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939B1 -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939B1
KR101560939B1 KR1020130163199A KR20130163199A KR101560939B1 KR 101560939 B1 KR101560939 B1 KR 101560939B1 KR 1020130163199 A KR1020130163199 A KR 1020130163199A KR 20130163199 A KR20130163199 A KR 20130163199A KR 101560939 B1 KR101560939 B1 KR 10156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member
mounting plate
chute
lin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4940A (en
Inventor
양경식
최정희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93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슈트 내 고정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설치판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는 접촉봉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라이너 부재와, 상기 접촉봉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접촉센서 및 상기 접촉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이너 부재의 이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슈트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A liner member fixedly installed in the chute and having a through hole, a liner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plate, the liner member having a contact ba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fixed to the mounting pl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ar Disclosed is a chute protecting device, which includes a contact sensor and a displa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for indicating a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Description

슈트 보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본 발명은 슈트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ute prote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제철공장 등과 산업체에서는 연/원료의 운송수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벨트 컨베이어에는 연,원료가 다음 벨트 컨베이어로 실리도록 하기 위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슈트(chute)가 사용된다.Generally, in steel mills and industries, belt conveyors are used as means for transporting raw materials. In addition, a chute is used in the belt conveyor, which provides a conveying path so that the raw material is conveyed to the next belt conveyor.

한편, 연,원료가 슈트 내부로 인입되어 낙하되는 경우 슈트의 내부면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슈트 내부에는 연,원료가 접촉되는 슈트 보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연,원료가 슈트 보호 장치에 접촉되도록 하여 슈트의 내부면 손상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chute may be damaged when the lead and the raw material are drawn into the chute and fall, the chut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ute so that the lead and the raw materia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titches and raw materi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ute protecting device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of the chute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슈트 보호 장치에는 연,원료가 접촉되는 라이너 부재가 구비되는데,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슈트 보호 장치에 설치되는 라이너 부재가 장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ute protec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liner member to which the raw material comes into contact, and the liner member provided on the chute protecting apparatus can be detached from the apparatus due to the long-term use.

이 경우, 낙하되는 라이너 부재에 의해 벨트에 접촉되거나 꽂히면서 벨트가 찢어지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라이너 부재가 이탈되는 경우 라이너 부재는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면서 추가적인 장비의 손상을 초래한다.In this case, damage may occur, such as tearing of the belt as it is contacted or stuck to the belt by the falling liner member. Further, when the liner member is released, the liner member is transported along the belt conveyor, resulting in additional equipment damag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된 라이너 부재를 찾고자 하는 경우 라이너 부재의 이탈 시점을 알 수 없으므로 벨트 컨베이어 전체를 정지시켜 라이너 부재를 찾아야 한다. 이와 같이 라이너 부재의 이탈 시점을 인지할 수 없어 라이너 부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고 설비 정지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stop the entire belt conveyor to find the liner memb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departure point of the liner member when trying to find the separated liner memb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me point when the liner member is released can not be recognized, the position of the liner member can not be grasp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quipment stop time is excessive.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1560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15607

라이너 부재의 이탈을 인지할 수 있는 슈트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A chute protecting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departure of a liner memb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는 슈트 내 고정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설치판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는 접촉봉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라이너 부재와, 상기 접촉봉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접촉센서 및 상기 접촉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이너 부재의 이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ute prot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mounting plate fixedly installed in a chute and having a through hole; a liner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plate and having a contact ro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and displaying a deviation of the liner member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act sensor.

상기한 슈트 보호 장치는 상기 설치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라이너 부재의 이탈 시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ute prot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member which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plate and closes the through hole when the liner member is released.

상기한 슈트 보호 장치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ute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라이너 부재는 상기 설치판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liner member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through bolts and nuts.

상기 라이너 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 부재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liner members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ntact sensor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r members.

라이너 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봉을 통해 라이너 부재의 이탈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tact rod contacting the liner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가 설치되는 원료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raw material transfer apparatus in which a suit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uit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it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가 설치되는 원료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aw material conveying device in which a chute prot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chute prot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it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100)는 일예로서, 설치판(110), 라이너 부재(120), 접촉센서(130), 디스플레이트부(140) 및 개폐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hrough 3, a chute pro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late 110, a liner member 120, a contact sensor 130, a display unit 14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설치판(110)은 슈트(10) 내 고정 설치되며,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은 라이너 부재(1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11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hute 10, and a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The through holes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liner members 120.

한편, 설치판(112)은 벨트 컨베이터(1)에 의해 이송되는 연,원료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슈트(10)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late 112 may be installed in the chute 10 so as to be disposed on the feeding path of the raw material and the raw material to be conveyed by the belt conveyor 1.

또한, 설치판(112)은 낙하되는 연,원료에 의해 슈트(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슈트(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판(112)은 일예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the mounting plate 112 can be firmly mounted on the chute 1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hute 10 by the flame or raw material to be dropped. Further, the mounting plate 112 may have a plate shape as an example.

라이너 부재(120)는 관통홀(112)에 삽입 배치되는 접촉봉(122)을 구비하며, 설치판(112)에 고정 설치된다. 접촉봉(122)은 라이너 부재(1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관통홀(112)을 통과하여 설치판(110)의 배면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liner member 120 has a contact rod 12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2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plate 112. The contact rod 122 protrude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liner member 120 and may protrud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봉(12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봉(122)은 별도로 제작되어 라이너 부재(120)에 접합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ct rod 122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joined to the liner member 120. [0052]

또한, 접촉봉(122)은 사각 기둥, 원 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contact rod 12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column, a circular column, and the like.

그리고, 라이너 부재(120)는 낙하되는 연,원료에 접촉되므로, 낙하에 의한 마모를 견딜 수 있도록 내마모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ner member 120 is made of a wear-resistant material so as to withstand abrasion due to falling becaus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terial to be dropped.

한편, 라이너 부재(120)에는 설치판(112)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나사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라이너 부재(120)는 설치판(112)으로부터의 이탈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판(112)에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ner member 120 may be formed with a screw hole 124 for fixing to the mounting plate 112. That is, the liner member 120 can b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112 through the bolts B and the nuts N in order to reduce the deviation from the mounting plate 112.

그리고, 라이너 부재(120)는 설치판(112)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설치판(112)에 설치될 수 있다.
The liner member 120 may have a plate shape like the mounting plate 112, and a plurality of the liner memb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112.

접촉센서(130)는 접촉봉(122)에 접촉되도록 설치판(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130)는 라이너 부재(120)가 설치판(110)으로 이탈되는 경우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송출하여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act sensor 130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od 122. The contact sensor 130 serves to transmit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140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to the mounting plate 110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recognize the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120 .

즉, 접촉센서(130)는 라이너 부재(1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접촉봉(122)에 접촉되어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contact sensor 130 contacts the contact rod 122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liner member 120 to detect the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120.

또한, 접촉센서(130)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라이너 부재(1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설치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contact sensors 13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iner members 120 to which a plurality of the contact sensors 130 are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110.

이에 따라, 복수개의 라이너 부재(120) 중 어느 하나만이 설치판(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ner members 12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plate 110, it can be sensed.

한편, 접촉센서(130)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접촉센서(130)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벨트 컨베이어(1) 전체 설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된 라이너 부재(120)가 벨트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보다 용이하게 이탈된 라이너 부재(120)를 회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act sensor 13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entire facility of the belt conveyor 1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act sensor 130. As a result, the separated liner member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veyed by the belt conveyor 1, and the liner member 120 can be recovered more easily.

디스플레이부(140)는 접촉센서(130)에 연결되어 접촉센서(13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표시한다. 그리고, 접촉센서(13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40)는 접촉센서(130)와 무선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splay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130 to indicate the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120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130. The touch sens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40 via a cable C.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130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한편,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라이너 부재(120)와 접촉센서(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라이너 부재(120) 중 어떤 라이너 부재(120)가 이탈되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display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iner member 120 and the contact sensor 130 so that any of the plurality of liner members 120 Can be perceived more clearly.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접촉센서(13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송신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부재로 인하여 라이너 부재(120)의 미쳐 인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된 시간을 통해 라이너 부재(120)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벨트 컨베이어(1)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설비정지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130. [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asily find the liner member 120 through the time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even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not opened or closed due to the member of the operator, Can be reduced, and further, the facility stoppage time can be reduced.

개폐부재(150, 도 2 참조)는 설치판(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 관통홀(112)을 폐쇄한다. 즉, 라이너 부재(120)가 이탈되는 경우 접촉봉(122)의 인출로 인하여 개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낙하되는 연,원료가 관통홀(112)을 통해 설치판(110)의 배면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see FIG. 2)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plate 110, and closes the through hole 112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That is,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detached, the contact rod 122 can be opened due to the drawing of the contact rod 122. In this case, the dropped frit or raw material flows into the back side of the mounting plate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

하지만,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 개폐부재(150)가 자중에 의해 낙하됨으로써 관통홀(112)을 통한 연,원료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inflow of the lead and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can be blocked.

한편, 설치판(110)에는 개폐부재(150)의 슬라이딩 이동 시 개폐부재(15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60, 도 2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50)가 관통홀(112)을 보다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The mounting plate 1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mber 160 (see FIG. 2)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is slidingly moved.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can more stably close the through hole 112. [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130)를 통해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으며,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보다 확실히 인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ation of the liner member 120 can be sensed through the contact sensor 130, and the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120 can be more clearly recognized.

나아가, 접촉센서(130)에 연결된 제어부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1) 전체를 정지시킬 수 있어 라이너 부재(120)의 회수가 용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ntire belt conveyor 1 can be stopped through th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130, so that the liner member 120 can be easily recovered.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1)를 정시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라이너 부재(120)의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so, even when the belt conveyor 1 is not stopped, the time for which the liner member 120 is removed can be confirmed, and the liner member 120 can be more easily recovered.

또한, 개폐부재(150)를 통해 관통홀(112)을 폐쇄함으로써, 연,원료가 관통홀(112)을 통해 설치판(110)의 배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112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to prevent the lead and the raw material from flowing to the back side of the mounting plate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보호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ut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슈트 보호 장치(100)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부재(120)에 마모가 발생된다. 이 경우 라이너 부재(120)를 설치판(110)에 고정 설치하는 볼트(B)와 너트(N)가 라이너 부재(12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라이너 부재(120)의 관통홀(112) 주위 영역이 마모에 의해 볼트(B)가 관통홀(11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First, wear of the liner member 120 occurs as shown in Fig. 3 due to the long-term use of the shoe protector 100. Fig. The bolts B and the nuts for fixing the liner member 120 to the mounting plate 110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liner member 120 or the through holes The bolt B may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112 by abrasion of the peripheral region.

이와 같이, 라이너 부재(120) 또는 볼트(B)와 너트(N)에 마모가 발생되면 라이너 부재(1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판(1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wear of the liner member 120 or the bolts B and the nuts N occurs, the liner member 120 may be detached from the mounting plate 11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라이너 부재(120)가 설치판(110)으로부터 이탈되면 라이너 부재(120)에 구비되는 접촉봉(122)이 접촉센서(130)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liner member 12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plate 110, the contact rod 122 provided on the liner member 120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sensor 130.

그리고, 접촉봉(1220)이 접촉센서(130)로부터 이격되면 접촉센서(130)는 디스플레이부(140)로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복수개의 라이너 부재(120) 중 이탈된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표시한다.When the contact rod 1220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sensor 130, the contact sensor 130 transmi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40 transmits a signal to the liner member 120, (120).

그리고, 접촉센서(130)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벨트 컨베이어(1)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벨트 컨베이어(1)를 정지시키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ontact sensor 130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belt conveyor 1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f the contact sensor 130 does not stop the belt conveyor 1,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liner member 120.

이와 같이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 디스플레이부(140)에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lease of the liner member 12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한편,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 시 개폐부재(150)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설치판(110)의 관통홀(112)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관통홀(112)을 통한 연,원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50)의 하단부는 지지부재(160)에 지지되어 관통홀(112)을 보다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ner member 120 is releas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slides and closes the through hole 112 of the mounting plate 110. Thus, the inflow of the lead and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60, so that the through hole 112 can be more stably closed.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130)를 통해 라이너 부재(120)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of the liner member 120 through the contact sensor 130 can be more reliably recogniz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슈트 보호 장치
110 : 설치판
120 : 라이너 부재
130 : 접촉센서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개폐부재
160 : 지지부재
100: Shoot protector
110: Mounting plate
120: liner member
130: contact sensor
140:
150:
160: Support member

Claims (5)

슈트 내 고정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되는 설치판;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는 접촉봉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라이너 부재;
상기 접촉봉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접촉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이너 부재의 이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설치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라이너 부재의 이탈 시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슈트 보호 장치.
A mounting plate fixedly installed in the chute and formed with a through-hole;
A liner member fixed to the mounting plate and having a contact ro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contact sensor fixedly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od;
A displa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and displaying a deviation of the liner member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slidably installed on the mounting plate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when the liner member is released;
Wherein the chute protection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슈트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부재는 상기 설치판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슈트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er member is fixed to the mounting plate through bolts and nu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 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슈트 보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aid liner members are provided on said mounting plate, and said contact sensors are provided on each of said plurality of liner members.
KR1020130163199A 2013-12-24 2013-12-24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KR101560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99A KR101560939B1 (en) 2013-12-24 2013-12-24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99A KR101560939B1 (en) 2013-12-24 2013-12-24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940A KR20150074940A (en) 2015-07-02
KR101560939B1 true KR101560939B1 (en) 2015-10-15

Family

ID=5378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199A KR101560939B1 (en) 2013-12-24 2013-12-24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93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54B1 (en) 2011-03-08 2011-05-03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Chute liner fixing apparatus of conveyor belt enabling maintenance time prediction of l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54B1 (en) 2011-03-08 2011-05-03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Chute liner fixing apparatus of conveyor belt enabling maintenance time prediction of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940A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6876B2 (en) Apparatus to load electrode cap magazines
MX348299B (en) Coin separation device.
KR101196444B1 (en) Total monitoring apparatus amd method of conveyor system
KR101560939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hute
JP6712564B2 (en) Foreign object detector
KR20140056575A (en) Damage sensing device for belt conveyor
KR101641333B1 (en) Plugging switch of chute
KR20140003765A (en) Safety apparatus for belt conveyor
KR100792843B1 (en) Closed perception apparatus for raw material chute
KR101626825B1 (en) Apparatus for sensing and indicating serpentine moving of conveyor belt
US20170240362A1 (en) Conveying device
FR3027139B1 (en) INSTALL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HANDLING PACKAGES
KR10129559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of belt conveyer
CN104326216B (en) Material transportation displacement limiting device capable of warning
CN205973187U (en) Coil stock is prevented off tracking, is prevented inspection device that arches
CN210426579U (en) Can inverting detection device
KR101633982B1 (en) Apparatus for sensing belt cut of conveyer belt and method for sensing belt cut using thereof
CN203833169U (en) Rubber belt anti-tear device based on infrared temperature sensor
CN106956906B (en) Intelligent deviation switch with amplifying mechanis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1421884B1 (en) Apparatus for omnidirectional detecting the blocking a chute
CN207566379U (en) A kind of belt feeder belt protective device against longitudinal tear, comprehensive protector and system
KR10147710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en ore
CN205441069U (en) Macromolecular material baling lin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KR10164720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iler of bucket of apron conveyor
CN104973396A (en) Anti-blockage and anti-overflowing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belt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