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784B1 -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 Google Patents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784B1
KR101560784B1 KR1020140118950A KR20140118950A KR101560784B1 KR 101560784 B1 KR101560784 B1 KR 101560784B1 KR 1020140118950 A KR1020140118950 A KR 1020140118950A KR 20140118950 A KR20140118950 A KR 20140118950A KR 101560784 B1 KR101560784 B1 KR 10156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ixing
crushing blade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광
Original Assignee
오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광 filed Critical 오세광
Priority to KR102014011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784B1/ko
Priority to US14/844,506 priority patent/US201600696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 관한 것으로,
빙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얼음을 잘게 분쇄하는 빙수기에 있어서, 빙수용 얼음을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고, 얼음 분쇄 중 얼음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량의 빙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승하강 및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얼음 고정부를 구비한 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장착부와, 빙수 용기 수납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장착부에 탈착되며, 얼음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구비된 빙수 배출구와, 상기 빙수 배출구의 일측 바닥면 하부에 결합된 얼음 분쇄날을 갖는 얼음 용기; 및 상기 얼음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ICE SHAVING MACHINE}
본 발명은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 관한 것으로,
빙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얼음을 잘게 분쇄하는 빙수기에 있어서, 빙수용 얼음을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고, 얼음 분쇄 중 얼음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량의 빙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빙수를 제조하기 위한 빙수기는 통상적으로 크기가 작은 각얼음 다수를 분쇄시키는 방식의 빙수기와, 크기가 큰 통얼음을 분쇄시키는 방식의 빙수기가 대표적이다.
각얼음용 빙수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572호(2003.06.04.) "전동빙수기"(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구동기어를 가진 몸체, 얼음갈이 통 및 회전축관과 회전컵 그리고 링기어, 너트 및 뚜껑과 스탠드로 이루어진 전동빙수기에 관한 것으로, 얼음갈이통의 측벽부가 투명벽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컵의 측벽부가 각종 캐릭터가 표현된 장식벽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1은 각얼음을 사용하는 빙수기로 가정용에 적합하고, 빙수 소요가 많은 레스토랑이나, 커피숍에서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얼음을 사용하게 되면서 각얼음을 냉동 보관할 때 각얼음들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빙수 판매용으로 빙수기를 사용하는데 부적합하다.
한편 크기가 큰 통얼음을 사용하는 빙수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38186호(1995.12.18.) "가정용 빙수기"(이하 종래 기술 2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2는 일측에 얼음을 담는 그릇이 놓여지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지지봉이 형성된 밀판부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지지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는 체결부가 타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얼음이 수납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멈춤돌기가 형성된 수납통이 상부에 구비되며 수납통의 내측으로 칼날을 가지고 일정간격의 틈새가 형성된 가공홈을 가지는 지지판과, 상기 수납통이 삽입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삽입요홈의 내부에 다수개의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통에 형성된 멈춤돌기에 의하여 일정한 회전유격을 가지면서 결합되고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되 모터의 회전축에 얼음을 고정하는 고정판이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판이 회전될 때 얼음을 회전시켜 얼음이 가공홈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 2의 전체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하부에 그릇(B)이 수납되는 수납홈(3)이 구비되며, 수납홈 상부에 고정 설치된 지지판(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7) 상부에 얼음(I)이 안치된 상태에서 회전로드(4)와 결합된 회전플레이트(5)가 하강하여 고정날(6)이 얼음에 박히면서 고정되어 회전플레이트(5)의 회전에 따라 얼음이 빙삭날(9)에 접촉하면서 빙수용 얼음으로 분쇄되어 배출공(8)을 통해 하부의 그릇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의 빙수기는 통얼음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정용뿐만 아니라, 빙수 판매점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판매점에서 다수의 통얼음을 일괄 구매하여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통얼음을 꺼내 빙수 제조에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2의 빙수기는 빙수 제조 후 통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얼음을 빙수기에서 빼내어 냉동 보관 한 다음 다시 빙수를 제조할 때 재차 통얼음을 빙수기에 장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빙수 제조 시마다 사용자가 통얼음을 직접 취급하여 옮겨야 하므로 위부 노출이 많아 통얼음의 위생 관리가 취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얼음을 취급하는 횟수만큼 통얼음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얼음에 이물질 등이 묻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얼음을 취급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위생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빙수 제조 시 사용자가 분쇄되는 빙수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빙수의 정량을 맞추는데, 통얼음의 질에 따라 분쇄되는 양이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보이는 빙수의 양과 실질적으로 분쇄되는 빙수의 양이 매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빙수를 정량으로 맞추기 어려우며, 특히 빙수를 1인분 내지 2인분 정도의 소량으로 제조하는 소형 빙수기의 경우 제조 시마다 정량의 빙수를 맞추는데 더 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빙수의 인분에 맞게 미리 정량으로 냉동된 얼음을 사용하여 빙수를 제조함으로써 제조 시마다 정량의 빙수 분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빙수 제조 시 마다 같은 얼음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매번 같은 얼음을 취급할 필요가 없어 얼음의 위생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정량의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용기에 분쇄날이 구비되어 본체의 장착부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빙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 용기를 본체에 장착한 후 얼음을 회전시킬 때 얼음 용기가 동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얼음 용기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얼음 용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직선형 구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빙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얼음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의 안정된 승하강 및 회전부재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에 각각 회전부재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와, 얼음 용기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빙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얼음 분쇄날의 교체가 용이하며, 얼음 분쇄날의 위치 조절을 통해 얼음 분쇄 크기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빙수 배출구를 향해 돌출되는 얼음 분쇄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빙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승하강 및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얼음 고정부를 구비한 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장착부와, 빙수 용기 수납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장착부에 탈착되며, 얼음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구비된 빙수 배출구와, 상기 빙수 배출구의 일측 바닥면 하부에 결합된 얼음 분쇄날을 갖는 얼음 용기; 및
상기 얼음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부재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서 얼음 용기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에서 상기 얼음 용기는 상기 얼음 분쇄날의 위치를 조절하여, 빙수 배출구를 향해 돌출되는 얼음 분쇄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정량으로 미리 냉동된 얼음을 얼음 용기에 담은 상태로 빙수를 제조하므로 빙수 제조 시마다 사용되던 얼음을 재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이며,
또한 얼음 자체가 미리 정량으로 냉동된 상태이므로 분쇄된 빙수의 양이 항상 동일하게, 정량으로 맞춰지므로 별도로 정량 관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히 1인분 또는 2인분 빙수 제조에 사용되는 소형 빙수기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리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고정수단 및 얼음 용기와 장착부의 구조 설계를 통해 빙수기의 분쇄 작동 시 얼음 용기가 동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 설계가 도입됨에 따라 빙수기의 제작이 쉽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회전부재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와, 얼음 용기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각각 도입하여, 회전부재의 안정된 작동을 보장함과 동시에, 회전부재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빙수 배출구로 돌출되는 얼음 분쇄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도입하여, 얼음 분쇄날의 교체 작업이 쉬울 뿐만 아니라, 얼음 분쇄날의 높이 조절을 통해 얼음이 분쇄되는 크기, 면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빙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를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빙수기에서 얼음 용기와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에서 얼음 분쇄날의 높이 조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에서 본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에서 제2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얼음 용기(20)가 장착되는 방향, 즉 장착부(12)의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 후를 정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는 크게 빙수 용기(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S)와 얼음 용기(20) 탈착형 장착부(12)를 갖고 얼음 분쇄용 회전부재(15)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0)와, 미리 냉동된 정량의 얼음이 수용되며, 얼음 분쇄날(23)이 구비된 얼음 용기(20) 및 상기 얼음 용기(20)가 본체(10)의 장착부(12)의 개구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본체 하우징(11) 내부에 빙수기 작동 시 하강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재(15; 도 4 참고)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11) 하부에는 얼음 용기(20)의 탈착을 위한 장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11)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다리(11A)들로 지지되면서, 지지다리들 사이의 개구부 및 공간이 빙수를 담을 수 있는 용기 수납부(S)로 활용된다.
상기 용기 수납부(S) 바닥에는 빙수 제조 시 얼음이 분쇄되어 수납부(S)의 용기로 빙수가 낙하할 때 용기 외부로 이탈되는 빙수 조각들 또는 빙수기 사용 후 남은 얼음 잔재가 녹아떨어지는 물 등을 받칠 수 있는 물받이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5)는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으로 회전 및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동 수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에 내장되어 자동으로 회전부재(15)의 회전로드(15A; 도 2 참고.)를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전동 모터(14)와, 상기 본체 하우징(11)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로드(15A)를 승하강시키는 수동 작동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모터(14)와 회전로드(15A)는 각각 타이밍 기어(14A)를 통해 연결되고, 회전로드(15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5a; 도 2 참고.)이 본체 하우징에 고정된 나사부(미도시)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로드(15A)의 타이밍 기어의 내주면에 구비된 회전키(미도시)가 회전로드(1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홈(미도시)에 결합되어, 전동 모터(14)가 작동되면 타이밍 기어의 회전키가 회전로드(15A)를 회전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로드(15A)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동 작동부(18)는 상기 회전로드(15A)의 나사산(15a) 일측에 치합되는 승강 기어(미도시)를 구비한 승강축(18a)과 연결되어 승강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로드(15A)가 회전 없이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밖에도 상기 전동 모터(14)와 회전로드(15A)의 연결 구조, 상기 수동 조작부(18)와 회전로드(15A)의 연결 구조는 도시되지 않는 각종 축 및/또는 기어들로 구성된 공지된 다른 방식의 중계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부재(15), 즉 회전로드(15A)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고, 당업자라면 공지의 빙수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조, 결합 관계를 채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작동부(18)는 본체 하우징(11) 내부에서 회전부재(15)를 연동시켜 회전 및/또는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판(18A)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판(18A)에는 사용자가 작동판(18A)을 돌리 수 있도록 핸들(18B)이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동판(18A)은 본체 하우징(11)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18B)을 좌, 우 작동판(18A) 중 어느 하나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에 맞게 핸들(18B)을 장착하여 수동으로 회전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회전로드(15A), 즉 회전부재(15)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S1)가 내장된다.
상기 제1 센서부(S1)는 상기 회전로드(15A) 일측에 입설된 지지로드(17)와, 상기 회전로드(15A)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로드(17)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수용홈(15a)을 구비한 승강편(15B)과, 상기 수용홈(15a)에 장착된 제2 피감지부재(미도시)와, 상기 지지로드(17)의 최상측 및 최하측(즉, 회전로드가 승하강될 때 상승 한도 및 하강 한도 높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피감지부재를 감지할 수 있는 제1-1 감지 센서(17A)와, 제1-2 감지 센서(17B)로 구성된다.
상기 제1-1, 제1-2 감지 센서(17A)(17B)는 상기 전동 모터(14)와 연동되어 회전로드(15A)가 승하강됨에 따라 감지 센서가 제2 피감지부재를 감지하면 전동 모터(14)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춰지도록 한다.
그 밖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1) 전면에는 전동 모터(14)을 제어, 즉, 회전부재(15)의 회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다이얼(미도시), 전원 on/off 버튼(미도시), 비상 정지 버튼(19a), 자동 작동 on/off 버튼(19b) 등이 구비된 제어패널(1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에는 공지의 빙수기와 달리 얼음 분쇄를 위한 분쇄날(23) 및 빙수 배출구 등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용기(20)는 일반 그릇 형태의 용기로써, 미리 냉동된 정량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1)를 갖고, 전방에 사용자가 얼음 용기(20)의 취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얼음 용기(20)를 상기 본체(10)의 장착부(12)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부재(15)가 하강되어 얼음을 고정시킨 후 회전하면서 빙수 제조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얼음 용기(20)의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빙수 배출구(22)가 구비되며, 상기 빙수 배출구(22)의 일측 바닥면 하부에는 얼음 분쇄용 분쇄날(23)이 상기 빙수 배출구(22)를 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분쇄날(23)은 분쇄된 얼음의 질을 향상시키고, 얼음 분쇄가 잘 이루어지도록 얼음의 회전 방향, 즉 회전부재(15)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빙수 배출구(22), 분쇄날(23)의 크기나 형태 등은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얼음 용기(20)의 바닥면 중앙을 가로지르는'일(一)'자형 빙수 배출구(22)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빙수 배출구(2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회전부재(15)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경사지면서 입설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분쇄날(23)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분쇄 배출구(22) 및 분쇄날(23)의 구조나 형태 등이 아니라, 분쇄 배출구(22) 및 분쇄날(23)의 설치 위치, 즉 빙수기 본체(10)가 아닌 얼음 용기(2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쇄 배출구(22) 및 분쇄날(23)에 있는 것으로,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분쇄 배출구(22) 및 분쇄날(23)의 구조, 형태와 다르게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이러한 분쇄 배출구(22) 및 분쇄날(23)의 구조,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용기(20)는 수용부(21)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장착부(12)는 상기 플렌지(24)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1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는 전방 개구부를 제외하고, 본체 하우징(11)의 바닥면 좌우 양측 및 후방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3A)와, 상기 결합부(13A)의 외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13B)과, 상기 측벽부(13B)의 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13C)로 구성되어, 평면도 상으로 반원형 또는 'U'자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3A)와 측벽부(13B)와 지지부(13C)로 둘러싸인 공간(13D)에 상기 플렌지(24)가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얼음 용기(20)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얼음의 회전을 통해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얼음 용기(20)의 수용부(21)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렌지(24) 및 상기 가이드부재 역시 반원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얼음 용기(20)가 상기 장착부(12)에 장착되었을 때 후술하는 고정수단(30)을 통해 얼음 용기(20)가 1차적으로 고정되나, 상기 플렌지(24) 및 상기 가이드부재(13)가 반원형으로 제작될 경우, 얼음이 회전하는 힘이 얼음 용기(2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후술하는 고정돌기(31A)에 가해지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렌지(24)와, 상기 가이드부재(13)의 측벽부(13B)에는 상기 얼음 용기(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직선형 구속부(24a)(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얼음 용기(20)를 본체(10)의 장착부(12)에 장착하면, 상기 플렌지(24) 및 상기 가이드부재(13)의 측벽부(13B)에 구비된 직선형 구속부(24a)(13a)가 서로 접촉하면서 얼음 용기(20)가 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직선형 구속부(24a)(13a)들이 얼음의 회전에 의하여 작용하는 회전력에 대항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고정돌기(31A)로 가해지는 압력을 차단하여 고정돌기(31A)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형 구속부(24a)(13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24) 및 가이드부재의 측벽부(13B) 좌, 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른 위치(예를 들어 플렌지(24)의 후방 단부와, 가이드부재(13)의 후방 측벽부(13B) 위치) 또는 다른 형태(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직선형 구속부가 다각형 형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직선형 구속부(24a)(13a)의 본질은 얼음 용기(20)가 회전되는 것에 대항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렌지(24) 및 가이드부재(13)의 측벽부(13B)가 원형 형태가 아닌 직선 형태로 접촉되는 개념을 말한다.
이어서 상기 얼음 용기(20)는 수용부(21) 둘레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장착부(12)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고정돌기(31A)를 갖는 고정부재(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홈에 인출입됨에 따라 얼음 용기(20)의 고정수단(30)으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는 본체 하우징(11) 전면의 통과홀(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레버(31B)와, 상기 고정레버(31B)와 일체로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11) 바닥면의 관통홀(11b)을 통해 인출입되는 고정돌기(31A)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1)는 탄성체(미도시)를 통해 본체 하우징(11) 하부를 향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1A)는 얼음 용기(20)의 장착 방향, 즉 정면이 라운드지로도록 제작되고, 얼음 용기(20)의 분리 방향, 즉 후면은 직각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용기(20)는 수용부(21) 둘레, 상기 고정부재(31)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홈(25)(관통 형성된 구멍의 형태로도 가능함.)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얼음 용기(20)의 수용부(21)에 얼음을 넣은 후 얼음 용기(20)를 상기 장착부(12)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돌기(31A)는 라운드진 정면부가 얼음 용기(20)의 플렌지(24)에 접촉되면서 본체(10) 내부로 인입되고, 얼음 용기(20)를 끝까지 밀어 넣으면, 상기 고정돌기(31A)가 본체(10) 하부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는 고정돌기(31A)의 직각 후면부가 상기 고정홈(25)에 걸리게 되므로, 얼음 용기(20)가 장착부(12)에서 임의로 분리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얼음 용기(2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빙수 제조가 완료되어 얼음 용기(20)를 빼낼 때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31B)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 상기 고정돌기(31A)를 상기 고정홈(25)에서 이탈시킨 후 얼음 용기(20)를 본체(10)의 장착부(1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31B)의 상측에는 파지돌기(31C; 도 2 참고.)가 본체 하우징(11)에 고정, 결합되어, 고정레버를 가압하여 올릴 때 상기 파지돌기를 잡고 고정레버를 오므리듯이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1)가 본체 하우징(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돌기(31A)가 삽입되는 고정홈(25) 역시 수용부(21)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동일 위치에 손잡이(26)가 구비되므로,
고정홈(25)으로 인하여 얼음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 부위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고정홈이 얼음 용기와 손잡이가 연결된 부위의 양측에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31)의 고정돌기(31A)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손잡이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30)의 형태, 위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착부(12)에는 상기 얼음 용기(20)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S2)가 구비되어, 얼음 용기(20)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오작동 등의 이유로 회전부재(15)가 회전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빙수기가 종래의 빙수기와 달리, 회전부재(15)의 얼음 고정부(16)가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승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사용자의 부주의, 오작동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 센서부(S2)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안전성 및 제조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제2 센서부(S2)는 상기 장착부(12)의 전방에 구비된 제2-1 감지 센서(12A)로 구성되고, 상기 얼음 용기(20)는 수용부(2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1 감지 센서(12A)가 감지할 수 있는 제2 피감지부재(27)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1 감지 센서(12A)는 장착부(12)의 최전방(도면에서는 한 쌍의 통과홀(11a) 사이)에 형성된 장착홈(12a)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피감지부재(27)는 얼음 용기(20)를 장착부(12)에 끝까지 밀어 넣었을 때 상기 장착홈과 동일선 상에 있는 플렌지의 최전방에 내장되어, 얼음 용기(20)가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았을 때, 즉, 얼음 용기(20)의 미장착 또는 불완전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감지 센서(12A)가 상기 제2 피감지부재(27)를 감지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얼음 용기(20)가 상기 장착부(12)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 감지 센서(12A)가 상기 제2 피감지부재(27)를 감지한 경우에만, 회전부재(15)의 회전 및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부재들은 대표적으로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있고, 상기 감지 센서들은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분쇄날(23)이 빙수 배출구(22) 상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분쇄되는 얼음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수단(40)을 설명한다.
상기 얼음 용기(20)에 구비되는 높이 조절 수단(40)은
얼음 용기(20)의 빙수 배출구(22) 일측 저면을 따라 상기 분쇄날(23)이 빙수 배출구(22)를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며 분쇄날(23)이 장착되는 상향 경사면(41)과,
상기 상향 경사면(41)의 조절부(4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2a)와, 상기 분쇄날(23)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머리부(42b)를 구비한 조절나사(42)와,
상기 분쇄날(23)을 모두 덮으면서 상기 상향 경사면(41)에 볼트 결합되는 고정 블록(43)과,
상기 분쇄날(23)에서 상향 경사면(41) 방향으로 천공되어 상기 고정 블록(43)의 볼트부재(43A)가 관통하여 얼음 용기(20)에 결합되도록 하는 장홈(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부(41A)는 상향 경사면(41)의 저부에서 하측(도면 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나사공(41a)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조절나사(42)는 상기 나사공(41a)에 나사부(42a)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분쇄날(23)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3a)에 상기 머리부(42b)가 걸리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42)의 나사부(42a)가 구비된 끝단부에는 공구를 삽입하여 조절나사(42)를 죄거나 풀 수 있도록 공구 사용이 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볼트 형태, 육각 너트 형태, 육각 렌치용 홈 형태 등)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재(43A)를 일부 풀게 되면 고정 블록(43)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분쇄날(23)을 고정시키는 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조절나사(42)를 죄거나 풀게 되면 상기 분쇄날(23)이 상향 경사면(41)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고, 따라서 분쇄날(23)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볼트부재(43A)를 조여 고정 블록(43)을 상향 경사면(41) 상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빙수 배출구(22)로 돌출되는 분쇄날(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향 경사면(41)의 일측에는 눈금(44)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블록(43)으로 덮이지 않는 분쇄날(23)의 일측면에 눈금자(45)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분쇄날(23)이 위치를 수치상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분쇄날(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4를 참고 하여 본 발명의 회전부재(15)에 구비되는 얼음 고정부(16)를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우측 상부 원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고정부(16)는 공지된 빙수기의 회전부재(15)에 적용되는 다수의 고정침(16A)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침(16A)으로 구성된 얼음 고정부(16)는 회전부재(15)가 하강하였을 때 얼음(I)의 상면을 고정침(16A)이 파고들면서 얼음이 고정되어 회전부재(15)가 회전할 때 얼음이 동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침(16A)을 도입할 경우 얼음의 질에 따라 고정침(16A)에 의하여 얼음의 상면이 파쇄되어 얼음이 회전하지 않고, 회전부재(15)만이 공회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얼음이 일부 녹아서 냉동 상태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 얼음의 강도가 저하되어 무른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얼음에 상기한 고정침(16A)이 박힐 경우, 회전부재(15)의 회전하는 압력, 속도가 크게 되면 얼음이 동반 회전되지 않고, 고정침(16A)이 얼음의 상면을 파쇄하면서 회전부재(15)만이 공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침(16A)이 회전부재(15)의 회전방향에 대항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어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얼음 고정부(16)는 도 4의 우측 하부 원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5)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편(1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6B)은 회전부재(15)의 회전방향으로 얼음이 접촉하여 걸릴 수 있는 면 형태이기 때문에 얼음의 냉동 상태가 무른 경우라도, 회전부재(15)만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6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고정편(16B)이 '십(十)'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수의 고정편이'*'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하나의 고정편이 회전부재(15)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일(一)'자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정침(16A)을 구비한 회전부재(15)와, 상기 고정편(16B)을 구비한 회전부재(15)를 별도로 제작하고, 각각의 회전부재(15)가 회전로드(15A)(또는 회전로드(15A)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에 탈착되도록 제작되어, 얼음의 질에 따라 회전부재(15)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 : 얼음 S : 수납부
10 : 본체 11 : 본체 하우징
12 : 장착부 13 : 가이드부재
14 : 전동 모터 15 : 회전부재
16 : 얼음 고정부 18 : 수동 작동부
19 : 제어 패널
20 : 얼음 용기 21 : 수용부
22 : 빙수 배출구 23 : 분쇄날
24 : 플렌지 25 : 고정홈
26 : 손잡이 13a, 24a : 직선형 구속부
30 : 고정수단 31, 32 : 고정부재
40 : 높이 조절 수단

Claims (4)

  1.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하강 및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얼음 고정부(16)를 구비한 회전부재(15)가 내장되고, 일측 개구부를 갖는 장착부(12)와, 빙수 용기 수납부(S)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장착부(12)에 탈착되며, 얼음이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빙수 배출구(22)와, 상기 빙수 배출구(22)의 일측 바닥면 하부에 결합된 얼음 분쇄날(23)을 갖는 얼음 용기(20); 및
    상기 얼음 용기(20)가 상기 장착부(12)의 개구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는 얼음 용기(20)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S2)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회전부재(15)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용기(20)는 상기 얼음 분쇄날(23)의 위치를 조절하여, 빙수 배출구(22)를 향해 돌출되는 얼음 분쇄날(2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40)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높이 조절 수단(40)은
    상기 얼음 용기(20)의 빙수 배출구(22) 일측 저면을 따라 상기 분쇄날(23)이 빙수 배출구(22)를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며 분쇄날(23)이 장착되는 상향 경사면(41)과,
    상기 상향 경사면(41)의 조절부(4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2a)와, 상기 분쇄날(23)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머리부(42b)를 구비한 조절나사(42)와,
    상기 분쇄날(23)을 덮으면서 상기 상향 경사면(41)에 볼트 결합되는 고정 블록(43)과,
    상기 분쇄날(23)에서 상기 상향 경사면(41) 방향으로 천공되어 상기 고정 블록(43)의 볼트부재(43A)가 관통하여 상기 얼음 용기(20)에 결합되도록 하는 장홈(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부(41A)는 상향 경사면(41)의 저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나사공(41a)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조절나사(42)는 상기 나사공(41a)에 나사부(42a)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분쇄날(23)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3a)에 상기 머리부(42b)가 걸리면서 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42)의 나사부(42a)가 구비된 끝단부는 공구를 삽입하여 조절나사(42)를 죄거나 풀 수 있도록 공구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용기(20)는 수용부(21) 둘레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본체(10) 전면의 통과홀(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레버(31B)와,
    상기 고정레버(31B)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 바닥면의 관통홀(11b)을 통해 인출입되면서, 상기 장착부(12)를 향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A)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
KR1020140118950A 2014-09-05 2014-09-05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KR10156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50A KR101560784B1 (ko) 2014-09-05 2014-09-05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US14/844,506 US20160069604A1 (en) 2014-09-05 2015-09-03 Ice shaving machine equipped with detachable ic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50A KR101560784B1 (ko) 2014-09-05 2014-09-05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784B1 true KR101560784B1 (ko) 2015-10-26

Family

ID=5442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950A KR101560784B1 (ko) 2014-09-05 2014-09-05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69604A1 (ko)
KR (1) KR101560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2993A1 (de) * 2015-12-15 2017-06-22 Switch-It Assembling Gmbh Vorrichtung zum zerkleinern wenigstens eines stückes gefriergut
KR20190033419A (ko) * 2017-09-21 2019-03-29 가부시키가이샤 쥬부 코포레이션 빙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1606B1 (en) * 2012-12-31 2016-12-07 Arçelik Anonim Sirketi A crashed ice 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wherein the same is used
AT516069B1 (de) * 2014-07-22 2017-05-15 Peter Troißinger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nee
USD981174S1 (en) * 2020-11-09 2023-03-21 Ellen Li LIAO Ice shaver
USD983603S1 (en) 2020-12-31 2023-04-18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 for a micro puree machine
US11871765B2 (en) 2020-12-31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20220202247A1 (en) 2020-12-31 2022-06-30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925298B2 (en) 2020-12-31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641978B2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5331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Housing for a micro puree machine
USD985334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Nested bowl for a micro puree machine
US11154163B1 (en) 2020-12-31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976868B2 (en) * 2021-08-20 2024-05-07 Pioneer Family Brands, Inc. Ice shaver with in-line power control drive system
US11982483B2 (en) 2021-08-20 2024-05-14 Pioneer Family Brands, Inc. Ice shaver with multi-link control arm
US11971205B2 (en) 2021-08-20 2024-04-30 Pioneer Family Brands, Inc. Ice shaver with splash gu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52Y1 (ko) * 2001-02-21 2002-02-04 이황철 냉동 냉장형 빙삭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2378A (en) * 1949-12-10 1951-10-23 Paul Milton Nutcracker and ice crusher
US2852201A (en) * 1954-09-13 1958-09-16 Bert Samuel Ice shaving machine
US3679140A (en) * 1969-07-10 1972-07-25 Tiger Vacuum Bottle Ind Co Ltd Ice shaver
US4569266A (en) * 1984-07-23 1986-02-11 Chubu Industries, Inc. Food-cutting apparatus
JPS6149275U (ko) * 1984-09-05 1986-04-02
US5007591A (en) * 1990-01-12 1991-04-16 Daniels Jr Thomas E Ice shaver apparatus
US5402949A (en) * 1993-11-30 1995-04-04 Richard D. Ipsen Ice shaving apparatus
US5513810A (en) * 1995-05-17 1996-05-07 Shing-Pun Enterprise Co., Ltd. Thickness adjuster for an ice shaver
US6012660A (en) * 1997-12-02 2000-01-11 Vaansinn Products, Inc. Rotary ice shaving machine
US6328236B1 (en) * 1998-04-17 2001-12-11 Chuckwagon Industries, Inc. Ice shaving apparatus
US6450426B1 (en) * 2001-01-18 2002-09-17 Ming-Tsung Lee Ice planer
US8807469B2 (en) * 2013-01-23 2014-08-19 Kun-Wei Sung Ice shaving machine
TWM470235U (zh) * 2013-05-07 2014-01-11 Liao Ellen Li 一種具刨冰功能之冰櫃
US9451850B2 (en) * 2014-04-02 2016-09-27 Kun-Wei Sung Ice shav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52Y1 (ko) * 2001-02-21 2002-02-04 이황철 냉동 냉장형 빙삭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2993A1 (de) * 2015-12-15 2017-06-22 Switch-It Assembling Gmbh Vorrichtung zum zerkleinern wenigstens eines stückes gefriergut
KR20190033419A (ko) * 2017-09-21 2019-03-29 가부시키가이샤 쥬부 코포레이션 빙삭기
KR102147705B1 (ko) * 2017-09-21 2020-08-25 가부시키가이샤 쥬부 코포레이션 빙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9604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784B1 (ko)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KR101624283B1 (ko) 아이스크림 빙삭기
US8826683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1482843B1 (ko) 전기 빙삭기
KR101820042B1 (ko)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EP2664870A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CN203041968U (zh) 一种加工安全的食品加工机
CN102008117A (zh) 加工器械和方法
KR20090124886A (ko) 아이스 크러셔를 구비한 장치 및 냉장고
CN103099550A (zh) 食物处理器的锁紧机构
KR101511270B1 (ko) 탈착형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WO2008135473A3 (de) Kältegerät
KR101511773B1 (ko)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KR101560783B1 (ko) 빙수기용 일회용 얼음 용기
EP2941606B1 (en) A crashed ice 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wherein the same is used
KR101511774B1 (ko) 얼음 용기를 구비한 빙수기
KR101803845B1 (ko)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0424391Y1 (ko) 컵 자동 배출기
JPH05184467A (ja)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
KR101560786B1 (ko) 빙수기용 일회용 얼음 용기
JP2009078270A (ja) 粉砕機
JP5687103B2 (ja) ディスペンサ
CN220945656U (zh) 一种压菜模块及切配机
CN220922654U (zh) 一种切菜模块及切配机
CN220922565U (zh) 一种切菜模块及切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