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110B1 - Su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Su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110B1
KR101562110B1 KR1020130132094A KR20130132094A KR101562110B1 KR 101562110 B1 KR101562110 B1 KR 101562110B1 KR 1020130132094 A KR1020130132094 A KR 1020130132094A KR 20130132094 A KR20130132094 A KR 20130132094A KR 101562110 B1 KR101562110 B1 KR 10156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handle
bar
rotated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0884A (en
Inventor
이동석
안희준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110B1/en
Publication of KR2015005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물림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손잡이가 결합된 바디,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바디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파지부, 제1손잡이와 제1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제1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제1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1구동링크부, 제2손잡이와 제2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제2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제2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2구동링크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수술용 봉합기구는, 바디 일단에 형성된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제1,2파지부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2손잡이의 바디 방향 접힘 여부에 따라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물림가이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힘 회동될 수 있는 바, 한 명의 사용자가 2가지의 대상을 각각 파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의 봉합시술시 수술부위 및 봉합침을 파지한 상태로 봉합침에 의한 봉합시술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제1,2파지부가 바디 일단에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작은 회동반경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 협소한 공간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having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thereof and a first bod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knobs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drive link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andle and the first grip portion to cause the first grip portion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a second drive link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handle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nd a second drive link portion for causing the second grip portion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 link portion.
In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folded in the body direction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guid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can be selectively folded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sticking guide, so that one user can grip two object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sutur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provided so as to have a small turning radius around the engagement guide at one end of the body so that they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Description

수술용 봉합기구{Suturing device}[0001] SUTUR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이 진행될 때에 수술용 바늘을 파지한 상태에서 절개된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사용되는 수술용 봉합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utur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suture apparatus used for suturing an incised surgical site in a state of holding a surgical needle at the time of surgery.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은 수술부위를 절개하여 실시되고, 절개된 수술부위를 봉합함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봉합시술은 봉합용실을 봉합침의 귀에 꿰어 절개된 수술부위의 연부를 따라 꿰매어 절개부위를 봉하게 된다. 이때 봉합침을 파지하여 수술부위의 조직을 찔러 뚫고, 봉합침을 파지하여 수술부위의 봉합을 실시하기 위한 도구로서 봉합기구가 사용된다.In general, surgical operations are performed by incising the surgical site and completing by sealing the incised surgical site. This suture is done by sewing the suture chamber through the ear of the suture needle and sewing along the edge of the incision site to seal the incision site. In this case, a suturing instrument is used as a tool to grasp the suture needle, to pierce the tissue at the surgical site, to grasp the suture needle, and to perform the suture of the surgical sit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봉합기구(10)는 X자로 축결합된 가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부(12)를 작동시키면, 봉합침을 파지하는 부위(18)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12)를 벌리게 되면, 손잡이부(12)에서 축까지의 연결부위(16)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 내를 봉합하는 과정이 수반될 경우, 연결부위(16)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봉합침을 파지하는 부위(18)의 구동이 제한된다. 즉, 종래의 봉합기구(10)는 비공이나 비강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을 봉합하는 시술을 진행하는 도중에 봉합침의 파지상태를 조절하기 어렵고 봉합시술에 최초 2명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봉합기구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431호(2011.08.31)에 제시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uturing mechanism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cissors axially joined to an X-axis. Therefore, when the handle portion 12 into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is operated, the portion 18 gripping the sealing needle moves. At this time, when the grip portion 12 is opened, the connection portion 16 from the grip portion 12 to the shaft is opened. Therefore, when the process of sealing the narrow space is accompanied, the driving of the portion 18 gripping the sealing needle is limited because there is no space for the connecting portion 16 to mov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uturing apparatus 10,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gripping state of the suturing needle during the procedure of sealing the narrow space such as the nostril or the nasal cavity, and the first two person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suturing procedure.
Such a conventional suturing mechanism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2011-0005431 (Aug. 31, 2011).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봉합시술이 가능함과 더불어 혼자서도 봉합시술을 할 수 있게 하는 수술용 봉합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gical sutur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suturing procedure in a narrow space and performing a suturing procedure alone.

본 발명은, 일단에 물림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손잡이가 결합된 바디, 상기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파지부,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1구동링크부, 상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2구동링크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thereof and having a first and a second handl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thereof; A first gripping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andle and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adapted to drive the first gripp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drive link portion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so that the second grip portion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handle.

또한, 상기 제1,2손잡이가 상기 바디의 외측방향으로 펼침회동시 각각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물림가이드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동하게 되며, 상기 제1,2손잡이가 상기 바디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회동시 각각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물림가이드 내측방향으로 접힘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opened and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unfol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ngagement guide,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s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can be folded and rotat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when folded and rotated.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2손잡이를 각각 상기 바디의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동된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knob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knobs are respectively extended and rotate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바디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1,2손잡이에는 각각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후크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시 상기 제1,2손잡이를 상기 바디의 내측방향으로 접힘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astening hook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hooks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when the fasten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he second handle can be fixed in a folded and rotated stat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상기 물림가이드에 대향되는 면부에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된 파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may include a gripping body hinged to the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a gripping surface formed so as to hav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body facing the engaging guide.

또한, 상기 제1구동링크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이동대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이동대 및 상기 제1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대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1파지부가 회동되게 하는 제1전달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link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a first connecting b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moving bas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reciprocally sli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a first transmission bar rotatably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ase to allow the first gripper to pivo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base.

또한, 상기 제2구동링크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바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이동대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이동대 및 상기 제2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대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2파지부가 회동되게 하는 제2전달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link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second moving bas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reciprocally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a second transmission bar hinged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base to allow the second gripper to pivo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able base.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기구는, 바디 일단에 형성된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제1,2파지부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2손잡이의 바디 방향 접힘 여부에 따라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물림가이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힘 회동될 수 있는 바, 한 명의 사용자가 2가지의 대상을 각각 파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의 봉합시술시 수술부위 및 봉합침을 파지한 상태로 봉합침에 의한 봉합시술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제1,2파지부가 바디 일단에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작은 회동반경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 협소한 공간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ngaging guid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can be selectively folded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sticking guide, so that one user can grip two objects,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sutur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with a small turning radius around the engaging guide so that they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도 1은 종래의 수술용 봉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기구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rgical suture apparatus.
2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기구의 구성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술용 봉합기구는, 바디(100), 제1파지부(200), 제2파지부(201), 제1구동링크부(300), 제2구동링크부(310)를 구비하고 있다.FIG. 2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rgical sut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FIG. 2 and 3, the surgical suture mechanism includes a body 100, a first grip portion 200, a second grip portion 201, a first driving link portion 300, (Not shown).

상기 바디(1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바디(100)에 이후 설명될 제1파지부(200), 제2파지부(201), 제1구동링크부(300), 제2구동링크부(310)가 연결 설치된다.The body 100 is a portion gripped by a user. The first grip portion 200, the second grip portion 201, the first drive link portion 300, and the second drive link portion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o the body 100.

여기서,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물림가이드(11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물림가이드(110)는 이후 설명될 제1파지부(200) 및 제2파지부(201)의 접힘 회동시 봉합침(도면미도시)이나 수술부위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물림가이드(110)는 제1파지부(200)의 접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파지부(20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봉합침이나 수술부위를 파지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제2파지부(201)의 접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파지부(20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봉합침이나 수술부위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Here, a locking guide 11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engaging guide 110 allows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1 to grip a sealing needle (not shown) or a surgical site at the time of folding and rotation of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1 to be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the engaging guide 110 can be configured to hold the suturing needle or the surgical si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0 by the folding and turning of the first gripping part 20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hold the suturing needle or the surgical sit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0 by folding and pivoting of the support part 201.

이같은, 상기 물림가이드(110)의 양측면, 즉 상기 제1,2파지부(200,201)의 접힘 회동시, 상기 제1,2파지부(200,201)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봉합침이나 수술부위를 미끄러짐없이 안정적인 파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요철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200 and 201 are folded and rotated, the suture needle or the surgical site is slid on the surface portions of the engagement guide 110 facing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200 and 201, The concavity and convexity 111 may be formed so as to enable stable grip without grasping.

그리고,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양측에는 제1손잡이(120)와 제2손잡이(121)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 구비한다. 즉,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제1손잡이(120)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는 제2손잡이(121)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제1손잡이(120)와 상기 제2손잡이(121)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하면서 이후 설명될 제1파지부(200) 및 제2파지부(201)를 회동시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One end of the first handle 120 is pivo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end of the second handle 12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Hinge coupling.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are rotated by the user and generate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200 and 201 .

이러한, 상기 제1손잡이(120)와 상기 제2손잡이(121)의 타단 일측에는 상기 제1손잡이(120)와 상기 제2손잡이(121)를 각각 상기 바디(100) 방향으로 접힘되도록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에 걸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후크(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손잡이(120)와 상기 제2손잡이(121)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체결후크(130)는 상기 제1손잡이(120) 및 상기 제2손잡이(121)를 접힘 회동시, 상기 바디(100)의 양측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31) 상에 삽입 상태로 걸림된다. 이때,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의 상기 체결홈(131)에 연통 설치되는 해제버튼(1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해제버튼(150)을 누를 경우 상기 해제버튼(150)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131)에 걸림된 상기 체결후크(130)를 밀면서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상기 제1손잡이(120)와 상기 제2손잡이(121)는 상기 바디(100)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되면서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The first knob 120 and the second knob 121 are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knobs 120 and 121 ar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fastening hooks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100 to be fastened to the body 100. When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are folded and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grips 120 and 121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hooks 130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20 and 121, (1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a release button 15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to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131. When the release button 150 is pushed, the end of the release button 150 pushes the locking hook 130 hooked on the locking groove 131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The second handle 121 is released from the state where the second handle 121 is fastened to the body 100, and the second handle 121 is free to rotate.

또한,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이후 설명될 제1구동링크부(300)의 제1이동대(303) 및 제2구동링크부(300)의 제2이동대(313)를 각각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돌출된 레일 구조나 요입된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Further, elevation guide por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respectively. 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303 of the first driving link part 300 and a second moving part 313 of the second driving link part 300, And is guid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elevating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f a protruded rail structure or recessed groove structur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더불어,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상기 제1손잡이(12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제2손잡이(121)의 길이방향 타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0)가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과 상기 제1손잡이(120)의 길이방향 타단,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타측과 상기 제2손잡이(121)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손잡이(12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제2손잡이(121)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바디(100)의 외측 방향으로 펼침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An elastic member 1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1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0 in the width direction, . That is, the elastic member 140 is disposed betwee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120,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handle 121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121 are held in a deployed stat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100 .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는 상기 바디(100)의 물림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는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배치되는 대상(도면미도시) 및 상기 제2파지부(201)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배치되는 대상(도면미도시)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지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제1손잡이(12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이후 설명될 제1구동링크부(300)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지부(201)는 상기 바디(100)의 제2손잡이(121)의 회동 동작에 따라 이후 설명될 제2구동링크부(310)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는 파지몸체(210), 파지면(220)을 포함한다.The first grip portion 200 and the second grip portion 201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such that the first grip portion 200 and the second grip portion 201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guide 110 of the body 100 And is rotatably coupled.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1 may be disposed between an objec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engagement guide 110 and a second gripping par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gripper 201 and the engaging guide 110 can be selectively gripped. The first grip portion 200 is rotated by the first drive link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120 of the body 100. The second grip portion 201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e link portion 31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econd handle 121 of the body 100. The first gripper 200 and the second gripper 201 include a gripping body 210 and a gripping surface 220.

상기 파지몸체(210)는 상기 바디(100)의 물림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100)의 폭방향 일측 및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211)로 결합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는 상기 파지몸체(210)의 일단은 이후 설명될 제1구동링크부(300) 또는 제2구동링크부(310)와 각각 연결되어, 제1구동링크부(300) 또는 제2구동링크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손잡이(120)나 상기 제2손잡이(121)의 회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게 된다.The gripping body 210 is coupled to one side and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with a hinge 211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engagement guide 110 of the body 100. One end of the gripping body 210 coupled to the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link 300 or the second drive link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drive link unit 310 or the second drive link unit 310 are received and rotated.

이러한, 상기 파지몸체(210)의 상기 물림가이드(110)에 대향되는 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파지몸체(210)가 상기 바디(100)의 물림가이드(110) 방향으로 접힘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물림가이드(11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된 파지면(220)이 마련된다. 이같은, 상기 파지면(220)은 상기 물림가이드(110)와 상기 파지몸체(210) 사이에 대상을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파지상태를 유지되게 한다.The gripping body 21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110 of the body 100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guide 110 of the gripping body 210. More specifically, A holding surface 220 formed to have irregularities is provided on a surface portion facing the engaging guide 110. The gripping surface 220 prevents slipping when gripping an object between the gripping guide 110 and the gripping body 210,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gripping state.

이같이,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의 각 파지몸체(210)는 상기 바디(100)의 물림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바디(100)의 일단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 결합된 바, 상기 파지몸체(210)의 회동반경이 작아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봉합시술시에도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The gripping bodies 210 of the first gripping unit 200 and the gripping bodies 210 of the second gripping unit 201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guide 110 of the body 100, The swinging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one end of the swinging body 100 by a hinge so that the swinging body 210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손잡이(1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200)가 상기 바디(100) 상에서 회전 구동되게 한다. 즉,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는 상기 제1손잡이(120)의 회전력을 상기 제1파지부(200)로 전달하여, 상기 제1파지부(200)가 회전하면서 상기 물림가이드(110)와 상기 제1파지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대상을 가압상태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의 일단은 상기 제1손잡이(120)에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파지부(200)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는 제1연결바(301), 제1이동대(302), 제1전달바(303)를 포함한다.The first driving link part 300 causes the first grip part 200 to be rotationally driven on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120 by the user's operation. That is, the first driving link part 30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handle 120 to the first gripper part 200, and the first gripper part 200 rotates, ) And the first gripper (200) in a pressurized state.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link portion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rip portion 200. The first driving link unit 30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301, a first moving bar 302, and a first transmitting bar 303.

상기 제1연결바(301)는 상기 제1손잡이(120)와 제1이동대(302)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바(30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1손잡이(1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제1이동대(30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상호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1연결바(301)는 상기 제1손잡이(120)의 회동력을 제1이동대(302)로 전달하게 된다.The first connecting bar 301 is a member connecting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first moving table 302.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120 so as to be rotatable as a hinge 304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base 302 And is rotatably interconnected as a hinge (304). 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transmits the turning force of the first handle 120 to the first moving base 302.

상기 제1이동대(302)는 상기 제1연결바(301)와 제1전달바(30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이동대(302)는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가이드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대(30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결바(301)의 길이방향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제1전달바(303)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1이동대(302)는 상기 제1손잡이(120)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제1전달바(303)로 전달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base 302 is a memb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and the first transmitting bar 303. The first moving table 302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elevation guid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bar 302 as a hinge 304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bar 3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and coupled as a hinge 304 so as to be rotatable. Thus, the first moving base 302 transmits the turn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knob 120 to the first transmitting bar 303.

상기 제1전달바(303)는 상기 제1이동대(302)와 상기 제1파지부(200)의 파지몸체(21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전달바(303)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1이동대(302)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1파지부(200)의 파지몸체(2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04)로서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1전달바(303)는 상기 제1이동대(302)의 상기 바디(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력을 상기 제1파지부(200)의 파지몸체(210)로 전달하여 상기 파지몸체(210)가 상기 바디(100) 상에서 회동되게 한다.The first transfer bar 303 is a member connecting the first moving base 302 and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first gripping unit 200.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transfer bar 30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base 302 as a hinge 304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transfer bar 303 is coupled to the first gripper 200, The hinge 304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body 210. [ The first transmission bar 303 transmits the moving force of the first moving bar 302 sliding on the body 100 to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first gripper 200, So that the gripping body 210 is rotated on the body 100.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2손잡이(12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201)가 상기 바디(100) 상에서 회전 구동되게 한다. 즉,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는 상기 제2손잡이(121)의 회전력을 상기 제2파지부(201)로 전달하여, 상기 제2파지부(201)가 회전하면서 상기 물림가이드(110)와 상기 제2파지부(201) 사이에 배치되는 대상을 가압상태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의 일단은 상기 제2손잡이(121)에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파지부(201)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는 제2연결바(311), 제2이동대(312), 제2전달바(313)를 포함한다.The second driving link portion 310 causes the second grip portion 201 to be rotationally driven on the body 1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handle 121 by the user's operation. That is, the second driving link portion 31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handle 121 to the second gripper 201, and the second gripper 201 rotates, ) And the second gripper (201) in a pressurized state. One end of the second drive link 3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12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201. Here, the second driving link 310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bar 311, a second moving bar 312, and a second transmitting bar 313.

상기 제2연결바(311)는 상기 제2손잡이(121)와 제2이동대(312)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바(31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2손잡이(12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제2이동대(31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상호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2연결바(311)는 상기 제1손잡이(121)의 회동력을 제2이동대(312)로 전달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is a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handle 121 and the second moving base 312. On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121 as a hinge 314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bar 312 And is hingedly coupled as a hinge (314). Thus,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transmits the turning force of the first handle 121 to the second moving base 312.

상기 제2이동대(312)는 상기 제2연결바(311)와 제2전달바(31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이동대(312)는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가이드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대(312)의 일측에는 상기 제2연결바(311)의 길이방향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제2전달바(313)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2이동대(312)는 상기 제2손잡이(121)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제2전달바(313)로 전달하게 된다.The second moving bar 312 is a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and the second transmitting bar 313. The second moving table 312 is slidably mounted on the elevation guid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bar 312 as a hinge 314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bar 3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hingedly connected as a hinge 314 at one end. Thus, the second moving bar 312 transmits the turn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knob 121 to the second transmitting bar 313.

상기 제2전달바(313)는 상기 제2이동대(312)와 상기 제2파지부(201)의 파지몸체(21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전달바(313)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2이동대(312)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파지부(201)의 파지몸체(2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14)로서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제2전달바(313)는 상기 제2이동대(312)의 상기 바디(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력을 상기 제2파지부(201)의 파지몸체(210)로 전달하여 상기 파지몸체(210)가 상기 바디(100) 상에서 회동되게 한다.The second transfer bar 313 is a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moving table 312 and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second gripping unit 201. On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bar 3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rod 312 as a hinge 314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bar 313 is coupled to the second gripper 201, And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body 210 as a hinge 314. The second transmission bar 313 transmits the moving force of the second moving bar 312 sliding on the body 100 to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second gripper 201, So that the gripping body 210 is rotated on the body 100.

이같이,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는 상기 바디(100)의 제1손잡이(120) 회동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제1파지부(200)로 전달하고,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는 상기 바디(100)의 제2손잡이(121) 회동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제2파지부(201)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 및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손잡이(120) 및 상기 제2손잡이(121) 각각의 파지동작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게 함으로서, 한명의 사용자가 두가지의 대상을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일예로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수술부위를 파지시킨 후, 상기 제2파지부(201)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는 봉합침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한명의 상요자가 수술부위에 대한 봉합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driving link 30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handle 120 of the body 100 to the first gripper 200 and the second driving link 31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body 100 to the first gripper 200,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handle 121 of the body 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ripper 201. That is, the first driving link portion 300 and the second driving link portion 31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links 300 and 310 in accordance with the grasping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holding unit 20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201 are independently operated, so that on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while gripping two objects. That is, for example, after a surgical site is gripp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engaging guide 110, a suturing needle is gripped between the second gripping part 201 and the engaging guide 110 So that one superior surgeon can perform a suturing operation on the surgical sit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수술용 봉합기구를 이용한 수술부위의 봉합작업을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손잡이(120) 및 상기 제2손잡이(121)의 접힘 동작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1)의 각 파지몸체(210)는 상기 바디(100)의 외측방향으로 펼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봉합침을 파지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바디(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손잡이(120)를 상기 바디(100) 방향으로 접힘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손잡이(120)의 회동력이 상기 제1구동링크부(300)의 제1연결바(301)로 전달된 후, 상기 제1이동대(302)가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달바(303)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파지부(200)의 파지몸체(210)를 잡아 당긴다. 이때, 상기 제1파지부(200)의 파지몸체(210)는 상기 바디(10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물림가이드(110)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배치된 봉합침을 가압상태로 파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손잡이(120)의 체결후크(130)를 상기 바디(100)의 체결홈(131)에 삽입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의 상기 봉합침은 안정적인 파지상태로 유지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120 and the second handle 121 by the user,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surgical site using the surgical sutur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 The gripping bodies 210 of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201 are maintained to be exten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100. In this state, the suturing needle is gripp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engagement guide 110. That is, the user folds the first handle 120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while holding the body 100. After the turning force of the first knob 12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301 of the first driving link part 300 and the first moving part 302 is mov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301 of the body 100,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first grip portion 200 connected by the first transmission bar 303 is pulled while sliding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first gripping part 2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110 about the hinged part of the body 100, So that the suture needle disposed between the engaging guides 110 is held in a pressurized state. The first grip portion 130 of the first handle 120 is fixed in the engagement groove 131 of the body 100 while the first grip portion 200 and the engagement guide 110 ) Is maintained in a stable gripping state.

이후, 상기 제2파지부(201)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수술부위를 파지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바디(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손잡이(121)를 상기 바디(100) 방향으로 접힘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손잡이(121)의 회동력이 상기 제2구동링크부(310)의 제2연결바(311)로 전달된 후, 상기 제2이동대(312)가 상기 바디(100)의 길이방향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전달바(313)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파지부(201)의 파지몸체(210)를 잡아 당긴다. 이때, 상기 제2파지부(201)의 파지몸체(210)는 상기 바디(10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물림가이드(110)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2파지부(201)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배치된 수술부위를 가압상태로 파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121)의 체결후크(130)를 상기 바디(100)의 체결홈(131)에 삽입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제2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의 상기 수술부위를 안정적인 파지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reafter, the surgical site is held between the second gripper 201 and the engaging guide 110. That is, the user folds the second handle 121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while holding the body 100. After the turning force of the second knob 12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of the second driving link 310 and the second moving bar 312 is moved to the second connecting bar 311 of the body 100, And pulls the holding body 210 of the second holding portion 201 connected by the second transmission bar 313 while sliding in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gripping body 210 of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0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110 about the hinged portion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01, Thereby holding the surgical site disposed between the engaging guides 110 in a pressurized state. The second grip portion 200 and the engaging guide 1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the engaging hook 130 of the second handle 121 is fixed in the engaging groove 131 of the body 100, In a stable gripping state.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바디(100)를 파지한 상태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파지부(200)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파지된 상기 봉합침을 이용하여 상기 제2파지부(201)와 상기 물림가이드(110) 사이에 파지된 상기 수술부위에 대한 봉합시술을 수행하게 된다.T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while holding the body 100, and moves the second gripping part 200, using the sealing needle held between the first gripping part 200 and the engaging guide 110, 201) and the engaging guide (110).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수술용 봉합기구는, 상기 바디(100) 일단에 형성된 물림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제1,2파지부(200,201)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2손잡이(120,121)의 상기 바디(100) 방향 접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200) 및 상기 제2파지부(200)가 상기 물림가이드(11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접힘 회동될 수 있는 바, 한 명의 사용자가 2가지의 대상을 각각 파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의 봉합시술시 수술부위 및 봉합침을 파지한 상태로 봉합침에 의한 봉합시술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상기 제1,2파지부(200,201)가 상기 바디(100) 일단에 상기 물림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작은 회동반경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 협소한 공간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in the surgical suture apparatus of the embodi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200 and 201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h sides of the sticking guide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00, The first grip portion 200 and the second grip portion 200 are selective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110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grips 120 and 121 are folded in the body 100 direction, Since a single user can grasp two objects individually,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uturing operation by a suturing needle in a state of holding a surgical site and a suturing needle in a suturing operation of a surgical operation, The two gripping portions 200 and 201 can be used in a narrow sp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100 so as to have a small turning radius around the engagement guide 11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바디 110: 물림가이드
120: 제1손잡이 121: 제2손잡이
130: 체결후크 140: 탄성부재
200: 제1파지부 201: 제2파지부
210: 파지몸체 220: 파지면
300: 제1구동링크부 310: 제2구동링크부
100: Body 110: Bite Guide
120: first handle 121: second handle
130: fastening hook 140: elastic member
200: first grip portion 201: second grip portion
210: gripping body 220: gripping surface
300: first driving link portion 310: second driving link portion

Claims (7)

일단에 물림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손잡이가 결합된 바디와;
상기 물림가이드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파지부와;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1구동링크부; 및,
상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파지부가 구동되게 하는 제2구동링크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A body having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first and a second handle pivotably coupled to the opposite sides thereof;
A first and a second gripping part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around the engaging guide;
A first driving link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handle and the first grip portion to cause the first grip portion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And
And a second drive link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handle and the second grip portion to cause the second grip portion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ond hand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손잡이가 상기 바디의 외측방향으로 펼침회동시 각각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물림가이드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동하게 되며,
상기 제1,2손잡이가 상기 바디의 내측방향으로 접힘회동시 각각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물림가이드 내측방향으로 접힘 회동하게 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extended and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unfol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ngagement guide,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folded and rotat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engaging guide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folded and rotated inward of the bod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제1,2손잡이를 각각 상기 바디의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동된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knobs in a state that the first and second knobs are respectively extended and rotate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제1,2손잡이에는 각각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후크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시 상기 제1,2손잡이를 상기 바디의 내측방향으로 접힘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 both sides of the body,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astening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and when the fastening hooks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are fol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and rotated Surgical suture fix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파지부는,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의 상기 물림가이드에 대향되는 면부에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된 파지면을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may include:
A grip body rotatably hinged to the body,
And a gripping surface formed so as to have a concavo-convex portion on a surface portion of the gripping body opposite to the engaging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링크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이동대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이동대 및 상기 제1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대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1파지부가 회동되게 하는 제1전달바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ive link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in whic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A first connection bar slid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slidably mov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bar, The mobile station,
And a first transmission bar for pivotably hinging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first gripping part so that the first gripping part is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Instru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링크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바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이동대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이동대 및 상기 제2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대의 이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2파지부가 회동되게 하는 제2전달바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rive link portion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bar in whic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And a second connecting bar which is slid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so as to be reciprocally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The mobile station,
And a second transmission bar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both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s of the second movable base and the second grasping portion so as to pivot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able base, Instrument.

KR1020130132094A 2013-11-01 2013-11-01 Suturing device KR101562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94A KR101562110B1 (en) 2013-11-01 2013-11-01 Su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94A KR101562110B1 (en) 2013-11-01 2013-11-01 Sut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84A KR20150050884A (en) 2015-05-11
KR101562110B1 true KR101562110B1 (en) 2015-10-21

Family

ID=5338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094A KR101562110B1 (en) 2013-11-01 2013-11-01 Su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11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847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knot pressure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0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device housing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4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moving and fasten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9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needle movement and rotation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3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Adsorption pull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52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50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knot form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789B (en) * 2017-12-26 2024-02-13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Handle assembly and anastomat comprising same
CN109953792B (en) * 2017-12-26 2024-02-13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Handle assembly and anastomat comprising same
CN108420465B (en) * 2018-03-30 2023-10-31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Sample transfer apparatus
CN114504355B (en) * 2022-02-14 2024-02-13 郭朝辉 Auxiliary device for removing stone in hepatobiliary surg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0125A (en) 2004-05-21 2008-01-10 ニートスティッチ リミティド Suture device
KR101153306B1 (en) 2009-10-26 2012-06-05 국립암센터 Suturing device for surgery
JP2013111119A (en) 2011-11-25 2013-06-10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Gripper, needle holder, and attach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0125A (en) 2004-05-21 2008-01-10 ニートスティッチ リミティド Suture device
KR101153306B1 (en) 2009-10-26 2012-06-05 국립암센터 Suturing device for surgery
JP2013111119A (en) 2011-11-25 2013-06-10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Gripper, needle holder, and attach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847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knot pressure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0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device housing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4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moving and fasten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9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needle movement and rotation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43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Adsorption pull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52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20190072850A (en) 2017-12-18 2019-06-26 육상수 Suture yarn knot forming device of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84A (en)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110B1 (en) Suturing device
JP6983961B2 (en) Wearing devices for surgical systems and how to use them
EP2238919A2 (en) Endoscopic apparatus for manipulating tissue
AU2015302216B2 (en) Robotically controlling mechanical advantage gripping
CN206482658U (en) Surgical operating instrument and surgery forceps
JP2017023701A5 (en)
CN106456202A (en) Surgical grasper
US20140339286A1 (en) Surgical stapling and cutting apparatus, clamp mechanisms, systems and methods
US20160270808A1 (en) Anvil grasper
US11786321B2 (en) Robotic surgical tools with latching mechanism
JP6723168B2 (en) Tissue access device
KR101447266B1 (en) App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KR20200067167A (en) Surgical instruments with occluded blades
EP2939606A1 (e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N106491184B (en) Double-duckbilled intestinal forceps for operation
WO2015169058A1 (en) Anvil holding forceps head for stapler used in esophagus during thoracoscopy procedure and holding forceps with the forceps head
CN103445823A (en) Cardiac minimally-invasive surgery scissors
CN105433999A (en) Surgery operation instrument safety device and surgery operation instrument
KR101330256B1 (en) Flexible surgical tool for laparoscopic operation
CN113925569A (en) Universal forceps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CN203506788U (en) Heart minimally-invasive surgery needle holder
CN106037843B (en) Knotting device for operation
CN220713990U (en) Wavy non-invasive mammary tissue forceps for endoscope
CN203506838U (en) Heart minimally-invasive surgery scissors
EP3498179B1 (en) Tissue cl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