame or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wind and dust or the like.

한편, 도 1 및 제 2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시스템은 공장 및 창고와 같은 대규모 건축물의 실내 공간(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스프링 쿨러 등이 작동하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릴 필요 없이, 화재 감지시스템(11)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즉시로, 방수유닛(100)을 제어하여 화점(fire spot)에 직접적인 소화작업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above system can be fixedly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10 of a large-scale building such as a factory and a warehouse.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proof unit 100 immediately after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without having to wait a long time until the existing sprinkler or the like operates, fire spots can be directly extinguished.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 이다.3 is a schematic control block diagram of a large space intelligent waterproof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시스템(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센싱유닛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중계기(20)를 통해 원격 조작 패널(5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may be configured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sensing unit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panel 50 via the relay 20.

중계기(20)는 일단은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펌프유닛(40)과, 수동 조작 유닛(30) 및 방수유닛(100) 등이 연결되어, 상기 원격 조작 패널(50)의 제어명령을 통해 상기 펌프유닛(40)과 방수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elay unit 20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panel 50 at one end and the pump unit 40 is connected to the manual operation unit 30 and the waterproof unit 100 at the other end,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40 and the waterproof unit 1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40. [

도 4는 제 2 실시예로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방수유닛(100)을 옥외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야적장, 주차장 또는 산림 등과 같이 오픈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시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 쿨러 등의 화재 진압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화재의 초동 대처가 매우 어렵다. 4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proof unit 100 construc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outdoors as a second embodiment. When a fire occurs in an open space such as a yard, a parking lot, or a forest,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fire suppression device such as a sprinkl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방수포(110)를 설치할 경우, 원격 조작 및 제어 등에 의해서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야적장(C)의 일측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유닛(100)을 설치할 경우, 소정의 화재감지 시스템(11, 도 1 참조)으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접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포(110)와 함께 마련된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화재 상황이 감지가 되면, 상기 방수포(1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을 시작하여, 상기 화재 지점(F)에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waterproof film 110 is install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e can be suppressed by remote operation, control, or the lik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waterproof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yard C where a fire can occur, a predetermined fire detection system 11 (see FIG. 1) When the fi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or a fire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provided with the waterproof film 110 as shown in FIG. 2, the waterproof film 110 starts to operate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fire can be suppressed by spraying the fire water at the fire point (F).

도 5 및 도 6은 제 3 실시예로서,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옥외에 노출된 상태로 방수유닛(100)을 설치할 경우, 방수유닛(100)이 비바람에 노출되어 녹슬거나 손상될 수 있어, 미사용시에는 지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사용 시에만 지상에 노출시키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waterproof unit 100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waterproof unit 100 may be exposed to wind and rain and may be rusted or damaged ,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ground when not in use, and is exposed to the ground only in use.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유닛(100)을 출몰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수용 챔버(300), 승강유닛(310) 및 커버유닛(320) 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water storage unit 1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chamber 300, an elevating unit 310, and a cover unit 320 to allow the waterproofing unit 100 to protrude and retract.

수용 챔버(300)는 지중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수유닛(100)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폭과 너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챔버(300)의 상부면은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챔버(300)의 내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방수유닛(100)에 소방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소방호스 등이 함께 매설/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용 챔버(300)에는 별도의 하수관로 등이 형성되어, 우수 등이 유입되더라도, 매설된 방수유닛(100)이 침수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is formed in the ground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width to accommodate the entire waterproofing unit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may be provided to form an opening. Although not shown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a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proof unit 100, Etc. may be buried / installed together. Meanwhile, a separate sewer pipe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so that the embedded waterproof unit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inundation even when the storm water flows in.

승강유닛(310)은 상기 수용 챔버(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유닛(1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312)를 마련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12)의 상승 및 하강 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 파이프 등으로 형성된 승강 파이프(311)를 유압 또는 전동 방식 등으로 신장 및 축소 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310 may be installed to be elev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to a predetermined height. 5 and 6, a lifting plate 312 for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unit 100 is provided, and a telescopic pipe or the lik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plate 312 It is possible to extend and contract the elevating pipe 311, which is formed by a hydraulic or electric system.

커버유닛(320)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수유닛(100)이 미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수용 챔버(300)를 밀폐하여, 외부 먼지 및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ver unit 32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When the waterproof unit 100 is in an unused state, the cover unit 320 closes the accommodating chamber 300 to block external dust and rain, etc. .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유닛(100)은 소방차량(200)에도 승강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유닛(100)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으나, 이동 가능한 소방차량(200)에 설치하여 소방 작업이 필요한 장소에 최대한 접근하여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7 and 8, the waterproofing unit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e fighting vehicle 200 by using a devic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waterproofing unit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ire-fighting vehicle 200 in a movable fire-fighting vehicle 200 and perform a fire fighting operation as close as possible to a place where a fire-

이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소방용 방수포와 같이 직접 탑승하여 방수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소방용 차량 또는 원격 조작 패널(50)의 화면 등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바라본 상태로 소방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user can carry out the fire-fighting operation while looking at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scree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or the remote control panel 50 without having to carry the waterproofing work directly, Therefore, safe fire suppression is possible.

즉, 소방차량에 장착된 방수유닛(100)은은 차량의 전고 문제로, 차량 상부에 최대한 낮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방차량(200)에 설치하면, 차량 바로 앞이나 지하층과 같이 방수가 불가한 경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좁은 골목길 등에서 차량과 건물이 가까운 경우, 기존에는 방수포(미도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수 및 진압이 어려웠다. That is, the waterproofing unit 100 mounted on the fire fighting vehicle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as low as possible due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When installed in the fire fighting vehicle 200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asily used in the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waterproof just like a vehicle or a basement.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and the building are close to each other in a narrow alleyway, since the height of the tarpaulin (not shown) can not be adjusted in the past, effective waterproofing and suppression were difficult.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경우에는 수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방식의 지지 프레임(160)을 소방차량(200)에 설치하여, 1 내지 4단 정도의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장화재 등의 원거리 방수 시 높은 곳에서 아래쪽으로 방수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7 and 8, a telescopic supporting frame 160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can be installed on the fire fighting vehicle 200, and a height adjustment of about one to four stages It is possible to water downward from a high place when a remote waterproofing such as a factory fire or the like is performed, so that a rapid and accurate fire suppression is possibl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 9의 흐름도와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제어방법은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11)을 통해 화재 감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S10).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 large space intelligent tarpaul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osed circuit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11),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detect whether a fire is detected (S10).

상기 S10 단계에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11)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S20), 상기 S20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소정의 제어부는 상기 방수유닛(100)을 화재지점을 향하도록 회전 및 틸팅 유닛(131)(132)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11)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소정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화재 발생지점의 좌표 및 각도 등을 계산하여, 상기 방수유닛(100)의 방수포(110)의 조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방수포(110)와 화재 발생지점 사이의 거리, 풍속, 각도 등의 정보를 방수포(110)에서 방사되는 소방용수의 압력 및 직진성 등을 감안하여, 상기 방수포(110)의 각도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소방용수가 발화지점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가시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염의 위치를 파악하지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열화상 모드 및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S30).In step S10,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can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S2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predetermined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proof unit 100 to fire The rotating and tilting units 131 and 132 can be controlled. That is, when a fire is detected in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oordinates and the angle of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performs a sighting operation of the waterproof film 110 of the waterproof unit 100 have. At this time, information such as distance, wind speed, angle, and the like between the defoamer 110 and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fire is adjusted by optimizing the angle of the defoamer 110 considering the pressure and the straightness of the water for fire- So that the water for fire fighting can be accurately reached to the ignition poin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flame through the photographing on the visualized im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witching to one of the thermal image mode and the infrared light mode (S30).

S30단계에서 조준이 완료되면, 소정의 제어부는 펌프유닛(40)을 제어하여, 상기 방수유닛(100)에 물을 공급한다(S40). 그러면, 상기 방수유닛(100)에는 소방용수가 공급되어, 화재 지점에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S50). When the aiming is completed in step S30,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controls the pump unit 4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proof unit 100 (S40). Then, water for fire figh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proofing unit 100, and the water for fire fighting can be sprayed to the fire point (S50).

한편, 사용자는 원격 조작 패널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화재감지 시스템(11)의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방수유닛(100)의 카메라 모듈(120)의 촬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S60).Meanwhile, the user can output at least one of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11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of the waterproof unit 100 through the monitoring equipment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panel (S60 ).

한편, 상기 방수유닛(100)이 상기한 제 3 실시예와 같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들에 추가로, 상기 상기 방수유닛(100)을 보관 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승강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When the waterproofing unit 100 is installed in a manner such that the waterproofing unit 100 can be lifted and lowered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aterproofing unit 100 is controlled to ascend and descend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use position Step < / RTI > This is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시스템을 구성하면, 화재 발생 초기에 불꽃감지기,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한 즉시 방수포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포착하고 이동하여 화점을 정확히 조준하여 소화용수를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 초기에 즉시 화재진압이 가능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소화확인 후 자동으로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선피해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When the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e protection system detects fire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flame detector and thermal camera at the early stage of the fire, captures the spot where the fire occurred, moves it,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fire so as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Also, since the supply of fire water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after confirming the fire, repair damag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시스템은 옥내 및 옥외에도 설치 가능하므로 위험물 지역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도 소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자동소화 시스템의 방수포(110)는 불꽃 감지기,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와 연동하여 좌우 360°, 상향 90° 및 하향 90°로 자동으로 움직이므로 설치 후 상시 감시가 가능하며 카메라 모듈(120)이 장착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면을 통해 즉시 확인이 가능하므로 육안으로 화재 현장을 확인하면서 소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is system can be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ystem can be extinguished even in a place where danger is not accessible to people. In other words, the defoamer 110 of the present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utomatically moves to 360 °, 90 ° upward and 90 ° downward in synchronization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 flame detector and a thermal camera, 120) can be installed, it can be confirmed instantly through the screen when a fire occurs, so that it can be extinguished while checking the fire scene with the naked eye.

또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구조인원의 피해 없이 정확한 화재 진압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work unattended, accurate fire suppression can be performed remotely without damaging the rescue personnel.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대공간 건축 구조물 11; 화재감지 시스템
20; 중계기 30; 수동 조작 유닛
40; 펌프유닛 50; 원격 조작 패널
100; 방수유닛 200; 소방차량
300; 수용 챔버 310; 승강유닛
320; 커버부재
10; Large space building structure 11; Fire detection system
20; A repeater 30; Manual operation unit
40; A pump unit 50; Remote control panel
100; A waterproof unit 200; Fire truck
300; An accommodating chamber 310; Lift unit
320; The cover member

Claims (14)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
일단은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화재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방수유닛을 원격으로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펌프유닛과 연결되어 화점에 물을 살포하는 방수포;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영역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방수포가 바라보는 방향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가시광선 화상, 열 화상, 적외선 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촬영하여 화재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스위블 액츄에이터 또는 회전 및 틸팅 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위치를 상하좌우로 제어하는 회전 및 틸팅유닛; 및
화염 또는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상기 방수포와, 카메라 모듈 및 회전 밀 틸팅유닛을 보호하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지중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방수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챔버;
상기 수용 챔버의 상측 개구부의 밀폐가 가능한 커버유닛; 및
상기 방수유닛을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 파이프를 포함하여, 미사용 시에는 지중에 매설되고, 사용 시에만 지상으로 돌출되게 지중에 출몰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파이프는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공급받은 소방수를 상기 방수포로 공급하는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A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osed-circuit camera, an infrared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A pump unit and a waterproof unit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detection system;
A rela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to send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in response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And a joystick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manually controlling the waterproof unit remotely; ≪ / RTI &
The waterproof unit includes:
A waterproof film connected to the pump unit for spraying water on the spot;
And at least one of a visible light image, a thermal image, and an infrared image is photographed so as to capture a scre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roof film is view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ire water spraying area of the waterproof film, A camera module;
A swivel actuator or a rotary and tilting joint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position of the water spraying gun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nd a cover member for protecting the waterproof film, the camera module, and the rotary tilting unit from flames 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herein the camera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accommodating chamber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and forming an opening having an upper portion to receive the waterproof unit;
A cover unit capable of sealing an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A lif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waterproofing unit and an elevating pipe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plate in a telescopic manner, wherein the elevating unit is embedded in the ground when not in use and protrudes to the ground only when used, ,
Wherein the lifting pipe supplies the water-repellent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to the waterproof box.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폐쇄회로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불꽃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
일단은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화재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펌프유닛과 방수유닛에 제어 명령을 송출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유닛 및 방수유닛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화재감지 시스템의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방수유닛을 원격으로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펌프유닛과 연결되어 화점에 물을 살포하는 방수포;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영역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방수포가 바라보는 방향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적외선 화상, 열 화상, 가시광선 화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촬영하여 화재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스위블 액츄에이터 또는 회전 및 틸팅 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포의 소방수 살포 위치를 상하좌우로 제어하는 회전 및 틸팅유닛; 및
화염 또는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상기 방수포와, 카메라 모듈 및 회전 밀 틸팅유닛을 보호하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유닛이 소방차에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소방차의 수조에서 공급받은 소방수를 상기 방수포로 공급하는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A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osed-circuit camera, an infrared camera, a flam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A pump unit and a waterproof unit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detection system;
A rela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ystem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to send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in response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And a joystick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pump unit and the waterproof unit,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and manually controlling the waterproof unit remotely; ≪ / RTI &
The waterproof unit includes:
A waterproof film connected to the pump unit for spraying water on the spot;
And at least one of an infrared image, a thermal image, and a visible light image is photographed so as to capture a scre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roof film is view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ire water spraying area of the waterproof film, A camera module;
A swivel actuator or a rotary and tilting joint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position of the water spraying gun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nd a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waterproof film, the camera module, and the rotary tilting unit from flames 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camera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frame provided so that the waterproof unit is vertically elevably telescopically mounted to the fire engine,
Wherein the frame supplies the fir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of the fire truck to the waterproof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3121A 2014-05-01 2014-05-01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62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21A KR101562200B1 (en) 2014-05-01 2014-05-01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21A KR101562200B1 (en) 2014-05-01 2014-05-01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200B1 true KR101562200B1 (en) 2015-10-23

Family

ID=5442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121A KR101562200B1 (en) 2014-05-01 2014-05-01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2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185A (en) * 2016-06-28 2019-05-03 郑州莱兹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station Intelligent fire-fighting robot extinguishing device
CN111773597A (en) * 2020-05-29 2020-10-16 安博物联网科技(深圳)有限公司 Automatic tracking and positioning jet fire extinguishing cannon
CN113134201A (en) * 2021-04-25 2021-07-20 陕西东泽瑞科技开发有限公司 Intelligent visual flame detection and accurate fire-fighting and fire-extinguishing control system for fracturing well site
KR102543796B1 (en) *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Fire monitoring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tmospheric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installed in unmanned environmental monitoring st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894A (en) * 2004-03-30 2005-10-13 Azuma Sangyo:Kk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KR101119665B1 (en) * 2009-07-28 2012-03-1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It is a detection fire suppression device automatic point whether or not there is i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894A (en) * 2004-03-30 2005-10-13 Azuma Sangyo:Kk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KR101119665B1 (en) * 2009-07-28 2012-03-1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It is a detection fire suppression device automatic point whether or not there is ign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185A (en) * 2016-06-28 2019-05-03 郑州莱兹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station Intelligent fire-fighting robot extinguishing device
CN111773597A (en) * 2020-05-29 2020-10-16 安博物联网科技(深圳)有限公司 Automatic tracking and positioning jet fire extinguishing cannon
CN113134201A (en) * 2021-04-25 2021-07-20 陕西东泽瑞科技开发有限公司 Intelligent visual flame detection and accurate fire-fighting and fire-extinguishing control system for fracturing well site
KR102543796B1 (en) *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Fire monitoring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atmospheric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installed in unmanned environmental monitoring st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9305A (en) A fire fighting robot
KR101562200B1 (en) Water Cannon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36795B1 (en) Rainfall spraying system for firefighting of cultural assetas
US20200346057A1 (en) Fire Protection Robot for Controlling Fire Fighting Devices, Corresponding Fir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KR101259478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20200055597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robot device
KR20170107242A (en) Intelligent fire suppression system by tracking outbreak point of fi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38057B1 (en) Movabl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0604887B (en) Fire extinguishing robot,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cooling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for converter station valve hall
KR101999290B1 (en) A Fire-fighting apparatus
US20190152753A1 (en) System for assisting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danger on an aerial lift
KR102554731B1 (en) A mobile safety box fo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KR102361424B1 (en)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in building with adjustable sprinkler position
KR101984291B1 (en) Real time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2836514A (en) Automatic tracking and positioning je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039059B1 (en) Lift for fire engine
KR102441268B1 (en) Firefighting inspection system using drone
US7035758B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of inspection utilizing data acquisition and spatial correlation
KR101097409B1 (en) A safefy inspecting apparatus and the inspect method for fire fighting equipment
KR101406134B1 (en) Unattended automatic suppression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forest fire prevention and forest fire spread
KR20210145037A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20230123542A (en)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1628025B1 (en) Control-device to adjust the rotary-type nozzle for water shutter
JP5302801B2 (en)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radio control helicopter for water leakage detection
KR102181245B1 (en) Spurting apparatus of fir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